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880B1 -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880B1
KR102380880B1 KR1020210102107A KR20210102107A KR102380880B1 KR 102380880 B1 KR102380880 B1 KR 102380880B1 KR 1020210102107 A KR1020210102107 A KR 1020210102107A KR 20210102107 A KR20210102107 A KR 20210102107A KR 102380880 B1 KR102380880 B1 KR 10238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urface
wall
packaging box
seed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국은
Original Assignee
전국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국은 filed Critical 전국은
Priority to KR102021010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 B65D5/701Tearable flaps defined by score-lines or incisions provided in the closure flaps of a tubular container made of a single blank
    • B65D5/703Tearable flaps defined by score-lines or incisions provided in the closure flaps of a tubular container made of a single blank the score-lines or incisions extending in the body of the tubula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씨앗이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씨앗이 부착된 포장박스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벽면을 가진 기둥을 형성하는 벽체형성면; 상기 벽체형성면과 연결된 커버형성면; 및 상기 벽체형성면과 연결되고, 내부면에 상기 씨앗이 부착된 바닥형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은 식용식물의 씨앗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은 식용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포장박스의 전개도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석유화학 성분이 0%인 재료를 포함하는 종이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UPCYCLING PACKAGE BOX BEING USABLE FOR HYDROPONICS PORT}
본 개시는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취미와 기분 전환을 위한 홈가드닝 니즈 증가와 식물가꾸기를 통해 우울감 극복, 정서안정, 활력회복 등 기분전환을 원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水耕栽培)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체를 지지할 수 있는 인공배지나 용기를 이용하여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을 이용하여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일컫는 말로, 하이드로포닉 컬쳐(hydroponic culture), 소일리스컬쳐(soilless culture), 워터컬쳐(water culture)라고 한다.
수경재배의 장점은 뿌리의 상태와 성장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채소나 식물을 연속해서 생산해낼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에 있다. 수경재배가 가능한 식물에는 쌍떡잎식물이나 대부분 수염뿌리가 많은 외떡잎식물들이 포함되고 오이,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 딸기 같은 과채류, 상추, 양상추, 케일, 미나리 같은 엽채류와 같은 식용식물까지 수경재배가 가능하다.
하지만, 시중의 수경재배기는 홈가드닝의 체험을 위하여 구입하기에 설치 장소 확보 및 가격에의 부담이 크다. 또한, 수경재배 식물의 씨앗(종자)을 구매하는 것도 번거로울 수 있어서, 일반 사용자가 수경재배를 접하는 것에 진입장벽이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진입장벽을 넘어, 일반 사용자가 수경재배를 체험할 수 있는 키트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82741호(2017년 2월 28일 공개, 새싹 재배용 키트)를 예로 들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482741호(2017년 2월 28일 공개)
본 개시는 일반 사용자가 수경재배를 체험하는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하여 업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할 수 있는 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씨앗이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씨앗이 부착된 포장박스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벽면을 가진 기둥을 형성하는 벽체형성면; 상기 벽체형성면과 연결된 커버형성면; 및 상기 벽체형성면과 연결되고, 내부면에 상기 씨앗이 부착된 바닥형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은 식용식물의 씨앗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은 식용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포장박스의 전개도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석유화학 성분이 0%인 재료를 포함하는 종이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바닥형성면은 상기 씨앗이 부착된 영역에 인접하는 개구부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과 상기 바닥형성면 사이의 경계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성면은 개구부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커버형성면이 상기 바닥형성면을 덮도록 상기 벽체형성면에 조립될 때, 상기 개구부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씨앗이 부착된 영역을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은 상기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벽면을 가로지르는 기둥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은 전방벽체면, 좌측벽체면, 우측벽체면, 후방벽체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벽체면 및 상기 후방벽체면은 제1 길이의 폭을 가지고 상기 좌측벽체면 및 상기 우측벽체면은 상기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전방벽체면 및 상기 후방벽체면은 폭을 나누는 임시접힘선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방벽체면 및 상기 후방벽체면의 폭의 길이는 상기 임시접힘선에 의해 제3 길이 및 제4 길이로 구분되며, 상기 제3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와 상기 제4 길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성면은 상기 전방벽체면 또는 상기 후방벽체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방벽체면 또는 후방벽체면과 상기 바닥형성면 사이의 경계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고, 상기 바닥형성면은 끼움고정면 및 접힘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끼움고정면 및 상기 접힘선에 의해 'ㄷ'자로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고정면 및 상기 접힘선에 의해 접혀지는 상기 바닥형성면의 일부는, 상기 제3의 길이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된 두 개의 임시절취선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상기 벽체형성면이 끼워져 상기 절취선에 의해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벽체형성면에 다시 결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의 내부면의 일부에는 배지 분해제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포장박스를 수경재배를 위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d는 도 2c에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포장박스를 수경재배를 위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포장박스를 수경재배를 위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d는 도 2c에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10)는 벽체형성면(100), 바닥형성면(200) 및 커버형성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10)는 하나의 전개도가 조립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포장박스(10)가 포함하는 전개도는 천연 성분의 친환경 종이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포장박스(10)는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 될 수 있고, 오이,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 딸기 같은 과채류, 상추, 양상추, 케일, 미나리 같은 엽채류와 같은 식용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박스(10)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가지면 안된다. 따라서, 포장박스(10)의 재료가 되는 종이원단은 석유화학 성분이 0%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박스(10)의 전개도는 100% 생분해가 되는 사탕수수를 재료(예: 얼스팩(earth pack))로 하는 종이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포장박스(10)의 재료는 시험항목에서PCBs, 납(PB), 비소(As2O3), 포름알데히드, 형광증백제가 불검출되거나 0.1이하일 수 있다. 또한 포장박스(10)의 재료는 SGS 식용품 패키지 적합성 테스트(OFFSET, NATURAL COATED C1S, PVP C1S, BASE STOCK)를 통과한 재료일 수 있다. 또한, 포장박스(10)의 전개도에 적용되는 방수처리는 통상의 기술(친환경 수용성 방수코팅, 생분해성 필름코팅 등)이므로 설명을 생략해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벽체형성면(100)은 포장박스(10)의 벽체를 형성하는 연속하는 4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형성면(100)은 전방벽체면(110), 좌측벽체면(120), 우측벽체면(130) 및 후방벽체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형성면(100)의 각 벽체면들(110, 120, 130, 140)은 접힘선(101, 102, 103)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벽체형성면(100)은 모든 벽체면(110, 120, 130, 140)을 가로지르는 기둥절취선(10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장박스(10)를 업사이클링 할 때, 기둥절취선(105)을 따라 반으로 분리할 수 있다.
벽체형성면(100)의 끝단에는 접착면(1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면(141)은 후방벽체면(140)에서 좌측벽체면(1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접착면(141)은 후방벽체면(140)과 접힘선(10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벽체형성면(100)은 접힘선(101, 102, 103, 104)에 의해 각각 접히고, 접착면(141)은 우측벽체면(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후방벽체면(140)과 우측벽체면(130)을 연결할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 및 커버형성면(300)은 각각 벽체형성면(100)에서 연장형성된 면일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 및 커버형성면(300)은 포장박스(10)가 조립되었을 때, 벽체형성면(100)이 생성하는 사각기둥의 바닥과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 및 커버형성면(300)이 연장형성되지 않은 벽체형성면(100)은 날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벽체면(120)은 날개면(121, 122)을 포함할 수 있고, 우측벽체면(130)은 날개면(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 및 커버형성면(300)은 각각 벽체형성면(100)과 반대편에 연장형성되는 끼움고정면(210, 310)을 가질 수 있다. 끼움고정면(210, 310)은 포장박스(10)가 조립되었을 때, 벽체형성면(100)이 생성하는 사각기둥에 있어서 날개면(121, 122, 131, 132)이 형성하는 틈새로 끼워져 포장박스(10)를 직육면체 형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포장박스(10)에는 씨앗(40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씨앗(400)은 바닥형성면(200)에 부착될 수 있다. 씨앗(400)은 포장박스(10)가 조립되었을 때, 내부면에 해당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포장박스(10)가 보관 및 유통될 때와 같이 사용될 때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씨앗(400)은 친환경 접착제(500)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포장박스(10)는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 될 수 있고, 오이, 토마토, 고추, 파프리카, 딸기 같은 과채류, 상추, 양상추, 케일, 미나리 같은 엽채류와 같은 식용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박스(10)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가지면 안된다. 친환경 접착제(500)는 예를 들어, 식용 밀가루, 전문 및 식용 백반을 이용하여 제조된 밀풀 일 수 있으며, 석유화학 성분이 0%일 수 있다. 친환경 접착제(500)의 형태는 액상, 스티커, 시트형 등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시트(미도시)가 씨앗(400)이 부착된 영역을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씨앗(400)이 사용될 때, 포장박스(10)의 내용물 또는 습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씨앗(400)을 발아시키기 위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사용자가 포장박스(10)를 업사이클링하여 수경재배를 시작할 때 우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포장박스(10)가 포함하는 면 중에서 씨앗(400)이 부착된 부분은 수경재배를 위하여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과 전방벽체면(110)의 사이에는 절취선(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선(111)은 포장박스(10)를 조립할 때 접힘선으로도 기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포장박스(10)를 업사이클링할 때, 절취선(111)을 이용하여 바닥형성면(2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400)이 부착된 면(예: 바닥형성면(200))은 씨앗(400)에 인접한 구멍절취선(2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포장박스(10)를 업사이클링할 때, 구멍절취선(220)을 이용하여 구멍(221)을 생성하여, 씨앗(400)이 발아할 때, 뿌리가 구멍(221)을 통하여 물 또는 배지(culture medium) 용액에 쉽게 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구멍절취선(220)이 씨앗(400)이 부착된 영역을 둘러싼 사방형으로 배치되었지만 그 개수나 배치 위치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형성면(300)은 개구부절취선(3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포장박스(10)를 업사이클링할 때, 개구부절취선(320)을 이용하여 개구부(321)를 생성할 수 있다. 개구부(321)는 씨앗(400)이 발아할 때, 새싹이 개구부(321)를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개구부(321)를 사용하여 포장박스(10)를 수경재배를 위한 수경재배 포트로서 업사이클링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조립된 포장박스(10)에서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은 전방벽체면(110)와의 경계선에서 절취되어 포장박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형성면(200)은 절취선(111)에 의하여 전방벽체면(1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포장박스(10)로부터 분리된 바닥형성면(200)은 씨앗(400)이 위를 향하는 자세로 다시 포장박스(10)에 조립될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이 포장박스(10)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포장박스(10)가 사각기둥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끼움고정면(210)이 바닥형성면(200)에서 씨앗(4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접힌 상태 일 수 있다. 사용자가 포장박스(10)를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면서 분리된 바닥형성면(200)에서 끼움고정면(210)은 씨앗(400)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은, 씨앗(400)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으로 접힌 끼움고정면(210)이, 사각기둥을 형성한 벽체형성면(100)과 날개면(121, 131)이 형성하고 커버형성면(300)과 벽체형성면(100) 사이의 접힘선에 인접한 틈새에 끼워지면서 포장박스(10)에 조립될 수 있다.
바닥형성면(200)이 포장박스(10)에 다시 조립된 다음에 커버형성면(300)이 포장박스(10)에 조립된 바닥형성면(200)을 덮는 방식으로 다시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커버형성면(300)의 끼움고정면(310)이 벽체형성면(100)과 날개면(121, 131)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다시 조립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커버형성면(300)이 바닥형성면(200)을 덮도록 조립되면, 커버형성면(300)의 개구부(321)를 통하여 바닥형성면(200)에 부착된 씨앗(4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씨앗(400)이 발아하기 위해서는 공기에 노출되어야 하는데, 씨앗(400)은 개구부(321)를 통해 발아될 수 있다. 또한, 바닥형성면(200)에 형성되는 개구부(221) 또한 발아된 씨앗의 뿌리가 안정적으로 아래를 향해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c는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 된 포장박스(10)를 물에 담가 놓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는 물이 담긴 버킷(bucket)(14)에 놓일 수 있다. 버킷(14)은 예를 들어, 물컵, 커피잔, 물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서 버킷(14)은 투명 커피컵을 예시로 한다.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는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이 버킷(14) 내의 물에 떠있을 정도로 벽체형성면(100)이 잠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형성면(200)에서 씨앗(400)이 부착된 윗면이 물에 잠기지 않고 반대면만이 물과 접할 수 있다. 씨앗(400)이 완전히 물에 잠기지 않음으로써, 과도한 수분공급에 의한 부패(예: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400)이 커버형성면(300)의 개구부(321)를 통해 노출되도록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는 벽체형성면(100)에 형성된 기둥절취선(105)을 따라 아래부분(11)이 분리된 상태로 물이 담긴 버킷(bucket)(14)에 놓일 수 있다. 즉, 기둥절취선(105)에 의하여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는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물이 담긴 버킷(14) 내에서 떠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조립되어 입체적인 박스형태를 가지도록 설계되므로, 접힘선을 많이 가진다. 단순히 포장박스를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경우, 물에 젖은 포장박스에서 접힘선들이 펴지거나 더 접히는 경우가 발생하고 그 결과 씨앗이 부착된 부분이 물에 완전히 잠긴다거나, 씨앗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내부공간(12)을 형성하여 구조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벽체형성면(100)과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을 덮도록 재조립되는 커버형성면(300)에 의하여,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는 물이 담긴 버킷(14) 내에서 안정적으로 떠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 된 포장박스(10)는 물이 담긴 버킷(14) 내에서 안정적으로 떠있을 수 있어서 보다 좋은 발아환경을 제공하고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d는 도 2c에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은 버킷(14)에 담긴 물에 안정적으로 떠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씨앗(400)이 공기에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개구부(321)를 포함하는 커버형성면(300)은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은 내부공간(12)을 형성하는 벽체형성면(100)과 함께 구조적인 지지를 제공하여 씨앗(400)을 부착된 바닥형성면(200)은 안정적으로 물에 떠있을 수 있다.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가 물에 담겨, 바닥형성면(200)이 물에 뜰 때, 바닥형성면(200)에서 연장형성된 끼움고정면(210)은 대부분이 물에 잠겨 있을 수 있다. 물에 잠긴 끼움고정면(210)은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까지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재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형성면(200)의 윗면에 부착된 씨앗(400)이 발아하기에 적당한 수분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바닥형성면(200)의 윗면에 부착된 씨앗(400)이 발아하여 생장한 뿌리는 개구부(221)를 통하여 아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생장할 수 있다. 개구부(221)는 뿌리가 아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생장하게 하여,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가 뒤집어지는 등의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물에 뜰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벽체형성면(10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12)에 담긴 용액은 배지용액으로 기능할 수 있다. 벽체형성면(100)에서 포장박스(10)의 내면에는 배지 분해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고, 배지 분해제는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10)가 물에 담가질 때, 분해되어 버킷(14)에 담긴 물을 배지용액으로 만들 수 있다. 배지 분해제는 시트(sheet), 파우더(powder)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벽체형성면(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장박스(10)가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에서 제외된 부분을 작은 조각(13)으로 나누어져, 벽체형성면(10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12)에 채워질 수 있다. 작은 조각(13)들은 내부공간(12)에서 토양과 같이 기능할 수 있어서, 씨앗(400)에서 생장한 뿌리가 작은 조각(13)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씨앗(400)이 부착된 바닥형성면(200)만이 포장박스(10)에서 분리되어, 포장박스(10)의 다른 부분과는 결합하지 않고 물이 담긴 버킷(14) 내에 담가 놓는 방식으로 수경재배 포트로서 업사이클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의 포장박스를 수경재배를 위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3,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20)는 벽체형성면(1100), 바닥형성면(1200) 및 커버형성면(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박스(20)는 하나의 전개도가 조립되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벽체형성면(1100)은 포장박스(20)의 벽체를 형성하는 연속하는 4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형성면(1100)은 전방벽체면(1110), 좌측벽체면(1120), 우측벽체면(1130) 및 후방벽체면(1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형성면(1100)의 각 벽체면들(1110, 1120, 1130, 1140)은 접힘선(1101, 1102, 1103)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벽체형성면(1100) 중에서 전방벽체면(1110) 및 후방벽체면(1140)은 좌측벽체면(1120) 및 우측벽체면(1130) 보다 폭이 길 수 있다. 전방벽체면(1110) 및 후방벽체면(1140)은 각각 임시접힘선(1104, 1105)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접힘선(1104, 1105)에 의해 구분될 수 있는 전방벽체면(1110) 및 후방벽체면(1140)에서 긴 폭의 길이는 짧은 폭의 길이 및 좌측벽체면(1120) 또는 우측벽체면(1130)의 폭의 길이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벽체면(1110)은 임시접힘선(1104)에 의해 긴 길이(d1)를 가진 제1부분과 짧은 길이(d2)를 가진 제2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제2 부분의 길이(d2)와 좌측벽체면(1120)의 길이(d3)의 합은 제1 부분의 길이(d1)와 같을 수 있다. 임시접힘선(1104, 1105)은 사용자가 포장박스(20)를 업사이클링 할 때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벽체형성면(1100)의 끝단에는 접착면(114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면(1141)은 전방벽체면(1110)에서 좌측벽체면(11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접착면(1141)은 후방벽체면(1140)과 접힘선(1106)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벽체형성면(1100)은 접힘선(1101, 1102, 1103)에 의해 각각 접히고, 접착면(1141)은 우측벽체면(1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후방벽체면(1140)과 우측벽체면(1130)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벽체형성면(1100)은 모든 벽체면(1110, 1120, 1130, 1140)을 가로지르는 기둥절취선(1107)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장박스(20)를 업사이클링 할 때, 기둥절취선(1107)을 따라 반으로 분리할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 및 바닥형성면(1300)은 각각 벽체형성면(1100)에서 연장형성된 면일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 및 바닥형성면(1300)은 포장박스(20)가 조립되었을 때, 벽체형성면(1100)이 생성하는 사각기둥의 바닥과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이 연장형성되지 않은 벽체형성면(1100)은 날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벽체면(1120)은 날개면(1121)을 포함할 수 있고, 우측벽체면(1130)은 날개면(113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은 벽체형성면(1100)과 반대편에 연장형성되는 끼움고정면(1210)을 가질 수 있다. 끼움고정면(1210)은 포장박스(20)가 조립되었을 때, 벽체형성면(1100)이 생성하는 사각기둥에 있어서 날개면(1121, 1131)이 형성하는 틈새로 끼워져 포장박스(20)를 직육면체 형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바닥형성면(1300)은 벽체형성면(1100) 각각에서 연장형성된 바닥조립면(1310, 1320, 1330, 134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조립면(1310, 1320, 1330, 1340)은 서로가 조립되어 구조적인 지지를 가져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형성면(1300)은 커버형성면(1200)과 같이 벽체형성면(1100) 중 하나의 면에서만 연장형성된 면일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은 임시접힘선(1201)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접힘선(1201)은 절취선(1111)과 평행할 수 있다. 또는 임시접힘선(1201)은 끼움고정면(1210)과 커버형성면(1200)의 사이의 접힘선(1211)과 평행할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에서 절취선(1111)과 임시접힘선(1201)의 폭은 끼움고정면(121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 및 끼움고정면(1210)은 임시접힘선(1211)에 수직하는 끼움절취선(1202)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절취선(1202)은 포장박스(20)가 물건을 담는 본 기능을 수행한 후,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될 때 절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끼움절취선(1202) 사이의 거리는 전방벽체면(1110)은 임시접힘선(1104)에 의해 긴 길이(d1)와 동일할 수 있다. 끼움절취선(120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포장박스(20)를 업사이클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박스(20)에는 씨앗(140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씨앗(1400)은 커버형성면(1200)에 부착될 수 있다. 씨앗(1400)은 커버형성면(1200)에서 끼움고정면(1200)과 임시접힘선(1201)의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씨앗(1400)은 포장박스(20)가 조립되었을 때, 내부면에 해당하는 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포장박스(20)가 보관 및 유통될 때와 같이 사용될 때 외부의 충격이나 습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시트(미도시)가 씨앗(1400)이 부착된 영역을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씨앗(1400)이 사용될 때, 포장박스(20)의 내용물 또는 습기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씨앗(1400)을 발아시키기 위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사용자가 포장박스(20)를 업사이클링하여 수경재배를 시작할 때 우선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포장박스(20)가 포함하는 면 중에서 씨앗(1400)이 부착된 부분은 수경재배를 위하여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씨앗(1400)이 부착된 커버형성면(1200)과 전방벽체면(1110)의 사이에는 절취선(1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절취선(1111)은 포장박스(20)를 조립할 때 접힘선으로도 기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포장박스(20)를 업사이클링할 때, 절취선(1111)을 이용하여 바닥형성면(12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1400)이 부착된 면(예: 커버형성면(1200))은 씨앗(1400)에 인접한 구멍절취선(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포장박스(20)를 업사이클링할 때, 구멍절취선(1220)을 이용하여 구멍(1221)을 생성하여, 씨앗(1400)이 발아할 때, 뿌리가 구멍(1221)을 통하여 물 또는 배지(culture medium) 용액에 쉽게 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구멍절취선(1220)이 씨앗(1400)이 부착된 영역을 둘러싼 사방형으로 배치되었지만 그 개수나 배치 위치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포장박스(20)를 수경재배를 위한 수경재배 포트로서 업사이클링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조립된 포장박스(20)에서 씨앗(1400)이 부착된 커버형성면(1200)은 전방벽체면(1110)과의 경계선에서 절취되어 포장박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형성면(1200)은 절취선(1111)에 의하여 후방벽체면(114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포장박스(20)로부터 분리된 커버형성면(1200)은 씨앗(1400)이 위를 향하는 자세로 위치될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이 포장박스(20)에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포장박스(20)가 사각기둥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끼움고정면(1210)이 커버형성면(1200)에서 씨앗(14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접힌 상태 일 수 있다. 사용자가 포장박스(10)를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면서 분리된 커버형성면(1200)에서 끼움고정면(1210)은 씨앗(1400)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커버형성면(1200)의 임시접힘선(1201)도 씨앗(1400)이 배치되지 않은 반대방향으로 접혀져 끼움고정면(1210) 및 커버형성면(1200)은 'ㄷ'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형성면(1200)이 분리된 포장박스(20)는 벽체형성면(1100)의 임시접힘선(1104, 1105)에 의해 접혀 변형이 이뤄질 수 있다. 긴 폭을 가진 전방벽체면(1110) 및 후방벽체면(1140)은 임시접힘선(1104, 1105)에 의해 접혀 긴 폭의 길이(d1)를 가진 제1 부분과 짧은 폭의 길이(d2)를 가진 제2 부분으로 나뉘고, 제2 부분은 이웃하고 폭의 길이(d3)를 갖는 좌측벽체면(1120) 및 우측벽체면(1130)과 연속하게 되어, 벽체형성면(1100)을 위에서 봤을 때 한 변의 d1의 길이를 가지는 정사각형인 직육면체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d1의 길이가 d2와 d3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기 때문에, 벽체형성면(1100)이 위에서 봤을 때 정사각형을 가지도록 변형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커버형성면(1200)에서 끼움절취선(1202)이 절취될 수 있고, 끼움절취선(1202)에 의해 커버형성면(1200)이 벽체형성면(1100)에 끼워질 수 있다. 끼움고정면(1210)의 끼움절취선(1202)들 사이의 거리는 벽체형성면(1100)의 한 변의 거리(d1 또는 d2+d3)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커버형성면(1200)이 끼움철취선(1202)을 이용하여 벽체형성면에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조립되어 입체적인 박스형태를 가지도록 설계되므로, 접힘선을 많이 가진다. 단순히 포장박스를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하는 경우, 물에 젖은 포장박스에서 접힘선들이 펴지거나 더 접히는 경우가 발생하고 그 결과 씨앗이 부착된 부분이 물에 완전히 잠긴다거나, 씨앗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포장박스(20)와 같이 벽체형성면(1100)의 폭이 다른 직육면체의 박스는 이를 그대로 물에 담갔을 때, 균형을 잃어 씨앗(1400)이 부착된 부분이 물에 완전히 잠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와 같이, 임시접힘선(1104, 1105)을 이용하여 위에서 봤을 때 정사각형을 가지도록 벽체형성면(1100)을 변형하고, 끼움절취선(1202)을 이용하여, 커버형성면(1200)을 벽체형성면(1100)에 결합함으로써, 구조적인 지지를 확보하게 하여,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20)는 물이 담긴 버킷 내에서 안정적으로 떠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에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 된 포장박스(20)는 폭의 길이가 다른 경우라도 변형을 통해 물이 담긴 버킷(14) 내에서 안정적으로 떠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경재배 포트로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20)는 벽체형성면(1100)에 형성된 기둥절취선(1107)을 따라 아래부분(21)이 분리된 상태로 물이 담긴 버킷에 놓일 수 있다. 즉, 기둥절취선(1107)에 의하여 업사이클링된 포장박스(20)는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물이 담긴 버킷 내에서 안정적으로 떠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는 포장박스(10, 20)가 위에서 봤을 때, 사각형(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가지는 예로만 설명되었지만, 사각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는 커버와 바닥을 구분하여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포장박스(10, 20)의 자세에 따라 커버와 바닥은 교차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용어에 구속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씨앗이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씨앗이 부착된 포장박스에 있어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벽면을 가진 기둥을 형성하는 벽체형성면;
    상기 벽체형성면과 연결된 커버형성면; 및
    상기 벽체형성면과 연결되고, 내부면에 상기 씨앗이 부착되고 상기 씨앗이 부착된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1 개구부 절취선을 포함하는 바닥형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은 식용식물의 씨앗을 포함하고, 상기 씨앗은 식용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상기 포장박스의 전개도는 생분해가 가능하고 석유화학 성분이 0%인 재료를 포함하는 종이원단으로 제조되고,
    상기 바닥형성면은 상기 씨앗이 부착된 면이 위를 향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씨앗에서 발아한 뿌리가 상기 제1 개구부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형성면의 아래방향으로 생장하는 것인,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절취선은 상기 씨앗이 부착된 영역을 둘러싼 사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포장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과 상기 바닥형성면 사이의 경계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포장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형성면은 제2 개구부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커버형성면이 상기 바닥형성면을 덮도록 상기 벽체형성면에 조립될 때, 상기 제2 개구부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씨앗이 부착된 영역이 노출되는, 포장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은 상기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벽면을 가로지르는 기둥절취선을 포함하는, 포장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은 전방벽체면, 좌측벽체면, 우측벽체면, 후방벽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벽체면 및 상기 후방벽체면은 제1 길이의 폭을 가지고 상기 좌측벽체면 및 상기 우측벽체면은 상기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전방벽체면 및 상기 후방벽체면은 폭을 나누는 임시접힘선을 각각 가지며,
    상기 전방벽체면 및 상기 후방벽체면의 폭의 길이는 상기 임시접힘선에 의해 제3 길이 및 제4 길이로 구분되며, 상기 제3 길이는 상기 제2 길이와 상기 제4 길이의 합과 동일한, 포장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성면은 상기 전방벽체면 또는 상기 후방벽체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방벽체면 또는 후방벽체면과 상기 바닥형성면 사이의 경계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바닥형성면은 끼움고정면 및 접힘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끼움고정면 및 상기 접힘선에 의해 'ㄷ'자로 조립되며,
    상기 끼움고정면 및 상기 접힘선에 의해 접혀지는 상기 바닥형성면의 일부는, 상기 제3의 길이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된 두 개의 임시절취선을 각각 가지며,
    상기 임시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상기 벽체형성면이 끼워져 상기 절취선에 의해 벽체형성면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바닥형성면이 상기 벽체형성면에 다시 결합하는, 포장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면의 내부면의 일부에는 배지 분해제가 더 부착되는, 포장박스.
KR1020210102107A 2021-08-03 2021-08-03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KR10238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07A KR102380880B1 (ko) 2021-08-03 2021-08-03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107A KR102380880B1 (ko) 2021-08-03 2021-08-03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880B1 true KR102380880B1 (ko) 2022-04-01

Family

ID=8118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107A KR102380880B1 (ko) 2021-08-03 2021-08-03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78B1 (ko) 2023-01-09 2023-05-04 이영성 업사이클링 가능한 포장박스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01A (ja) * 1998-09-18 2000-04-04 Tanakaya Inc 紙製折畳み植木鉢
KR100810241B1 (ko) * 2007-03-06 2008-03-06 이상권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KR101511938B1 (ko) *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200482741Y1 (ko) 2014-10-14 2017-02-28 김정현 새싹 재배용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001A (ja) * 1998-09-18 2000-04-04 Tanakaya Inc 紙製折畳み植木鉢
KR100810241B1 (ko) * 2007-03-06 2008-03-06 이상권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KR101511938B1 (ko) * 2014-08-05 2015-04-14 황재성 재활용 친환경 노트
KR200482741Y1 (ko) 2014-10-14 2017-02-28 김정현 새싹 재배용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078B1 (ko) 2023-01-09 2023-05-04 이영성 업사이클링 가능한 포장박스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72234A (en) Device for propagating and growing plants
CN104254241B (zh) 用于植物的保持器和用于植物的种植、运输和许诺出售的至少两者的方法
KR101570978B1 (ko) 수경재배용 모종판
KR102380880B1 (ko) 수경재배 포트로 사용 가능한 업사이클링 포장박스
CA1053465A (en) Seedling plant propagation container
GB2055281A (en) Containers for growing plants
KR101079849B1 (ko) 육묘 식물용 포장 케이스
EP2159166B1 (en) Assembly of a package and plant bulbs arranged therein, and a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bulbs.
KR870001455B1 (ko) 식물 재배방법 및 장치
KR100721813B1 (ko) 관찰학습용 식물재배봉투
FR2568447A1 (fr) Feuilles de forcage en matiere plastique predecoupees pour varietes legumieres et florales.
US532687A (en) Transplanter
JP3174816U (ja) 植栽用水耕フロート
JP2008265821A (ja) 根付き水耕栽培作物の包装体
KR100810241B1 (ko)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WO2022026780A1 (en) Hydroponic system for bulb and sprout horticulture
KR100709720B1 (ko) 식물재배용기 제작용 시트와 상기 시트로 만들어진식물재배용기 및 상기 시트를 이용한 식물재배세트
JP5464765B2 (ja) 水耕栽培用培地
KR20150004397U (ko) 상하부 박스가 결합된 종이화분
JPH08256617A (ja) 野菜水耕栽培用装置及び野菜搬送ユニット
KR20160056026A (ko) 식물 재배키트
RU2692551C1 (ru)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ассады. Спиральная кассета. Разборная ячеистая кассета. Многогранный горшочек
KR200359141Y1 (ko) 식물재배세트 및 이를 위한 식물재배용기
JPS6222135Y2 (ko)
KR200455257Y1 (ko) 원예작물 재배용 화분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