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012B1 -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012B1
KR102378012B1 KR1020217026192A KR20217026192A KR102378012B1 KR 102378012 B1 KR102378012 B1 KR 102378012B1 KR 1020217026192 A KR1020217026192 A KR 1020217026192A KR 20217026192 A KR20217026192 A KR 20217026192A KR 102378012 B1 KR102378012 B1 KR 10237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taining element
contact bridge
retain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490A (ko
Inventor
로버트 호프만
로버트 민크위츠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 일렉트로닉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 일렉트로닉스 아게 filed Critical 티디케이 일렉트로닉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0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08Facilitate mounting or replacing contact bridge and pressure spring on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4Means for adjusting limits of movement; Mechanical means for adjusting return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01H2050/025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containing inert or dielectric gasses, e.g. SF6, for arc prevention or arc exti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01H50/22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wherein the magnetic circuit is substantially clo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ontact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200)가 제시되며, 이 접촉 어셈블리는 일 축 상에 유지 요소를 배치하기 위한 실린더 축(A)을 갖는 원통형 홀(23)이 있는 유지 요소(20) 및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40)을 갖는 상부면(41)과 이 상부면의 반대편에 놓인 하부면(42)을 갖고 상기 유지 요소 상에 설치되는 접촉 브리지(4)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유지 요소 상의 접촉 브리지는 상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로킹 상태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어셈블리(200)를 갖는 스위칭 장치(100)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가 제시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특히, 전도성 전류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전자기식으로 작동하는 원격 작동 스위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장치는 제어 회로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부하 회로를 스위칭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칭 장치는 릴레이 또는 접촉기, 특히 파워 접촉기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스 충전 전력 접촉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스위칭 장치들, 특히 전력 접촉기들의 가능한 적용예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들에서 배터리 회로들의 개방 및 분리이다. 상기 자동차들은, 예를 들어 순수 배터리 전기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 콘센트나 충전소를 통해 충전할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일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접점 모두 전력 접촉기의 도움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는 정상 작동 중에 예를 들어, 차량이 유휴 상태일 때 그리고 사고 등과 같이 장애 시에도 발생한다. 전력 접촉기의 주요 기능은 차량을 영전위로 스위칭하고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다.
특정 실시 형태들의 적어도 하나의 과제는,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실시 형태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과제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은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대상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개선 예들은 종속항들에 제시되며, 계속해서 하기의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드러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어셈블리는 접촉 브리지를 갖는다.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특히,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촉 브리지는 스위칭 장치의 이동식 접점 또는 스위칭 장치의 이동식 접점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 설명된 이동식 접점의 속성들과 특징들은, 접촉 브리지의 해당 속성들과 특징들일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칭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접촉 어셈블리를 갖는다. 하기 실시 형태들 및 특징들은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칭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접점을 가지며, 이때 상기 이동식 접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접촉 어셈블리의 접촉 브리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상기 접촉 브리지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접점이 제공되어 스위칭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부하 회로를 켜고 끌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식 접점은 스위칭 장치에서, 이 이동식 접점, 즉 특히 접촉 어셈블리의 접촉 브리지가 스위칭 장치의 비접속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고정식 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갈바니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그리고 접속 상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에 대한 기계적 접점을 가짐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과 갈바니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응하게 스위칭 장치의 비접속 상태와 접속 상태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스위칭 장치는 적어도 2개의 고정식 접점을 갖고, 이들 고정식 접점은 서로 분리되어 스위칭 장치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방식으로 이동식 접점, 즉 특히 접촉 브리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식 접점에 의해, 즉 특히 접촉 브리지에 의해 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거나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접촉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을 갖는 상부면 및 이 상부면의 반대편에 놓인 하부면을 갖는다. 스위칭 장치의 접속 상태에서, 접촉 브리지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의 접점 영역과 기계적으로 접촉한다. 예를 들어, 스위칭 장치가 2개의 고정식 접점을 갖는 경우, 접촉 브리지도 상응하게 2개의 접점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하기에서 일반 용어 "접점"은, 특히 모든 고정식 접점뿐만 아니라 접촉 브리지 또는 접촉 브리지를 갖는 접촉 어셈블리에 관련될 수 있다. 특히, 접점들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접촉 영역들의 경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구리를 포함하거나 구리로 이루어진 금속 매트릭스 재료 형태 및 바람직하게는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세라믹 재료를 포함하거나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금속 매트릭스 재료 안에 분포된 입자 형태의 복합 재료도 가능하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칭 장치는 하우징을 갖고, 이 하우징에는 접촉 어셈블리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접점 또는 적어도 2개의 고정식 접점이 배치되어 있다. 접촉 어셈블리는 특히 하우징에 완전히 배치될 수 있다. 고정식 접점이 하우징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접속 상태에서 이동식 접점과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고정식 접점의 접점 영역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칭 장치에 의해 스위칭될 회로의 공급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에 배치된 고정식 접점은 외부, 즉 하우징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에 배치된 고정식 접점은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하우징 외부에 공급 라인에 대한 연결 옵션을 갖는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점들은 하우징의 가스 분위기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접촉 어셈블리가 하우징의 가스 분위기에 완전히 배치되고, 계속해서 고정식 접점(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고정식 접점(들)의 접촉 영역(들)이 하우징의 가스 분위기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스 충전 접촉기와 같은 가스 충전 스위칭 장치일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점들, 즉 접촉 어셈블리 전체 및 고정식 접점(들)의 적어도 일부는 가스, 즉 적어도 가스 분위기의 일부가 있는 하우징 내부의 스위칭 챔버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의 H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의 H2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수소 이외에, 가스는 불활성 가스, 특히 바람직하게는 N2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불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칭 장치에서 접촉 어셈블리는 자석 전기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자석 전기자는 특히, 축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축은 접촉 어셈블리가 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즉 축이 움직일 때 이 축도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일 단부에서 접촉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있다. 축은 특히, 스위칭 챔버의 개구부를 통해 스위칭 챔버 내로 돌출할 수 있다. 자석 전기자는 전술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자기 회로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 회로는 자석 전기자의 축이 관통하여 돌출되는 개구부를 갖는 요크를 가질 수 있다. 축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거나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요크는 바람직하게는 순철 또는 저도핑된 철 합금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어셈블리는 접촉 브리지가 배치되는 유지 요소를 갖는다. 또한, 접촉 브리지는 상기 유지 요소에 로킹될 수 있다. 특히, 접촉 어셈블리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상태에서 접촉 브리지는 유지 요소에 영구적으로 로킹된 상태로 있다.
특히, 접촉 어셈블리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경우 유지 요소는 축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유지 요소는 실린더 축을 갖는 원통형 홀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은 유지 요소가 축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 및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접촉 어셈블리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촉 어셈블리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될 때 축은 유지 요소의 원통형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축을 유지 요소의 홀 내로 삽입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축이 양쪽에서 유지 요소의 홀로부터 돌출되도록 홀을 통해 축을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유지 요소와 그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가 축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스냅 링이나 축의 리벳팅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요소 및 이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는 축에 나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지 요소는 홀에 나사산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나사산에 의해 유지 요소는 축의 나사산에 나사로 연결된다. 추가로, 이러한 경우 유지 요소는, 예를 들면 스냅 링 및/또는 리벳팅 및/또는 로크 너트에 의해서도 축에 로킹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브리지는 유지 요소 상에 부착되어 있다. 특히, 유지 요소 상에 부착된 후 접촉 브리지는 유지 요소 홀의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킹 상태로 변위될 수 있다. 접촉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브리지는 유지 요소 상에서 로킹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접촉 브리지가 실린더 축을 따른 방향으로 로킹되어 있음을, 즉, 유지 요소로부터 당겨질 수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상태에서 유지 요소와 접촉 브리지는 더 이상 분리될 수 없지만, 상기 접촉 브리지는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특히 유지 요소의 홀의 실린더 축을 따라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유지 요소에 로킹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요소는 접촉 브리지가 부착되는 부착부를 갖는다. 이를 위해, 접촉 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의 부착부가 돌출하는 홀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접촉 브리지가 유지 요소 상에 부착될 때 홀이 있는 접촉 브리지가 유지 요소의 부착부로 밀리거나 반대로 유지 요소의 부착부가 접촉 브리지의 홀 내부로 밀리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유지 요소의 부착부는 접촉 브리지가 부착된 후 상기 접촉 브리지의 홀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접촉 브리지는 또한 부착부보다 약간 더 큰 치수를 갖는 홀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촉 브리지가 부착부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칼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접촉 브리지가 유지 요소에 로킹될 수 있고, 로킹 상태에서 접촉 브리지의 상부면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로킹 상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칼라에 의해 특히 접촉 브리지가 유지 요소의 홀의 실린더 축 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지 요소로부터 당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브리지의 홀은 유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칼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을 갖는 홀 벽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은 접촉 브리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연장된다. 접촉 브리지는 부착 시, 유지 칼라가 삽입 홈을 통해 밀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유지 요소 쪽으로 회전되어 정렬된다. 유지 칼라를 완전히 밀어 넣은 후, 접촉 브리지는 유지 요소에 있는 홀의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유지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삽입 홈과 유지 칼라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정렬되어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브리지는 홀 벽에서, 상기 접촉 브리지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홈을 갖는다. 특히, 유지 홈은 하부면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유지 요소 상의 접촉 브리지의 로킹 상태에서, 유지 칼라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홈에 위치된다. 이로써 유지 요소에 대해 상대적인 접촉 브리지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는 실린더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부착부의 반대편에 놓인 측면들 상에 배치된 2개의 유지 칼라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접촉 브리지는 홀 벽에서 적어도 2개의 삽입 홈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삽입 홈은 유지 칼라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접촉 브리지는 홀 벽에서 적어도 2개의 유지 칼라에 할당된 유지 홈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요소는 부착부에 인접하는 베이스부를 가지며, 이 경우 유지 요소의 원통형 홀은 부착부 및 베이스부를 통해 연장된다. 베이스부는 바람직하게 베이스부가 접촉 브리지의 홀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베이스부는 유지 요소의 홀의 실린더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접촉 브리지의 이동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 및 베이스부는 각각 그들의 외부 표면에 대해 원통형으로 또는 근본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부는 부착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특히, 베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의 유지 칼라는 이동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고, 따라서 유지 요소의 홀의 원통형 축을 따라 양방향으로 접촉 브리지를 로킹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어셈블리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접촉 브리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접촉 스프링을 갖는다. 특히, 상기 접촉 스프링은 유지 요소의 일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유지 요소 상에서 접촉 브리지의 로킹 상태에서, 접촉 스프링은 접촉 브리지의 하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촉 브리지의 하부면은 접촉 스프링에 대한 카운터 베어링을 형성한다. 또한, 유지 요소 및 특히 베이스부는 접촉 브리지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접촉 스프링의 측면에 접촉 스프링을 위한 카운터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즉, 베이스부의 일부는 접촉 스프링에 대한 카운터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요소는 전기 절연 재료를 갖는다. 유지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유지 요소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절연 재료(들)은 중합체 및 세라믹 재료, 예를 들어 특히 (CH2O)n 구조를 갖는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유리 섬유 충전 PBT 및 Al2O3과 같은 전기 절연 금속 산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유지 요소는 접촉 브리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브리지와 접촉 스프링을 축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접촉 브리지는 자기 드라이브의 컴포넌트, 즉 특히 자석 전기자의 컴포넌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지 요소는 접촉 브리지의 전기 절연뿐만 아니라 지지 및 로킹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접촉 어셈블리의 경우, 전술한 특징들에 상응하게 특히 하기 장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달성될 수 있다.
- 조립이 용이함
-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비용이 절감됨
- 축으로부터 접촉 브리지의 완전한 전기 절연
- 접촉 브리지의 열적 분리
- 접촉 브리지의 유연한 지지 및 틸팅 가능성
- 유지 요소와 관련한 접촉 브리지의 회전 안전성
- 스위칭 챔버 및 고정식 접점과 관련된 유지 요소 및 이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의 회전 안전성.
추가적인 장점들,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 및 개선 예들은 도면들과 함께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로부터 드러난다.
이때 도면부에서:
도 1은 스위칭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a 내지 도 2e는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컷아웃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추가 실시 예들에 따른 접촉 브리지의 컷아웃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5는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실시 예들 및 도면들에서 동일한, 동일한 형태의 또는 동일하게 작용을 하는 소자들에는 각각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소자들 및 상기 소자들의 상호 크기 비율은 척도에 맞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으며, 오히려 예를 들어 층들, 부품들, 구성 요소들 및 영역들과 같은 개별 소자들은 개관을 명확히 할 목적으로 그리고/또는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과도하게 크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에는, 예를 들어, 강한 전류 및/또는 높은 전압을 스위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릴레이 또는 접촉기, 특히 전력 접촉기일 수 있는 스위칭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기하학적 구조는 예시일 뿐이며 제한되지 않으며, 대안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위칭 장치(100)는 하우징(1) 내에 2개의 고정식 접점(2, 3) 및 접촉 브리지(4) 형태의 이동식 접점을 갖는다. 상기 접촉 브리지(4)는 접점 플레이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식 접점(2, 3)들은 접촉 브리지(4)와 함께 스위칭 접점들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접점 수에 대한 대안적으로, 다른 수의 고정식 및/또는 이동식 접점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은 주로 내부에 배치된 컴포넌트들의 접촉을 보호 역할을 하며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예를 들면 PBT 또는 유리 섬유 충전 PBT로 구성된다. 고정식 접점(2, 3)들 및 접촉 브리지(4)는 예를 들어 Cu, Cu 합금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금속, 예를 들어 W, Ni 및/또는 Cr과 구리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스위칭 장치(100)는 유휴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유휴 상태에서는 접촉 브리지(4)가 고정식 접점(2, 3)들과 이격되어 있어 이러한 고정식 접점(2, 3)들과 접촉 브리지(4)가 서로 갈바니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시된 스위칭 접점들의 실시 예와 특히 상기 스위칭 접점들의 기하학적 구조는 순전히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대안적으로 스위칭 접점들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접점 중 하나만 고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100)는 본질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식 자석 전기자(5)를 갖는다. 상기 자석 전기자(5)는 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자성 코어(6)를 갖는다. 또한, 자석 전기자(5)는 상기 자성 코어(6)를 통해 안내되고 축의 일 단부 상에서 상기 자성 코어(6)와 견고하게 연결된 축(7)을 갖는다. 자성 코어(6)의 반대편에 놓인 축의 다른 일 단부에서 자석 전기자(5)는 접촉 브리지(4)를 가지며, 이 접촉 브리지(4)는, 접촉 브리지(4)가 축(7)의 움직임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상기 축(7)에 연결되거나 상기 축 상에 지지되어 있다. 축(7)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여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자성 코어(6)는 코일(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어 회로에 의해 외부로부터 스위치-온될 수 있는 코일(8)의 전류 흐름은 접촉 브리지(4)가 고정식 접점(2, 3)들과 접촉할 때까지 축 방향으로 자성 코어(6) 및 이에 따른 전체 자석 전기자(5)의 움직임을 생성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자석 전기자는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자석 전기자(5)는, 도시된 유휴 상태에 상응하는 동시에 분리, 즉 비접속 및 이에 따른 스위치-오프 상태에 상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활성, 즉 접속 및 이에 다른 스위치-온 상태에 상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활성 상태에서 고정식 접점(2, 3)들과 접촉 브리지(4)는 서로 갈바니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코일(8)의 전류 흐름이 중단되면, 자석 전기자(5)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0)에 의해 제1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자석 전기자(5)는 따라서 다시 아래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스위칭 장치(100)는 다시, 스위칭 접점들이 개방된 유휴 상태로 있다.
스위치 접점들이 개방되면, 접점 표면들을 손상시킬 수 있는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식 접점(2, 3)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 브리지(4)가 아크로 인한 용접으로 인해 서로 "접착되어" 더 이상 서로 분리되지 않을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스위칭 장치는 코일의 전류가 스위치-오프되어 부하 회로가 분리되어야 할 때도 계속해서 켜진 상태로 있다. 이러한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발생하는 아크의 소멸을 보조하기 위해, 고정식 접점(2, 3)들과 접촉 브리지(4)가 가스 분위기에 배치되어 있고, 그 결과 스위칭 소자(100)가 가스 충전 릴레이 또는 가스 충전 접촉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고정식 접점(2, 3)들 및 접촉 브리지(4)는 스위칭 챔버 벽(12)과 스위칭 챔버 바닥(13)에 의해 형성된 스위칭 챔버(11) 내부에서, 밀봉 방식으로 폐쇄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기밀 영역(16)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밀 영역(16)은, 외부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고정식 접점(2, 3)들의 일부를 제외하고 자석 전기자(5) 및 스위칭 접점들을 완전히 둘러싼다. 기밀 영역(16) 및 그에 따른 스위칭 챔버(11)도 가스(14)로 채워져 있다. 기밀 영역(16)은 본질적으로 스위칭 챔버(11)들, 요크(9) 및 추가 벽들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다. 스위칭 장치(100)의 제조 범위에서, 가스 충전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기밀 영역(16)으로 충전될 수 있는 가스(14)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수소 함유 가스는 아크의 소멸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에서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50% 또는 그 이상의 H2 또는 심지어 100% H2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소위 블로우 자석(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들이 스위칭 챔버(11)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즉 영구 자석들은 아크 경로의 확장을 유발하여 아크의 소멸을 개선할 수 있다. 스위칭 챔버 벽(12) 및 스위칭 챔버 바닥(13)은, 예를 들어 A12O3와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또는 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충분히 높은 온도 저항을 갖는 플라스틱, 예를 들어 PEEK, PE 및/또는 유리 섬유 충전 PBT도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스위칭 챔버(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구조(CH2O)n을 갖는 POM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브리지(4)의 스위칭 시 높이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고정식 접점(2, 3)들과 접촉 브리지(4) 사이에 충분한 기계적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접촉 스프링(17)이 접촉 브리지(4) 아래에 배치되어 힘이 고정식 접점(2, 3)들의 방향으로 접촉 브리지(4)에 가해진다. 요크(9)의 영역에는, 접촉 브리지(4)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접촉 스프링(17)의 단부를 위한 카운터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다. 접촉 스프링(17)의 다른 단부 상에서, 접촉 브리지(4)와 접촉 스프링(17) 사이에는 추가로,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추가 스프링 베어링(18)이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접촉 스프링(17), 축(7) 및 다른 전도성 컴포넌트와 같은 추가 부품들과 접촉 브리지(4) 사이의 전기적 절연이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적용예들에서는 작동하는 동안 부하 회로와 제어 회로 사이에 고전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전기 절연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절연 요건들은 일반적으로 2400 VAC 내지 5000 VAC 범위 또는 심지어 더 높은 전압 범위에 있다. 부하 회로, 특히 접촉 브리지와 제어 회로 사이에 전기 절연이 충분하지 않으면, 제어 회로 주 전원에서 플래시오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안전 위험을 의미한다. 설명된 스프링 베어링 및/또는 다른 적절한 추가 절연체 요소와 같이 추가로 부착될 절연 요소에 의한 절연에 대안적으로, 종래 기술에는 예를 들어 코일을 절연 재료로 캐스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 조치는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증가시킨다.
접촉 어셈블리(200) 및 이와 같은 접촉 어셈블리(200)를 갖는 스위칭 장치(100)에 대한 실시 예들은 하기 도면들과 함께 설명되며, 상기 접촉 어셈블리는 무엇보다도 단순한 조립과 더 적은 수의 재료 및 컴포넌트가 사용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접촉 어셈블리(200)의 구조에 의해서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접촉 스프링과 접촉 브리지 사이에 추가적인 절연 스프링 베어링이 존재해야 할 필요 없이 상기 접촉 브리지(4)를 전기적으로뿐만 아니라 열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아래에 설명된 접촉 어셈블리(200)는, 이러한 접촉 어셈블리(200)와 관련한 접촉 브리지(4) 및 스위칭 챔버(11)와 고정식 접점(2, 3)과 관련한 접촉 어셈블리(200) 모두의 회전 안전뿐만 아니라 접촉 브리지(4)의 유연한 지지 및 틸팅 가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와 관련하여서는,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200)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위칭 장치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과는 별도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스위칭 장치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유지 요소(20) 및 접촉 브리지(4)를 갖는 접촉 어셈블리(200)의 3차원 개략도 및 서로 수직인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2d 및 2e에는 유지 요소(20) 및 접촉 브리지(4)가 각각 3차원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e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축(7) 상에서 그리고 그에 따른 스위칭 장치 내에서 접촉 어셈블리(200)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스위칭 장치의 축(7)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유지 요소(20)는 실린더 축(A)을 갖는 원통형 홀(23)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 홀은 상기 유지 요소(20)가 축(7)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접촉 어셈블리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축(7)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설치되어 있다. 특히, 축(7)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상태에서, 자성 코어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축(7)의 단부를 형성하는 상부 영역(70)과 함께 원통형 홀(2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축(7)은 홀(23)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축(7)이 양쪽에서 유지 요소(20)의 홀(2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7)은 영역(70)에서 축(7)의 나머지 프로파일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영역(70)의 직경은 원통형 홀(23)의 내경에 부합하게 조정되고, 본질적으로는 상기 원통형 홀의 내경에 동일하므로, 상기 축(7)이 홀(23)에 삽입된 후 유지 요소(20) 및 이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200)가 안착되는 단차를 갖는다. 또한, 유지 요소(20) 및 이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200)는 스위칭 장치에 내장될 때, 예를 들어 스냅 링(19)에 의해 및/또는 예를 들어 축(7) 상에서의 리벳팅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7)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축(7)은 와셔도 사용될 수 있는 스냅 링(19) 위의 영역에서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요소(20)는 상부 영역에서 홀(23)에 인접한 리세스(26)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리세스 내로 축(7)이 돌출되고 스냅 링(19) 및/또는 리벳팅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 브리지(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칭 장치의 형성에 상응하게, 스위칭 장치의 고정식 접점들과 접촉하기 위해 상부면(41)에 2개의 접촉 영역(40)을 갖는다.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세스들은 상부면(41)의 반대편에 놓인 접촉 브리지(4)의 하부면(42)에서, 접촉 영역(40) 아래에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으로, 하부면(42)은 상기 영역들에서 또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브리지(4)는 유지 요소(20) 상에 부착되어, 적어도 접촉 어셈블리(200)가 스위칭 장치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 요소(20)에 로킹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로킹은 유지 요소 상에 부착된 후, 홀(23)의 실린더 축(A)을 중심으로 접촉 브리지(4)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접촉 브리지(4)가 로킹 상태에 있다는 것은 특히, 접촉 브리지(4)가 실린더 축(A)을 따른 방향으로 로킹되어 유지 요소(20)로부터 당겨질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킹 상태에서, 유지 요소(20)와 접촉 브리지(4)는 더 이상 분리될 수 없지만, 상기 접촉 브리지(4)는 유지 요소(20)의 홀(23)의 실린더 축(A)을 따라서 변위될 수 있다.
유지 요소(20)는 접촉 브리지(4)가 부착되는 부착부(21)를 갖는다. 이를 위해, 접촉 브리지(4)는 홀(43)을 가지며, 부착부(21)는 부착된 후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된다. 특히, 접촉 브리지(4)가 유지 요소(20)에 부착될 때, 홀(43)이 있는 접촉 브리지(4)는 상기 부착부(21) 상으로 밀리거나, 반대로 부착부(21)가 상기 홀(43) 내로 밀리게 된다. 접촉 브리지(4)의 홀(43)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부착부(21)보다 약간 더 큰 치수를 갖고, 따라서 상기 접촉 브리지(4)는 변위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틸팅 가능하게 상기 부착부(2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부착부(21)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칼라(24)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부착부(21)가 2개의 유지 칼라(24)를 갖고, 이들 유지 칼라는 실린더 축(A)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부착부(21)의 반대편에 놓인 측면들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적으로 다른 수의 유지 칼라도 가능하다. 실린더 축(A)을 따른 방향으로 유지 요소(20) 상에서의 접촉 브리지(4)의 로킹은, 유지 칼라(24)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로킹 상태에서 유지 칼라(24)들은 접촉 브리지(4)의 상부면(41)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접촉 브리지(4)는 접촉 어셈블리(200)의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 칼라(24)들과 접할 수 있다. 접촉 브리지(4)가 부착부(21)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촉 브리지(4)의 홀(43)은 이러한 홀(43)을 둘러싸는 홀 벽(430)에서, 유지 칼라(24)의 수와 위치에 상응하게, 접촉 브리지(4)의 상부면(41)에서 하부면(44)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 홈(44)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 브리지는 홀 벽(430)에서 2개의 삽입 홈(44)을 상응하게 가지며, 이들 삽입 홈은 유지 칼라(24)들에 할당되고, 이들 유지 칼라의 치수는 유지 칼라(24)들이 삽입 홈(44)들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채택된다. 부착 시, 접촉 브리지(4)는, 유지 칼라(24)가 있는 부착부(21)가 삽입 홈(44)이 있는 홀(43)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 요소(20) 쪽으로 정렬된다. 유지 칼라(24)들이 완전히 이동된 후, 접촉 브리지(4)는 유지 요소(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유지 요소(20)의 홀(23)의 실린더 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삽입 홈(44)들과 유지 칼라(24)들이 서로 오프셋되어 정렬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 브리지(4)는 유지 칼라(44)의 수 및 위치에 상응하게 홀 벽(430) 내에, 접촉 브리지(4)의 상부면(41)으로부터 하부면(42) 방향으로(그러나 이때 상기 하부면을 통과하지는 않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지 홈(45)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접촉 브리지(4)가 2개의 유지 홈(45)을 갖는다. 접촉 브리지(4)가 로킹될 때, 이 접촉 브리지는 유지 칼라(24)들이 유지 홈(45)들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정도로 회전된다. 그 결과 유지 요소(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촉 브리지(4)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유지 칼라(24)들은, 원하는 형성에 따라 접촉 브리지(4)의 틸팅 가능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 브리지(4)의 하부면(42)을 향하는 측면 상에서 직선형, 곡선형 또는 각을 이룰 수 있다. 유지 칼라(24)들의 적절한 형상에 의해, 접촉 브리지(4)의 이동성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어 접촉 브리지(4)가 일종의 로커로서 기능할 수 있다. 틸팅 가능성으로 인해 스위칭 시 높이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유지 칼라(24)들의 반대편에 놓인 측면 상에서, 유지 요소(20)는 부착부(21)에 인접한 베이스부(22)를 갖고, 이 경우 상기 유지 요소(20)의 원통형 홀(23)은 상기 부착부(21)와 베이스부(22)를 통해 연장된다. 베이스부(22)는, 이 베이스부(22)가 접촉 브리지(4)의 홀(43)을 통해 끼워지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22)가 실린더 축(A)을 따른 방향으로 접촉 브리지(4)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한다. 특히, 도 2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부(21) 및 베이스부(22)는 각각 그들의 외부 표면에 대해 원통형 또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2)는 부착부(2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어셈블리(200)는 접촉 브리지(4)의 하부면(42) 상에 배치된 접촉 스프링(17)을 더 갖는다. 특히, 유지 요소(20) 상에서 접촉 브리지(4)가 로킹된 상태에서, 접촉 스프링(17)은 접촉 브리지(4)의 하부면(42)과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상기 접촉 브리지(4)의 하부면(42)이 접촉 스프링(17)을 위한 카운터 베어링을 형성한다. 또한, 유지 요소(20) 및 특히 베이스부(22)는 접촉 브리지(4)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접촉 스프링(17)의 측면 상에 접촉 스프링(17)을 위한 카운터 베어링(25)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프링(17)은 베이스부(22)의 일부를 둘러싼다.
접촉 어셈블리(200)를 조립할 때, 유지 요소(20)는 먼저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축(7)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접촉 스프링(17)들이 부착될 수 있고 접촉 브리지(4)가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최종 설치 위치까지 90° 각도로 회전된 부착부(21) 상으로 밀어지고 90° 각도로 회전하여 로킹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유지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전기 절연된다. 전기 절연 재료 또는 절연 재료들은 중합체 및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유리 섬유 충전 PBT 및 Al2O3과 같은 전기 절연 금속 산화물로부터 선택된 세라믹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지 요소(20)의 도시된 형성에 의해, 상기 유지 요소(20)는 접촉 브리지(4) 또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브리지(4)와 접촉 스프링(17)을 축(17)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접촉 브리지(4)가 스위칭 장치의 자석 드라이브의 컴포넌트들, 특히 자석 전기자의 컴포넌트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 브리지(4)와 축(7) 사이에 전도성 접촉이 없다. 모든 가능한 플래시오버 경로 역시 긴 프리 스탠딩 및 연면 거리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는 접촉 브리지(4)의 지지 및 로킹 그리고 접촉 브리지(4)의 전기 절연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스위칭 장치처럼 형성될 수 있는 도 2c에 상응하는 단면도로 스위칭 장치(100)의 컷아웃을 도시하며, 이 경우 도 1과의 차이점으로 접촉 어셈블리(200)가 전술한 실시 예에 따라 내장되어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도시 및/또는 설명되지 않은 스위칭 장치의 컴포넌트들 및 특징들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유지 요소(20)의 베이스부의 카운터 베어링(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장방형 형성으로 인해 스위칭 챔버(11) 상에서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스위칭 장치(100)에서 접촉 어셈블리(200)의 회전을 보장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작은 회전도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된 유지 요소(20)의 베이스부의 형상에 의해서는, 스위칭 동작 시 상향 및 하향 이동 동안 전체 접촉 어셈블리(200)의 안내가 구현될 수 있게 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접촉 브리지(4)의 컷아웃의 개략도가 각각 상부면(41)에 대한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삽입 홈(44)들과 유지 홈(45)들이 접촉 브리지(4)의 홀(43)에서 서로에 대해 90°의 각도만큼 오프셋되는 도 2a 내지 도 2e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다른 각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각도도 가능할 수 있다. 45°의 각도는 순전히 예로서 표시되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홈들이 없고 유지 요소의 유지 칼라들이 접촉 브리지(4)의 평평한 상부면(41) 상에서 지지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2a 내지 도 2e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유지 요소(20) 및 이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200)가 축(7) 상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는 추가 실시 예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유지 요소(20)는 홀(23)에 나사산(27)을 갖는다. 접촉 어셈블리(200)가 내장되는 스위칭 장치는 축(7)을 가지며, 이러한 축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영역(70)에서 유지 요소(20)가 나사 결합되는 영역(70)에 상응하는 나사산(71)을 갖는다. 추가로 유지 요소(20)는 도 2a 내지 도 2e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에 내장되는 동안 축(7) 상에 로킹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냅 링, 리벳팅 또는 나사산(71)으로 인해 로크 너트에 의해 로킹될 수 있다.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및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모든 조합이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더라도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 예들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반적인 부분의 설명에 따라 추가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으로 인해 상기 실시 예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각각의 새로운 특징 그리고 상기 특징들의 각각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특징 또는 상기 특징 조합 자체가 특허청구범위 또는 실시 예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특히 각각의 특징 조합은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된다.
1: 하우징
2, 3: 고정식 접점
4: 접촉 브리지
5: 자석 전기자
6: 자성 코어
7: 축
8: 코일
9: 요크
10: 스프링
11: 스위칭 챔버
12: 스위칭 챔버 벽
13: 스위칭 챔버 바닥
14: 가스
16: 기밀 영역
17: 접촉 스프링
18: 스프링 베어링
19: 고정 요소
20: 유지 요소
21: 부착부
22: 베이스부
23: 홀
24: 유지 칼라
25: 카운터 베어링
26: 리세스
27: 나사선
40: 접촉 영역
41: 상부면
42: 하부면
43: 홀
44: 삽입 홈
45: 유지 홈
70: 영역
71: 나사선
100: 스위칭 장치
200: 접촉 어셈블리
430: 홀 벽
A: 실린더 축

Claims (15)

  1.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200)로서,
    - 일 축 상에 유지 요소를 배치하기 위한 실린더 축(A)을 갖는 원통형 홀(23)이 있는 유지 요소(20) 및
    - 적어도 하나의 접촉 영역(40)을 갖는 상부면(41)과 이 상부면의 반대편에 놓인 하부면(42)을 갖고 상기 유지 요소 상에 설치되는 접촉 브리지(4)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요소 상의 접촉 브리지가 상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로킹 상태로 변위될 수 있는, 접촉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가 홀(43)을 갖고, 이 홀을 통해 상기 유지 요소의 부착부(21)가 돌출하는, 접촉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칼라(24)를 갖고, 이 유지 칼라에 의해 상기 접촉 브리지가 상기 유지 요소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칼라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브리지의 상부면 영역에 배치된, 접촉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의 홀이 상기 유지 요소의 하나 이상의 유지 칼라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홈(44)이 있는 홀 벽(430)을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 홈이 상기 접촉 브리지의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연장되는, 접촉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가 상기 홀 벽에 하나 이상의 유지 홈(45)을 갖고, 이 유지 홈이 상기 접촉 브리지의 상부면에서 상기 하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2개의 유지 칼라를 갖고, 이들 유지 칼라는 상기 실린더 축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의 반대편 측면들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촉 브리지가 상기 홀 벽에, 적어도 2개의 유지 칼라와 관련된 삽입 홈들을 갖는, 접촉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가 상기 홀 벽에, 적어도 2개의 유지 칼라와 관련된 유지 홈들을 갖는, 접촉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가 상기 부착부에 인접한 베이스부(22)를 갖고, 상기 원통형 홀이 상기 부착부와 베이스부를 통해 연장되는, 접촉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상기 접촉 브리지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접촉 스프링(17)을 더 포함하는, 접촉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이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접촉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프링이 상기 유지 요소 상의 접촉 브리지의 로킹 상태에서 상기 접촉 브리지의 하부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접촉 브리지의 하부면이 상기 접촉 스프링을 위한 카운터 베어링을 형성하는, 접촉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가 상기 접촉 브리지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보는, 상기 접촉 스프링의 일 측면 상에 상기 접촉 스프링용 카운터 베어링(25)을 갖는, 접촉 어셈블리.
  13. 스위칭 챔버(11) 내에 고정식 접점(2, 3)과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촉 어셈블리(200)를 갖는 스위칭 장치(100)로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200)가 자석 전기자(5)에 의해 축(7)과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축(7)이 유지 요소(20)의 원통형 홀(23)에 배치된, 스위칭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어셈블리의 유지 요소(20)가 스냅 링(19) 또는 리벳팅에 의해 상기 축에 고정된, 스위칭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가 이 유지 요소의 홀(23)에 나사산(27)을 갖고, 이 나사산에 의해 상기 유지 요소가 상기 축의 나사산(27)에 나사 연결된, 스위칭 장치.
KR1020217026192A 2019-03-18 2020-03-05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 KR102378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6832.0 2019-03-18
DE102019106832.0A DE102019106832B4 (de) 2019-03-18 2019-03-18 Kontaktanordnung für eine Schalt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PCT/EP2020/055867 WO2020187586A1 (de) 2019-03-18 2020-03-05 Kontaktanordnung für eine schalt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490A KR20210108490A (ko) 2021-09-02
KR102378012B1 true KR102378012B1 (ko) 2022-03-24

Family

ID=697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192A KR102378012B1 (ko) 2019-03-18 2020-03-05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7424B2 (ko)
JP (2) JP7386880B2 (ko)
KR (1) KR102378012B1 (ko)
CN (2) CN116504585A (ko)
DE (1) DE102019106832B4 (ko)
WO (1) WO2020187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516B1 (ko) * 2019-05-29 2021-11-10 엘에스일렉트릭 (주) 직류 릴레이
DE102021107381A1 (de) 2021-03-24 2022-09-29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DE102022109265B3 (de) 2022-04-14 2023-07-20 Tdk Electronics Ag Schaltkammer für eine Schalt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DE102022005024B4 (de) 2022-04-14 2024-02-01 Tdk Electronics Ag Schaltkammer für eine Schalt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21714U1 (de) 1982-07-30 1982-09-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ür Andreh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FR2895143A1 (fr) 2005-12-15 2007-06-22 Valeo Equip Electr Moteur Equipage mobile pour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et contacteur comportant un tel equipage
DE102011080477A1 (de) 2011-08-05 2013-02-07 Robert Bosch Gmbh Starter und Startrelais mit Verdrehsicherung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7160B4 (de) 2004-03-31 2020-11-05 Seg Automotive Germany Gmbh Relais mit selbstfedernder Kontaktbrücke
KR101072627B1 (ko) 2010-10-15 2011-10-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기의 가동접점 조립체
DE102011122439A1 (de) 2011-12-24 2013-06-27 Daim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alten elektrischer Lastkreise
JP5935335B2 (ja) 2012-01-13 2016-06-15 ヤマハ株式会社 楽器の可動部の可動構造
DE102012201967B4 (de) 2012-02-09 2019-01-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chaltkontaktbaugruppe sowie Bausatz und Montageverfahren hierfür
CN202796485U (zh) 2012-04-13 2013-03-13 上海浦核科技有限公司 接触桥
US20140002215A1 (en) * 2012-06-29 2014-01-02 Siemens Industry, Inc. Electrical contact apparatus, assemblies,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1846224B1 (ko) 2014-07-11 2018-04-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기
EP3086351B1 (de) 2015-04-22 2017-08-30 Ellenberger & Poensgen GmbH Leistungsrelais für ein fahrzeug
DE102016107127A1 (de) 2016-01-29 2017-08-03 Epcos Ag Relais
GB2567825A (en) 2017-10-24 2019-05-01 Albright International Ltd Electrical relay
DE102017220503B3 (de) 2017-11-16 2019-01-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Doppelt unterbrechender Schalter
WO2019154855A1 (de) 2018-02-07 2019-08-15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r elektrischen last
DE102021128179A1 (de) * 2021-10-28 2023-05-0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chaltkontaktbaugruppe für ein elektrisches Schaltelement und elektrisches Schalt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21714U1 (de) 1982-07-30 1982-09-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ür Andreh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FR2895143A1 (fr) 2005-12-15 2007-06-22 Valeo Equip Electr Moteur Equipage mobile pour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et contacteur comportant un tel equipage
DE102011080477A1 (de) 2011-08-05 2013-02-07 Robert Bosch Gmbh Starter und Startrelais mit Verdrehsicherung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9713A (ja) 2022-01-21
KR20210108490A (ko) 2021-09-02
US20220139655A1 (en) 2022-05-05
JP7386880B2 (ja) 2023-11-27
JP2023012534A (ja) 2023-01-25
CN113557584A (zh) 2021-10-26
US11837424B2 (en) 2023-12-05
DE102019106832A1 (de) 2020-09-24
DE102019106832B4 (de) 2022-08-18
CN116504585A (zh) 2023-07-28
WO2020187586A1 (de)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8012B1 (ko) 스위칭 장치용 접촉 어셈블리 및 스위칭 장치
US20110120844A1 (en) Electrical switch
JP7202443B2 (ja) スイッチング装置
JP7467552B2 (ja) 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US11942298B2 (en) Switching device
US20230197388A1 (en) Switching Device
US20220293380A1 (en) Switching Device
US11955301B2 (en) Switching device
US11456123B2 (en) Switching device
US11551898B2 (en) Switching device
CN114360962A (zh) 一种电开关装置和一种电气系统
CN112041584A (zh) 开关装置
KR20170000938U (ko) 전자개폐기
US20240177957A1 (en) Switching device
US12009171B2 (en) Switching device
US20240105409A1 (en) Switching device
CN117461107A (zh) 开关装置
CN115552561A (zh) 开关装置
CN114256029A (zh) 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