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860B1 -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860B1
KR102380860B1 KR1020200170090A KR20200170090A KR102380860B1 KR 102380860 B1 KR102380860 B1 KR 102380860B1 KR 1020200170090 A KR1020200170090 A KR 1020200170090A KR 20200170090 A KR20200170090 A KR 20200170090A KR 102380860 B1 KR102380860 B1 KR 10238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frame
drying
drying furnace
radiation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화
남경훈
Original Assignee
엔알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9347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808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엔알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알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90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 B05B16/95Spray booths compris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in and out of the booth, e.g. through the booth the objects or other work to be sprayed lying on, or being held above the conveying means, i.e. not hanging from the conve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2Vehicle bodies, e.g. after being pa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복사파의 산란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는 프레임과,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와, 복사파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피도물을 장착한 컨베이어의 트롤리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어 건조로 하우징에 장착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는 복사파를 하부로 방출하도록 아래를 향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복사파 안내부는 상기 피도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트롤리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방출된 복사파가 내부로 안내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로 안내된 복사파가 상기 프레임으로 반사되지 않고 상기 피도물로 반사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가 상기 피도물에 노출되지 않게 일체로 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로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에 복사파 발생기와, 복사파 안내부를 장착한다. 그래서 프레임을 건조로의 외부에서 제조하여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건조로의 리모델링시 건조로를 중단하는 기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Irradiation apparatus of radiant wave for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복사파의 산란을 증가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에 대한 것이다.
스테판 볼쯔만 법칙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세라믹에 열을 가하면 열이 복사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때 발생되는 전자기파는 파장이 원적외선 파장 영역으로 도료(페인트)의 주파수 영역과 비슷하여, 공명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도료를 건조시킨다.
이를 이용하여 전기히터에서 열을 발생시켜 SUS 박판에 대류 형태로 열을 전달시키면 전달된 열은 SUS 박판에 도포된 복사파 변환물질에 전도형태로 전달되어 복사파로 변환된다. 건조로 내에서 뿌려진 복사파는 도피물 표면에 도포된 페인트 분자를 자극하고 운동에너지를 갖게 하며, 그렇게 움직이는 분자들의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여 도피물을 건조시키므로 도장산업에 적용된다.
현재 도장산업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도장 건조로들은 산업 발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말까지 약 10여년간 설치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도장 건조로들은 대부분 설치된 후 약 30년에서 40년간 사용되고 있다.
보통 산업용 도장 건조로의 수명은 15 ~ 20년이므로 이미 교체 시기가 지났지만, 사용중인 건조로의 건조 방식은 열풍대류식 방식이어서 구성품은 가스버너, 필터, 급기 덕트, 급기 팬, 배기 팬, 배기 덕트, 열교환기, 제어판넬, 오븐 하우징 등으로 구성되어 그 구성이 많고 복잡하다. 이러한 도장공장의 건조로를 리모델링하는 과정 및 기간은 대략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열풍대류형 건조장치를 철거하는데 1일, 전자기파(복사파, 원적외선, 근적외선, 마이크로파 등) 유도장치 설치하는데 2일, 전자기파 발생장치 설치하는데 5일, 전기공사하는데 7일, 시운전 및 보강공사하는데 5일이 걸리므로 약 20일 정도 소요된다.
도장산업의 회사 경쟁력 및 사활은 생산성에 있으므로 건조로 교체를 위해 20일 이상 비가동시 납기 지연 등으로 회사의 존폐가 걸려 있으므로 교체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필터 등 각종 소모품 교체를 위한 경비지출이 많으며, 노후화된 건조로로 인한 건조 불량률이 높아져 품질 비용 지출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건조 불량이라 함은 도장품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전달되는 열이 균일하지 못하여 어떤 부위는 과건조, 어떤 부위는 미건조 등이 발생하는 것과 열풍을 급, 배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먼지 등 이물질로 인한 불량 등을 말한다.
등록특허 제10-1982214호(등록일자 2019년 5월 20일) 등록특허 제10-1134898호(등록일자 2012년 4월 3일) 등록특허 제10-0944384호(등록일자 2010년 2월 19일) 등록특허 제10-1969131호(등록일자 2019년 4월 9일) 등록특허 제10-0914517호(등록일자 2009년 8월 21일)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장 건조로의 리모델링 시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파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복사파를 산란을 많이 시켜 피도물에 보낼 수 잇는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는 프레임과,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와, 복사파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피도물을 장착한 컨베이어의 트롤리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어 건조로 하우징에 장착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는 복사파를 하부로 방출하도록 아래를 향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복사파 안내부는 상기 피도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트롤리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방출된 복사파가 내부로 안내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로 안내된 복사파가 상기 프레임으로 반사되지 않고 상기 피도물로 반사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가 상기 피도물에 노출되지 않게 일체로 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사파 안내부는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방출된 복사파를 산란시킬 수 있도록 요철부가 형성되거나 내벽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복사파에 노출되지 않게 상기 복사파 안내부의 외부에서 상기 복사파 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로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에 복사파 발생기와, 복사파 안내부를 장착한다. 그래서 프레임을 건조로의 외부에서 제조하여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건조로의 리모델링시 건조로를 중단하는 기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사파 안내부가 복사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복사파를 산란시킨다. 이로 인하여 피도물의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건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파 조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복사파 안내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복사파 안내부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사파 조사장치에 적용되는 복사파 안내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사파 조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파 조사장치는 현재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기존의 건조로(1)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사파 조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10)과,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15)와, 복사파 안내부(20)와, 전선(미도시)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건조로 하우징(1)에 장착가능하다. 건조로 하우징(1)에는 피도물(5)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3)에 트롤리(또는 행어라고도 함)(4)가 장착된다. 트롤리(4)가 피도물(5)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3)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은 피도물(5)을 장착한 트롤리(4)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에 개방부(11)가 형성된다.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15)는 복사파를 하부로 방출하도록 아래를 향하게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는 복수파 발생기(15)는 복사파가 아래로 방출되어야 프레임(10) 외부로 복사파가 손실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복사파 안내부(20)는 복사파 발생기(15)에서 방출된 복사파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복사파를 피도물(5)로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복사파 안내부(20)는 하나의 알루미늄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복사파 안내부(20)는 그 내부로 컨베이어(3)에 장착된 트롤리(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의 중앙부(21)가 개방된다. 그리고 복사파 발생기(15)의 하부에서 방출되는 복사파가 내부로 안내되도록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즉 복사파 발생기(15)는 복사파 안내부(20)의 관통공(22)에 장착된다. 그래서 복사파 발생기(15)에서 방출된 복사파는 복사파 안내부(20)의 내부로 방출된다. 이때 복사파 안내부(20)는 내부로 방출된 복사파가 외부로 반사되지 않고 피도물(5)로 반사될 수 있게 한다. 즉 복사파 안내부(20)는 피도물(5)에서 프레임(10)이 노출되지 않게 일체로 형성되어 피도물(5)을 감싼다. 복사파 안내부(20)의 관통공(22)에 복사파 발생기(15)가 장착되므로 복사파 안내부(20)는 상부의 중앙부(21)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차단된다. 따라서 복사파 안내부(20)에서 복사파는 상부의 중앙부(21)를 통해서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복사파 발생기(15)는 복사파 안내부(20)의 중앙부(21)와 반대방향인 하부로 향하므로 중앙부(21)로 복사파가 방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복사파 안내부(20)는 중앙부(21)의 개방된 단부(21a)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된다. 그래서 복사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또한 복사파 안내부(20)는 복사파 발생기(15)에서 방출된 복사파를 산란시킬 수 있게 내벽에 복수의 돌기(23)가 형성된다. 복사파 발생기(15)에서 방출된 복사파는 복사파 안내부(20)의 내벽에 부딪혀 피도물(5)로 반사된다. 이때 복사파 안내부(20)의 내벽에 돌기(23)가 형성되면 복사파를 산란시킬 수 있다. 복사파는 직진성으로 산란을 시키지 않을 경우 일정 방향으로만 가기 때문에 피도물(5)에 균일하게 전달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사파를 산란시키므로 산란된 복사파가 피도물(5) 전체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어서 피도물(5)의 건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건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사파 안내부(20)는 복사파를 산란시키기 위하여 내벽에 돌기(23)가 형성되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파 안내부(20)는 요철(25)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요철부(25)가 복사파를 산란시킨다.
전선은 복사파 발생기(15)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복사파 발생기(15)로 연결된다. 이때 전선은 복사파 발생기(15)에서 방출되는 복사파에 노출되지 않게 복사파 안내부(2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사파 조사장치는 건조로(1)의 외부에서 제작이 된다. 종래의 경우 건조장치의 건조로를 리모델링시 건조로 내부에 건조장치를 철거하고 복사파 조사장치를 설치하는데 20일 가량 소요되어, 건조로(1)를 20일 이상 중지시켜야 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사파 조사장치는 건조로(1)의 외부에 미리 제작이 되므로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건조로를 리모델링 시에는 건조로 내에서 기존의 건조장치를 철거하는데 1일, 그리고 미리 만들어진 본 실시예의 복사파 조사장치를 건조로에 설치 및 시운전하는데 2일이면 충분하므로 3일 이내에 리모델링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하면 건조로의 리모델링시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사파를 산란시키므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1 : 건조로 3 : 컨베이어
4 : 트롤리 5 : 피도물
10 : 프레임 11 : 개방부
15 : 복사파 발생기 20 : 복사파 안내부
21 : 중앙부 22 : 관통공
23 : 돌기 25 : 요철부

Claims (3)

  1. 피도물을 장착한 컨베이어의 트롤리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중앙부를 제외하고 삽입된 상기 피도물을 감쌀 수 있도록 건조로 하우징에 장착가능한 프레임과,
    복사파를 하부로 방출하도록 아래를 향하여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복사파 발생기와,
    상기 피도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트롤리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의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방출된 복사파가 상기 프레임으로 방출되지 않고 내부로만 안내될 수 있게 상기 복사파 발생기가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로 안내된 복사파가 상기 프레임으로 반사되지 않고 상기 피도물로 반사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가 상기 피도물에 노출되지 않게 상기 피도물을 감싸도록 일체로 되며,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방출된 복사파를 산란시킬 수 있도록 요철부가 형성되거나 내벽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복사파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사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복사파에 노출되지 않게 상기 복사파 안내부의 외부에서 상기 복사파 발생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0090A 2020-12-08 2020-12-08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KR10238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090A KR102380860B1 (ko) 2020-12-08 2020-12-08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090A KR102380860B1 (ko) 2020-12-08 2020-12-08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860B1 true KR102380860B1 (ko) 2022-03-31

Family

ID=8093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090A KR102380860B1 (ko) 2020-12-08 2020-12-08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8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42Y1 (ko) * 2005-12-28 2006-03-15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건조기
KR100914517B1 (ko) 2007-01-18 2009-09-02 조극래 복사열 조사장치
KR100944384B1 (ko) 2008-03-21 2010-02-26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원적외선 도장 건조장치
KR101134898B1 (ko) 2011-12-28 2012-04-17 (주)대양이티에스 건조기용 원적외선 히터
KR101969131B1 (ko) 2018-01-17 2019-04-16 조소앙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KR101982214B1 (ko) 2018-07-17 2019-05-24 정연관 산업용 건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042Y1 (ko) * 2005-12-28 2006-03-15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건조기
KR100914517B1 (ko) 2007-01-18 2009-09-02 조극래 복사열 조사장치
KR100944384B1 (ko) 2008-03-21 2010-02-26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원적외선 도장 건조장치
KR101134898B1 (ko) 2011-12-28 2012-04-17 (주)대양이티에스 건조기용 원적외선 히터
KR101969131B1 (ko) 2018-01-17 2019-04-16 조소앙 히트 스프레더(Heat Spreader)와 웨이브 가이드(Wave Guide)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형 도장 건조로
KR101982214B1 (ko) 2018-07-17 2019-05-24 정연관 산업용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8262B (zh) 多功能微波炉
KR101194012B1 (ko) 건조장치
JPH07132261A (ja) 不均一な放射分布を持つ赤外放射を発生するための放射壁オーブンおよび方法
EP0976975A3 (en) Cooling device for halogen lamps in microwave ovens
US20210023583A1 (en) Heat spreader and wave guide unit, and conveyor-type paint drying furnace comprising same
KR102380860B1 (ko) 건조장치용 복사파 조사장치
KR20080044965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KR20150029296A (ko) 전자파발열체에 의한 열공급장치
JP2001035649A (ja) 電子レンジ
KR100707957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1391304B1 (ko) 고온용 케이블과 이것을 이용한 열처리 장치
KR100886300B1 (ko) 가열 조리기
KR100619427B1 (ko) 루비코트 근적외선히터를 이용한 도장건조장치
JP2018504299A (ja) 円筒状基材に照射を行う装置
JP5791300B2 (ja) オーブン装置
CN201534928U (zh) 一种新型微波干衣机
KR200221572Y1 (ko) 전자레인지의 할로겐 히터 균일냉각구조
KR200268603Y1 (ko) 자동차 도장실의 전기 열처리장치
KR100531216B1 (ko) 터널형 콘베이어식 적외선 가열장치
CN204820023U (zh) 一种远红外中空加热pet干燥设备
CN117181797B (zh) 连续性有机污染土壤修复装置
KR200154601Y1 (ko) 전자 렌지의 마이크로파 방사 구조
CN220355908U (zh) 一种改进型风嘴
JPS6021916Y2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1743491B1 (ko) 열효율이 우수한 분체도장 가변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38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11

Effective date: 20220928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557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028

Effective date: 202306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5000069;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0718

Effective date: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