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589B1 -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589B1
KR102380589B1 KR1020200066559A KR20200066559A KR102380589B1 KR 102380589 B1 KR102380589 B1 KR 102380589B1 KR 1020200066559 A KR1020200066559 A KR 1020200066559A KR 20200066559 A KR20200066559 A KR 20200066559A KR 102380589 B1 KR102380589 B1 KR 10238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jig
rim
wheel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474A (ko
Inventor
김종오
박경애
Original Assignee
박경애
김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애, 김종오 filed Critical 박경애
Priority to KR102020006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5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21Handling of rim or tyre, e.g. lifting and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3Support of wheel parts during machine operation
    • B60C25/0545Support of wheel parts during machine operation with rotary motion of tool or tyre support, e.g. 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타이어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바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작동부 프레임과, 상기 작동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가이드판의 상부에 킥보드 바퀴를 수용한 상태에서 킥보드 바퀴를 구성하는 림과 타이어에 각각 밀착되는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림 지그 및 타이어 지그에 의하여 림과 타이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지그는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로 구분하고,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는 분해용, 조립용, 공용 지그 및 제1,2지그로 구성함으로써 전동킥보드의 바퀴의 타이어를 매우 짧은 시간에 분리 및 조립이 이루어져 간편하게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바퀴 종류에 관계없이 지그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Tire replacement device of 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를 교체하기 위한 타이어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타이어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킥보드는 한 발을 발판 위에 올려두고 나머지 한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차면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레저 기구로서, 최근에는 모터를 장착하여 바퀴가 주행되도록 하는 전동 킥보드가 개발되었다.
전동 킥보드는 수평형상의 발판의 전,후방에 바퀴가 장착되고, 발판의 전단부에는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핸들이 장착되어 조향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동 킥보드의 구동을 위한 모터는 바퀴와 함께 일체로 회전되도록 축 결합되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바퀴로 전달하여 전동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킥보드의 구조상 모터를 장착할만한 마땅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모터를 바퀴에 일체로 구성하게 되고, 이를 위하여 전륜휠 또는 후륜휠은 전기모터와 림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림에 타이어가 장착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터가 일체로 구성되는 바퀴는 공기주입식 타이어보다는 림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고무로 형성된 타이어(솔리드 타입)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렇게 타이어로 통고무를 사용할 경우 타이어교체가 지나치게 어렵고 교체과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즉, 타이어를 림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수동공구를 여러 개 활용하여 강제로 림으로부터 타이어를 벗겨 내야하는데, 이 과정이 지나치게 시간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전문가의 경우에도 길게는 수시간까지 작업을 해야 하는 대단이 어려움이 있는 작업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동 킥보드를 주행 중 외부충격에 의해 모터나 림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거나 손상되면,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라도 타이어 분리가 필요한데, 이러한 모든 수리과정에서 타이어의 탈부착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수리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고, 수리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에 모터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 킥보드의 타이어를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쉽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타이어 분리 및 장착과정에서 부품 손상이 없이 타이어의 정위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동 킥보드 모델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는 타이어 장착구조에 관계없이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바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작동부 프레임과, 상기 작동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가이드판의 상부에 킥보드 바퀴를 수용한 상태에서 킥보드 바퀴를 구성하는 림과 타이어에 각각 밀착되는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림 지그 및 타이어 지그에 의하여 림과 타이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그는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로 구분하고, 림 지그와 타이어 지그는 분해용, 조립용, 공용 지그 및 제1,2지그로 구성하여 전동킥보드의 바퀴 종류에 관계없이 지그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에 의하면, 수작업으로 타이어의 장착 및 분해가 이루어지던 것을 프레스 가압방식에 의하여 타이어 장착 및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동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쉽게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교체작업 과정에서 림의 표면 손상이나 모터를 구성하는 코일 손상을 방지하고,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빠른 시간에 타이어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타이어 교체를 위해서는 일정 시간동한 센터에 맡기거나 수 일간 맡겨야 했으나, 이러한 불편함이 없이 즉시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림이 손상되거나 찌그러진 경우에도 타이어를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교체장치로 바퀴 종류에 관계없이 솔리드 타입, 림 분리형 타입, 튜브형 타입 등 다양한 종류의 타이어를 지그만을 활용하여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고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세 확대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구조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지그를 활용한 타이어 분해구조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지그를 활용한 타이어 조립구조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구조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지그를 활용한 타이어 분해구조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지그를 활용한 타이어 조립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구조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지그를 활용한 타이어 분해 및 조립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100)와,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작동부 프레임(200)과, 작동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이드(300)와, 가이드의 승강 작동을 위한 구동장치(400) 및 컨트롤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작동부 프레임(200)의 내측 가이드(300) 상단에는 분해하거나 조립하고자 하는 킥보드 바퀴(1)가 후술하는 지그에 의하여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300)의 승강 작동에 의하여 킥보드 바퀴(1)를 구성하는 림(2)과 타이어(3)를 가압하여 분리시키거나 림(2)과 타이어(3)를 가압하여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된다.
받침대(100)는 본 발명의 타이어 교체장치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하여 기저가되는 것으로, 타이어 교체를 위하여 작동부 프레임(200), 즉 킥보드 바퀴를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100)가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대(100)에는 구동장치(400)나 컨트롤부(500)가 장착될 수 있다.
작동부 프레임(200)은 림(2)과 타이어(3)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40)가 상,하 이격된 상태로 기둥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작동부 프레임(200)이 일정한 높이로 구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기둥은 단순히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후술하는 가이드판(320)의 승,하강 작동을 위한 승강축(260)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가이드(300)는 작동부 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상,하 승강 작동을 하면서 림(2)과 타이어(3) 간의 결합관계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타이어 분해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300)를 구성하는 가이드판(320)이 작동부 프레임(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단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가이드판(320)의 하단에는 구동장치(400)를 연동되게 장착된다.
가이드판(320)은 양측이 상기 승강축(260)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따라서 지그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300)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두 개의 지그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00)는 가이드판(32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가이드판의 하단에 피스톤이 장착되어 수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실린더(420)가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420)는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440)가 유압라인(4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작동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제어부(440)에는 압력게이지와 유압량 조절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컨트롤부(5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의 승강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컨트롤부(500)는 지지대(100)의 일측에 승강 스위치를 형성하여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스위치 발판을 구성하고 스위치 발판의 승강발판과 하강발판을 각각 제어부(440)와 연결하여 작동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타이어의 분해 또는 조립 상태를 육안을 쉽게 확인하면서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지그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통킥보드의 바퀴는 타이어의 구조에 따라서 통고무로 되어 있는 솔리드 타입과, 타이어가 튜브로 되어 있는 튜브 타입으로 구분되고, 모터의 장착구조에 따라서 모터가 림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모터 일체형과, 모터가 림으로부터 분리되는 모터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의 바퀴 교체장치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그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으로써, 타이어가 통고무로된 솔리드 타입이면서 모터 일체형 바퀴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전동킥보드의 바퀴(1)가 가이드(300)의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수용될 때 바퀴(1)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그가 림(2)에 밀착되는 림 지그(600)와 타이어(3)에 밀착되는 타이어 지그(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림 지그(600)는 분해용 림 지그(620)와 조립용 림 지그(640)로 구성되고, 타이어 지그(700)는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조립용 타이어지그(74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분해용 지그 또는 조립용 지그를 선택하여 타이어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해용 지그는,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킥보드 바퀴와 분해용 림 지그(620)가 순차적으로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안착되어 가이드판(320)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좁아지면서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분해용 림 지그(620)가 킥보드 바퀴를 가압하는 가압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림과 타이어의 결합상태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는 킥보드 바퀴의 바퀴축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중공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원통형 벽체(722)의 상단에는 타이어 다양한 직경에 따라 둘레를 가압할 수 있도록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단차부(724)가 형성되고, 상기 분해용 림 지그(620)는 모터손상이 없이 림의 테두리 측면만을 가압하도록 원통형 벽체(622) 하단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가압돌부(6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분해용 지그를 활용하여 바퀴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타이어를 분해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를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가 가이드판(320)의 정중앙에 정위치 장착을 위해서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장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가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는 타이어를 분해하고자 하는 바퀴(1)를 올려두는데, 이때 림에는 플랜지가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타이어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데, 림(2)이 타이어(3)로부터 하강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플랜지를 하부측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올려둔다.
그리고 그 상단에는 분해용 림 지그(620)를 올림으로써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 바퀴(1), 분해용 림 지그(6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부(500)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판(32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판(320)과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분해용 림 지그(620)의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220)에 맞닿으면서 분해용 림 지그(620)를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는 반대로 상부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킥보드 바퀴의 림(2)이 하강하게 되며, 림이 타이어로부터 이탈되어 하부측으로 분리되면서 최종적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지그들을 올려두고 컨트롤부(5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전동킥보드용 바퀴에서 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는 원통형 벽체(722)의 일측에 킥보드 바퀴(1)의 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인출을 위한 절개부(72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및 바퀴축이 일체로 형성되는 림의 낙하시 킥보드 바퀴의 바퀴축이 손상되지 않고 정위치 낙하를 유도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의 하단에는 바닥면에 타공홀(7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림(2)과 타이어(3)의 조립을 위하여 조립용 지그가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용 지그는,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안착되어 바퀴(1)의 림(2)이 안착되는 조립용 림 지그(640)와 림(2)의 상단에 타이어(3)가 위치된 상태에서 타이어(3)의 상단을 가압하는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로 구성되어 가이드판(320)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좁아지면서 조립용 림 지그(640)와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가 킥보드 바퀴를 가압하는 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림과 타이어가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분해용 지그를 활용하여 바퀴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타이어를 조립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조립용 림 지그(640)를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조립용 림 지그(640)가 가이드판(320)의 정중앙에 정위치 장착을 위해서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장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장착부는 상기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상기 조립용 림 지그(640)를 호환 장착이 가능하도록 스페이서(9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용 림 지그(640)가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는 조립하고자 하는 바퀴(1)의 림(2)과 타이어(3)를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데, 이때 림의 플랜지가 하부측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타이어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올려둔다.
이때, 상기 조립용 림 지그(640)는 원통형 벽체의 일측에 킥보드 바퀴(1)의 모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인출을 위한 절개부(64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이어(3)가 올려진 상단에는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를 올림으로써 조립용 림 지그(640), 림(2), 타이어(3),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부(500)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판(32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판(320)과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의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220)에 맞닿으면서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를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조립용 림 지그(640)는 반대로 상부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타이어(3)가 하강하게 되며, 타이어(3)가 림(2)의 외경에 삽입되어 타이어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지그들을 올려두고 컨트롤부(5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전동킥보드용 바퀴의 림에 타이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림(2)의 상단에는 림(2)과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위하여 타이어(3)의 하강을 안내하는 조립용 슬리브(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립용 슬리브(8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림(2)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안착될 수 있으며, 조립용 슬리브(800)의 외곽 둘레를 따라서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820)이 형성함으로써 타이어(3)의 내경을 강제로 벌리면서 림의 외경에 가압되어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8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용 슬리브(800)의 상단 외경은 림(2)에서 타이어(3)가 조립되는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조립용 슬리브의 하단 외경은 림에서 타이어가 조립되는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며, 외경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점차 커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려서 림(2) 외경으로의 진입을 유도하면서 정확하게 센터에 장착되어 타이어의 인장된 정도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균일한 장력으로 당겨져 조립됨으로써 타이어가 림에 완전히 밀착되어 견고하게 조립되며 타이어의 부분이탈이나 조립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용 슬리브(800)는 림(2)과 동축 상태를 유지하여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중앙에 킥보드 바퀴의 바퀴축이 삽입되는 축홀(8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용 슬리브(800)는 모터 일체형 림과 밀착될 때 모터의 코일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용 슬리브의 하단에 테두리를 따라서 지지돌부(8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의 바퀴 교체장치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그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으로써, 타이어가 통고무로된 솔리드 타입이면서 모터 분리형 바퀴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전동킥보드의 바퀴(1)가 가이드(300)의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수용될 때 바퀴(1)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그가 림(2)과 타이어(3)에 각각 밀착되는 림 지그(600)와 타이어(3)에 밀착되는 타이어 지그(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는 각각 타이어를 분리하거나 조립할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공용 림 지그(660) 및 공용 타이어 지그(76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용 림 지그(660)는 모터 분리형 림의 내경에 대응하게 원통형 벽체(662)의 외경이 구성되되 그 외경에는 그보다 더 돌출된 확관부(664)가 형성되어 림의 위치를 고정시켜 가이드판(320)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좁아지면서 공용 림 지그(660)와 공용 타이어 지그(760)가 킥보드 바퀴를 가압하는 가압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모터 분리형 림과 타이어를 분리시키거나 모터 분리형 림과 타이어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림(2)의 상단에는 공용 림 지그(660)의 상단에 림(2)과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위하여 타이어(3)의 하강을 안내하는 조립용 슬리브(800)가 더 구비되고, 조립용 슬리브(800)는 외곽 둘레를 따라서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8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용 림 지그(660)는 확관부(664)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림(2)이 거치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타이어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 림 지그(660)의 하단에는 림(2)이 가이드판(320)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용 림 지그(660)를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9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900)는 림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스토퍼면(920)이 형성되어 타이어 조립시 림에 대한 타이어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면(920)은 다양한 림 크기에 대응하게 계단식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상기 분해용 지그를 활용하여 바퀴를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타이어를 분해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공용 림 지그(660)를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공용 림 지그(660)는 스페이서(900)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으며, 스페이서(900)에 의하여 공용 림 지그(660)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공용 림 지그(660)의 상단에는 타이어를 분해하고자 하는 바퀴(1)를 올려두는데, 이때 바퀴(1)는 확관부(664)의 상단에 안착되어 가이드판(3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뜬 상태로 안착된다.
그리고 그 상단에는 공용 타이어 지그(760)를 올림으로써 공용 림 지그(660), 바퀴(1), 공용 타이어 지그(7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부(500)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판(32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판(320)과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공용 타이어 지그(760)의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220)에 맞닿으면서 공용 타이어 지그(760)를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공용 림 지그(660)는 반대로 상부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3)가 하강하게 되며, 타이어가 림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부측으로 분리되면서 최종적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지그들을 올려두고 컨트롤부(5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전동킥보드용 바퀴에서 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공용 지그를 활용하여 바퀴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타이어를 조립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공용 림 지그(660)를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공용 림 지그(660)가 가이드판(320)의 정중앙에 정위치 장착을 위해서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장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공용 림 지그(660)가 안착될 때 조립하고자 하는 바퀴(1)의 림(2)을 거치할 수 있는데, 공용 림 지그(660)의 확관부(664)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타이어를 분해할 때는 확관부(664)의 상단에 안착하고, 타이어를 조립할 때는 림(2)이 거치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확관부(664)의 하단에 위치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단에는 타이어(3)를 안착시키고 타이어(3)의 상단에 공용 타이어 지그(760)를 올림으로써 공용 림 지그(660)와 림(2), 타이어(3), 공용 타이어 지그(7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부(500)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판(32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판(320)과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공용 타이어 지그(760)의 상단이 상부 플레이트(220)에 맞닿으면서 공용 타이어 지그(760)를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공용 림 지그(660)는 반대로 상부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타이어(3)가 하강하게 되며, 타이어(3)가 림(2)의 외경에 삽입되어 타이어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지그들을 올려두고 컨트롤부(5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전동킥보드용 바퀴의 림에 타이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림(2)의 상단에는 림(2)과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위하여 타이어(3)의 하강을 안내하는 조립용 슬리브(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립용 슬리브(8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림(2)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안착될 수 있으며, 조립용 슬리브(800)의 외곽 둘레를 따라서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820)이 형성함으로써 타이어(3)의 내경을 강제로 벌리면서 림의 외경에 가압되어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8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용 슬리브(800)의 상단 외경은 림(2)에서 타이어(3)가 조립되는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조립용 슬리브의 하단 외경은 림에서 타이어가 조립되는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며, 외경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점차 커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려서 림(2) 외경으로의 진입을 유도하면서 정확하게 센터에 장착되어 타이어의 인장된 정도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균일한 장력으로 당겨져 조립됨으로써 타이어가 림에 완전히 밀착되어 견고하게 조립되며 타이어의 부분이탈이나 조립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용 슬리브(800)는 림(2)과 동축 상태를 유지하여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용 림 지그(660)의 확관부(664)와 맞물리게 내입턱(88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전동킥보드의 바퀴 교체장치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지그가 적용된 상태의 도면으로써, 타이어의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고 타이어 양측에 두 개의 림이 마주보게 조립되는 튜브 타입 바퀴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전동킥보드의 바퀴(1)가 가이드(300)의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수용될 때 바퀴(1)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그는 림(2)에 밀착되는 제1지그(1600)와 제2지그(17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그(1600)와 제2지그(1700)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제1지그(1600) 및 제2지그(1700)에 의하여 두 개의 림(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압축됨으로써 킥보드 바퀴에 장착된 조임볼트를 풀거나 조여서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안착되되 바퀴의 하부에 받침되는 제1지그(1600)는 바퀴를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여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제2지그(1700)는 바퀴축 주변의 협소한 면적만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바퀴 조립을 위한 조임볼트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킥보드 바퀴를 안착시키는 하부측 제1지그(1600)는 하부측 림을 안착시켜 상부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지지돌부(16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돌부(1610)는 림의 직경 외곽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바퀴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지그(1600)의 중앙에는 바퀴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끼움부(16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그(1700)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퀴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림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기둥 형상의 협소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측 림을 하부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림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볼트조립부, 즉 조임볼트의 헤드 또는 너트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공구를 활용하여 조임볼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조이거나 풀 때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제2지그(1700)의 상,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판(320)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유동이 방지되고, 바퀴의 중심부분을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지그(1700)의 상단은 상부플레이트(220)에 장착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지그(1700)의 상단에 돌축을 형성하고, 그 돌축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돌축이 상부 플레이트(220)를 관통한 상태에서 조임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그(1700)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바퀴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수용홀(1720)이 형성되어 제1,2지그(1600,1700)간 기울어짐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수직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마주보는 림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좁혀서 조임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하여 타이어를 쉽게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상기 분해용 지그를 활용하여 바퀴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타이어를 분해하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제1지그(1600)를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제1지그(1600)는 스페이서(900)의 상단에 올려지거나 삽입되어 센터의 중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900)에 의하여 제1지그(1600)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유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그(1600)의 상단에는 타이어를 분해하고자 하는 바퀴(1)를 올려두는데, 이때 바퀴(1)는 제1지그(1600)의 지지돌부(1610)의 상단에 안착되어 가이드판(3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뜬 상태로 안착된다.
이때, 상기 바퀴(1)는 제1지그(1600)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이 중요한데, 별도의 정위치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없이 바퀴축을 제1지그(1600)의 중앙에 형성된 축끼움부(1620)에 끼워서 안착시킴으로써 바퀴(1)가 제1지그(1600)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축끼움부(16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직경, 즉 림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는 크기의 전동킥보드 바퀴를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도 바퀴를 제1지그(1600)의 정중앙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퀴(1)의 상단에는 제2지그(1700)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2지그(1600,1700)가 마주보는 상태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제1지그(1600), 바퀴(1), 제2지그(17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거나, 또는 제2지그(1700)를 작동부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220)에 조립함으로써 제1지그(1600)와 바퀴(1)와 제2지그(1700)가 수직으로 순차 배열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부(500)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판(32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판(320)과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제2지그(1700)가 상부 플레이트(220)에 매달려 시공되는 경우에 결국에는 제2지그(1700)의 하단이 바퀴(1)의 상부측 림에(2)에 맞닿으면서 상부측 림(2)을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하부측 림(2)은 제1지그(1600)에 의하여 반대로 상부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두 개의 서로 림(2)이 상,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조임볼트를 쉽게 풀 수 있게 된다.
즉, 바퀴에 장착되는 조임볼트는 볼트를 조이면서 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면서 타이어(3)의 양측벽을 압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압착된 상태의 림은 조임볼트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쉽게 풀리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림 간격을 압착하여 좁힘으로써 조임볼트의 조임 상태를 헐겁게 하여 쉽게 조임볼트를 풀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지그들을 올려두고 컨트롤부(5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전동킥보드용 바퀴의 조립상태를 헐겁게 하여 공구를 활용하여 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이 타이어를 분리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의 역순으로 타이어를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타이어를 조립하는 순서를 도 17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제1지그(1600)를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제1지그(1600)는 스페이서(900)의 상단에 올려지거나 삽입되어 센터의 중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900)에 의하여 제1지그(1600)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유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그(1600)의 상단에는 조립하고가 하는 림(2)과 타이어(3)를 올려두는데, 이때 바퀴축이 일체로 형성된 림을 제1지그(1600)의 축끼움부(1620)에 끼워서 먼저 안착시킨 후, 그 상단에 타이어(3)를 적층하여 올려두고, 그 타이어(3)의 상단에 나머지 하나의 림을 마저 올려 적층시키며, 이때 상부측 림을 바퀴축에 끼워서 적층함으로써 두 개의 림과 하나의 타이어가 센터 맞춤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적층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림(2)과 타이어(3)가 적층된 상단에는 제2지그(1700)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2지그(1600,1700)가 마주보는 상태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제1지그(1600), 바퀴(1), 제2지그(17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거나, 또는 제2지그(1700)를 작동부 프레임(200)의 상부 플레이트(220)에 조립함으로써 제1지그(1600)와 바퀴(1)와 제2지그(1700)가 수직으로 순차 배열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부(500)를 조작함으로써 가이드판(320)을 상승시키면 가이드판(320)과 상부 플레이트(220)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고, 제2지그(1700)의 하단이 결국 바퀴(1)의 상부측 림에(2)에 맞닿으면서 상부측 림(2)을 하부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하부측 림(2)은 제1지그(1600)에 의하여 반대로 상부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두 개의 서로 림(2)이 상,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두 개의 림 간 거리를 좁혀서 조임볼트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즉, 바퀴에 장착되는 조임볼트는 볼트를 조이면서 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면서 타이어(3)의 양측벽을 압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압착된 상태의 림은 조임볼트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쉽게 풀리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림 간격을 압착하여 좁힘으로써 조임볼트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필요한 만큼 조인 상태에서 컨트롤부(500)를 다시 조작하여 압착상태를 해제하면 두 개의 림간 거리가 벌어지면서 조임볼트에 의하여 바퀴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공구를 활용하여 타이어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1: 킥보드 바퀴 2: 림 3: 타이어
100: 받침대
200: 작동부 프레임 220: 상부 플레이트 240: 하부 플레이트
260: 승강축
300: 가이드 320: 가이드판
400: 구동장치 420: 실린더 440: 제어부
460: 유압라인
500: 컨트롤부
600: 림 지그
620: 분해용 림 지그 622: 원통형 벽체 624: 가압돌부
640: 조립용 림 지그
660: 공용 림 지그 662: 원통형 벽체 664: 확관부
700: 타이어 지그
720: 분해용 타이어 지그 722: 원통형 벽체 724: 단차부
726: 절개부 728: 타공홀
740: 조립용 타이어 지그
800: 조립용 슬리브 820: 경사면 840: 축홀
860: 지지돌부 880: 내입턱
900: 스페이서 920: 스토퍼면
1600: 제1지그 1610: 지지돌부 1620: 축끼움부
1700: 제2지그 1720: 축수용홀

Claims (14)

  1.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바퀴(1)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작동부 프레임(200);
    상기 작동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이드(300);
    상기 가이드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400) 및 구동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300)는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킥보드 바퀴를 수용한 상태에서 킥보드 바퀴를 구성하는 림과 타이어에 각각 밀착되는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를 구비하고,
    상기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림 지그(600)는 분해용 림 지그(620)와 조립용 림 지그(640)로 구성되고, 타이어 지그(700)는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조립용 타이어지그(74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분해용 지그 또는 조립용 지그를 선택하여 타이어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용 지그는,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킥보드 바퀴와 분해용 림 지그(620)가 순차적으로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안착되어 가이드판(320)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좁아지면서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와 분해용 림 지그(620)가 킥보드 바퀴를 가압하는 가압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림과 타이어의 결합상태가 분리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용 타이어 지그(720)는 킥보드 바퀴의 바퀴축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중공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원통형 벽체(722)의 상단에는 타이어 다양한 직경에 따라 둘레를 가압할 수 있도록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단차부(724)가 형성되고, 상기 분해용 림 지그(620)는 모터손상이 없이 림의 테두리 측면만을 가압하도록 원통형 벽체(622) 하단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가압돌부(6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지그는, 가이드판(320)의 상단에 안착되어 바퀴(1)의 림(2)이 안착되는 조립용 림 지그(640)와 림(2)의 상단에 타이어(3)가 위치된 상태에서 타이어(3)의 상단을 가압하는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로 구성되어 가이드판(320)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좁아지면서 조립용 림 지그(640)와 조립용 타이어 지그(740)가 킥보드 바퀴를 가압하는 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림과 타이어가 강제 끼움으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림(2)의 상단에는 림(2)과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위하여 타이어(3)의 하강을 안내하는 조립용 슬리브(8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슬리브(800)는 외곽 둘레를 따라서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8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슬리브(800)는 림(2)과 동축 상태를 유지하여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중앙에 킥보드 바퀴의 바퀴축이 삽입되는 축홀(8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9. 삭제
  10.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바퀴(1)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작동부 프레임(200);
    상기 작동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이드(300);
    상기 가이드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400) 및 구동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300)는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킥보드 바퀴를 수용한 상태에서 킥보드 바퀴를 구성하는 림과 타이어에 각각 밀착되는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를 구비하고,
    상기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림 지그(600) 및 타이어 지그(700)에 의하여 림(2)과 타이어(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림 지그(600)와 타이어 지그(700)는 각각 타이어를 분리하거나 조립할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공용 림 지그(660) 및 공용 타이어 지그(760)이고,
    상기 공용 림 지그(660)는 모터 분리형 림의 내경에 대응하게 원통형 벽체(662)의 외경이 구성되되 그 외경에는 그보다 더 돌출된 확관부(664)가 형성되어 림의 위치를 고정시켜 가이드판(320)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좁아지면서 공용 림 지그(660)와 공용 타이어 지그(760)가 킥보드 바퀴를 가압하는 가압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모터 분리형 림과 타이어를 분리시키거나 모터 분리형 림과 타이어를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림(2)의 상단에는 공용 림 지그(660)의 상단에 림(2)과 타이어(3)의 정위치 조립을 위하여 타이어(3)의 하강을 안내하는 조립용 슬리브(800)가 더 구비되고, 조립용 슬리브(800)는 외곽 둘레를 따라서 타이어의 내경을 점차 벌어지도록 하는 경사면(8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림 지그(660)는 확관부(664)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림(2)이 거치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타이어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림 지그(660)의 하단에는 림(2)이 가이드판(320)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용 림 지그(660)를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9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900)는 림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스토퍼면(920)이 형성되어 타이어 조립시 림에 대한 타이어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13.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되 바퀴(1)를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작동부 프레임(200);
    상기 작동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이드(300);
    상기 가이드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장치(400) 및 구동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300)는 가이드판(320)의 상부에 킥보드 바퀴를 수용한 상태에서 튜브형 타이어의 양측에 조립되는 림을 가압하도록 제1지그(1600)와 제2지그(170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그(1600)와 제2지그(1700)를 킥보드 바퀴의 상,하부에 적층구성하여 상기 컨트롤부(500)의 조작에 의하여 가이드판(320)이 승강 작동하면서 작동부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220)와의 근접거리가 조정될 때 제1지그(1600)와 제2지그(1700)에 의하여 두 개의 마주보는 림(2)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킥보드 바퀴의 림을 조이는 조임볼트를 탈착하여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킥보드 바퀴를 안착시키는 하부측 제1지그(1600)는 하부측 림을 안착시켜 상부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지지돌부(16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지그(1700)는 바퀴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수용홀(1720)이 형성되되, 상부측 림을 하부측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림의 볼트조립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두 개의 마주보는 림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조임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게 하여 타이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되는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14. 삭제
KR1020200066559A 2020-06-02 2020-06-02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KR10238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59A KR102380589B1 (ko) 2020-06-02 2020-06-02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559A KR102380589B1 (ko) 2020-06-02 2020-06-02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74A KR20210149474A (ko) 2021-12-09
KR102380589B1 true KR102380589B1 (ko) 2022-03-30

Family

ID=7886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559A KR102380589B1 (ko) 2020-06-02 2020-06-02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5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62B1 (ko) * 2018-08-30 2019-01-28 주식회사 조조인터네셔널 지게차용 솔리드 타이어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510B1 (ko) * 2016-03-15 2017-11-20 이종규 솔리드 타이어용 휠 및 솔리드 타이어 체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62B1 (ko) * 2018-08-30 2019-01-28 주식회사 조조인터네셔널 지게차용 솔리드 타이어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74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39558U (zh) 小型真空轮胎拆装机
CN104589934B (zh) 单孔免充气轮胎装拆机
KR102380589B1 (ko) 전동킥보드의 타이어 교체장치
KR20100010762A (ko) 타이어 탈착기
US7631681B1 (en) Tire-rim separation device
CN212385060U (zh) 一种锅具生产用钻孔工装
GB2070528A (en) Tyre changing machine
CN107585573B (zh) 一种适用于牵引盘底板的半自动装配生产线及其装配方法
CN104907995A (zh) 工件安装与拆卸装置及其安装与拆卸方法
CN210025151U (zh) 一种轴承拆卸工具
JP2010042723A (ja) 其の場組み立て式タイヤ交換補助台。
CN202806243U (zh) 多功能轮胎拆装机
CN215701627U (zh) 一种承接带压力管阀维修用工具放置装置
CN113798401B (zh) 涡轮转子锁片装配装置及其使用方法
CN212760618U (zh) 一种自行车车架冲孔机
JP5524636B2 (ja) 缶底弁の昇降装置
CN109649084B (zh) 转椅万向轮拆卸安装工具
CN220388663U (zh) 一种板材打孔的定位机构
CN202139778U (zh) 角度可调式楼梯扶手
KR101926533B1 (ko) 채밀기
CN114346792B (zh) 一种粗抛机及粗抛装置
CN220373182U (zh) 一种氦检压盘更换辅助工具
KR100322682B1 (ko) 타이어 탈착기
CN219899935U (zh) 一种建筑装修用膨胀螺丝部件冲压模具
CN217965767U (zh) 一种快拆脱料板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