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221B1 -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 - Google Patents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221B1
KR102380221B1 KR1020167026298A KR20167026298A KR102380221B1 KR 102380221 B1 KR102380221 B1 KR 102380221B1 KR 1020167026298 A KR1020167026298 A KR 1020167026298A KR 20167026298 A KR20167026298 A KR 20167026298A KR 102380221 B1 KR102380221 B1 KR 10238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administered
emulsion
mammal
tu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409A (ko
Inventor
에반 씨. 웅거
Original Assignee
에반 씨. 웅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반 씨. 웅거 filed Critical 에반 씨. 웅거
Publication of KR2016013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2Halogenated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38Radiosensitizing, i.e.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that enhance the effect of radi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8Enhancing the effect of the particle by an injected agent or implanted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분할 방사선요법과 화학요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용액 형태의 플루오로카본 에멀전, 여기서 언급한 플루오로카본은 4 ~ 8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WITH AN OXYGEN THERAPEUTIC}
본 발명은 화학요법 치료 및/또는 방사선요법의 반복 적용과 병행한 산소요법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증감제는 종양 세포를 방사선요법에 더욱 민감하게 만드는 약물이다. 방사선치료의 주된 한계 중 하나는 고형 종양 세포에서 산소가 결핍되는 것이다. 고형 종양은 혈액 공급을 과잉 증가시킴으로써 저산소증이라고 하는 저산소 상태를 유발한다. 산소는 강력한 방사선증감제로서 DNA를 손상시키는 프리라디칼을 형성시켜 주어진 방사선 선량에서 효과를 높인다. 저산소 환경에 있는 종양 세포는 보통의 산소 환경에 있는 경우보다 방사선 손상에 대한 저항력이 3배까지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용은 그림이 첨부된 다음의 상세 설명을 통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림에서 같은 요소를 지칭할 때 같은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그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림 1A는 쥐의 9 Hs-766T 췌장암 종양 이종이식편에서의 산소 농도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각 트레이스(라인)는 9마리의 쥐에서 발생한 9개의 종양을 나타낸다. 각 쥐에게 한 차례 NVX-108: 0.3 mL/kg(파란색 트레이스), 0.45 mL/Kg(녹색 트레이스) 또는 0.6 mL/kg(빨간색 트레이스)을 조사했다.
그림 1B는 NVX-108: 0.3 mL/kg(파란색 트레이스, n=2), 0.45 mL/Kg(녹색 트레이스, n=3) 또는 0.6 mL/kg(빨간색 트레이스, n=4)의 3가지 선량에서 쥐의 Hs-766T 췌장암 종양 이종이식편에 대한 평균 및 표준 오차 산소 농도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그림 2A는 3 그룹의 쥐에 대해 종양 성장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2B는 그림 2A의 두 치료 그룹에 대한 확장된 보기이다.
본 발명은 다음 설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며 여기서 참조하는 그림의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설명 전체에서 “하나의 실시예”, “실시예” 또는 이와 유사한 언어적 표현은 이 실시예와 연관하여 설명하는 특정한 요소, 구조 또는 특징이 현재 발명의 최소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설명 전체에서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또는 이와 유사한 언어적 표현은 반드지 그렇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는 요소, 구조 또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적합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다양한 특정한 세부 내용을 언급한다. 그러나 관련 전문가라면 하나 이상의 특정한 세부 내용 없이도, 또는 다른 방법, 성분, 물질 등을 가지고도 발명 사항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 다른 경우에, 잘 알려진 구조, 물질 또는 작업은 발명의 내용을 모호하게 하는 측면을 없애기 위해 세부적으로 나타내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도데카플루오로펜탄(DDFPe)는 단일 분할 방사선요법을 이용한 방사선요법의 증감제로 이전에 시험된 바 있다. 종양(이종이식편)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동물에게서 종양을 제거한 후, 세포를 분해하여 치료 효과를 시험했다. 종양 성장과 생존률 모두 평가되지 않았고 종양 pO2도 직접 평가되지 않았다. 화학요법과 병행한 DDFPe 투여 효과 및 분할 방사선요법과 병행한 DDFPe의 다중 조사 투여도 평가되지 않았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치료 대상 동물은 포유류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치료 대상 동물은 사람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투여량 범위는 약 0.01 cc/kg부터 약 1.0 cc/kg(2% DDFPe w/vol)까지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투여량 범위는 최대 30분 동안 주사 투여 또는 단일 볼루스로 투여한 약 0.05 cc/kg부터 0.3 cc/kg까지이다. 관련 전문가라면 알겠지만 에멀전에서 DDFP의 농도가 증가하면(예를 들어, 무게비로 5% 또는 10%까지 증가) 투여되는 양은 그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의 경우, 피험자는 산소 95%에 5% CO2부터 산소 98%에 2% CO2까지의 농도 범위를 이루는 산소와 CO2의 혼합 기체(예를 들어, 카보젠) 또는 산소를 흡입한다. 출원자는 카보젠과 산소 사용은 대등하지만 카보젠 사용에는 문제가 따르는 것으로 확인했다. 산소는 어디에든 존재하지만 카보젠은 특별 주문해야 한다.
DDFPe는 각 분할 방사선치료 전에 정맥 투여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DDFPe는 NVX-108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임상 개발 단계에 있는 제품으로 투여된다.
이전의 기술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분자량의 플루오로카본이 방사선증감제로 연구되었다. 방사선증감제로 연구된 물질로는 F-1,3-디메틸라다만테인, F-트리메틸바이시클로[3.3.1]노네인, F-트리부틸아민(FC-43, “한국 3M), 퍼플루오로데칼린 및 퍼플루오로옥틸브로마이드 등이 있다.
발명가는 저분자량 플루오로카본(FC), 특히 비등점이 약 -4℃부터 약 100℃까지인 FC가 비등점이 더 높은 고분자량 FC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욱 효과가 좋은 FC의 비등점 범위는 약 20℃부터 약 80℃까지이며, 범위를 더 좁히면 약 28℃부터 약 60℃까지이다. 이 발명에서 유용한 FC로는 퍼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헵탄 및 퍼플루오로옥탄 등이 있다. 특히 효과가 있는 FC는 퍼플루오로펜탄과 퍼플루오로헥산이며 이중에서도 퍼플루오로펜탄이 가장 효과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FC는 온도 제어된 고압의 균질화를 거쳐 에멀전으로 준비된다. 에멀전을 준비하기 위해 다양한 표면 활성제가 이용될 수 있다. 권장되는 표면 활성제는 포스포리피드이며 권장되는 포스포리피드의 조성은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클로린(DOPC) 및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놀아민-PEG-5,000(DOPE-PEG 5k)이다. 또 다른 권장 포스포리피드 혼합물로는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클로린(DPPC) 및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PEG-5,000(DPPE-PEG, 5k)가 있다. 권장 지질 비율은 DPPE-PEG 8몰 퍼센트에 DPPC 92몰 퍼센트이다. 비포화 포스파티딜 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한 지질 비율이 선호된다. 콜레스테롤, 포스파티드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및 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 등의 기타 지질도 위에서 언급한 지질과 혼합할 수 있다. 기타 유용한 표면 활성제로 PEG 텔로머(Telomer) B 및 캡스톤(듀폰) 등의 불소계 표면 활성제가 있다. 포스포리피드와 불소계 표면 활성제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표면 활성제로는 “Pluronic” F-68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표면 활성제가 있다.
제품의 점도를 높여 나노 에멀전의 침착을 줄이기 위해 제제에 비스코젠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비스코젠에는 분자량 약 400 ~ 8,000 MW 범위의 자당, 카복실메틸셀룰로스, 트레할로오스, 전분, Hextend®, 잔탄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또한 pH를 중성(pH = 7.0)에 가깝게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제에 인산나트륨 같은 버퍼액을 포함시키는 것도 좋다.
낮은 비등점의 FC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효능이 뛰어나 방사선 저항성이 효과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조사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VX-108은 2% w/vol DDFP에 그친다. 이전 물질은 10% w/vol FC 이상이었다. 본 발명에서 권장되는 중량 범위는 약 1% ~ 5% w/vol FC이며 2% w/vol FC가 가장 선호된다(예를 들어, 2% w/vol DDFP 또는 퍼플루오로헥산).
종양 이종이식편을 심은 동물에 대한 실험에서 종양 pO2에 미치는 NVX-108의 효과가 카보젠 및 산소를 흡입하는 동물의 경우와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동물에게서 종양 pO2에 미치는 효과가 더 적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비추어 피험자는 에멀전 투여 중 및/또는 이후, 그리고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 중 카보젠이나 보충 산소를 흡입할 수 있다.
방사선요법과 병행하여, 또는 방사선요법 전(예를 들어, 방사선요법을 받기 최대 약 120분 전)에 물질을 투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사선요법과 병행하거나 단독으로 화학요법을 DDFPe와 병행 투여한다. 본 발명에 다양한 항종양성 약물을 도입할 수 있다. 이런 약물로는 알킬화제, 대사 길항 물질,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 토포이소머라아제 억제제, 유사분열 억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기타 화학요법 약물, 표적 치료, 호르몬 요법 및 면역 요법 등이 있다.
NVX-108은 표 1에 기재한 성분을 가진 제제로 구성된다.
성분 규격 목적 농도(MG/ML)
도데카플루오로펜탄 의료용 활성 20
자당 의료용 첨가제 300
PEG 텔로머 B 정화 화학용 첨가제 3
주사액 USP 용매 Q.S. 최대 1 mL
질소 의료용 두부 공간 공기 대체 Q.S.
인산나트륨 USP 버퍼액 0.01 M
염산 USP 첨가제 Q.S.
일반적으로, 출원자의 플루오로카본 에멀전에는 어떤 산화 아미도아민 화합물도 포함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출원자의 플루오로카본 에멀전에는 어떤 플루오로화 산화 아미도아민 화합물도 포함되지 않는다.
알킬화제에는 메클로레타민(질소 머스터드), 클로람부실, 시클로포스파미드(Cytoxan®), 이포스파미드 및 멜파란 등의 질소 머스터드; 스트렙토조신, 카무스틴(BCNU) 및 로머스틴을 포함한 니트로소요소; 그리고 부술판 등의 알킬 설포네이트; 다카바진(DTIC) 및 테모졸로마이드(테모다) 같은 트리아진; 티오테파 및 알트레타민(헥사메틸멜라민) 등의 에틸렌이민 등이 있다. 백금 약물(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및 옥살라플라틴)은 세포를 유사한 방식으로 사멸시키기 때문에 알킬화제류에 포함되기도 한다.
대사 길항 물질의 예로는 5-플루오로유라실(5-FU), 6-머캅토퓨린(6-MP), 카페시타빈(XELODA), 클라드리빈, 클로파라빈, 시타라빈(ARA-C), 플룩스리딘, 플루다라빈, 젬시타빈(GEMZAR), 하이드록시요소, 메토트렉사이트, 페미트렉시드(ALIMTA), 펜토스타틴 및 티오구아닌 등이 있다.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에는 다우노마이신, 독소루비신(ADRIAMYCIN) 및 에피루비신 등이 있다.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물질이 아닌 이다루비신 항종양 항생제에는 액티노마이신-블레오마이신 및 미토마이신-C 등이 있다. 미토잔트론은 여러 가지로 독소루비신과 유사한 항종양 항생제이다. 토포이소머라아제 I 억제제의 예로는 토포테칸 및 이리노테칸(CPT-11)이 있다. 토포이소머라아제 II 억제제의 예로는 에토포시드(VP-16) 및 테니포시드가 있다. 미토잔트론도 토포이소머라아제 II를 억제한다. 유사분열 억제제의 예로는 파클리탁셀(TAXOl) 및 도세탁셀(TAXOTERE) 등의 탁산이 있다. 에포틸론에는 이자베필론(IXEMPRA)이 있다. 빈카 알칼로이드에는 빈블라스틴(VELBAN), 빈크리스틴(ONCOVIN) 및 비노렐빈(NAVELBINE) 및 에스트라머스틴(EMCYT)이 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예로는 프레드니손, 메틸프레드니솔론(SOLUMEDROL) 및 덱사메타손(DECADRON)이 있다. 표적 치료의 예로는 이마티닙(GLEEVEC), 제피티팁(IRESSA), 서니티닙(SUTENT) 및 보르테조밉(VELCADE)이 있다.
분화제의 예로는 레티노이드, 트레티노인(ATRA 또는 ATRALIN) 및 벡사로텐(TARGRETIN), 그리고 삼산화 비소(ARSENOX)가 있다. 호르몬 치료제의 예로는 풀베스란트(FASLODEX), 타목시펜 및 토레미펜(FARESTON) 등의 항여포호르몬이 있다. 아로마타제 억제제에는 아마스트로졸(ARIMIDEX), 엑세메스탄(AROMASIN) 및 레트로졸(FEMARA)이 있다. 프로제스틴에는 메제스트롤 아세테이트(MEGACE) 및 에스트로겐이 있다. 항 안드로겐에는 비칼루타미드(CASODEX), 플루타미드(EULEXIN) 및 닐루타미드(NILANDRON)가 있다. 황체 형성 호르몬 배출 호르몬(LHRH) 작용물질 또는 유사체로도 알려진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에는 루프롤라이드(LUPRON) 및 고세렐린(ZOLADEX)이 있다.
면역요법의 종류와 몇 가지 예에는 리툭시맙(RITUXAN) 및 알렘투주맙(CAMPATH) 같은 단클론 항체 요법(수동적 면역요법)이 있다. 비특이 면역요법과 보조제(면역 반응을 증강시키는 기타 물질이나 세포)에는 BCG, 인터류킨-2(IL-2) 및 인터페론-알파가 포함된다. 탈리도마이드 및 레날리도마이드(REVLIMID) 등의 면역 제어 약제. 암 백신(진행성 전립선암용 PROVENGE 백신 등의 활성 특이 면역요법)을 DDFPe 및 현재 개발 중인 기타 백신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면역 세포는 종양 재산소화를 통해 얻어지는 산화성 환경에서 보다 활동적이기 때문에 FC 투여는 면역요법, 예를 들어 Yervoy®(이필리무맙)의 활성도를 높인다. FC 에멀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면역 제어 약제로는 PD-L1 발현 억제제가 포함된다. 단클론 항체가 본 발명 물질에 특히 유용하다. 항체는 암을 거부하는 면역 반응을 촉발시키는 백신으로 이용될 수 있다. 면역체계의 비특이 자극제를 본 발명 물질에 이용할 수 있다. 인터페론-알파 및 인터류킨-2 같은 인터류킨 및 인터페론 등의 시토카인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 물질에 유용한 항체에는 알렘투주맙, 베바시주맙, 브렌툭시맙 베도틴, 세툭시맙, 젬투주맙 오조가미신, 이브리투모맙 튜세탄, 이필리무맙, 니볼루맙, 오파투무맙, 파니투무맙, 리툭시맙, 토시투모맙 및 트라추주맙이 있다. 본 발명 물질은 양자 T-세포 요법 항-CD47 항체, 항-GD2 항체, 면역 관문 차단제 및 EGF 수용체 항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에멀전 투여는 종양 조직의 산소를 높이는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산소를 높이고 면역 체계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킴으로써 면역 기전이 산화성 스트레스를 가속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소 치료는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줄임으로써 공격적인 저산소증 매개 표현형을 면역 체계에 의해 보다 쉽게 억제되는 덜 공격적인 표현형으로 변환시킨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출원자의 발명에는 NVX-108 등(이에 국한되지 않음) 필요한 환자에게 치료적으로 효과가 있는 용량의 산소 치료를 투여함으로써 유전자 표현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포함된다.
가능하면 보충 산소나 카보젠을 흡입하면서 DDFPe를 투여하면 종양 산소화가 증가하여 화학요법 약물의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동시 방사선요법으로도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관련 전문가에게 발명 약물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적용예로서 다음을 제시한다.
적용예 1
도데카플루오로펜탄 에멀전 조제
실온에서 주입하기 위해 적당량의 USP 등급 자당을 물에 용해시켜 30% 자당 수용액을 만든 다음, pH 7.0에서 시스템을 버퍼링하기 위해 아인산 이수소나트륨을 섞었다. 두 번째 용기에 다음과 같이 DDFP:PEG 텔로머 B : 7:1(w:w)의 비율로 Peg 텔로머 B에 DDFP(도데카플루오로펜탄) 현탁액을 조제했다. 주입을 위한 PEG 텔로머 B를 4℃로 냉각시킨 냉각 재킷 용기에서 물에 섞었다. 사전 냉각된(4℃) DDFP를 휘저은 PEG 텔로머 B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우윳빛으로 현탁될 때까지 잘 섞어주었다. 이 현탁액을 Avestin 모델 C50 균질기에 넣고 온도를 7℃ 이하로 유지하면서 고압으로 최대 18분 동안 균질화시켰다. 이 에멀전을 저압에서 균질기를 통해 30% 자당 수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로 옮겼다.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최대 20분 동안 휘저은 다음 저압 상태의 균질기를 통해 두 번째 용기로 옮겼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0.2미크론 필터를 걸쳐 세 번째 용기로 옮겼다. 생성물을 바이알에 넣고 뚜껑을 닫은 후 크림프로 조였다. 이러한 작업은 활성 성분(DDFP)의 휘발성 때문에 냉각 재킷 용기에서 8℃ 이하 온도를 유지하면서 수행했다. 처리 중의 손실을 감안하여 활성 성분의 양을 조금 더 늘렸다. 배출 및 보관 조건을 충족하는 바이알을 만들기 위해 생성물의 채움량도 정확하게 제어했다. 2% w/vol DDPE의 최종 생성물이 얻어졌다. Nycomps를 이용한 입도 분석 결과 평균 입도는 약 250 nm였다.
적용예 2
쥐에 이식한 Hs-766t 췌장암 이종이식편에 대해 실험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 이용된 Hs-766T(췌장; ATCC 카탈로그 번호 HTB-134) 세포 라인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버지니아 머내서스)에서 획득했으며 University of Arizona Experimental Mouse Shared Services(EMSS, 아리조나 대학)를 통해 처리, 보관 및 관리했다. 세포는 글루코스 함량이 높은 L-글루타민 및 10% 소태아혈청을 포함한 DMEM(Mediatech)에서 배양하고 5% CO2, 37℃ 환경에서 유지했다. 종양 세포는 ATCC 세포 인증 테스트 서비스에서 PCR/STR(Short Tandem Repeat) 프로파일링을 이용해 인증했다. Universal Mycoplasma Detection Kit(ATCC, 30-1012K)를 이용해 세포의 마이코플라스마를 주기적으로 테스트했으며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
이 연구에서는 생후 5-8주 된 29마리의 SCID 쥐를 이용했다. 쥐의 모든 먹이 공급, 사육 및 병 치료는 IACUC 승인 가이드라인과 프로토콜에 따라 EMSS에서 관리했다. 쥐들을 4마리 이하의 그룹으로 분리했으며 임의로 먹이와 물을 공급했다. 주입 전에 종양 이종이식편에 적합한 부위를 정확하게 찾기 위해 쥐의 털을 깎았다. 각 쥐의 왼쪽 뒤 측면 피하에 종양 세포(Matrigel™에 10 x 106 세포; BD Bioscience)를 주입했다. 전자 캘리퍼를 이용하여 매주 두 차례 종양 크기 평가를 실시하여 종양 크기를 확인했다((a2 x b2)/2). 종양이 평균 500-700 mm3 부피에 도달했을 때 쥐를 6개 그룹 중 하나로 무작위 배정했다. 종양 O2 측정을 위한 3개 그룹과 종양 성장 측정을 위한 3개 그룹이 있었다.
쥐 9마리에 대해 종양 pO2 측정이 수행되었다. 0.3(쥐 2마리), 0.45(3마리) 및 0.6(4마리) mL/kg(2% w/vol 에멀전)의 NVX-108이 투여되었다. 다른 20마리의 쥐에 대해 종양 성장률을 연구했다. 이들 쥐는 다음 3가지 치료 그룹에 배정되었다. 그룹 1: 치료 없음(4마리), 그룹 2: 12 Gy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동안 카보젠 흡입(8마리), 그룹 3: NVX-108로 치료하고(kg당 0.6 cc, 30분 동안 정맥을 통해 2% w/vol 도데카플루오로펜탄(DDFP)을 투여하고 주입 마지막에 방사선 조사) 12 Gy 방사선 조사를 이용해 치료하는 동안 카보젠 흡입(8마리).
각 쥐에게 움직이지 못하게 자일라진(5 mg/kg IP)과 함께 케타민(20 mg/kg IP)을 투여했으며 꼬리 정맥 주입(TVI)을 위해 꼬리 정맥 카테터를 장착했다. 꼬리-정맥 카테터 사용을 위해 PE 50 튜브에 맞게 개조한 27-게이지 니들 카테터를 제작했다. 3-0 봉합선과 특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해 각 쥐의 꼬리 양쪽에 이 카테터를 단단히 부착했다. 카테터 부착 후, 쥐를 맞춤 제작된 가스 챔버에 넣고 10분마다 환기되는 카보젠(95% O2, 5% CO2)을 공급했다. 구분된 방사선 조사를 위해 측면 종양 이종이식편을 분리시키는 납 차폐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쥐를 맞춤 제작된 구속 장치에 고정시켰다. 10분 간격으로 환기되는 카보젠(95% O2, 5% CO2)이 흐르는 맞춤 제작된 가스 챔버 내에서 모든 쥐의 종양에 12 Gy의 단일 분할 방사선을 조사했다. XRT 조사 시간은 “지정된 선량/선량률” = (1200 cGy)/(87.9 cGy/min)이 13.65분(13분39초) 동안 종양에 투여한 단일 분할 방사선에 해당한다는 원리에 기초하여 계산했다. 그룹 2의 경우, 꼬리 정맥 주입(TVI)(시간 0:00)을 통해 200 ?L 멸균 식염수를 주입했으며, 이것은 카보젠 흡입 10분 전, 그리고 방사선 조사 16.35분(16분21초) 전 허위 주입을 시작하는 역할을 했다. 그룹 3의 경우, 카보젠 흡입 10분 전, 그리고 방사선 조사 16.35분 전에 NVX-108 200 ?L를 TVI(시간 0:00)로 주입했다. 각 그룹에 동시 투여하기 위해 꼬리 정맥 주입에 다중 시린지 펌프가 이용되었다. NVX-108 및 식염수의 동시 주입으로 0:00분에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어서 10분에 카보젠 흡입이 시작되고 16.35분에 방사선이 조사되었다.
방사선 조사가 완료된 후, 쥐가 회복을 거치고 임의대로 음식과 물을 섭취하도록 했다. 매주 두 차례 종양 크기 2차원 측정을 수행했다. 종양 크기가 2000 mm3 이상일 때는 쥐를 폐사시켰다.
모든 종양에 주촉성으로 삽입한 OxyLab(Oxford Optronics, 영국 옥스포드) 삼중 파라미터 E-시리즈 광섬유 프로브를 이용하여 종양 산소화와 혈류 수준을 모니터링했다. Chart™ for Windows™(버전 5.02, ADInstruments, 호주)에서 실행되는 다중 채널 데이터 수집 시스템(PowerLab 8SP, ADInstruments, 호주)을 이용하여 이러한 모니터로부터 산소 분압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했다.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마취시킨 쥐(Isoflurane®, 100% O2)를 맞춤 고정 플랫폼에 고정시키고 체내 중심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열 패드를 장착했다. 저산소증 프로브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외부 광원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 프로브 아티팩트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2-4mm 깊이까지 19 게이지 바늘을 종양에 찔러 넣었으며 마이크로프로브(외경 약 450 ㎛)를 바늘에 통과시켜 종양 이종이식편에 집어 넣고 주촉성 방법을 이용해 제 위치에 고정시켰다. 모든 종양에서 동일한 깊이에 도달하도록 마이크로프로브에 눈금을 주의하여 표시했다. 프로브가 안정화되고 움직이지 않게 된 후, 안정적인 베이스라인이 관찰될 때까지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했다(5-10분). 카보젠에 대한 베이스라인에서 10분 동안 실시간 측정을 수행한 다음, 쥐가 계속해서 카보젠을 흡입하는 동안 꼬리 정맥을 통해 0.3, 0.45 또는 0.6 cc/kg NVX-108(NuvOx Pharma 아리조나 투산)의 투여량으로 200 ㎕를 정맥 내에 주입했다.
적용예 3
다형성신경교아증(GBM) 치료
한 GBM 환자가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가돌리늄 강화 MRI로 촬영한 결과 강화 종양이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환자를 30회로 분할하여 2 Gray(Gy) 방사선을 6주 동안 조사하여 총 60 Gy로 치료했으며 이와 함께 방사선요법을 시작한 첫 날부터 마지막 날까지 주 7일, 하루 75 mg/m2 투여량으로 테모졸아미드를 경구 투여했다. 이 환자는 정맥내로 PICC를 받았다. DDFPe가 0.05 cc/kg(2% w/vol) 투여량으로 정맥내에 30분 동안 투여되었으며 각 방사선 치료를 시작하기 약 30분 전에 주입이 시작되었다. 종양 저산소증의 역전을 보여주기 위해 자기공명 TOLD 스캔이 수행되었다.
정맥내 가돌리늄 조영제로 수행한 후속 MRI에서 DDFPe 없이 치료한 환자와 비교하여 종양이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수술 후 베이스라인 MRI 스캔을 아래 왼쪽에 나타내었다. 흰색 화살표가 중앙 왼쪽 측두엽에 강화 종양이 남아 있는 곳을 가리키고 있다. 오른쪽 스캔은 화학-방사선 치료와 DDFPe 치료를 완료하고 4주가 지났을 때의 결과이다. 흰색 화살표가 강화 종양이 남아 있는 곳을 가리키고 있다. 강화 종양이 약 80% 감소했다. 환자는 현재 생존해 있으며 치료 완료 6개월 이상이 지났지만 별 다른 이상이 없다.
Figure 112020016400513-pct00010
적용예 4
다형성신경교아증(GBM) 치료
또 다른 GBM 환자가 수술을 받았고 조영제 강화 MRI에서 잔류 종양이 드러났다. 이 환자는 DDFPe 0.1 cc/kg 투여량을 이용했다는 점만 제외하고 적용예 1(위 내용 참고)의 경우와 같이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는 치료를 잘 견뎠다. 치료에 동의한 다음 환자는 분할 방식으로 화학-방사선 치료를 받는 동안 DDFPe 0.17 cc/kg으로 치료할 예정이다.
예견적 적용예 1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Belani 등이 프로토콜에서 설명한 내용에 따라 흉곽 방사선요법과 병행 화학요법으로 치료했다. "순차적인 화학요법은 2회 3주 주기로 파클리탁셀 200 mg/m2를 3시간에 걸쳐 투여하고, 곧바로 이어 혈장 농도 시간 곡선(AUC) = 6 mg/mL·min 아래 영역에 카보플라틴을 30분에 걸쳐 정맥 내 주입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흉곽 방사선요법은 42일차에 시작되었으며 주 5차례에 걸쳐 매일 1.8 Gy(초기 필드로 5주 동안 45.0 Gy 목표 선량)를 조사한 다음, 필드를 줄여, 그러나 2.0cm3 이상의 커진 림프절은 포함시켜 초기 종양 부피에 매일 2.0 Gy 분할 선량으로 총 18.0 Gy의 방사선을 조사했다(7주간 34분할 조사로 총 63.0 Gy 선량 조사)." DDFPe는 각 분할 방사선요법(RT)에 대해 RT 시작 30분 전에 15분에 걸쳐 정맥 내에 주입했다. DDFPe 치료를 받은 환자는 식사를 잘 하게 되었다.
예견적 적용예 2
1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세 차례의 15 Gy 조사로 1주 동안 총 45 Gy를 조사하는 소분할 방사선요법으로 치료했다. 이것은 112.5 Gy의 생물학적 등가 선량(BED)에 해당한다. 각 방사선 조사 30~60분 전에 환자에게 0.17 cc/kg NVX-108(2% w/vol DDFPe) 용량을 정맥 내에 투여했다. 후속 조사에서 DDFPe로 치료하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관찰 결과보다 치료 종양이 더 많이 사멸되었다.
예견적 적용예 3
한 여성 자궁경부암 환자를 방사성요법과 화학요법에 병행해 NVX-108로 치료했다. 방사선 선량은 20회 분할로 45 Gray(Gy)를 조사했으며, 이어서 자궁경부 부위에 30 Gy의 낮은 선량률을 강내에 적용했다. 화학요법으로는 최대 6주 주기 동안 매주 40 mg/m2의 시스플라틴을 정맥 내에 투여했다. 이 환자에게 매 방사선 분할 조사 60분 전에 0.2 cc/kg 용량의 NVX-108(2% w/vol DDFPe)을 정맥 내에 투여했다. 후속 조사에서 치료 반응이 확실하게 나타났다.
예견적 적용예 4
머리와 목 부위에 편평세포암종이 있는 환자에게 매주 2회 정맥 내 주입으로 0.50 units/kg(20 units/m2)의 블레오마이신을 투여해 치료했다. 블레오마이신을 투여할 때마다 환자에게 카보젠(98% O2/2% CO2)을 흡입시키면서 0.2 cc/kg의 2% w/vol 퍼플루오로헥산 에멀전을 투여했다. 종양 조직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증가하면서 블레오마이신의 활동성이 증가해 개선된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예견적 적용예 5
성인 배세포 난소암 환자를 4주마다 5일 동안 500 mcg/day의 닥티노마이신으로 치료했다. 각 닥티노마이신 바이알에는 0.5 mg(500 mcg)의 닥티노마이신과 20 mg의 마니톨이 들어 있으며 환자 정맥 내에 투여된다. DDFPe(0.2 cc/kg, 2% w/vol DDFP)가 닥티노마이신 투여와 병행하여 매번 정맥 내에 주입되었다. 환자는 주입하는 동안, 그리고 주입 후에 30분 동안 카보젠을 흡입했다. 종양 조직에서 산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약물의 활성도가 개선되는 효과를 보았다.
예견적 적용예 6
라보근육종 성인 환자에게 1.4 mg/m2의 빈크리스틴을 정맥 내 투여하여 치료했다. 이와 병행하여 실내 공기로 호흡하면서 환자에게 0.1 cc/kg의 DDFPe를 투여했다. 실내 공기를 흡입했음에도 종양 조직에서 산소 농도가 증가하여 약물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효과를 보았다.
예견적 적용예 7
한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니트로소요소(1,3-비스(2-클로로에틸)-1-니트로소요소)인 BiCNU®(주사용 카무스틴)와 병행하여 프레드니손으로 치료했다. 이전에 치료를 받지 않은 이 환자에게 6주마다 200 mg/m2의 BiCNU를 정맥 내에 투여했다. 이 투여량을 이틀간 연속해서 일일 100 mg/m2의 양으로 투여했다. DDFPe는 환자가 60분 동안 보충 산소를 흡입하는 동안 매 BiCNU 투여와 함께 정맥 내에 투여했다(투여량 = 0.2 cc/kg, 2% w/vol DDFP). 6주 후 순환하는 혈액 요소가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돌아오면(혈소판이 100,000/mm3 이상, 백혈구가 4,000/mm3 이상) BiCNU를 반복해서 다시 투여했으며, DDFPe도 BiCNU와 병행해 투여했다.
예견적 적용예 8
한 전립선암 환자가 외부 빔 방사선요법과 고선량률 브라키테라피를 이용한 임시 시드 임플란트로 병용 치료를 받았다. 전립선암에 대해 45Gy의 외부 빔 방사선요법을 받고 약 3주가 지난 후, 고선량률 브라키테라피를 이용한 임시 시드 임플란트가 수행되었다. 환자가 수술실로 들어와 마취가 진행되었다. 직장 초음파 프로브를 직장에 삽입한 다음, 프로브를 바닥에 장착된 스테핑 장치에 고정시켰다. 바늘 가이드/회음부 틀이 스테핑 장치에 부착되고 회음부 피부에 맞대어졌다. 20개의 금속 바늘을 틀에 통과시켜 회음에 밀어 빼낸 후, 전립성 중간으로 전진시켰다. 바늘을 플라스틱 카테터로 대체했다. 회복 후, 환자가 방사선 종양학 부서로 옮겨졌다. 카테터 배치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CT를 촬영했다. 컴퓨터로 제어되는 이 고선량률 방사성요법 장치에는 선량측정 계획으로 결정되는 로딩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간극 카테터를 통과해 방사선 이리듐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소스 구동 장치가 들어 있다. 고선량률 브라키테라피 시술을 수행하는 데는 약 10-15분이 소요되며 이는 이리듐 와이어를 각 간극 카테터로 전진시키기 위한 시간이다. 이 시술이 한 번 더 반복되고 환자가 병실로 옮겨져 6시간 동안 머물다가 더 높은 선랑률의 브라키테라피 투여를 두 차례 받기 위해 이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예를 들어, 이 과정에서는 아침에 두 번, 오후에 두 번 이리듐 와이어를 각 카테터로 총 4번 전진시키는 작업이 진행되며 각 세션에 총 3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각 치료 세션 중에 환자에게 카보젠을 흡입시키면서 30분에 걸쳐 0.2 cc/kg의 DDFPe를 투여한다. http://prostate-cancer.org/temporary-seed-implant-with-high-dose-rate-brachytherapy/
예견적 적용예 9
4기 윌름즈 종양 상태의 소아 환자를 닥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및 빈크리스틴으로 65주 동안 치료했다. 약물 투여량은 다음과 같다: 닥티노마이신(15 mcg/kg/ d [IV]), 빈크리스틴(1.5 mg/m 2주 [IV]), 아드리아마이신(독소루비신 20 mg/m 2/d [IV]) 및 시클로포스파미드(10 mg/kg/d [IV]). 닥티노마이신 투여는 수술 후, 그리고 13, 26, 39, 52 및 65주차에 제공되었다. 빈크리스틴은 각 아드리아마이신 투여 1 및 8일차에 제공되었다. 아드리아마이신은 6, 19, 32, 45 및 58주차에 하루 세 번 투여로 제공되었다.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수술 후 닥티노마이신 투여를 제외하고 각 아드리아마이신 및 닥티노마이신 투여 중에 하루 세 번 투여로 제공되었다. 닥티노마이신 및 빈크리스틴을 투여할 때마다 환자가 보충 산소를 흡입하는 동안 DDFPe 0.2 cc/kg을 함께 투여했다. * 참고 문헌: D'angio, Giulio J. 외, “Treatment of Wilms' tumor. Results of the third national Wilms' tumor study.” Cancer 64.2 (1989): 349-360.
예견적 적용예 10
수술로 제거할 수 없는 간암 환자를 소라페닙으로 치료하고 있다. 이 환자는 경구형 소라페닙을 하루 400 mg(2 x 200 mg) 복용하고 있다. 단일 환경에서 이 환자는 이트륨-90이 구 내에 한정되어 있는 불용성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로 이루어진 TheraSphere로도 치료를 받고 있다. 간동맥에 카테터를 꽂고 종양 혈관상을 TheraSphere로 색전시켜 간동맥을 통한 주입으로 100 Gy의 TheraSphere 목표 투여량을 공급했다. 0.1 cc/kg의 DDFPe 투여량을 산소와 결합시켜 색전 사술 중에 간동맥으로 주입시켰다.
예견적 적용예 11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UTSCC33(구강암), FADUDD(FaDu 아류, 미분화 하인두암) 및 SiHa 자궁경부암, HPV-양성(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얻음) 세포 라인을 가진 쥐에게서 이종이식편 종양을 얻었다. 참고 문헌: Toustrup, Kasper 외, “Development of a hypoxia gene expression classifier with predictive impact for hypoxic modification of radio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Cancer research 71.17 (2011): 5923-5931 (이하 “Toustrup”라고 칭함).
각 형태의 종양이 있는 쥐를 DDFPe 치료 그룹과 통제 그룹(동일 양의 식염수 주입)의 두 그룹에 무작위 배정했다. DDFPe 치료로 14일 동안 매일 0.3 cc/kg의 DDFPe를 정맥내에 주입했다. 14일 후, 쥐가 폐사했으며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종양을 분석했다. 제조업체 지침에 따라 RNeasy-키트(Qiagen)를 이용해 신선 동결시킨 조직의 Toustrup RNA를 추출했다. 대용량 cDNA Archive 키트(Applied Biosystems; ABI)를 이용해 cDNA를 생성하고 qPCR을 이용해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했다. FFPE 샘플에 기초한 cDNA는 실시간 qPCR 전에 제조업체 정보(TaqMan PreAmp, ABI)에 따라 사전 증식시켰다. 타겟 전사물을 감지하기 위해 모든 잠재적인 분류 요소와 참조 유전자에 대해 TaqMan Gene Expression 분석물(ABI)을 사용했다. 타겟 유전자(저산소증 종양에서 증강되고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종양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에는 다음이 있다: ADM(스트레스 반응), ALDOA(포도당 대사), ANKRD37(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BNIP3(세포 소멸), BNIP3L(세포 소멸), C3orf28(알 수 없음), EGNL3(HIF-1 활동 조절), KCTD11(세포 소멸), LOX(세포외 기질 대사), NDRG1(스트레스 반응), P4HA1(세포외 기질 대사), P4HA2(세포외 기질 대사), PDK1(에너지 대사), PFKFB3(포도당 대사) 및 SLC2A1(포도당 대사). DDFPe로 치료한 동물의 종양 이종이식편에 대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해보니 식염수 주입으로 치료한 동물의 종양 조직 시료에서보다 저산소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견적 적용예 12
다음 예견적 적용예는 DDFPe의 투여가 저산소증 종양 조직에서 과도 발현된 유전자의 발현을 저하시키고 놀목식 조직에서 발현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강시키는 양상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이다(즉, 유전자 발현 표준화). 9L 신경 교종 종양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Fischer 344 쥐(F344/Ncr; National Cancer Institute, Frederick, MD)를 이용했다. 이전의 설명과 같이 9L 신경 교종 여러 개를 복벽 동맥/복벽 정맥 쌍으로 묶었다. 종양 무게가 약 1.5g에 이를 때까지(이 단계가 되면 안락사시키고 종양을 제거하고 신선 동결시킴) 동물에게 매일 0.45 cc/kg DDFPe 또는 식염수를 정맥 내에 주입했다. 종양의 유전자 발현을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유사하게 분석했다. 통제 그룹에서 관찰된 증강된 유전자에는 BCL2/아데노바이러스 E1B 19 kDa-상호 작용 단백질 3, 힘옥시게나제(디사이클링) 1, 활성 전사 인자 3, 열충격단백질(HSP27), N-myc 하향 조절 유전자 1, 탄산무수화효소 9 등이 포함되었다. 통제 그룹에서 감소된 유전자에는 Ly6-C 항원, 용질 운반군 44(구성원2), 9-유사체를 포함한 멸균 알파 모티프 도메인, DEAD(Asp-Glu-Ala-Asp) 박스 폴리펩티드 60 및 CD3 분자 델타 폴리펩티드 등이 포함되었다. DDFPe로 치료한 동물의 9-L 신경 교종 조직으로 얻어진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결과 통제 그룹의 동물에서 증강된 유전자 발현이 크게 감소하고 통제 그룹 동물에서 감소한 유전자의 발현은 크기 증가했다. 즉, DDFPe로 치료한 동물의 종양에서 유전자 발현이 표준화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참고 문헌: Marotta, Diane 외, “In vivo profiling of hypoxic gene expression in gliomas using the hypoxia marker EF5 and laser-capture microdissection.” Cancer research 71.3 (2011): 779-789.
예견적 적용예 13
예 1에서 설명한 대로 30% 자당 용액을 만들었다. 두 번째 용기에 다음 조성을 가진 포스포리피드, DPPC 및 DPPE-PEG 5k의 혼합물 현탁액(92% DPPC 몰비와 8 몰 퍼센트 DPPE-PEG)을 모든 지질의 상전이 온도 이상의 물에서 준비했다. 지질을 분산시킨 후, 현탁액을 4℃로 냉각시키고 물 재킷 용기에서 휘저었다. 사전 냉각된(4℃) DDFP를 7대1의 무게비로 휘저은 포스포리피드 현탁액에 첨가하고 균질한 우윳빛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휘저었다. 이 현탁액을 Avestin 모델 C50 균질기에서 7℃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장 18분 동안 고압으로 균질화시켰다. 에멀전을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30% 자당 수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로 옮겼다.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최대 20분 동안 휘저은 다음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두 번째 용기로 옮겼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0.2미크론 필터를 거쳐 세 번째 용기로 옮겼다. 생성물을 바이알에 넣고 마개를 닫은 다음 클램프로 조였다. 활성 성분(DDFP)의 휘발성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저온수 재킷 용기에서 8℃ 미만 온도로 수행했다. 활성 성분을 약간 더 공급함으로써 가압 과정 중의 손실을 보상했다. 배출 및 보관 규격을 충족하는 바이알을 만들기 위해 생성물 채움량도 치밀하게 제어했다.
예견적 적용예 14
예 1에서 설명한 대로 30% 자당 용액을 만들었다. 두 번째 용기에 다음 조성을 가진 포스포리피드, DPPC 및 DPPE-PEG 5k의 혼합물 현탁액을 모든 지질의 상전이 온도 이상의 물에서 준비했다. 지질을 분산시킨 후, 현탁액을 4℃로 냉각시키고 물 재킷 용기에서 휘저었다. 사전 냉각된(4℃) 퍼플루오로헥산을 7대1의 무게비로 휘저은 포스포리피드 현탁액에 첨가하고 균질한 우윳빛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휘저었다. 이 현탁액을 Avestin 모델 C50 균질기에서 7℃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장 18분 동안 고압으로 균질화시켰다. 에멀전을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30% 자당 수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로 옮겼다.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최대 20분 동안 휘저은 다음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두 번째 용기로 옮겼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0.2미크론 필터를 거쳐 세 번째 용기로 옮겼다. 생성물을 바이알에 넣고 마개를 닫은 다음 클램프로 조였다. 활성 성분(퍼플루오로헥산)의 휘발성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저온수 재킷 용기에서 8℃ 미만 온도로 수행했다. 활성 성분을 약간 더 공급함으로써 가압 과정 중의 손실을 보상했다. 배출 및 보관 규격을 충족하는 바이알을 만들기 위해 생성물 채움량도 치밀하게 제어했다.
예견적 적용예 15
예 1에서 설명한 대로 30% 자당 용액을 만들었다. 두 번째 용기에 다음 조성을 가진 포스포리피드, DPPC 및 DPPE-PEG 5k의 혼합물 현탁액을 모든 지질의 상전이 온도 이상의 물에서 준비했다. 지질을 분산시킨 후, 현탁액을 4℃로 냉각시키고 물 재킷 용기에서 휘저었다. 사전 냉각된(4℃) 퍼플루오로헵탄을 7대1의 무게비로 휘저은 포스포리피드 현탁액에 첨가하고 균질한 우윳빛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휘저었다. 이 현탁액을 Avestin 모델 C50 균질기에서 7℃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장 18분 동안 고압으로 균질화시켰다. 에멀전을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30% 자당 수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로 옮겼다.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최대 20분 동안 휘저은 다음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두 번째 용기로 옮겼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0.2미크론 필터를 거쳐 세 번째 용기로 옮겼다. 생성물을 바이알에 넣고 마개를 닫은 다음 클램프로 조였다. 활성 성분(퍼플루오로헵탄)의 휘발성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저온수 재킷 용기에서 8℃ 미만 온도로 수행했다. 활성 성분을 약간 더 공급함으로써 가압 과정 중의 손실을 보상했다. 배출 및 보관 규격을 충족하는 바이알을 만들기 위해 생성물 채움량도 치밀하게 제어했다.
예견적 적용예 16
예 1에서 설명한 대로 30% 자당 용액을 만들었다. 두 번째 용기에 다음 조성을 가진 포스포리피드, DPPC, 포스파티드산(DPPA) 및 DPPE-PEG 5k의 혼합물 현탁액을 모든 지질의 상전이 온도 이상의 물에서 준비했다. 지질을 분산시킨 후, 현탁액을 4℃로 냉각시키고 물 재킷 용기에서 휘저었다. 사전 냉각된(4℃) 퍼플루오로옥탄을 7대1의 무게비로 휘저은 포스포리피드 현탁액에 첨가하고 균질한 우윳빛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휘저었다. 이 현탁액을 Avestin 모델 C50 균질기에서 7℃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장 18분 동안 고압으로 균질화시켰다. 에멀전을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30% 자당 수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로 옮겼다.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최대 20분 동안 휘저은 다음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두 번째 용기로 옮겼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0.2미크론 필터를 거쳐 세 번째 용기로 옮겼다. 생성물을 바이알에 넣고 마개를 닫은 다음 클램프로 조였다. 활성 성분(퍼플루오로옥탄)의 휘발성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저온수 재킷 용기에서 8℃ 미만 온도로 수행했다. 활성 성분을 약간 더 공급함으로써 가압 과정 중의 손실을 보상했다. 배출 및 보관 규격을 충족하는 바이알을 만들기 위해 생성물 채움량도 치밀하게 제어했다.
예견적 적용예 17
다음 조성을 가진 포스포리피드,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클로린(DOPC), 콜레스테롤 및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PEG-5,000의 혼합물 현탁액을 모든 지질의 상전이 온도 이상의 물에서 준비했다. 이렇게 얻어진 지질 현탁액을 프로필렌 글리콜/글리세롤 혼합물에 현탁시켜 80:10:10 무게비의 인산 완충액 식염수:프로필렌 글리콜:글리세롤을 얻었다. 지질을 분산시킨 후, 현탁액을 4℃로 냉각시키고 물 재킷 용기에서 휘저었다. 사전 냉각된(4℃) 퍼플루오로헥산을 7대1의 무게비로 휘저은 포스포리피드 현탁액에 첨가하고 균질한 우윳빛 현탁액이 얻어질 때까지 휘저었다. 이 현탁액을 Avestin 모델 C50 균질기에서 7℃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장 18분 동안 고압으로 균질화시켰다. 에멀전을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30% 자당 수용액이 들어 있는 용기로 옮겼다. 이렇게 얻어진 용액을 최대 20분 동안 휘저은 다음 저압의 균질기를 통해 두 번째 용기로 옮겼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0.2미크론 필터를 거쳐 세 번째 용기로 옮겼다. 생성물을 바이알에 넣고 마개를 닫은 다음 클램프로 조였다. 활성 성분(퍼플루오로옥탄)의 휘발성 때문에 이러한 작업은 저온수 재킷 용기에서 8℃ 미만 온도로 수행했다. 활성 성분을 약간 더 공급함으로써 가압 과정 중의 손실을 보상했다. 배출 및 보관 규격을 충족하는 바이알을 만들기 위해 생성물 채움량도 치밀하게 제어했다.
[00057] 본 발명에 선호되는 실시예를 자세하게 보여주기는 했지만 여기서 명시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관련 전문가가 이러한 실시예를 수정하고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

Claims (25)

  1. 신경교아증의, 병행하는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수용액 형태의 플루오로카본 에멀전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카본 에멀전은 도데카플루오로펜탄이고, 에멀전에서 1% 내지 5%의 중량/부피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플루오로카본 에멀전은 자당을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PEG 텔로머 B인 불소계 표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플루오로카본 에멀전.
  2. 제1항에 있어서, 포유류가 신경교아증의, 다중 분할 방사선요법 또는 화학요법에 민감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고, 치료는 플루오로카본의 물 에멀전, 그리고 카보젠 또는 보충 산소를 상기 포유류에게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루오로카본 에멀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카본 에멀전의 투여 방법은 정맥 내 투여인 플루오로카본 에멀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데카플루오로펜탄은 20 mg/mL로 존재하고, 상기 자당은 300 mg/mL로 존재하고, 상기 PEG 텔로머 B는 3 mg/mL로 존재하는 플루오로카본 에멀전.
  5. 포유류를 민감하게 하기 위한 제제로서, 퍼플루오로펜탄의 물 에멀전을 포함하고, 상기 제제는 포유류에 병행하여, 또는 각 분할의 방사선 요법 이전 120 분까지, 또는 화학 요법과 병행하여 투여되고, 여기서 상기 퍼플루오로펜탄 에멀전은 자당을 포함하는 점도 조절제, PEG 텔로머 B인 불소계 표면 활성제, 및 1 % 내지 5 % 중량/부피의 퍼플루오로펜탄을 포함하고, 상기 제제는 카보젠 또는 보충 산소와 동시에 상기 포유류에 투여되고,
    상기 퍼플루오로펜탄 에멀전은 단일 볼루스로서 0.05 mL/kg 내지 0.3 mL/kg 범위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각 분할의 방사선 요법과 병행하여 포유류에 투여되는 제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각 분할의 방사선 요법 이전 120 분까지 포유류에 투여되는 제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화학 요법과 병행하여 포유류에 투여되는 제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67026298A 2014-03-05 2015-03-05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 KR102380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8406P 2014-03-05 2014-03-05
US61/948,406 2014-03-05
PCT/US2015/018942 WO2015134735A1 (en) 2014-03-05 2015-03-05 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with an oxygen therapeut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409A KR20160130409A (ko) 2016-11-11
KR102380221B1 true KR102380221B1 (ko) 2022-03-28

Family

ID=5405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298A KR102380221B1 (ko) 2014-03-05 2015-03-05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456468B2 (ko)
EP (2) EP3871666A1 (ko)
JP (2) JP6728050B2 (ko)
KR (1) KR102380221B1 (ko)
CN (2) CN106488766A (ko)
AU (4) AU2015227089B2 (ko)
CA (1) CA2940888C (ko)
WO (1) WO2015134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8766A (zh) * 2014-03-05 2017-03-08 埃文·C·昂格尔 利用氧气疗法的分割放疗和化疗
KR20180132605A (ko) * 2015-12-21 2018-12-12 누복스 파마 엘엘씨 불화탄소 나노에멀젼의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20190365665A1 (en) * 2017-01-24 2019-12-05 Nuvox Pharma Llc Iso-osmotic and near iso-osmotic oxygen therapeutic formulations and methods thereof
CN111479571A (zh) * 2017-07-21 2020-07-31 瓦里安医疗系统公司 超高剂量率辐射和治疗剂的使用方法
CN111432816A (zh) * 2017-10-16 2020-07-17 辛辛那提大学 用于治疗肿瘤的分次放射与sapc-dops的组合疗法
CN111603574A (zh) * 2020-02-28 2020-09-01 彭盛 一种载氧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232652A1 (en) * 2021-04-30 2022-11-03 Nuvox Pharma Llc Fluorocarb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immunotherap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6204A1 (en) 2011-10-13 2013-04-18 Jennifer L. Johnson Buffered Oxygen Therapeutic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0813A (ja) * 1983-01-14 1984-07-27 Green Cross Corp:The 癌化学療法補助剤
US4815446A (en) * 1985-05-09 1989-03-28 Alpha Therapeutic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metastasis of cancerous tumors
US6537246B1 (en) 1997-06-18 2003-03-25 Imarx Therapeutics, Inc. Oxygen delivery agents and uses for the same
AU2005299482A1 (en) * 2004-10-25 2006-05-04 The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Inc. Methods for lowering HIF-1 mediated gene expression
CA2609268A1 (en) * 2005-05-23 2006-11-30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Echogenic microbubbles and microemulsions for ultrasound-enhanced nanoparticle-mediated delivery of agents
EP2419392A4 (en) 2009-04-15 2013-02-27 Oxygen Biotherapeutics Inc EMULSIONS OF PERFLUOROCARBONES
FR2948024B1 (fr) * 2009-07-17 2020-01-1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 Cnrs - Emulsion activable par ultrason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WO2012003457A1 (en) * 2010-07-01 2012-01-05 Mtm Research Llc Anti-fibroblastic fluorochemical emulsion therapies
CN104039316A (zh) * 2011-03-04 2014-09-10 阿肯色大学评议会 作为中风和局部缺血治疗的十二氟戊烷乳液
US10279053B2 (en) * 2011-07-19 2019-05-07 Nuvox Pharma Llc Microbubble compositions, method of making same, and method using same
WO2013043236A1 (en) * 2011-09-22 2013-03-28 Rockland Technimed,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useful for realtime in situ physiological molecular imaging of oxygen metabolism
CN106488766A (zh) * 2014-03-05 2017-03-08 埃文·C·昂格尔 利用氧气疗法的分割放疗和化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6204A1 (en) 2011-10-13 2013-04-18 Jennifer L. Johnson Buffered Oxygen Therapeutic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meron J. Koch et al., CANCER RESEARCH 62, 3626-3629, July 1, 2002
Olivier L. Chinot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4, vol.370, pp. 709-722(2014.02.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3766A4 (en) 2018-02-28
EP3871666A1 (en) 2021-09-01
CN106488766A (zh) 2017-03-08
EP3113766B1 (en) 2021-04-07
US20160367670A1 (en) 2016-12-22
AU2021203939B2 (en) 2022-10-06
AU2020201680B2 (en) 2021-03-25
EP3113766A1 (en) 2017-01-11
JP2020172513A (ja) 2020-10-22
KR20160130409A (ko) 2016-11-11
US20210260190A1 (en) 2021-08-26
WO2015134735A9 (en) 2015-10-22
US11857627B2 (en) 2024-01-02
WO2015134735A1 (en) 2015-09-11
AU2021203939A1 (en) 2021-07-08
AU2015227089A1 (en) 2016-09-15
JP6953591B2 (ja) 2021-10-27
CN113398070A (zh) 2021-09-17
US11534492B2 (en) 2022-12-27
JP2017508743A (ja) 2017-03-30
AU2015227089B2 (en) 2019-12-12
US10946097B2 (en) 2021-03-16
US10456468B2 (en) 2019-10-29
AU2022291501A1 (en) 2023-02-02
AU2020201680A1 (en) 2020-03-26
CA2940888A1 (en) 2015-09-11
US20230144544A1 (en) 2023-05-11
CA2940888C (en) 2023-02-28
JP6728050B2 (ja) 2020-07-22
US20200054750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221B1 (ko) 산소요법과 병행한 분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
US20230338251A1 (en) Method of treating cancer
JP5517394B2 (ja) 造血におけるil−12の使用
JP2008500948A6 (ja) 造血におけるil−12の使用
WO2016073866A1 (en) Polyfunctional lymphocytes as a biomarker of antitumor activity
Stutzman The effect of Neuregen nutrient medium on the growth of rat glioma cell lines F98 and 9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