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356B1 -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356B1
KR102380356B1 KR1020210085940A KR20210085940A KR102380356B1 KR 102380356 B1 KR102380356 B1 KR 102380356B1 KR 1020210085940 A KR1020210085940 A KR 1020210085940A KR 20210085940 A KR20210085940 A KR 20210085940A KR 102380356 B1 KR102380356 B1 KR 10238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able paint
paint composition
blocking
glass
pee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수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102021008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 등에 도장하여 자외선/열 차단이나 외부 시선 차단 용도 또는 가시광선 차단 용도로 사용하다가, 원래의 유리창 상태로 다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손쉽게 유리로부터 박리하여 원상 복구가 가능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Peelable paint composition having easy peeling from glass}
본 발명은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 등에 도장하여 자외선/열 차단이나 외부 시선 차단 용도 또는 가시광선 차단 용도로 사용하다가, 원래의 유리창 상태로 다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손쉽게 유리로부터 박리하여 원상 복구가 가능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는 유동성의 물질로 물체의 표면에 넓게 도포되어 얇은 피막 층을 형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건조, 경화됨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미감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페인트는 특히 건축물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에 도포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부식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이 이용된다.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의 보호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페인트로는 유성페인트, 에나멜페인트 및 수성페인트 등이 있다. 이러한 페인트들은 건축물과 소재(재료)의 보호뿐만 아니라 미관을 증대시키고 단열성 및 난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인 페인트 등의 도료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소재와의 부착력 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으로 피작물에 도포 후 건조/경화 후 박리가 용이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벽지와 같은 종이 소재에 도포할 경우 박리를 전혀 할 수 없거나 억지로 박리할 경우 종이가 뜯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페인트 등의 도료는 원상 복구가 전혀 불가능한 실정이다.
한편, 자외선/열 차단 용도의 페인트와 필름이 존재하긴 하지만, 유리 등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박리가 된다 하더라도 점착제 등의 자국이 남아 깨끗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자외선 차단용 썬팅 필름이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높은 가격과 비전문가가 직접 깨끗하게 시공을 하기에는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빠른 기호의 변화, 자신만의 아이템/공간에 요구 및 손쉬운 DIY 접근 등을 위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유리창에 도포된 페인트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박리 시 흔적이 남지 않는 필러블 도료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84341호(2006. 07. 24)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 등에 도장하여 자외선/열 차단이나 외부 시선 차단 용도 또는 가시광선 차단 용도로 사용하다가, 원래의 유리창 상태로 다시 돌아가고자 할 경우 손쉽게 유리로부터 박리하여 원상 복구가 가능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VB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자외선 및 열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소재는 TiO2, SiO2, ZnO, AlN, BN 및 Al2O3 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10 내지 25 ㎛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SiO2, 탄산칼슘 및 황산 바륨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시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가시광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유색 안료(바람직하게는 백색 또는 유색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백색 또는 흑색 등의 유색 안료가 가시광선 투과율을 낮추어 우수한 가시광선 차단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PVB 수지는 분자량이 100,000 내지 210,000 g/mole이고, 입자 크기가 170 내지 240 ㎛일 수 있다.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증점제, 레벨링제, 습윤 분산제, 방부제 또는 동결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성 용제는 알코올류, 셀로솔부류 및 카비톨류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인 필러블 도료 도막은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인 자외선 및 열 차단용 필러블 도료 도막은 자외선 및 열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포함하는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인 외부 시선 차단용 필러블 도료 도막은 상기 외부 시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포함하는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인 가시광선 차단용 필러블 도료 도막은 유색안료를 포함하는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유리에 쉽게 도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이를 제거하더라도 유리에 점착제 등의 자국이 남지 않은 채 깨끗하게 박리되므로 유리를 다시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 유리를 투과하는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므로, 건물 유리창이나 차량 유리창 등에 도포하여 사용하다 필요에 따라 쉽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백색이나 흑색 등의 유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경우 햇빛의 투과율을 낮출수 있어 가시광선 차단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카, 탄산칼슘 및 황산 바륨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시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 불투명한 도막을 형성함으로 외부 시선 차단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4 및 실시예 15에 따른 도료를 유리창에 도포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료의 박리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9(좌측 백색) 및 실시예 12(우측 흑색)에 따른 도료를 유리에 도포하고, 이를 박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VB 수지;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PVB 수지는 30 내지 80 중량부; 상기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는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특별히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수성타입으로서 인체와 접촉 가능성이 존재하는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어 장소와 용도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PVB(PolyVinyl Butyral) 수지는 PVA와 n-butyraldehyde의 축합반응(Condensation reaction)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VB 수지는 수성 또는 에멀젼 타입일 수 있으며, 소재 표면에 도장 후 용제가 건조되면 소재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PVB 수지는 유연성, 인장력 및 인성이 우수한 수지로서 필러블 도료 조성물을 소재로부터 쉽게 박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PVB 수지의 구조는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부티랄(butyral)기, 아세틸기, 하이드록시기를 반복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75756153-pat00001
특별히, 상기 PVB 수지의 분자량이 100,000 내지 210,000 g/mole일 경우, 박리성 및 저장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상기 PVB 수지가 170 내지 240 ㎛의 입자 크기를 가질 때, 박리성 및 저장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PVB 수지가 도료 조성물 전체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미만이면, 코팅액 안정성이 떨어지고 도포성이 나빠 도막 형성이 잘 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안료가 포함된 페인트를 제조할 수 없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상기 PVB 수지를 30 내지 8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며, 상기 소포제 외에도 레벨링제, 습윤 분산제, 방부제, 증점제, 동결방지제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 및 물성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첨가제에 해당될 수 있다. 특별히,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및 점도를 개선하여 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증점제의 예로서는 셀롤로오스, 아크릴 증점제, 우레탄 증점제, 왁스, Clay 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점제 함량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2 내지 2 중량부 일 때 적절한 점도를 가지므로 도막 형성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유리창에 투과되는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및 열 차단 효과가 우수한 무기소재는 TiO2, SiO2, ZnO, AlN, BN 및 Al2O3 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 소재 중 자외선 차단 효과가 더 우수한 무기소재는 TiO2, SiO2또는 ZnO일 수 있으며, 이들 입자는 100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자외선 차단 효과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열 차단 효과가 더 우수한 무기소재는 AlN, BN 또는 Al2O3 일 수 있으며, 이들 입자는 수십 ㎛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열 차단 효과에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가 더 포함될 경우 유리로부터의 박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수지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도료와 유리 표면과의 부착력을 낮추어 박리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무기소재의 입자 크기를 조절하여 자외선 및 열 차단 효과를 조절할 수 있고, 투명도 향상, 도료의 액 상태 저장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는 1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위해 위에 언급한 자외선 무기소재 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HALS 등), 산화 방지제 등의 유기물을 추가하여서도 자외선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백색 또는 흑색 등의 유색 안료가 더 포함될 경우, 가시광선(햇빛)의 투과율을 낮출 수 있어 기존의 가시광선 차단 용도의 필름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도료 조성물을 실내 유리창 또는 자동차 유리창 등에 도포할 경우 커튼이나 햇빛 가리개를 대체할 수 있다. 이후 상황에 따라 유리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으며, 박리 과정에서 점착 성분과 같은 이물질이 남지 않아 언제든지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안료가 포함될 경우 포함되는 안료의 함량이 30 중량부 초과할 경우 페인트의 안정성이 떨어져 페인트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도막 박리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상기 안료를 3 내지 30 중량부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에 실리카(SiO2), 탄산칼슘 또는 황산바륨과 같은 외부 시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포함하거나 추가로 유색 안료를 더 포함할 경우 도막의 불투명성을 높여 외부 시선 차단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외부 시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의 입자 크기, 분산 상태에 따라 차단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페인트의 저장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무기소재의 크기는 1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수성 용제를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도장의 작업성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제는 물을 포함하며, 추가로 알코올류, 셀로솔부류 및 카비톨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도료에 적용되는 수성 용제의 사용량이 적을 경우 건조 시간이 빠르고 점도가 높아 도포가 잘 안될 수 있으며, 상기 도료에 적용되는 수성 용제의 사용량이 많을 경우 건조 시간이 늦어지고 점도가 낮아 도포 시 도료가 흘러내려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8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 포함)
PVB 수분산 수지 PC-2(Shark-Solutions), 용제인 물, 증점제 N-250, 소포제 F-810(Tego) 및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를 하기 표 3과 같은 함량(단위 : g)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인 실시예 1 내지 8을 제조하였다.
구분 수지 용제 증점제 소포제 자외선 및 열 차단 무기소재
조성 PC-2 H2O N-250 F-810 TiO2
( 100㎚이하 )
SI
( 100㎚이하 )
ZnO
( 100㎚이하 )
AlN
(0.1~10㎛)
BN
(0.1~10㎛)
Al2O3
(0.1~10㎛)
실시예1 60 21 0.5 0.5 10
실시예2 62 22 0.5 0.5 15
실시예3 62 22 0.5 0.5 15
실시예4 62 22 0.5 0.5 15
실시예15 62 22 0.5 0.5 15
실시예6 62 22 0.5 0.5 15
실시예7 62 22 0.5 0.5 15
실시예8 64 25 0.5 0.5 10
이후 제조한 실시예 11 내지 8의 물성을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모두 유리로부터의 박리성 및 저장성이 우수하였으며, 자외선 차단율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가시광선 투과율은 높아 외부 시선 차단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적절하였다.
구분 박리성 저장안정성 가시광선
투과율( % )
자와선
차단율( % )
표면온도(
Figure 112021075756153-pat00002
실시예1 5 5 98 98 22
실시예2 5 5 94 99 23
실시예3 5 5 90 96 23
실시예4 5 4 97 98 20
실시예5 5 3 79 90 20
실시예6 5 3 72 90 20
실시예7 5 3 85 90 20
실시예8 5 4 90 87 21
* 박리성 측정 : 유리에 도포된 피막을 1일 후 박리(제거)할 때 상태를 5단계로 구별하여 평가(박리 후 소재의 상태 함께 평가) / 우수 5, 양호 4, 보통 3, 미흡 2, 불량 1
* 저장안정성 측정 : 최종 도료를 투명한 샘플통에 보관하여 침전 및 층분리, 에멀젼 상태를 평가 / 우수 5, 양호 4, 보통 3, 미흡 2, 불량 1
* 가시광선 투과율 :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 장비 LS162(필름투과율 측정기)로 유리에 도포된 피막을 측정(%로 표기)
* 자외선 차단율 : 자외선 차단 측정 장비 LS162(필름투과율 측정기)로 유리에 도포된 피막을 측정(%로 표기)
* 표면 온도 : 유리에 도포된 피막의 표면 온도를 비접촉 온도계로 측정
실시예 9 내지 13 (백색 및 흑색 안료 포함 / 가시광선 차단용)
PVB 수분산 수지 PC-2(Shark-Solutions), 용제인 물, 증점제 N-250, 소포제 F-810(Tego) 및 백색 또는 흑색 안료를 하기 표 3과 같은 함량(단위 : g)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인 실시예 9 내지 13을 제조하였다.
구분 수지 용제 증점제 소포제 백색
안료
흑색
안료
조성 PC-2 H2O N-250 F-810 TiO 2 (㎛) Any Black
실시예9 64 25 0.5 0.5 10 -
실시예10 66 28 0.5 0.5 15 -
실시예11 60 21 0.5 0.5 20 -
실시예12 62 22 0.5 0.5 - 5
실시예13 62 22 0.5 0.5 - 10
이후 제조한 실시예 9 내지 13의 물성을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였다. 특별히 도 3은 실시예 9(좌측 백색) 및 실시예 12(우측 흑색)에 따른 도료 조성물을 유리에 도포한 상태 및 이를 박리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 내지 13 모두 유리로부터의 박리성 및 저장성이 우수하며, 가시광선투과율이 낮아 외부 시선 차단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자외선 차단율 역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박리성 저장안정성 가시광선투과율( % ) 자외선 차단율( % )
실시예9 5 5 21 95
실시예10 5 5 15 98
실시예11 5 5 8 98
실시예12 5 5 22 80
실시예13 5 5 12 85
실시예 14 내지 18 (외부 시선 차단 무기소재의 종류, 크기 및 함량 차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종류, 크기 및 함량 차이에 따른 물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PVB 수분산 수지 PC-2(Shark-Solutions), 용제인 물, 증점제 N-250, 소포제 F-810(Tego) 및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를 하기 표 5와 같은 함량(단위 : g)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인 실시예 14 내지 18을 제조하였다.
구분 수지 용제 증점제 소포제 외부 시선 차단 무기소재
조성 PC-2 H2O N-250 F-810 SIO 2
( 15um )
탄산칼슘
( 20um )
황산바륨
( 20um )
실시예14 62 22 0.5 0.5 10
실시예15 62 22 0.5 0.5 15
실시예16 62 22 0.5 0.5 10
실시예17 62 22 0.5 0.5 15
실시예18 62 22 0.5 0.5 15
이후, 제조한 실시예 14 내지 18에 대한 물성을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4 및 실시예 15에 의해 제조된 도료가 유리창에 도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과 같이, 외부 시선 차단을 위한 무기소재의 함Žc이 커질수록 가시광선투과율과 불투명도(헤이즈)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시선 차단을 위한 무기소재의 입자 크기, 분산 상태에 따라 차단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페인트의 저장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분산 상태(입자 크기, 고형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박리성 관련하여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박리 과정 중에 유리창에 이물질이 남겨지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박리성 저장안정성 가시광선투과율( % ) 불투명도( 헤이즈 )
실시예14 5 5 22 3
실시예15 5 4 40 4
실시예16 5 5 34 3
실시예17 5 4 27 5
실시예18 5 4 31 4

Claims (11)

  1. 에멀젼 타입의 PVB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하는,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PVB 수지는 분자량이 100,000 내지 210,000 g/mole이고, 입자 크기가 170 내지 240 ㎛이고,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자외선 및 열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기소재는 TiO2, SiO2 및 ZnO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100n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및 열 차단용 필러블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에멀젼 타입의 PVB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소포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잔부인 물을 포함하는 수성 용제;를 포함하는,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PVB 수지는 분자량이 100,000 내지 210,000 g/mole이고, 입자 크기가 170 내지 240 ㎛이고,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10 내지 25 ㎛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SiO2, 탄산칼슘 및 황산 바륨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외부 시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무기소재를 더 포함하여 일정 이상 불투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시선 차단용 필러블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가시광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유색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하는 필러블 도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블 도료 조성물은 증점제, 레벨링제, 습윤 분산제, 방부제 또는 동결방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성 용제는 알코올류, 셀로솔부류 및 카비톨류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블 도료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된 필러블 도료 도막.
  9. 제1항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된 자외선 및 열 차단용 필러블 도료 도막.
  10. 제4항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된 외부 시선 차단용 필러블 도료 도막.
  11. 제5항에 따른 필러블 도료 조성물이 유리에 도포되어 형성된 가시광선 차단용 필러블 도료 도막.
KR1020210085940A 2021-06-30 2021-06-30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KR10238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40A KR102380356B1 (ko) 2021-06-30 2021-06-30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940A KR102380356B1 (ko) 2021-06-30 2021-06-30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356B1 true KR102380356B1 (ko) 2022-03-30

Family

ID=8094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940A KR102380356B1 (ko) 2021-06-30 2021-06-30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3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068A (ja) * 1991-12-18 1993-07-09 Denki Kagaku Kogyo Kk 易剥離性塗料組成物
JPH07126572A (ja) * 1993-10-28 1995-05-16 Nippon Carbide Ind Co Inc 可剥離性水系被覆組成物
KR20060084341A (ko)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지엔씨 천연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페인트제조방법
KR101714740B1 (ko) * 2016-05-17 2017-03-09 주식회사 노루알앤씨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수성 박리성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068A (ja) * 1991-12-18 1993-07-09 Denki Kagaku Kogyo Kk 易剥離性塗料組成物
JPH07126572A (ja) * 1993-10-28 1995-05-16 Nippon Carbide Ind Co Inc 可剥離性水系被覆組成物
KR20060084341A (ko)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지엔씨 천연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페인트제조방법
KR101714740B1 (ko) * 2016-05-17 2017-03-09 주식회사 노루알앤씨 폴리우레탄 수분산액을 포함하는 수성 박리성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148B1 (ko) 방오염성 보호 필름 및 이 방오염성 보호 필름을 표면에갖는 접착 시이트
EP0763584B1 (en) Coating-protective film
KR101797975B1 (ko) 세라믹 분말과 아크릴 혼합수지를 이용하고 하도 전처리가 필요없는 고탄성, 고부착성 방수 도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80356B1 (ko) 유리로부터 박리가 용이한 필러블 도료 조성물
KR102116375B1 (ko)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유리코팅용 필름
EP1278808A2 (en) Adhesive sheet and adhesion structure
AU2001257110A1 (en) Adhesive sheet and adhesion structure
JPH05501894A (ja) 保護用つや出し剤およびそれを作るためのプロセス
WO2007025788A1 (de) Halogenfreie selbstklebende schutzfolie
JP2015000910A (ja) 塗料組成物
KR101493517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912924A (ja) 撥水性保護塗料
KR102273973B1 (ko) 박리 용이성 도료 조성물
KR101818135B1 (ko) 오염 방지용 코팅제 조성물
KR102573596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7513B1 (ko) 투명 컬러 비산방지필름 제조 방법
CN109054676B (zh) 一种抑菌防紫外线窗膜
US7838116B2 (en) Silicone-coated architectural and decorative glass
KR102380355B1 (ko) 박리가 용이한 칠판 도료 조성물
KR20160034577A (ko) 에너지 절감형 투명도료의 제조방법
CN112552770A (zh) 具有防红外功能的多功能组合物及多功能膜
KR20210052682A (ko) 탄소섬유 복합재를 포함하는 내구성, 내열성 및 차열성능이 향상된 우레탄 도막 방수재
KR102644505B1 (ko) 자가치유 고경도 고발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코팅막
WO2013024781A1 (ja) 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KR20210013844A (ko) 페인트보호필름용 코팅층 조성물, 이의 경화물인 페인트보호필름용 코팅층, 및 코팅층을 포함하는 페인트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