KR102380965B1 -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 Google Patents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965B1
KR102380965B1 KR1020177015450A KR20177015450A KR102380965B1 KR 102380965 B1 KR102380965 B1 KR 102380965B1 KR 1020177015450 A KR1020177015450 A KR 1020177015450A KR 20177015450 A KR20177015450 A KR 20177015450A KR 102380965 B1 KR102380965 B1 KR 10238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ormula
detergent
contamination
clea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243A (ko
Inventor
마라일레 욥
니콜 보데
에바-마리아 비커
크리슈티안 크로프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7007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 in a heterocyclic ring, e.g. sultones or sulfolanes
    • C11D11/0017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11D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dditionally containing nitrogen atoms, e.g. nitro, nitroso, amino, imino, nitrilo, nitrile groups containing compounds or their derivatives or thio 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해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제 및 세정 작용제 중의 8-히드록시퀴놀린 술폰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DETERGENTS AND CLEANING AGENT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은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제 및 세정 작용제 중의 특정 퀴놀린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분말상 표백제-함유 세제 및 세정 작용제의 제형에서는 더 이상 어떠한 문제도 제기되지 않는 반면에, 안정한 액체 표백제-함유 세제 및 세정 작용제의 제형에서는 여전히 문제가 제기된다. 액체 세제 및 세정 작용제 중의 표백제의 통상적인 부재에 기인하여, 그에 준해서 특히 함유된 표백제로 인해 통상 제거되는 오염이 종종 단지 불충분하게만 제거된다. 표백제-무함유 컬러 세제에 있어서도 유사한 문제가 존재하며, 이 경우 텍스타일 중의 염료를 보호하고 그의 퇴색을 방지하기 위해 표백제가 배제된다. 표백제의 부재는, 과산소(peroxygen)-기반 표백제에 의해 통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표백가능한 오염으로서 공지된 것이 제거되는 대신에, 반대로, 오염의 증강 및/또는 제거력 악화가 세척 공정으로 인해 종종 실제로 야기되며, 특히, 예를 들어 오염 중 함유된 특정 염료의 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개시된 화학적 반응에 의해 야기될 우려가 있다는 사실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특히 중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오염의 경우 발생한다. 중합성 물질은 특히 폴리페놀계 염료, 바람직하게는 플라보노이드, 특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부류로부터의 것들이다. 오염은 특히 상응하는 염료를 함유하는 식료품 또는 음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오염은, 폴리페놀계 염료, 특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부류로부터의 것들을 특별히 함유하는 과실 또는 채소 오염 또는 레드 와인 오염일 수 있다.
예로써, 중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오염의 개선된 제거를 위한 세제 및 세정 작용제 중의 프로필 갈레이트와 같은 갈산 에스테르의 용도가 국제 특허 출원 WO 2011/023716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텍스타일의 오염의 제거를 위한, 적절하게 N 원자에서 메틸, 에틸, 프로필, 페닐, 나프틸 또는 카르복시에틸 기와 같은 유기 기로 치환된 4-피리디논의 용도는 국제 특허 출원 WO 2007/042140 A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8-히드록시퀴놀린 술폰산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해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유의하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대상은,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해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SO3X를 나타내고, 단, 상기 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1개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표백가능한 오염은 통상적으로 중합성 물질, 특히 중합성 염료를 함유하며, 여기서 중합성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계 염료, 특히 플라보노이드, 특히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또는 이들 화합물의 올리고머이다. 컬러 그린, 옐로우, 레드 또는 블루의 오염의 제거 외에도, 중간 컬러, 특히 바이올렛, 라일락, 브라운, 퍼플 또는 핑크의 오염의 제거, 및 또한 이와 같은 컬러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존재하지는 않지만 그린, 옐로우, 레드, 바이올렛, 라일락, 브라운, 퍼플, 핑크 또는 블루 빛깔을 갖는 오염의 제거가 또한 고찰된다. 또한, 명시된 컬러는 특히 각 경우에 옅거나 진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그린, 옐로우, 레드, 바이올렛, 라일락, 브라운, 퍼플, 핑크 및/또는 블루 염료를 함유하는 오염, 및 특히 풀, 과실 또는 채소 오염, 특히 또한 식료품, 예컨대 양념, 소스, 처트니(chutney), 카레, 퓨레 및 마말레이드, 또는 음료, 예를 들어 커피, 차, 와인 및 주스에 기인한 오염이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거되는 오염은 특히 체리, 모렐로 체리(morello cherry), 포도, 사과, 석류, 초크베리(chokeberry), 자두, 벅톤(buckthorn), 아사이, 키위, 망고, 풀 또는 베리, 특히 레드커런트(redcurrant) 또는 블랙커런트(blackcurrant), 엘더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 크랜베리, 링건베리(lingonberry), 딸기 또는 허클베리, 또는 커피, 차, 적양배추, 블러드 오렌지(blood orange), 가지, 토마토, 당근, 비트뿌리(beetroot), 시금치, 페퍼, 적육종 또는 청육종 감자, 또는 적양파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 특히 1 내지 2개의 SO3X 치환기가 함유된다. R4는 바람직하게는 SO3X 치환기이다. X에 대한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 및 칼륨 및 그의 혼합물이다. NH4 +에 추가로, X에 대한 암모늄 이온은 또한 총 1 내지 4개의 C1-12 알킬 기 및/또는 C2-5 히드록시알킬 기를 보유하는 암모늄 기이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0.01 wt.% 내지 10 wt.%의 양으로, 특히 0.05 wt.% 내지 5 wt.%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제공되며, 여기서 및 이하에서 "wt.%"의 명시는 각 경우에 총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중량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0.01 wt.% 내지 10 wt.%, 특히 0.05 wt.% 내지 5 wt.%의 양으로 함유하는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이며, 여기서 상기 및 하기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대상에도 적용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작용제는 기계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수행되는 통상의 세척 또는 세정 공정에서 사용되며, 여기서 오염된 세탁물 또는 오염된 경질(hard) 표면은 텍스타일 또는 경질 표면으로부터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용제를 함유하는 수성액에 노출된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는 임의의 편리한 전달 형태 및/또는 종래 기술에 따라 확립된 임의의 전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체, 분말형, 액체, 겔-유사 또는 페이스트 전달 형태, 임의로 또한 여러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며; 또한 예를 들어, 벌크 팩으로도 그리고 나누어도 포장된, 압출물, 과립, 정제 또는 파우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산화성 표백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로 구현된다. 이는 작용제가 보다 좁은 의미의 임의의 산화성 표백제, 예컨대 하이포클로라이트,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공급 물질 및 퍼옥소산을 함유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것은 또한 임의의 표백제 활성화제 및/또는 표백제 촉매를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세제는 액체 텍스타일 세제이다.
추가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세제는 분말형 또는 액체 컬러 세제, 즉, 염색된 텍스타일용 텍스타일 세제이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활성 물질에 추가로, 특히 빌더(builder) 및 계면활성제 및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효소, 붕해 조제, 향료, 및 퍼퓸(perfume) 캐리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특히 텍스타일 세제의 다른 통상의 구성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빌더는 특히 제올라이트, 실리케이트, 카르보네이트, 유기 공동빌더(co-builder), 및 또한 사용에 대한 생태적 거부가 없는 한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결합된 물을 함유하는 미세결정질 합성 제올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A 및/또는 제올라이트 P이다. 예로써, 제올라이트 MAP® (크로스필드(Crosfield) 사 상품)가 제올라이트 P로서 가능하다. 그러나, 제올라이트 X, 및 제올라이트 A, X 및/또는 P의 혼합물이 또한 적합하다. 예로써,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2
으로 기재될 수 있는, 제올라이트 X 및 제올라이트 A의 공-결정화물(co-crystallizate) (대략 80 wt.% 제올라이트 X)은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제올라이트는 과립상 화합물 중의 빌더로서도, 그리고 과립상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컴팩트화되는 혼합물의 일종의 "파우더링(powdering)"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양쪽 방식 모두 제올라이트를 예비 혼합물 내로 혼입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제올라이트는 10 ㎛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 (부피 분포; 측정 방법: 코울터 계수기(Coulter Counter))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결합된 물을 18 wt.% 내지 22 wt.%, 특히 20 내지 22 wt.%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NaMSixO2x +1·yH2O (여기서, M은 나트륨 또는 수소이고, x는 1.9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4의 수이며, x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값은 1, 2, 3 또는 4이고, y는 0 내지 33,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의 수를 나타냄)의 결정질 시트 실리케이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NaMSixO2x +1·yH2O의 결정질 시트 실리케이트는 예를 들어 클라리안트 게엠베하(Clariant GmbH, 독일) 사에 의해 상표명 Na-SKS로 판매된다. 이들 실리케이트의 예는 Na-SKS-1 (Na2Si22O45·xH2O, 케냐이트(kenyaite)), Na-SKS-2 (Na2Si14O29·xH2O, 마가다이트(magadiite)), Na-SKS-3 (Na2Si8O17·xH2O) 또는 Na-SKS-4 (Na2Si4O9·xH2O, 마카타이트(makatite))이다.
x가 2를 나타내는 화학식 NaMSixO2x +1·yH2O의 결정질 시트 실리케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β- 및 δ-나트륨 디실리케이트 Na2Si2O5·yH2O 둘 모두 및 또한 특히 Na-SKS-5 (α-Na2Si2O5), Na-SKS-7 (β-Na2Si2O5, 나트로실라이트(natrosilite)), Na-SKS-9 (NaHSi2O5·H2O), Na-SKS-10 (NaHSi2O5·3H2O, 카네마이트(kanemite)), Na-SKS-11 (t-Na2Si2O5) 및 Na-SKS-13 (NaHSi2O5), 그러나 특히 Na-SKS-6 (δ-Na2Si2O5)가 바람직하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는 바람직하게는 0.1 wt.%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15 wt.%, 특히 0.4 wt.% 내지 10 wt.%의 화학식 NaMSixO2x+1·yH2O의 시트 실리케이트 비율 (중량 기준)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연 용해 및 또한 2차 세척 특성을 갖고, 1:2 내지 1:3.3,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2.8, 특히 1:2 내지 1:2.6의 모듈러스 Na2O:SiO2를 갖는 비결정질 나트륨 실리케이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의 비결정질 나트륨 실리케이트에 비한 용해의 지연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예를 들어 표면 처리, 컴파운딩, 컴팩트화/압축에 의해 또는 과도하게 건조시킴으로써 초래될 수 있다. 용어 "비결정질"은, 실리케이트가 결정질 물질에 대해 전형적인 x-선 회절 실험에서의 선명한 x-선 반사를 제공하지는 않으나, 여러 회절 각도의 폭을 갖는 산란된 x-방사선의 하나 이상의 최대값을 기껏해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한 비결정질 나트륨 실리케이트와 조합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회절 실험에서 실리케이트 입자가 흐릿한 또는 심지어 선명한 회절 최대값을 제공하는 x-선 비결정질 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생성물이 크기가 10 내지 수백 nm, 바람직하게는 50 nm의 최대값까지, 특히 20 nm의 최대값까지의 값들로 측정되는 미세결정질 영역을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X-선 비결정질 실리케이트는 또한 통상의 물유리와 비교해서 지연 용해를 갖는다. 압축/컴팩트화된 비결정질 실리케이트, 컴파운딩된 비결정질 실리케이트, 및 과도하게 건조된 x-선 비결정질 실리케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이들 실리케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실리케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결정질 또는 비결정질 알칼리 디실리케이트(들)은 존재하는 경우 3 wt.%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8 wt.% 내지 50 wt.%, 특히 20 wt.% 내지 40 wt.%의 양으로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에 함유된다.
생태적 이유로 사용을 피하지 않아도 되는 한, 빌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포스페이트 중,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가 세제 및 세정 작용제 산업에서 가장 중요하며, 여기서 펜타나트륨 및 펜타칼륨 포스페이트 (나트륨 및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는 다양한 인산의 알칼리 금속 (특히 나트륨 및 칼륨) 염에 대한 집합적 용어이며, 여기서 고분자(higher molecular) 대표에 추가로 메타인산 (HPO3)n과 오르토인산 H3PO4 간에 구별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포스페이트는 다음과 같은 몇몇 이점이 조합되어 있다: 알칼리 캐리어로서 작용하고, 기계 부품 상의 석회 침착 및 직물 내 석회 외피형성을 방지하며, 또한 세정 성능에 기여함. 기술적으로 특히 중요한 포스페이트는 펜타나트륨 트리포스페이트 Na5P3O10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및 상응하는 칼륨 염 펜타칼륨 트리포스페이트 K5P3O10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또한 사용된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에 포스페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작용제는 이/이들 포스페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펜타나트륨 또는 펜타칼륨 트리포스페이트 (나트륨 또는 칼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를 5 wt.% 내지 80 wt.%, 바람직하게는 15 wt.% 내지 75 wt.%, 특히 20 wt.% 내지 70 wt.%의 양으로 함유한다.
알칼리 캐리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로써,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하이드로젠 카르보네이트, 알칼리 금속 세스키카르보네이트, 상기한 알칼리 실리케이트, 알칼리 메타실리케이트, 및 상기한 물질의 혼합물이 잠재적 알칼리성 캐리어이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카르보네이트, 특히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하이드로젠 카르보네이트, 또는 나트륨 세스키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된다. 트리폴리포스페이트와 나트륨 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빌더 시스템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는, 다른 빌더 물질과 비교하여 그와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나머지 성분과의 낮은 화학적 상용성 때문에 통상적으로 단지 소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 wt.% 미만, 바람직하게는 6 wt.%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4 wt.% 미만, 특히 2 wt.% 미만의 양으로 사용된다. 그의 총 중량에 대해 0.5 wt.% 미만의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를 함유하는 작용제, 특히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를 함유하지 않는 작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카르보네이트(들) 및/또는 하이드로젠 카르보네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카르보네이트(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카르보네이트를 2 wt.%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40 wt.%, 특히 7.5 wt.% 내지 30 wt.%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기 빌더로서 폴리카르복실레이트/폴리카르복실산, 중합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아스파르트산, 폴리아세탈, 덱스트린 및 포스포네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예로써, 유리(free) 산 및/또는 나트륨 염의 형태로 사용가능한 폴리카르복실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폴리카르복실산은 1개 초과의 산 관능기를 보유하는 카르복실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로써, 이것들은 생태적 이유로 사용을 피하지 않아도 되는 한 시트르산, 아디프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당(sugar) 산, 아미노 카르복실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TA), 및 그의 혼합물이다. 유리 산은 빌딩(building) 효과에 추가로, 전형적으로 산성화 구성요소의 특성도 가져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보다 낮은 및 보다 온화한 pH 값을 설정하는 기능도 한다. 특히, 여기서 시트르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글루콘산, 및 그의 임의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추가의 중합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가 빌더로서 적합하고, 이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 예를 들어 500 g/mol 내지 70,000 g/mol의 상대 분자질량을 갖는 것들의 알칼리 금속 염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g/mol 내지 20,000 g/mol의 분자질량을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적합하다. 그의 우수한 용해도로 인해, 2,000 g/mol 내지 1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g/mol 내지 5,000 g/mol의 몰질량을 갖는 단쇄 폴리아크릴레이트가 또한 상기 군 중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로,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특히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것들,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말레산의 것들이 적합하다. 50 wt.% 내지 90 wt.%의 아크릴산 및 50 wt.% 내지 10 wt.%의 말레산을 함유하는 아크릴산과 말레산의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리 산에 대한 그의 상대 분자질량은 일반적으로 2,000 g/mol 내지 7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g/mol 내지 50,000 g/mol, 특히 30,000 g/mol 내지 40,000 g/mol이다. 수용해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중합체는 또한 알릴술폰산, 예컨대 알릴옥시벤젠 술폰산 및 메타알릴 술폰산을 단량체로서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는 고체로서 또는 수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 wt.% 내지 20 wt.%, 특히 3 wt.% 내지 10 wt.%이다.
2종 초과의 상이한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진 생물학적 분해성 중합체, 예를 들어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및 말레산 및 또한 비닐 알콜 또는 비닐 알콜 유도체의 염을 함유하거나 또는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및 2-알킬 알릴 술폰산 및 또한 당 유도체의 염을 함유하는 것들이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아크롤레인 및 아크릴산/아크릴산 염 또는 아크롤레인 및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빌더 물질로서 중합체 아미노 디카르복실산, 그의 염 또는 그의 전구체 물질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폴리아스파르트산 및/또는 그의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빌더 특성을 갖는 추가의 물질 부류는 포스포네이트로 제공된다. 이것들은 특히 히드록시알칸 또는 아미노알칸 포스폰산의 염이다. 히드록시알칸 포스폰산 중,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HEDP)이 특히 중요하다. 그것은 특별히 나트륨 염으로서 사용되며, 디나트륨 염은 중성이고 테트라나트륨 염은 알칼리성 방식으로 반응한다.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EDTMP),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 포스폰산 (DTPMP), 및 그의 고급 상동체가 아미노알칸 포스폰산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그것들은 특별히, 예를 들어 EDTMP의 헥사나트륨 염 또는 DTPMP의 헵타- 및 옥타나트륨 염으로서의 나트륨 염과 중성적으로 반응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포스포네이트의 혼합물이 또한 유기 빌더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아미노알칸 포스포네이트는 추가적으로 현저한 중금속 결합성을 갖는다.
추가의 적합한 빌더 물질은 디알데히드를 5 내지 7개의 C 원자 및 적어도 3개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폴리아세탈이다. 바람직한 폴리아세탈은 디알데히드, 예컨대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 및 그의 혼합물 및 폴리올 카르복실산, 예컨대 글루콘산 및/또는 글루코헵톤산으로부터 수득된다.
추가의 적합한 유기 빌더 물질은 덱스트린, 예를 들어 탄수화물의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며, 이는 전분의 부분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가수분해는 통상적인, 예를 들어 산- 또는 효소-촉매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수분해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000 g/mol 범위의 평균 몰질량을 갖는 가수분해 생성물이다. 여기서, 0.5 내지 40, 특히 2 내지 30 범위의 덱스트로스 당량 (DE)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가 바람직하며, 여기서 DE는 DE 100을 갖는 덱스트로스와 비교한 폴리사카라이드의 환원 효과에 대한 통상적인 척도이다. 3 내지 20의 DE를 갖는 말토덱스트린 및 20 내지 37의 DE를 갖는 건조 글루코스 시럽 둘 모두, 및 또한 소위 2,000 내지 30,000 g/mol 범위의 보다 높은 몰질량을 갖는 화이트 덱스트린 및 옐로우 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덱스트린의 산화된 유도체는 그와, 사카라이드 고리 상의 적어도 1개의 알콜 관능기를 카르복실산 관능기로 산화시킬 수 있는 산화제와의 반응 생성물이다.
옥시디숙시네이트, 및 디숙시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디숙시네이트의 다른 유도체가 추가의 적합한 공동빌더이다. 여기서, 에틸렌디아민 N,N'-디숙시네이트 (EDDS)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글리세롤 디숙시네이트 및 글리세롤 트리숙시네이트가 또한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은 특히 제올라이트-함유 및/또는 실리케이트-함유 제형 중 3 wt.% 내지 15 wt.%이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유기 공동빌더는 예를 들어 아세틸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이며, 이는 임의로 락톤 형태일 수도 있고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실 기 및 최대 2개의 산 기를 포함한다.
또한, 알칼리 토류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이 빌더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제 및 세정 작용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모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알콜의 군으로부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옥소알콜 기로 통상 존재하는 것과 같이, 알콜 기가 선형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2-위치에서 메틸-분지화될 수 있거나 또는 선형 및 메틸-분지형 기를 혼합물로 함유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알콜 1 mol 당 평균 1 내지 12 mol의 에틸렌 옥시드 (EO) 및 8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알콕실화된, 유리하게는 에톡실화된, 특히 1차 알콜이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특히, 알콜 1 mol 당 평균 2 내지 8 mol의 EO를 갖고, 예를 들어 코코넛, 팜(palm) 및 탈로우(tallow) 지방 알콜 또는 올레일 알콜 유래의 12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천연 기원의 알콜로부터의 선형 기를 갖는 알콜 에톡실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톡실화 알콜은 예를 들어, 3 EO 또는 4 EO를 갖는 C12-14 알콜, 7 EO를 갖는 C9-11 알콜, 3 EO, 5 EO, 7 EO 또는 8 EO를 갖는 C13-15 알콜, 3 EO, 5 EO 또는 7 EO를 갖는 C12-18 알콜 및 그의 혼합물, 및 3 EO를 갖는 C12-14 알콜과 5 EO를 갖는 C12-18 알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명시된 에톡실화도는 통계적 평균 값이고, 이는 특정 생성물에 대해 정수 또는 분수에 상응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콜 에톡실레이트는 좁은 상동체 분포 (좁은 범위 에톡실레이트, NRE)를 갖는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12 초과의 EO를 갖는 지방 알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의 예는 14 EO, 25 EO, 30 EO 또는 40 EO를 갖는 탈로우 지방 알콜이다. 화학식 RO(G)x (여기서, R은 8 내지 22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개의 C 원자를 갖는, 1차 직쇄형 또는 메틸-분지형 지방족 기, 특히 2-위치에서 메틸-분지화된 것에 상응하고, G는 5 또는 6개의 C 원자를 갖는 글리코스 단위,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를 나타내는 심볼임)의 알킬 글리코시드가 추가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모노글리코시드 및 올리고글리코시드의 분포를 명시하는 올리고머화도 x는 1 내지 10의 임의의 수이고; x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될 수 있고 단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또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추가의 부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쇄 내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실화된,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된 또는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된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이다.
아민 옥시드 유형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N-코코 알킬-N,N-디메틸아민 옥시드 및 N-탈로우 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시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의 양 이하, 특히 그의 반 이하이다.
추가의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3
(여기서, R은 6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아실 기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기 또는 히드록시알킬 기를 나타내고, [Z]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3 내지 10개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폴리히드록시알킬 기를 나타냄)
의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이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는, 통상 암모니아, 알킬 아민 또는 알칸올 아민을 사용한 환원당의 환원성 아민화, 및 지방산,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클로라이드를 사용한 후속 아실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공지된 물질이다.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의 군은 또한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4
(여기서, R은 7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를 나타내고, R1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기 또는 아릴 기를 나타내고, R2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분지형 또는 시클릭 알킬 기 또는 아릴 기 또는 옥소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C1-4 알킬 기 또는 페닐 기를 나타내고, [Z]는 알킬 쇄가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선형 폴리히드록시알킬 기, 또는 이와 같은 기의 알콕실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또는 프로폭실화 유도체를 나타냄)
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Z]는 바람직하게는, 환원된 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프룩토스, 말토스, 락토스, 갈락토스, 만노스 또는 크실로스의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수득된다. 이어서, N-알콕시-치환된 또는 N-아릴옥시-치환된 화합물은 촉매로서의 알콕시드의 존재 하에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와의 반응에 의해 목적하는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로 전환될 수 있다.
세정 작용제에서, 알콕실화 알콜의 군, 특히 바람직하게는 혼합 알콕실화 알콜의 군, 특히 EO/AO/EO 니오서팩턴트(niosurfactant), 또는 PO/AO/PO 니오서팩턴트, 특별히 PO/EO/PO 니오서팩턴트의 군으로부터의 니오서팩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PO/EO/PO 니오서팩턴트는 우수한 발포 제어를 특징으로 한다.
예로써, 술포네이트 및 술페이트 유형의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가능한 술포네이트 유형의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C9-13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올레핀 술포네이트, 즉, 예를 들어 말단 또는 내부 이중 결합을 갖는 C12-18 모노올레핀으로부터 기상 삼산화황에 의한 술폰화 및 후속되는 술폰화 생성물의 알칼리 또는 산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되는, 알켄 및 히드록시알칸 술포네이트 및 또한 디술포네이트의 혼합물이다. C12 -18 알칸으로부터 예를 들어 술포-염소화 또는 술폭시드화와 후속 가수분해 또는 중화에 의해 수득되는 알칸 술포네이트가 또한 적합하다. 또한, α-술포지방산의 에스테르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예를 들어 수소화 코코넛 지방산, 팜 커넬(palm kernel) 지방산 또는 탈로우 지방산의 α-술폰화 메틸 에스테르가 또한 적합하다.
추가의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술페이트화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이다.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1 내지 3 mol의 지방산을 갖는 모노글리세롤의 에스테르화에 의한 제조에서 또는 0.3 내지 2 mol의 글리세롤을 갖는 트리글리세리드 재-에스테르화에서 수득되는, 모노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및 트리에스테르 및 또한 그의 혼합물인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서, 바람직한 술페이트화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는, 6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미리스트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의 술페이트화 생성물이다.
예를 들어 코코넛 지방 알콜, 탈로우 지방 알콜,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또는 스테아릴 알콜 유래의 C12-C18 지방 알콜, 또는 C10-C20 옥소 알콜의 황산 반에스테르(semi-ester) 및 이들 쇄 길이의 2차 알콜의 반에스테르의 알칼리 염, 특히 나트륨 염이 알크(엔)일 술페이트로서 바람직하다. 석유화학 기초로 생성된 합성 직쇄형 알킬 기를 함유하고, 지방 화학 원료에 기반한 적합한 화합물과 유사한 분해 거동을 갖는 명시된 쇄 길이의 알크(엔)일 술페이트가 추가로 바람직하다. C12-C16 알킬 술페이트 및 C12-C15 알킬 술페이트 및 또한 C14-C15 알킬 술페이트가 세척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 내지 6 mol의 에틸렌 옥시드로 에톡실화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C7-21 알콜, 예컨대 평균 3.5 mol의 에틸렌 옥시드 (EO)를 함유하는 2-메틸-분지형 C9-11 알콜 또는 1 내지 4 EO를 함유하는 C12-18 지방 알콜의 황산 모노에스테르가 또한 적합하다. 그의 높은 발포 거동으로 인해, 그것들은 단지 비교적 소량으로, 예를 들어 1 wt.% 내지 5 wt.%의 양으로 세정 작용제 중에 사용된다.
추가의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알킬 술포숙신산의 염이고, 이는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술포숙신산 에스테르라고도 지칭되며, 알콜, 바람직하게는 지방 알콜, 특히 에톡실화 지방 알콜을 함유하는 술포숙신산의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디에스테르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술포숙시네이트는 C8-18 지방 알콜 기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술포숙시네이트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에서 유래된 지방 알콜 기를 함유하고, 이는 본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나타낸다. 여기서, 지방 알콜 기가 좁은 상동체 분포를 갖는 에톡실화 지방 알콜에서 유래된 술포숙시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알크(엔)일 쇄 내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크(엔)일 숙신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추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비누가 고려될 수 있다. 포화 지방산 비누,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수소화 에루크산 및 베헨산의 염, 및 또한 특히 천연 지방산, 예를 들어 코코넛 지방산, 팜 커넬 지방산, 또는 탈로우 지방산에서 유래된 비누 혼합물이 적합하다.
비누를 비롯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의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염의 형태로, 및 또한 유기 베이스, 예컨대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의 가용성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의 형태로, 특히 나트륨 염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한 계면활성제 대신에 또는 그와 조합하여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로써, 하기 화학식의 양이온성 화합물이 양이온성 활성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5
상기 식에서, 각각의 기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6 알킬, 알케닐 또는 히드록실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기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C8-28 알킬 또는 알케닐 기로부터 선택되고; R3 = R1 또는 (CH2)n-T-R2이고; R4 = R1 또는 R2 또는 (CH2)n-T-R2이고; T = -CH2-, -O-CO- 또는 -CO-O-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텍스타일을 관리하고, 부드러운 "감촉" (연화) 및 감소된 정전기 전하 (증가된 착용감)와 같이 텍스타일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텍스타일을 부드럽게 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의 활성 물질은 2개의 소수성 기를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이지만, 그의 만족스럽지 못한 생물학적 분해성 때문에 그것은, 그의 소수성 기 내에 생물학적 분해를 위한 미리 결정된 파단점으로서의 에스테르 기를 함유하는 4차 암모늄 화합물로 점점더 대체되고 있다.
개선된 생물학적 분해성을 갖는 상기와 같은 "에스테르쿼트(esterquat)"는 예를 들어 메틸 디에탄올아민 및/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의 혼합물을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그 자체로 공지된 바와 같이 알킬화제에 의해 4차화시키는 것으로 수득가능하다. 마무리제로서 디메틸올 에틸렌 우레아가 또한 적합하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특히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제, 헤미셀룰라제, 셀룰라제, 퍼히드롤라제 또는 옥시도리덕타제, 및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효소는 원칙적으로 천연 유래이며; 천연 분자에서 비롯되어, 개선된 변이체가 세제 및 세정 작용제에서 사용가능하고 바람하게는 그에 준해서 사용된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는 효소를 바람직하게는 활성 단백질에 대해 1×10-6 wt.% 내지 5 wt.%의 총량으로 함유한다. 단백질 농도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BCA 방법 또는 뷰렛(Biuret)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테아제 중, 서브틸리신 유형의 것들이 바람직하다. 그 예는 서브틸리신 BPN' 및 칼스버그(Carlsberg)뿐만 아니라 그의 개량된 형태, 프로테아제 PB92, 서브틸리신 147 및 309, 바실루스 렌투스(Bacillus lentus) 유래의 알칼리성 프로테아제, 서브틸리신 DY, 및 효소 써미타제(thermitase), 프로테이나제 K (서브틸라제에 속하나, 보다 좁은 의미로 서브틸리신은 아님), 및 프로테아제 TW3 및 TW7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아밀라제의 예는, 바실루스 리케니포르미시(Bacillus licheniformisi), B. 아밀로리퀘파시엔스(amyloliquefaciens) 또는 B. 스테아로써모필루스(stearothermophilus), 아스페르길루스 니제르(Aspergillus niger), 및 A. 오리자에(oryzae) 유래의 α-아밀라제, 및 또한 세제 및 세정 작용제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선된 상기한 아밀라제의 개량체이다. 추가로, 상기 목적을 위해서, 바실루스 종 A 7-7 (DSM 12368) 유래의 α-아밀라제, 및 B. 아가라데렌스(agaradherens) (DSM 9948) 유래의 시클로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 (CGTase)를 주목하여야 한다.
리파제 또는 큐티나제는 그의 트리글리세리드-절단 활성으로 인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원래 휴미콜라 라누기노사(Humicola lanuginosa)로부터 개량 또는 수득된 리파제 (써모미세스 라누기노수스(Thermomyces lanuginosus)), 특히 D96L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예로써, 원래 푸사리움 솔라니 피시(Fusarium solani pisi) 및 휴미콜라 인솔렌스(Humicola insolens)로부터 단리된 큐티나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출발 효소가 원래 슈도모나스 멘도시나(Pseudomonas mendocina) 및 푸사리움 솔라니이(Fusarium solanii)로부터 단리되었던 리파제 및/또는 큐티나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헤미셀룰라제 하에 요약된 효소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로써, 만난아제, 크산탄 리아제, 펙틴 리아제 (=펙티나제), 펙틴에스터라제, 펙테이트 리아제, 크실로글루카나제 (=크실라나제), 풀룰라나제, 및 β-글루카나제를 포함한다.
표백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면, 옥시도리덕타제, 예를 들어 옥시다제, 옥시게나제, 카탈라제, 퍼옥시다제, 예컨대 할로, 클로로, 브로모, 리그닌, 글루코스 또는 망가니즈 퍼옥시다제, 디옥시게나제 또는 락카아제 (페놀옥시다제, 폴리페놀옥시다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해당 옥시도리덕타제의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인핸서), 또는 산화 효소와 오염 간에 산화환원 전위가 매우 상이한 경우 전자 유동을 보장하기 위해 (매개인자), 바람직하게는 효소와 상호작용하는 유기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화합물이 추가로 첨가된다.
효소는 종래 기술에 따라 확립된 임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형태는, 예를 들어, 과립화, 압출 또는 동결건조에 의해 수득된 고체 제제, 또는 (특히 액체 또는 겔-유사 작용제의 경우) 안정화제와 혼합되고/거나 낮은 물 함량을 갖고 유리하게는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농축된 용액 또는 효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효소는 고체의 경우 및 액체 전달 형태의 경우 모두 예를 들어 효소 용액을 바람직하게는 천연 중합체와 함께 압출 또는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캡슐화될 수 있거나, 또는 캡슐의 형태, 예를 들어 경화된 겔에서 처럼 효소가 함유된 것들, 또는 효소-함유 코어가 물-, 공기- 및/또는 화학물질-불투과성 보호층으로 코팅된 코어-쉘 유형의 것들일 수 있다. 추가의 활성 물질, 예를 들어 안정화제, 유화제, 안료, 표백제 또는 염료는 구성 층 중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캡슐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진동 또는 롤링 과립화에 의해 또는 유동층 공정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과립화물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중합체 필름 형성제의 적용에 의해 분진이 적고, 코팅으로 인해 저장 하 안정하다. 개별 과립화물이 여러 효소 활성을 갖도록 둘 이상의 효소를 함께 패키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효소 및/또는 효소 제제, 바람직하게는 프로테아제 제제 및/또는 아밀라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0.1 wt.%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0.2 wt.% 내지 4.5 wt.%, 특히 0.4 wt.% 내지 4 wt.%의 양으로 사용된다.
개별 방향(odorous) 물질 화합물은 퍼퓸 오일 및 향료, 예를 들어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유형의 합성 생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쾌적한 향료 노트(note)를 함께 생성하는 다양한 방향 물질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퍼퓸 오일은 또한 천연 방향 물질 혼합물, 예컨대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접근가능한 것들, 예를 들어 파인(pine) 오일, 시트러스(citrus) 오일, 자스민(jasmine) 오일, 파출리(patchouli) 오일, 로즈(rose) 오일 또는 일랑일랑(ylang-ylang)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감지가능하기 위해, 방향 물질은 휘발성이어야 하며, 여기서 화학적 화합물의 구조 및 관능기의 성질 외에도, 몰질량이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방향 물질은 최대 대략 200 g/mol의 몰질량을 갖고, 300 g/mol 이상의 몰질량은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 방향 물질의 상이한 휘발성으로 인해, 여러 방향 물질로부터 구성된 퍼퓸 또는 향료의 향기는 증발 동안 변하며, 여기서 향기의 느낌은 탑 노트(top note), 미들 노트(middle note) (바디(body)) 및 엔드 노트(end note) (드라이 아웃(dry out))로 나뉜다. 향료의 자각은 또한 대부분 향료의 강도에 기반하기 때문에, 퍼퓸 또는 향료의 탑 노트는 단지 용이하게 휘발가능한 화합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엔드 노트는 주로 그다지 휘발성이지 않은, 즉 끈적거리는 아로마로 이루어진다. 퍼퓸 조성물에서, 매우 휘발성인 아로마는 예를 들어 특정 고착제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아로마가 빠르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후 아로마를 "매우 휘발성인" 또는 "끈적거리는" 방향 물질로 나누는 것은, 상응하는 방향 물질이 탑 노트 또는 미들 노트로서 자각되는지의 여부에 대해 또는 향료 느낌에 대해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향료는 직접 가공될 수 있으나, 보다 느린 향료 방출에 의해 장기 지속성 향료를 보장하는 캐리어에 향료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예로써, 시클로덱스트린은 이러한 유형의 캐리어 재료로서의 그의 가치가 입증되었고, 여기서 시클로덱스트린-퍼퓸 착물은 추가의 보조제로 더 코팅될 수도 있다.
염료를 선택할 때, 염료가 높은 저장 안정성, 및 광에 대한 비감응성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표면 및 이 경우 특히 합성 섬유에 대해 지나치게 강하지 않은 친화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동시에, 염료가 산화에 대해 상이한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불용성 염료는 수용성 염료보다 산화에 대해 보다 더 안정하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염료의 농도는 용해도에 따라, 및 또한 그에 따른 산화 민감도에 따라 다양하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수용성인 염료의 경우, 전형적인 염료 농도는 수 10-2 wt.% 내지 10-3 wt.%의 영역 중에서 선택된다. 그의 광휘(brilliance)로 인해 특히 바람직하지만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는 안료 염료의 경우,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의 염료의 적합한 농도는 반면에 전형적으로 수 10-3 wt.% 내지 10-4 wt.%이다. 세척 공정에서 산화성 파괴될 수 있는 염료뿐만 아니라, 그와 적합한 블루 염료, 또는 블루 토너로서 공지된 것과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액체 유기 물질에, 또는 물에 용해성인 염료를 사용하는 것은 불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로써, 음이온성 염료, 예를 들어 음이온성 니트로소 염료가 적합하다.
상기한 구성요소에 추가로,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는 또한 이들 작용제의 성능 및/또는 심미적 특성을 추가로 개선시키는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작용제는 전해질, pH 조절제, 형광제,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 발포 억제제, 실리콘 오일, 재부착방지제, 광학 증백제, 회색화방지제, 수축방지제, 주름방지제, 색상 전환 억제제, 항미생물 활성 물질, 살균제, 살진균제, 항산화제, 대전방지제, 다림질 보조제, 반발제 및 함침제, 팽윤제 및 슬립방지제 및 UV 흡수제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함유한다.
무기 염의 군으로부터의 폭넓은 수의 상이한 염이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이고, 바람직한 음이온은 할라이드 및 술페이트이다. 제조의 관점에서,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중 NaCl 또는 MgCl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pH 값을 목적하는 범위로 되게 하기 위해, pH 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적용-관련 또는 생태적 이유로 또는 소비자 보호의 이유로 그 사용이 금지되는 않는 한, 모든 공지된 산 또는 가성소다(lye)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절제의 양은 통상 총 제형의 1 wt.%를 초과하지 않는다.
비누, 오일, 지방, 파라핀, 또는 실리콘 오일은 가능한 발포 억제제이고, 적절하게 캐리어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써, 무기 염, 예컨대 카르보네이트 또는 술페이트,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실리케이트 및 또한 상기한 재료의 혼합물이 캐리어 재료로서 적합하다. 본 출원의 범주 내에서, 바람직한 작용제는 파라핀, 바람직하게는 비분지형 파라핀 (n-파라핀) 및/또는 실리콘, 바람직하게는 선형-중합체 실리콘을 함유하며, 이는 식 (R2SiO)x에 따른 구조이고, 실리콘 오일이라고도 지칭된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1,000 g/mol 내지 150,000 g/mol의 분자량 및 10 mPa·s 내지 1,000,000 mPa·s의 점도를 갖는 통상적으로 투명한 무색의 중성 무취 소수성 액체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 및 그의 유도체의 중합체, 특히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개질된 그의 유도체의 중합체는 가능한 오염 반발제(soil repellant)이다. 이들 중, 프탈산 및 테레프탈산 중합체의 술폰화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학 증백제는 특히 처리된 텍스타일의 회색화 및 황변을 극복하기 위해 세제에 첨가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은 섬유 상으로 들어가며, 비가시적 자외선 방사선을 보다 긴 파장의 가시광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라이트닝(lightening) 및 유사 표백 효과를 야기하고, 여기서 햇빛으로부터 흡수된 자외선은 엷은 블루 형광으로서 조사되고, 회색화 및 황변 세탁물의 옐로우 톤에 순수한 화이트를 제공한다.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4,4'-디아미노-2,2'-스틸벤 디술폰산 (플라본산), 4,4'-디스티릴 바이페닐렌, 메틸움벨리페론, 쿠마린, 디히드로퀴놀린, 1,3-디아릴피라졸린, 나프탈산 이미드, 벤족사졸, 벤즈이속사졸, 및 벤즈이미다졸 시스템, 및 또한 헤테로사이클로 치환된 피렌 유도체의 물질 부류에서 유래된다.
회색화방지제는, 섬유로부터 탈착된 먼지가 액(liquor) 중에 계속 현탁되게 하여 먼지가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임무를 갖는다. 통상 유기 성질인 수용성 콜로이드, 예를 들어 중합체 카르복실산의 수용성 염, 아교, 젤라틴, 전분 또는 셀룰로스의 에테르 술폰산 염, 또는 셀룰로스 또는 전분의 산성 황산 에스테르 염이 상기 목적을 위해 적합하다. 산성 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폴리아미드가 또한 상기 목적을 위해 적합하다. 추가로, 가용성 전분 제제, 예를 들어 분해된 전분 및 알데히드 전분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셀룰로스 에테르, 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Na 염), 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 셀룰로스, 및 혼합 에테르, 예컨대 메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메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그의 혼합물이 회색화방지제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경우에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에 대해 15 내지 30 wt.%의 메톡시 기의 비율 및 1 내지 15 wt.%의 히드록시프로필 기의 비율을 갖는 메틸 셀룰로스 및 메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와 같은 비이온성 셀룰로스 에테르가 특히 적합하다.
특히 레이온, 비스코스, 면화 및 그의 블렌드로 구성된 텍스타일 직물은 개별 섬유가 섬유 방향에 대한 횡방향의 압착 및 가압, 킹킹(kinking), 블렌딩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구겨지는 경향이 있을 수 있어, 합성 주름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통상 에틸렌 옥시드와 반응하는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알킬올 에스테르, 알킬올 아미드, 또는 지방 알콜에 기반한 합성 생성물, 또는 레시틴 또는 개질된 인산 에스테르에 기반한 생성물을 포함한다.
반발 및 함침 방법은 먼지의 부착을 방지하거나 또는 먼지가 세척 제거되는 능력을 촉진하는 물질을 텍스타일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한 반발제 및 함침제는 퍼플루오르화 지방산, 또한 그의 알루미늄 및 지르코늄 염의 형태, 유기 실리케이트, 실리콘, 퍼플루오르화 알콜 구성요소를 갖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퍼플루오르화 아실 또는 술포닐 기와 커플링된 중합성 화합물이다. 대전방지제가 또한 함유될 수 있다. 먼지-반발 효과를 갖는 반발제 및 함침제의 제공은 종종 관리 편리한 마무리로서 분류된다. 해당 활성 물질의 용액 또는 에멀젼 형태에의 함침제의 침투는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습윤제를 첨가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반발제 및 함침제의 용도에 대한 추가의 분야는 텍스타일 제품, 텐트, 방수포, 가죽 등에 발수 마무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방수와 반대로, 조직 기공이 폐쇄되지 않고, 즉, 물질이 통기성인 채 남아 있는다 (소수화). 소수화를 위해 사용된 발수제는 텍스타일, 가죽, 종이, 목재 등을 소수성 기, 예컨대 장쇄 알킬 또는 실록산 기의 매우 얇은 층으로 코팅시킨다. 적합한 발수제는,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알루미늄 또는 지르코늄 염이 부가된 금속 비누 등, 장쇄 알킬 기를 갖는 4차 암모늄 화합물, 우레아 유도체, 지방산-개질된 멜라민 수지, 크로뮴 착물 염, 실리콘, 유기-주석 화합물, 및 글루타르알데히드 및 또한 퍼플루오르화 화합물이다. 소수화된 재료는 유지성(greasy)이 느껴지지는 않으나, 유지 재료와 유사하게 그것이 습윤되지 않고 그로부터 물 액적이 흘러내린다. 예를 들면, 실리콘-함침된 텍스타일은 예를 들어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물 및 먼지를 반발하며; 잉크, 와인, 과실 주스 등으로부터 형성된 오염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된다.
항미생물 활성 물질은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작용 메카니즘 및 항미생물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정균제 및 살균제, 정진균제 및 살진균제 등 간에 구별이 있다. 이들 군으로부터의 물질은 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할로겐 페놀 및 페놀수은아세테이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이들 화합물은 또한 완전히 불필요할 수도 있다.
작용제는, 산소 및 다른 산화성 공정의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세제 및/또는 처리된 텍스타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개질을 방지하기 위해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 부류는, 예를 들어, 치환된 페놀, 히드로퀴논, 브렌즈카테콜 및 방향족 아민 및 또한 유기 술파이드, 폴리술파이드, 디티오카르바메이트,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증가된 착용감은 추가적인 대전방지제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표면 전도성을 증가시켜, 형성된 전하의 개선된 흘러내림(run-off)을 가능케 한다. 외부 대전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분자 리간드를 갖는 물질이고, 표면 상에 다소 흡습성의 필름을 제공한다. 대체로 표면-활성인 이들 대전방지제는 질소-함유 대전방지제 (아민, 아미드, 4차 암모늄 화합물), 인-함유 대전방지제 (인산 에스테르) 및 황-함유 대전방지제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로 나뉠 수 있다. 또한, 라우릴 (또는 스테아릴) 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텍스타일용 대전방지제로서 또는 세제에 대한 첨가제로서 적합하며, 여기서 또한 연화 효과가 달성된다.
처리된 텍스타일의 물 흡수성 및 재-습윤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그리고 처리된 텍스타일의 다림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실리콘 유도체가 텍스타일 세제 중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그의 발포-억제 특성으로 인해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의 린스-아웃(rinse-out) 거동을 추가로 개선시킨다. 바람직한 실리콘 유도체는, 예를 들어, 알킬 기가 1 내지 5개의 C 원자를 함유하고 완전 또는 부분 플루오르화된, 폴리디알킬 실록산 또는 알킬아릴 실록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리콘은 폴리디메틸 실록산이며, 이는 경우에 따라 유도체화될 수 있어 아미노관능성 또는 4차형이거나, 또는 Si-OH 결합, Si-H 결합 및/또는 Si-Cl 결합을 함유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리콘은 폴리알킬렌 옥시드-개질된 폴리실록산, 즉,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폴리실록산, 및 또한 폴리알킬렌 옥시드-개질된 디메틸 폴리실록산이다.
마지막으로, 처리된 텍스타일 상으로 들어가 섬유의 내광성을 개선시키는 UV 흡수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2- 및/또는 4-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벤조페논의,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는 불활성화에 의해 작용하는 화합물 및 유도체를 포함한다. 추가로, 치환된 벤조트리아졸, 3-위치에서 페닐-치환된 아크릴레이트 (신남산 유도체), 임의로는 2-위치에 시아노 기를 갖는 것, 살리실레이트, 유기 Ni-착물 및 또한 천연 물질, 예컨대 움벨리페론 및 내재성 유로칸산이 또한 적합하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그의 섬유-관리 효과로 인해 추가의 적합한 활성 물질이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단백질의 산-, 염기- 또는 효소-촉매화 분해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 혼합물이다. 식물 및 동물 유래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동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예를 들어 엘라스틴, 콜라겐, 케라틴, 실크 및 젖단백질 가수분해물이며, 이는 또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식물 유래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예를 들어 대두, 아몬드, 쌀, 완두, 감자 및 밀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그 자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방식으로 수득된 아미노산 혼합물을 임의로 대신 사용할 수도 있거나, 또는 개별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또는 피로글루타민산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의 지방산 축합 생성물 형태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
면화 상의 하기 표 1에 명시된 표준화된 오염에 대해 표백제-무함유 액체 세제 V1 (69 g을 16 °dH의 물 17 ℓ에 투여함), 및 세제 V1 및 8-히드록시-5-퀴놀린 술폰산 (화합물 A):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6
으로 구성된 혼합물 M1 (69 g의 V1 및 1 g의 A를 16 °dH의 물 17 ℓ에 투여함)을 사용하여 40℃에서 세척 시험을 수행하였다. 면화 천을 건조시킨 후, 명도에 대한 척도로서의 L*a*b* 값 및 그로부터 계산된 Y 값에 따른 컬러 거리 측정을 사용하여 그의 명도를 결정하였다. 표 1은 M1과 V1 간의 차 Y (세척 후) - Y (세척 전)로부터 주어진 차이 값 dY 간의 차를 나타낸다.
<표 1>: 명도차의 차이
Figure 112017053932127-pct00007
본 발명에 필수적인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명도차는 상기 물질이 없는 비교 세제를 사용하여 수득된 것들보다 유의하게 더 컸고, 이는 보다 높은 백색도 및 그에 따른 개선된 오염 제거에 상응한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산화성 표백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를 제공함으로써 표백가능한 오염에 대해 세척 또는 세정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22020488178-pct00008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SO3X를 나타내고, 단, 상기 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1개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오염이 폴리페놀계 염료, 또는 플라보노이드, 또는 안토시아니딘 또는 안토시아닌 부류의 염료로부터 선택된 중합성 물질, 또는 이들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선된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성능이, 상응하는 그린, 옐로우, 레드, 바이올렛, 라일락, 브라운, 퍼플, 핑크 및/또는 블루 염료를 함유하는, 그린-, 옐로우-, 레드-, 블루-, 바이올렛-, 라일락-, 브라운-, 퍼플- 또는 핑크-색상의 오염의 개선된 제거, 또는 풀, 과실 또는 채소 오염, 또는 식료품, 또는 양념, 소스, 처트니(chutney), 카레, 퓨레(puree) 및 마말레이드(marmalade), 또는 음료, 또는 커피, 차, 와인 및 주스에 기인한 오염의 제거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염이 체리, 모렐로 체리(morello cherry), 포도, 사과, 석류, 초크베리(chokeberry), 자두, 벅톤(buckthorn), 아사이, 키위, 망고, 풀 또는 베리, 또는 레드커런트(redcurrant) 또는 블랙커런트(blackcurrant), 엘더베리(elderberry), 블랙베리, 라즈베리, 블루베리, 크랜베리, 링건베리(lingonberry), 딸기 또는 허클베리(huckleberry), 커피, 차, 적양배추, 블러드 오렌지(blood orange), 가지, 토마토, 당근, 비트뿌리(beetroot), 시금치, 페퍼, 적육종 또는 청육종 감자, 또는 적양파에 기인한 오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산화성 표백제를 함유하지 않는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화학식 I>
    Figure 112022020488178-pct00009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SO3X를 나타내고, 단, 상기 기 R1 내지 R6 중 적어도 1개는 수소가 아니고, X는 수소,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을 나타낸다.
  6. 제5항에 있어서, 0.01 wt.% 내지 10 wt.%, 또는 0.05 wt.% 내지 5 wt.%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보다 좁은 의미의 임의의 산화성 표백제, 또는, 하이포클로라이트,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공급 물질 및 퍼옥소산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외에도, 빌더(builder) 및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텍스타일 세제의 추가의 구성성분을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또는 세정 작용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중에 1 내지 4개, 또는 1 내지 2개의 SO3X 치환기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에서, R4가 SO3X 치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7015450A 2014-11-10 2015-10-29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KR102380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22834.4 2014-11-10
DE102014222834.4A DE102014222834A1 (de) 2014-11-10 2014-11-10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PCT/EP2015/075077 WO2016074935A1 (de) 2014-11-10 2015-10-29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243A KR20170077243A (ko) 2017-07-05
KR102380965B1 true KR102380965B1 (ko) 2022-04-01

Family

ID=5436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450A KR102380965B1 (ko) 2014-11-10 2015-10-29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6927B2 (ko)
EP (1) EP3218464B1 (ko)
KR (1) KR102380965B1 (ko)
DE (1) DE102014222834A1 (ko)
ES (1) ES2743460T3 (ko)
WO (1) WO20160749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8570A1 (en) * 2010-01-12 2012-11-15 Arkema, Inc. Hydrogen peroxide compositions and cleaning formulations prepar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70571D1 (en) * 1983-07-22 1988-05-26 Kao Corp Metal cleaning compositions
US5380458A (en) * 1992-10-02 1995-01-10 Colgate-Palmolive Co. Stabilized hypohalite compositions
EP1255806B1 (en) * 2000-02-14 2006-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aqueous compositions for treating surfaces, especially fabrics
GB2372750B (en) * 2001-01-18 2004-09-08 Avecia Ltd Hexa co-ordinated metal complexes of monoazo dyes for use in inks suitable for ink jet printing
US7557076B2 (en) * 2002-06-06 2009-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ganic catalyst with enhanced enzyme compatibility
GB0520380D0 (en) 2005-10-07 2005-11-16 Unilever Plc Stain removal
US20100163788A1 (en) * 2006-12-21 2010-07-01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Liquid cleaner for the removal of post-etch residues
JP5525762B2 (ja) * 2008-07-01 2014-06-18 上村工業株式会社 無電解めっき液及びそれを用いた無電解めっき方法、並びに配線基板の製造方法
DE102009028891A1 (de) 2009-08-26 2011-03-03 Henkel Ag & Co. Kgaa Verbesserte Waschleistung durch Radikalfänger
JP5940270B2 (ja) * 2010-12-09 2016-06-29 花王株式会社 研磨液組成物
JP6461000B2 (ja) * 2012-12-14 2019-01-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芳香材料
US20160366888A1 (en) * 2013-09-18 2016-12-22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Environmentally friendly formulations for bi-component heterocyclic schiff base textile finis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8570A1 (en) * 2010-01-12 2012-11-15 Arkema, Inc. Hydrogen peroxide compositions and cleaning formulations prepar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4935A1 (de) 2016-05-19
KR20170077243A (ko) 2017-07-05
ES2743460T3 (es) 2020-02-19
US10696927B2 (en) 2020-06-30
DE102014222834A1 (de) 2016-05-12
EP3218464B1 (de) 2019-07-03
EP3218464A1 (de) 2017-09-20
US20170240847A1 (en)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028B1 (ko)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US10876076B2 (en) Detergents and cleaning agent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20140303064A1 (en) Wash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US9714402B2 (en) Washing and cleaning agent
US9428716B2 (en) Washing and clean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US11434452B2 (en) Detergents and cleaning agent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KR102380965B1 (ko) 개선된 성능을 갖는 세제 및 세정 작용제
US9587045B2 (en) Washing and cleaning a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DE102013217034A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EP3036315B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EP3041920B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EP3599272B1 (en) Deter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EP3599273A1 (en) Deter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EP3599271A1 (en) Detergen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WO2023099154A1 (de) Anthracen-9,10-dion-derivate als photoaktivatoren in waschmittel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