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761B1 -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761B1
KR102379761B1 KR1020200055155A KR20200055155A KR102379761B1 KR 102379761 B1 KR102379761 B1 KR 102379761B1 KR 1020200055155 A KR1020200055155 A KR 1020200055155A KR 20200055155 A KR20200055155 A KR 20200055155A KR 102379761 B1 KR102379761 B1 KR 10237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aper
protective material
adhesive
sheet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633A (ko
Inventor
곽봉신
이춘배
Original Assignee
곽봉신
주식회사 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봉신, 주식회사 와이케이 filed Critical 곽봉신
Priority to KR102020005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6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이형지(110); 상기 하부 이형지(110) 상에 합지되는 방수시트(120); 상기 방수시트(120) 상에 합지되는 상부 양면 이형지(130) 및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 상에 합지되는 보호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를 포함하여, 상기 방수시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의 일부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겹침부(1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Self-adhesive water-proof sheet integrated with protective material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시트와 보호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음매 영역에서 인접한 방수시트와 보호재를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높이고 박리나 누수와 같은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재료 특성상 크랙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크랙으로 빗물 등이 침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수명을 저하시키므로, 이와 같은 크랙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수 공법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방수 공법은 대표적으로 액상의 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시키는 시트방수, 도막방수와 시트방수가 복합적으로 수행되는 복합방수, 겔타입의 도막재를 도포한 후 시트방수를 설치하는 이중복합방수, 자기 점착력에 의해 모체에 부착되는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등이 있다.
이 중 도막방수공법은 시공이 간편하여 복잡한 구조물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방수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경화 후에 후속작업이 가능하여 공정 기간이 긴 단점이 있다.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은, 방수시트 제품이 규격화되어 균질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공된 방수시트 사이에 겹침 이음부가 발생하고, 시트를 용융시켜 접착시키기 때문에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복합방수공법의 경우에는 도막방수와 시트방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시트방수와 도막방수의 재료 이질성과 신장률 차이에 의해 두 재료가 닿는 부분에 쉽게 손상이 발생하므로 지속적인 보수작업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중복합방수공법의 경우에는 경화되지 않는 겔타입의 도막재가 시공된 바닥면의 크랙으로 누출되어 방수 시공된 바닥면을 천장면으로 하는 주차장과 같은 공간에 떨어져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가열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자착식 방수시트가 개발되었는데, 자착식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시공된 자착식 방수시트들 사이의 이음매에서 누수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양면 자착식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시공 후 방수시트 상부의 보행이 불가능하여 후속 공정이 즉각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방수 시공을 완료한 후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후속공정이 이어지는데, 누름 콘크리트 타설 전 낙하물과 같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 보호층이 별도로 설치된다.
그러나, 방수 보호층을 현장에서 타설하는 경우에는 작업 준비, 양생 시간 등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폴리에틸렌 폼과 같은 다공성 판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방수층의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폴리에틸렌 시트나 폴리염화비닐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에 취약하고 완충 작용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상술한 방수시공법 및 방수 보호층 시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등록특허 제10-0949570호(2010.03.18 등록)
본 발명에서는 방수시트와 보호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음매 영역에서 인접한 방수시트와 보호재를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높이고 박리나 누수와 같은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하부 이형지(110); 상기 하부 이형지(110) 상에 합지되는 방수시트(120); 상기 방수시트(120) 상에 합지되는 상부 양면 이형지(130) 및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 상에 합지되는 보호재(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시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의 타측 일부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의 일측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겹침부(133)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와 보호재(140)의 폭은 방수시트(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120)는 중심기재(121)와 중심기재(121)의 양면에 형성된 방수 컴파운드층(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재(140)의 하면에는 접착층(14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단계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먼저, 제1 하부 이형지(110a), 제1 방수시트(120a), 제1 상부 양면 이형지(130a) 및 제1 보호재(140a)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1 상부 양면 이형지(130a)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와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로 구성되는,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 및 제2 하부 이형지(110b), 제2 방수시트(120b), 제2 상부 양면 이형지(130b) 및 제2 보호재(140b)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2 상부 양면 이형지(130b)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와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b)로 구성되는,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이형지(110a, 110b)를 제거하고, 시공 대상면의 일측에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를 부착하고, 시공 대상면의 타측에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부착하되, 상기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일단 하부면이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타단 상부면과 중첩되도록 부착하는 제1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방수시트(120a)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의 일부를 제1 방수시트(120a)로부터 분리한 뒤, 상기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을 상기 제1 방수시트(12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겹침방수층(151)을 형성하는 제2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의 일부를 제2 방수시트(120b)로부터 분리하고,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로부터 상기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를 제거한 뒤, 제1 보호재(140a)의 타단을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 상부면에 부착하는 제3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로부터 상기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를 제거한 뒤, 제2 보호재(140b)의 일단을 제1 보호재(14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겹침보호층(152)을 형성하는 제4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겹침방수층(151)의 폭은 4-70mm일 수 있다.
상기 겹침방수층(151)의 폭은 겹침보호층(152)의 폭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시공 대상면에 방수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자착식의 방수시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열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성과 작업안전성이 우수하고, 한 번의 시공을 통해 방수층과 방수층 상면의 보호층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 직후 보행, 자재 운반, 적재 등의 기타 작업과 누름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후속 공정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후속 공정에 따른 방수층과 보호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의 겹침부가 보호층의 겹침부와 중첩 형성되어, 겹침부에서의 누수 등과 같은 이음부의 하자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보호재 일체형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은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착식의 방수시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열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성과 작업안전성이 우수하고, 한 번의 시공을 통해 방수층과 방수층 상면의 보호층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 직후 보행, 자재 운반, 적재 등의 기타 작업과 누름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후속 공정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후속 공정에 따른 방수층과 보호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의 겹침부가 보호층의 겹침부와 중첩 형성되어, 겹침부에서의 누수 등과 같은 이음부의 하자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폭 방향 단면도로, 본 발명의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는, 하부 이형지(110); 상기 하부 이형지(110) 상에 합지되는 방수시트(120); 상기 방수시트(120) 상에 합지되는 상부 양면 이형지(130) 및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 상에 합지되는 보호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는 제조시 롤 형태로 제조되어 보관되고, 시공 작업시 권취되어 이용될 수 있는데, 롤 형태로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을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그에 수직한 방향을 시트의 폭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면에서는 폭 방향의 단면을 도시하였으며, 이러한 정의는 본 명세서 내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방수시트(120)는 중심기재(121)와 중심기재(121)의 양면에 형성된 방수 컴파운드층(122, 123)을 포함하여, 방수 컴파운드층의 자착성으로 인해 방수시트(120)가 시공 대상면이나 보호재(140) 등과의 접착력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방수시트(120)의 하면은 시공 대상면과, 상면은 보호재(140)와 접착력을 형성하며, 후술될 바와 같이 상면 일부는 다른 방수시트와의 접착력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시트(120)를 구성하는 중심기재(121)로는 폴리프로필렌 직포, 유리섬유 직포, 폴리에스테르 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질,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우레탄 수지 시트, 2방향 또는 3방향 겹침 폴리에틸렌필름, 써모플라스틱올레핀(TPO) 필름과 같은 필름재질, 또는 섬유재질 상에 필름재질이 적층된 복합시트 재질과 같은 다양한 시트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120)를 구성하는 방수 컴파운드층(122, 123)은 자착식(self-adhesive) 컴파운드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자착식 컴파운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방수시트(120)이기 때문에 접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열과정 없이 상온에서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성 및 작업안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자착식 컴파운드 조성물로 아스팔트 컴파운드 조성물, 부틸고무 컴파운드 조성물 또는 이 둘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각 방수 컴파운드층(122, 123)은 서로 다른 종류의 자착식 컴파운드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같은 종류의 자착식 컴파운드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 조성물은, 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개질제 10~35 중량부, 점착제 10~44 중량부 및 연화제 25~68 중량부를 포함한다.
아스팔트는 수밀성을 높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천연 아스팔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및 블로운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개질제는 아스팔트 컴파운드 조성물의 탄성, 온도저항성 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SBS 고무, SEBS 고무, SBR 고무, SBR 고무 라텍스, 클로로프렌 고무, EPDM 고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아타틱폴리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레핀(APAO),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폐타이어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BS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개질제는 아스팔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개질 효율이 미미하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수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로 C5~C9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송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점착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4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수성 및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제는 조성물의 가공시 소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25 중량부 이상 첨가되어야 연화제로써의 성능이 발현되며, 6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소성 증가에 의해 물성이 불량해지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제로는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아로마틱계 오일,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디메틸아디페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연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스팔트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한 충전제 50~200 중량부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충전제로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및 벤토나이트 및 시멘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부틸고무 컴파운드 조성물은 부틸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세스오일 15~46 중량부 및 연화제 28~53 중량부가 혼합된 자착식 컴파운드 조성물이다.
부틸고무는 수밀성, 탄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여 방수재로써 성능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틸고무는 가황 부틸고무일 수도 있고 비가황 부틸고무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스오일은 조성물의 점도를 낮춰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나프텐계 오일, 아로마틱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프텐계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공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4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 저하에 의해 작업성 및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제는 부틸고무를 연화시켜 가공시 소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틸고무 컴파운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로 석유수지, 폴리부텐,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점착제, 탄산칼슘, 카본블랙,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플라이애쉬, 벤토나이트 및 시멘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120)가 양면에 접착성을 갖는 양면 자착식 방수시트이기 때문에 양 면에 이형지(110, 130)가 합지되어, 제조나 운반, 시공시 다른 시트나 이물질 등이 접착되어 접착성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시트(120)의 하면에는 하부 이형지(110)가 합지되고, 방수시트(120)의 상면에는 상부 양면 이형지(130)가 합지되는데, 상부 양면 이형지(130)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를 포함하여,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의 일부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겹침부(133)를 형성한다. 겹침부(133)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양면 이형지는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일 수도 있고,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가 방수시트(120)의 일측 상면에 합지되고,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는 방수시트(120)의 타측 상면에 합지되며,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의 타단과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의 일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따라 겹침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겹침부(133)에서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가 서로 맞닿는 면은 어떠한 접착도 이루어지지 않는 무접착 영역이므로, 시공시 겹침부(133)에서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양면 이형지(130) 상에는 방수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재(140)가 형성된다. 기존에는, 방수시트(120)와 보호재(140)가 별도의 시트로 구비되어 방수시트(120)를 시공한 뒤 보호재(140)를 시공하는 2단계 방식으로 방수 시공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방수시트(120)와 보호재(1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한 번의 시공으로 방수층 및 방수층 보호 시공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작업 난이도를 낮추고, 시공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호재(14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방수시트(120)를 보호하고,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전체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흡습성의 재료라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재(140)로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및 에틸렌초산비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와 보호재(140)는 그 폭이 방수시트(1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부 양면 이형지(130)와 보호재(140)의 폭이 방수시트(120)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방수 시공시 일차적으로 서로 인접한 두 방수시트(120)가 중첩되어 형성된 겹침방수층(151)이 두 층의 보호재(140)가 중첩되어 형성된 겹침보호층(152)에 의해 보호됨으로써 방수시트(120)가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후 방수 시공방법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호재(140)의 하면에는 접착층(14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착층(141)은 시공시 인접한 두 보호재(140)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호 접착력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다. 접착층(14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재(140) 하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보호재(140)의 일단 또는 양단 하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보호재(140)의 일단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해당 보호재(140)의 일단이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141)은 우레아 수지, 레조르시놀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클로로프렌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온경화형 또는 감압접착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수 시공시 이러한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는 복수개가 폭 방향으로 나란히 시공되며, 인접한 두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1차적으로 방수시트(120)가 중첩되고, 그 위에 보호재(140)가 중첩되어 이중 중첩 및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중첩부에서의 누수나 손상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로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와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가 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시공 대상면의 면적에 따라 더 많은 개수의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가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을 일 방향, 우측을 타 방향으로 정의하며,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는 도면부호에 “a”를 추가하여 표시하고,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는 도면부호에 “b”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의 방수 시공 방법은, 먼저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준비하고, 이를 시공 대상면에 다단계 방식으로 부착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수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 시공이 이루어질 시공 대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 시공 대상면에 존재하는 먼지, 모래, 낙엽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요철 등이 평탄화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살수처리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나, 후자의 경우에는 살수처리 후 시공 대상면을 건조한 이후에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를 부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방수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전처리 단계가 수행된 경우에는 전처리 단계와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부착 단계 사이에 이러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과 방수 도막층 중 하나의 도막층만 형성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과 방수 도막층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방수 효과가 미미하여 단순히 시공 단계를 늘리고 시공 기간을 연장시키며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될 뿐이므로, 하나의 도막층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은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가 보다 강력하게 시공 대상면에 접착되도록 시공 대상면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 형성시 우레탄 프라이머 조성물, 우레아 프라이머 조성물, 에폭시 프라이머 조성물, 부틸고무 프라이머 조성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방수 도막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트형의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에 의한 방수 효과와 더불어 방수 도막층에 의한 추가적인 방수 효과를 통해 복합방수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방수 도막층으로는 우레탄 방수 조성물, 우레아 방수 조성물, 에폭시 방수 조성물, 아크릴 방수 조성물 등을 이용한 방수 도막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처리 단계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방수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의 방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와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와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로, 필수적인 요소 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는 제1 하부 이형지(110a), 제1 방수시트(120a), 제1 상부 양면 이형지(130a) 및 제1 보호재(140a)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상기 제1 상부 양면 이형지(130a)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와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로 구성된다.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와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가 겹쳐지는 영역은 제1 겹침부(133a)로, 제1 일측 및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 132a)가 서로 맞닿는 면은 어떠한 접착도 이루어지지 않는 무접착 영역이다.
또한,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는 제2 하부 이형지(110b), 제2 방수시트(120b), 제2 상부 양면 이형지(130b) 및 제2 보호재(140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상기 제2 상부 양면 이형지(130b)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와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b)로 구성된다.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와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b)가 겹쳐지는 영역은 제2 겹침부(133b)로, 제2 일측 및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 132b)가 서로 맞닿는 면은 어떠한 접착도 이루어지지 않는 무접착 영역이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 100b)를 시공 대상면에 부착시키는 제1 단계가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단계는, 제1 및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 100b)의 제1 및 제2 하부 이형지(110a, 110b)를 제거하고, 시공 대상면에 폭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일단과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타단이 중첩되어 길이방향으로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부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를 먼저 부착하고,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일단 하부면이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타단 상부면과 중첩되도록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중첩 영역의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에 어떠한 압력이나 힘도 가하지 않고 단순히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타단에 얹어져 중첩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일단 하부면이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되어 후술될 시공 단계를 이어가기 곤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중첩 영역은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일 방향에 배치된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와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타 방향에 배치된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가 배치된 영역에서 형성되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겹침부(133a, 133b)를 제외한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중첩 영역이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시공시 각 상부 양면 이형지(131a, 131b, 132a, 132b)를 시공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첩 및 접착이 이루어지는 영역에서 기포 유입이나 시트 틀어짐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방수시트(120a, 120b)를 중첩 접착시키는 제2 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는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제1 방수시트(120a)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의 일부를 제1 방수시트(120a)로부터 분리한 뒤,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을 제1 방수시트(12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인접한 제1 및 제2 방수시트(120a, 120b)를 중첩 접착시켜 겹침방수층(15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두 방수시트(120a, 120b)가 중첩되어 접착되므로 동종 재료가 접착되기 때문에 상호 접착력이 우수하며, 이종 재료에 의한 이음매 영역에서의 시트 분리, 물성 저하, 누수 등과 같은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방수시트(120a, 120b)가 중첩 접착되어 형성된 겹침방수층(151)의 폭(L1)은 4-70mm일 수 있다.
겸침방수층의 폭(L1)이 4mm 미만인 경우에는 방수시트(120)가 갖는 두께로 인해 제1 및 제2 방수시트(120a, 120b)가 안정적으로 접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이음매 영역에서의 누수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의 소비량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제1 보호재(140a)를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 영역에 접착시키는 제3 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는,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의 일부를 제2 방수시트(120b)로부터 분리하고,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를 제거한 뒤, 제1 보호재(140a)의 타단을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는 무접착 영역인 겹침부(133)에 의해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와 손쉽게 분리되므로,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의 제1 보호재(140a) 및 제1 방수시트(120a)와의 접착 상태가 유지된 채로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의 분리와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의 제거는 순차적으로 혹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재(140a)와 제2 보호재(140b)를 중첩 접착하는 제4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를 제거한 뒤, 제2 보호재(140b)의 일단을 제1 보호재(14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겹침보호층(15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는 무접착 영역인 겹침부(133)에 의해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b)와 손쉽게 분리되므로,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b)의 다른 시트층과의 접착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만 단독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중첩 영역에서 겹침방수층(151) 상부에 두 보호재(140a, 140b)가 중첩된 겹침보호층(152)이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 100b)의 중첩 영역에서 방수시트(120)의 보호 기능이 강화되며, 이음매 영역에서의 물성 향상효과와 추가적인 방수 성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겹침방수층(151)의 폭(L1)은 겹침보호층(152)의 폭(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겹침방수층(151)에 의해 형성된 미소 굴곡을 겹침보호층(152)이 커버하여 미소 굴곡에 의한 방수시트(120)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며,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일면과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타면에도 이러한 방수 시공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면 도 7과 같은 형태의 보호재 일체형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작업성과 작업안전성이 우수하고, 한 번의 시공으로 방수층과 보호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후속 공정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의 겹침부가 보호층의 겹침부와 중첩 형성되어, 겹침부에서의 누수 등과 같은 이음부의 하자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110: 하부 이형지
120: 방수시트 121: 중심기재
122, 123: 방수 컴파운드층 130: 상부 양면 이형지
13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 13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
133: 겹침부 140: 보호재
141: 접착층 151: 겹침방수층
152: 겹침보호층

Claims (9)

  1. 하부 이형지(110);
    상기 하부 이형지(110) 상에 합지되는 방수시트(120);
    상기 방수시트(120) 상에 합지되는 상부 양면 이형지(130) 및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 상에 합지되는 보호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양면 이형지(130)와 보호재(140)의 폭은 방수시트(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보호재(140)의 하면에는 접착층(141)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시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의 타측 일부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의 일측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겹침부(133)를 형성하되,
    상기 겹침부(133)에서 맞닿는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와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의 표면은 어떠한 접착도 이루어지지 않는 무접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120)는 중심기재(121)와 중심기재(121)의 양면에 형성된 방수 컴파운드층(122, 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4. 삭제
  5. 제1 하부 이형지(110a), 제1 방수시트(120a), 제1 상부 양면 이형지(130a) 및 제1 보호재(140a)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1 상부 양면 이형지(130a)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1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a)와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로 구성되는,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 및 제2 하부 이형지(110b), 제2 방수시트(120b), 제2 상부 양면 이형지(130b) 및 제2 보호재(140b)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상기 제2 상부 양면 이형지(130b)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와 제2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b)로 구성되는,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이형지(110a, 110b)를 제거하고, 시공 대상면의 일측에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를 부착하고 시공 대상면의 타측에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를 부착하되, 상기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의 일단 하부면이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의 타단 상부면과 중첩되도록 부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방수시트(120a)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의 일부를 제1 방수시트(120a)로부터 분리한 뒤, 상기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을 상기 제1 방수시트(12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겹침방수층(151)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의 일부를 제2 방수시트(120b)로부터 분리하고, 제1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a)로부터 상기 제1 타측 상부 양면 이형지(132a)를 제거한 뒤, 제1 보호재(140a)의 타단을 제2 방수시트(120b)의 일단 상부면에 부착하는 제3 단계;
    제2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100b)로부터 상기 제2 일측 상부 양면 이형지(131b)를 제거한 뒤, 제2 보호재(140b)의 일단을 제1 보호재(140a)의 타단 상부면에 부착하여 겹침보호층(152)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방수층(151)의 폭은 4-7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방수층(151)의 폭은 겹침보호층(152)의 폭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시공 대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9.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시공 대상면에 방수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0200055155A 2020-05-08 2020-05-08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37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55A KR102379761B1 (ko) 2020-05-08 2020-05-08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55A KR102379761B1 (ko) 2020-05-08 2020-05-08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33A KR20210136633A (ko) 2021-11-17
KR102379761B1 true KR102379761B1 (ko) 2022-03-29

Family

ID=7870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55A KR102379761B1 (ko) 2020-05-08 2020-05-08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7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97B1 (ko) * 2016-12-08 2017-12-29 주식회사 티엔씨솔루션 겹침부 방수 성능이 우수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286A (ko) * 2001-09-28 2003-04-08 이대우 고분자 합성수지 복합방수시이트,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시공방법
KR100949570B1 (ko) 2009-11-24 2010-03-25 (주)우암건설 자착식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597B1 (ko) * 2016-12-08 2017-12-29 주식회사 티엔씨솔루션 겹침부 방수 성능이 우수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33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735B2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0958065B1 (ko)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US20040172908A1 (en) Cap sheet, roofing installation, and method
KR101469641B1 (ko)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2012021315A (ja) 複合防水シート、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174271B1 (ko) 복합 알루미늄테이프와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및 구조와 그 복합 고무아스팔트시트
KR100744727B1 (ko) 건축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 노출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WO2017061808A1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시공 방법
RU2545297C2 (ru) Виниловая лента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и антикоррозионной защиты
KR101213140B1 (ko) 외부 노출용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KR100593460B1 (ko)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101148992B1 (ko) 자착식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공법
KR101032451B1 (ko) 교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방법
KR100607154B1 (ko)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13305B1 (ko) 점착형 친환경 복합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31977B1 (ko) 알루미늄층과 eva가 포함된 우레탄 다중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JP5076584B2 (ja) 通気性複合防水工法
KR1008799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2379761B1 (ko) 보호재 일체형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1700250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2124805B1 (ko) 복합방수방근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