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337B1 -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 Google Patents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337B1
KR102377337B1 KR1020197008332A KR20197008332A KR102377337B1 KR 102377337 B1 KR102377337 B1 KR 102377337B1 KR 1020197008332 A KR1020197008332 A KR 1020197008332A KR 20197008332 A KR20197008332 A KR 20197008332A KR 102377337 B1 KR102377337 B1 KR 10237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melt adhesive
straw
container
trad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652A (ko
Inventor
겐지 마츠다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9004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J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10Peculiar tacticity
    • C08L2207/14Amorphous or atactic 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6Presence of ethen-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목적] 종이 및 폴리올레핀과 같은 기재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또한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심지어 오랜 시간이 경과할 때에도 점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고, 점착성이 너무 강하지 않은 핫 멜트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및 메탈로센 중합체 (B)를 포함하는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일본에서 2016년 8월 2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6-162564호의 파리 협약 제4조에 따른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빨대를 포장한 플라스틱 필름이 음료와 같은 액체로 채워진 용기 (예를 들어, 종이로 만들어진 용기, 금속으로 만들어진 용기 및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용기)에 접착되도록 해 주는 핫 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빨대를 갖는 용기는 흡입용 빨대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포장 백 내에 넣음으로써 수득된 빨대 포장체가 부착되어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빨대를 갖는 용기는 종종 음료로 채워진다. 빨대를 갖는 용기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를 기준으로 분류된다. 용기가 종이로 만들어져 있으면 그 용기는 종이 팩이라고 칭해지고, 용기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면, 그 용기는 (금속) 캔이라고 칭해지고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있으면, 그 용기는 알루미늄 캔이라고 칭해지고, 용기가 강철로 만들어져 있으면, 그 용기는 강철 캔이라고 칭해짐), 용기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져 있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져 있으면, 그 용기는 플라스틱 컵이라고 칭해진다.
특허 문헌 1에는 빨대를 갖는 (금속) 캔이 기술되어 있고, 특허 문헌 2에는 빨대를 갖는 종이 팩이 개시되어 있다. 두 문헌 모두에는 빨대 포장체가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용기에 접착된다고 기술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핫 멜트 접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PS)를 기재로 하는 핫 멜트 접착제이다 (특허 문헌 1의 [청구항 1] 및 [실시예]를 참조).
특허 문헌 1의 핫 멜트 접착제는 빨대 포장체를 금속으로 만들어진 용기에 부착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스티렌-기재의 핫 멜트 접착제이다. 그러나, 종이로 만들어진 용기에 대한 상기 접착제의 접착 특성은 충분하지 않고, 빨대 포장체가 종이로 만들어진 용기에 부착되도록 하기에 상기 접착제의 접착 특성은 불충분하다.
특허 문헌 2에는 빨대 포장체가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용기에 고착된다고 기술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단락 0010을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2에는 사용되는 핫 멜트 접착제의 조성이 전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는 빨대를 포장하기 위한 폴리올레핀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 및 기재, 예를 들어 용기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종이 및 플라스틱 기재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서 탁월할 것이 요구된다.
빨대를 갖는 용기를 여름에 냉장하고 주위 온도에 둘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핫 멜트 접착제는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할 것이 요구된다. 일부 경우에, 빨대를 갖는 용기는 오랜 시간에 걸쳐 제조되고, 핫 멜트 접착제는 핫 멜트 접착제가 기재 상에 코팅되기 전까지는 코터 (코팅기)에 연결된 탱크에서 고온 (약 180℃)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핫 멜트 접착제는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점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핫 멜트 접착제는 블로킹(blocking) 내성에 있어 탁월할 것이 요구된다. 빨대 포장체와 용기의 기재 사이의 접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핫 멜트 접착제가 점착성이면, 소비자는 핫 멜트 접착제를 건드릴 때 때로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는 음료 용기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특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지만, 소비자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하는 핫 멜트 접착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인용 목록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5 (1993)-162752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9 (1997)-2780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 및 폴리올레핀과 같은 기재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또한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심지어 오랜 시간이 경과할 때에도 점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고, 점착성이 너무 강하지 않은 핫 멜트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철저히 연구한 결과, 특정한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놀랍게도 상기에 기술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측면은 하기와 같다.
1.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및 메탈로센 중합체 (B)를 포함하는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2. 점착부여 수지 (C) 및 왁스 (D)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목 1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3. 오일 (E)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목 1 또는 2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4. (A) 내지 (E)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의 점착부여 수지 (C)를 포함하는, 항목 3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5.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이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화학 구조를 갖는 것인,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6. 메탈로센 중합체 (B)가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항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7. 빨대가 항목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인, 빨대를 갖는 용기.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및 메탈로센 중합체 (B)를 포함하며, 그러므로, 종이 및 폴리올레핀과 같은 기재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또한 저온 (약 4℃) 내지 고온 (50℃)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심지어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탱크에 저장될 때에도 점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빨대를 갖는 용기를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면, 심지어 빨대를 갖는 용기를 냉장하거나 옥외에 둘 때에도, 접착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의 점착성은 너무 강하지는 않다. 따라서, 소비자는 용기와 빨대 포장체 사이의 접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착제에 의해 유발되는 "점착성"을 느끼지 않고, 따라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오랜 시간 동안 일정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심지어 빨대를 갖는 용기가 오랜 시간 동안 제조될 때에도, 핫 멜트 접착제의 점도 조절이 요구되지 않고, 코팅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1은 빨대를 갖는 용기 (종이 팩)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빨대를 갖는 용기 (플라스틱 컵)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및 메탈로센 중합체 (B)를 포함한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본 발명에서,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이하 "성분 (A)"라고도 지칭됨)"은 일반적으로 무정형 폴리-α-올레핀이라고 칭해지는 α-올레핀의 무정형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무정형"은 통상적으로 결정질이 아닌 것을 의미하지만, 더 구체적으로는 중합체의 분자 쇄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가리킨다. 핫 멜트 접착제를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을 사용하여 배합함으로써, 핫 멜트 접착제가 적절한 점착성 값을 나타내고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심지어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탱크에 저장될 때에도 점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의 예는 무정형 폴리프로필렌, 무정형 폴리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또 다른 α-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또 다른 α-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의 특정한 예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의 삼원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1-옥텐의 삼원공중합체, 프로필렌/1-헥센/메틸 펜텐의 삼원공중합체 및 1-폴리부텐 (단독중합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화학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화학 구조의 의미는 순수한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관능기를 갖는 프로필렌 유도체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화학 구조를 포함하면, 핫 멜트 접착제는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더 탁월해진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의 바람직한 형태의 예는 프로필렌/에틸렌/1-부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를 프로필렌/에틸렌/1-부텐을 사용하여 배합함으로써, 핫 멜트 접착제는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 강도에 있어 더 탁월해지고, 점도가 덜 변화한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이 핫 멜트 접착제에 포함됨으로 인해, 핫 멜트 접착제의 경도가 적절해지며, 그러므로, 핫 멜트 접착제의 블로킹 내성이 더욱 개선되고, 따라서, 핫 멜트 접착제는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범위에서 접착력의 균형에 있어 더 탁월해진다.
본 발명에서,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g/cm3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80 g/cm3 내지 0.90 g/cm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85 g/cm3 내지 0.88 g/cm3이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의 밀도가 상기에 기술된 범위임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의 경도는 적절해지고, 핫 멜트 접착제의 블로킹 내성은 개선된다.
<메탈로센 중합체 (B)>
본 발명에서, "메탈로센 중합체 (B) (이하 "성분 (B)"라고도 지칭됨)"는 중합 촉매로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α-올레핀의 결정질 중합체, 즉 "결정질 폴리-α-올레핀"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결정질"은 "결정질"이라고 통상적으로 지칭되는 것을 의미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중합체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가리킨다.
메탈로센 중합체 (B)가 포함됨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개선된 내열성, 고온 (약 50℃)에서의 개선된 접착 특성 및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탁월한 접착 특성을 나타낸다.
메탈로센 중합체 (B)의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메탈로센 중합체 (B)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이 성분 (B)에 포함됨으로 인해, 성분 (B)와 성분 (A) 사이의 상용성이 개선되고, 핫 멜트 접착제는 저온 (5℃) 내지 고온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 특성에 있어 더 탁월해진다.
α-올레핀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되면, 매우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중합체가 합성된다. 따라서, 폴리-α-올레핀의 결정 특성에 있어 편중이 일어나는 경우는 없고, 분자 구성, 예를 들어 프로필렌 위치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구성 단위체의 배열 및 각각의 구성 단위체의 함량에 있어 균일성을 갖는 중합체가 수득되고, 접착력 감소의 원인인 저분자량 분자가 생성될 가능성이 더 낮아지고, 따라서 접착력이 감소되는 경향이 없다.
메탈로센 중합체 (B)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7 g/cm3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80 g/cm3 내지 0.10 g/cm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86 g/cm3 내지 0.90 g/cm3이다.
<점착부여 수지 (C)>
"점착부여 수지 (C)"는, 점착부여 수지 (C)가 핫 멜트 접착제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부여 수지 (C)가 상기에 기술된 비로 포함됨으로 인해, 핫 멜트 접착제는 특정한 정도의 점착성을 나타내고,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에서 접착 특성의 균형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착부여 수지의 예는 천연 로진, 개질 로진, 수소화 로진, 천연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개질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천연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개질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수소화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천연 테르펜의 공중합체, 천연 테르펜의 삼원공중합체, 수소화 테르펜의 공중합체의 수소화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페놀-기재의 개질 테르펜 수지의 수소화 유도체,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의 수소화 유도체,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의 수소화 유도체,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및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의 수소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점착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상기에 기술된 점착부여 수지 중 둘 이상의 종류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점착부여 수지의 색조가 무색 내지 옅은 황색이고 점착부여 수지가 실질적으로 무향이고 열 안정성에 있어 우수한 한, 점착부여 수지로서 액체 유형의 점착부여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점착부여 수지로서, 상기에 기술된 수지의 수소화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점착부여 수지 (C)로서, 시판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 제품의 예는 엑손 모빌 코포레이션(Exxon Mobil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ECR231C (상품명), ECR179EX (상품명) 및 ECR5600 (상품명), 마루젠 페트로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Maruzen Petro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마루카클리어(MarucaClear)-H (상품명), 야수하라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Yasuhara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클리어온(Clearon) K100 (상품명), 클리어온 K4090 (상품명) 및 클리어온 K4100 (상품명) 및 클리어온 P105 (상품명),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 제조된 아르콘(Arkon) M100 (상품명) 및 아르콘 P90 (상품명), 이데미쓰 코산 캄파니, 리미티드(Idemitsu Kosan Co., Ltd)에 의해 제조된 아이-마르브(I-MARV) S100 (상품명), 아이-마르브 Y135 (상품명), 아이-마르브 P125 (상품명) 및 아이-마르브 P100 (상품명)뿐만 아니라,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Eastman Chemical Company)에 의해 제조된 레갈리트(Regalite) R7100 (상품명)을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시판 점착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상기에 기술된 시판 점착부여 수지 중 둘 이상의 종류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왁스 (D)>
본 발명에서, 핫 멜트 접착제는 왁스 (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 (D)가 포함됨으로 인해, 핫 멜트 접착제는 적절한 경도를 보유할 수 있고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이고 가열되면 액체가 되고 10,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고 일반적으로 "왁스"라고 칭해지는 유기 물질을 가리킨다. 왁스가 왁스의 특성을 갖고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왁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왁스는 합성 왁스일 수 있거나 천연 왁스일 수 있다.
합성 왁스의 예는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및 폴리올레핀 왁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왁스)를 포함한다.
"피셔-트롭쉬 왁스"는 일반적으로 피셔-트롭쉬 왁스라고 칭해지는 피셔-트롭쉬 공정에 의해 합성된 왁스를 가리킨다. 구성 분자가 비교적 넓은 탄소수 분포를 갖는 것인 왁스로부터 구성 분자가 좁은 탄소수 분포를 갖는 것인 왁스를 분별함으로써, 피셔-트롭쉬 왁스를 수득한다.
시판 피셔-트롭쉬 왁스의 예는 사솔 퍼포먼스 케미칼즈(Sasol Performance Chemicals)로부터의 사솔(Sasol) H1 (상품명), 사솔 H8 (상품명) 및 사솔 C80 (상품명) 및 니폰 세이로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Seiro Co., Ltd)로부터의 FT-115 (상품명)를 포함한다.
천연 왁스의 예는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및 페트롤라툼(petrolatum)을 포함한다.
파라핀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이고 진공 증류에 의해 추출된 오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생성된 왁스이다. 파라핀 왁스의 대표적인 예는 니폰 세이로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상품명) 시리즈를 포함한다.
미세결정질 왁스는 상온에서 고체이고 진공 증류 저부 생성물 또는 추출된 중질 오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생성된 왁스이다. 미세결정질 왁스의 대표적인 예는 니폰 세이로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하이-믹(Hi-Mic) (상품명) 시리즈를 포함한다.
페트롤라툼은 상온에서 반고체이고 진공 증류 저부 생성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생성되는 왁스이다. 페트롤라툼의 대표적인 예는 츄오 유카 캄파니, 리미티드(Chuo Yuka Co., Ltd.)에 의해 제조된 센톤(Centon) CP (상품명) 시리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천연 왁스인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체가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여 배합되면, 핫 멜트 접착제는 적절한 경도를 갖고, 따라서 핫 멜트 접착제의 블로킹 내성이 개선되고, 추가로 핫 멜트 접착제의 점착성은 저감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빨대 포장체와 용기 사이의 접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핫 멜트 접착제를 건드릴 때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다.
<오일 (E)>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은 용융 점도를 감소시키고 가요성을 부여하고 피착물에 대한 핫 멜트 접착제의 습윤성을 개선하기 위해 배합된다. 오일이 성분 (A) 및 (B)와 상용성이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오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오일의 예는 파라핀-기재의 오일, 나프텐-기재의 오일 및 방향족 오일을 포함한다. 무색 및 무향인 파라핀-기재의 오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가 파라핀-기재의 오일을 사용하여 배합되면, 저온 (약 4℃) 내지 상온 (약 23℃)에서의 핫 멜트 접착제의 접착 특성이 개선된다.
시판 제품이 오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판 제품의 예는 극동 오일 앤드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Kukdong Oil &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화이트 오일 브룸(White Oil Broom) 350 (상품명), 이데미쓰 코산 캄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디아나 프레시아(Diana Fresia) S32 (상품명), 디아나 프로세스 오일(Diana Process Oil) PW-90 (상품명) 및 DN 오일 KP-68 (상품명), 비피 케미칼즈(BP Chemicals)에 의해 제조된 에네르퍼(Enerper) M1930 (상품명), 크롬프톤 코포레이션(Crompton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케이돌(Kaydol) (상품명)뿐만 아니라 엑손 모빌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프리몰(Primol) 352 (상품명)을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상기에 기술된 가소제 중 둘 이상의 종류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의 예는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 및 미립상 충전제를 포함한다.
"안정화제"는, 핫 멜트 접착제의, 열, 공기 및 광으로 인한 분자량 감소, 겔화, 착색, 냄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핫 멜트 접착제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배합된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안정화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안정화제의 예는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흡수제"는 핫 멜트 접착제의 내광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산화방지제"는 핫 멜트 접착제의 산화적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는 일반적으로 핫 멜트 접착제를 위해 사용되는 것들이며,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목적하는 종이로 만들어진 제품이 수득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산화방지제"의 예는 페놀-기재의 산화방지제, 황-기재의 산화방지제 및 인-기재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는 벤조트리아졸-기재의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페논-기재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또한, 락톤-기재의 안정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안정화제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상기에 기술된 안정화제 중 둘 이상의 종류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 시판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 안정화제의 예는 스미토모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Sumitomo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수밀리저(Sumilizer) GM (상품명), 수밀리저 TPD (상품명) 및 수밀리저 TPS (상품명), 바스프 재팬 리미티드(BASF Japan Ltd.)에 의해 제조된 이르가녹스(IRGANOX) 1010 (상품명), 이르가녹스 HP2225FF (상품명), 이르가포스(IRGAFOS) 168 (상품명) 및 이르가녹스 1520 (상품명), 아데카 코포레이션(ADEKA Corporation)의 에이디케이 스타브(ADK STAB) AO-60 (상품명)뿐만 아니라 조호쿠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Johoku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JF 77 (상품명) 및 JP-650 (상품명)을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안정화제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상기에 기술된 안정화제 중 둘 이상의 종류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미립상 충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미립상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립상 충전제일 수 있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미립상 충전제"의 예는 운모, 탄산칼슘, 카올린, 활석, 산화티타늄, 규조토, 우레아-기재의 수지, 스티렌 비드, 소성 점토 및 전분을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미립상 충전제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며, 상기에 기술된 미립상 충전제의 크기 (구체의 경우에 직경)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핫 멜트 접착제의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메탈로센 중합체 (B), 추가로, 필요에 따라, 점착부여 수지 (C), 왁스 (D), 오일 (E) 및 상기에 기술된 각각의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를 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A) 내지 (E)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부의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A) 내지 (E)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의 결정질 폴리-α-올레핀 (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A) 내지 (E)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점착부여 수지 (C)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배합 조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가 용기의 기재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종이 기재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 특히 탁월하고 저온 (약 4℃) 내지 고온 (약 50℃)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접착 특성의 균형에 있어 현저히 탁월하고 심지어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탱크에 저장될 때에도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고 점도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특정한 양의 상기에 기술된 성분들을 배합하고 상기에 기술된 성분들을 가열하고 용융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핫 멜트 접착제가 수득될 수 있는 한 각각의 성분의 첨가 순서 및 성분의 가열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성분 (A) 내지 (C)를 포함하고 180℃에서 3,0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0 mPa·s,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2,000 mPa·s의 용융 점도를 갖는다. 용융 점도가 상기에 기술된 범위 내임으로 인해, 핫 멜트 접착제는 코팅 특성에 있어 탁월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180℃에서의 용융 점도는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 27호 회전자 및 써모셀(Thermocell)을 사용하여 측정된 값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핫 멜트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블록-형상을 갖는다. 블록-형상 핫 멜트 접착제는 상기에 기술된 제조 방법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생성물을 냉각시키고 응고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피착물 상에 코팅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코팅이 수행될 때, 핫 멜트 접착제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배합될 것이 요구되지 않고,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코팅 방법으로서, 핫 멜트 접착제의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도포 (또는 코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방법은 대략 접촉 코팅 및 비-접촉 코팅으로 분류된다. "접촉 코팅"은 핫 멜트 접착제가 코팅될 때 분사기(jetting machine)가 부재 및 필름과 접촉되는 것인 코팅 방법을 가리킨다. "비-접촉 코팅"은 핫 멜트 접착제가 코팅될 때 분사기가 부재 또는 필름과 접촉되지 않는 것인 코팅 방법을 가리킨다. 접촉 코팅 방법의 예는 슬롯 코터(slot coater)를 사용하는 코팅 및 롤 코터(roll coater)를 사용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비-접촉 코팅 방법의 예는 코팅을 나선형으로 수행할 수 있는 나선 코팅, 코팅을 파상 패턴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오메가(omega) 코팅 또는 컨트롤 심(controlled seam) 코팅, 코팅을 평면 형태로 수행할 수 있는 슬롯 분무 코팅 또는 커튼 분무 코팅, 코팅을 점 형태로 수행할 수 있는 점 코팅, 및 코팅을 선 형태로 수행할 수 있는 비드(bead) 코팅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빨대를 갖는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를 코팅하는 방법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팅을 점 형태로 수행할 수 있는 점 코팅이다.
점 코팅에 의한 핫 멜트 접착제의 코팅을 120℃ 내지 200℃에서, 빨대 포장체의 한 면 또는 용기의 한 면에서 수행하여, 빨대 포장체가 핫 멜트 접착제를 통해 용기에 부착되도록 하여 빨대를 갖는 용기가 바람직하게 수득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의 한 실시양태인 종이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 삽입 구멍(3)이 빨대를 갖는 용기(1)의 상부 표면(2)에 형성된다. 빨대 포장체(6)는 핫 멜트 접착제(4)에 의해 빨대를 갖는 용기(1)의 한 면에 고정된다. 빨대 포장체(6)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필름으로써 빨대(5)를 동봉한다.
종이 팩의 예는 폴리올레핀이 종이의 양면에 얇게 코팅되어 있는 것인 기재로부터 제조된 종이 팩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층의 두께와 관련하여, 외부 면의 두께는 약 16 내지 약 20 μm이고, 액체와 닿는 내부 면의 두께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약 26 내지 약 30 μm 정도로 두껍다. 종이의 두께는 약 480 μm이다. 종이의 예는 활엽수 펄프와 블렌딩된 침엽수 펄프로 주로 구성된 천연 펄프로부터 수득된 종이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의 예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빨대의 예는 폴리올레핀 재료로부터 제조된 빨대를 포함한다. 빨대 포장체의 예는 폴리올레핀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체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의 예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를 갖는 용기의 또 다른 실시양태인 플라스틱 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5)를 수용하는 빨대 포장체(6)는 핫 멜트 접착제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빨대를 갖는 용기(1) (플라스틱 기재)의 한 면에 부착된다. 플라스틱 기재의 예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빨대를 갖는 용기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금속 캔 (예컨대 알루미늄 캔 또는 강철 캔)일 수 있고, 추가로, 빨대 포장체를 사용하지 않고서 빨대가 직접 부착되어 있는 용기일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에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의해 더 구체적이고 더 상세하게 기술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측면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달리 명기되지 않는 한, 용매를 고려하지 않는 부분은 중량부(들) 및 중량%의 기준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성분은 하기에 제시된다.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A1) 무정형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이스토플렉스(Eastoflex) P1010PL (상품명), 이스트만 케미칼 캄파니 제조, 점도 1,000 mPa·s: 190℃, 연화점 155 ℃, 밀도 0.87 g/cm3)
(A2) 무정형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베스토플라스트(VESTOPLAST) 703 (상품명), 에보닉 인더스트리즈(Evonik Industries) 제조, 점도 2,700 mPa·s: 190℃, 연화점 124℃, 밀도 0.87 g/cm3)
(A3) 무정형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베스토플라스트 704 (상품명), 에보닉 인더스트리즈 제조, 점도 3,500 mPa·s: 190℃, 연화점 105℃, 밀도 0.87 g/cm3)
(A4) 무정형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베스토플라스트 708 (상품명), 에보닉 인더스트리즈 제조, 점도 8,000 mPa·s: 190℃, 연화점 106℃, 밀도 0.87 g/cm3)
(A5) 무정형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렉산 택(Lexan Tack) 2715A (상품명), 헌츠만 코포레이션(Huntsman Corporation) 제조, 점도 1,500 mPa·s: 190℃, 연화점 110℃, 밀도 0.87 g/cm3)
(A6) 무정형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렉산 택 2780A (상품명), 헌츠만 코포레이션 제조, 점도 8,000 mPa·s: 190℃, 연화점 110℃, 밀도 0.87 g/cm3)
(A'7) SBS (터프프렌(TUFPRENE) A (상품명), 아사히 카세이 코포레이션(Asahi Kasei Corporation) 제조, 스티렌 함량 40 중량%)
(A'8) SBS (터프프렌 125 (상품명), 아사히 카세이 코포레이션 제조, 스티렌 함량 40 중량%)
(A'9) EVA (울트라센(Ultracene) 735 (상품명), 토소 코포레이션(Tosoh Corporation) 제조, MFR 1,000 g/10 min: 190℃,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28%, 밀도 0.96 g/cm3)
메탈로센 중합체 (B)
(B1)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엘-모두(L-MODU) S400 (상품명), 이데미쓰 코산 캄파니, 리미티드 제조, MFR 2,000 g/10 min: 230℃, 밀도 0.87 g/cm3),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B2)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엘-모두 S600 (상품명), 이데미쓰 코산 캄파니, 리미티드 제조, MFR 350 g/10 min: 230℃, 밀도 0.87 g/cm3),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B3)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아피니티(AFFINITY) GA1900 (상품명),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The Dow Chemical Company) 제조, MFR 1,000 g/10 min: 190℃, 밀도 0.87 g/cm3),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B4)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비스타막스(Vistamaxx) 6202 (상품명), 엑손 모빌 코포레이션 제조, MFR 20 g/10 min: 230℃, 밀도 0.86 g/cm3),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B5)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리코센(Licocene) PP 2602 (상품명), 클라리안트(Clariant) 제조, 점도 60 mPa·s: 170℃, 밀도 0.90 g/cm3),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B'6)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페트로센(Petrocene) 249 (상품명), 토소 코포레이션 제조, MFR 70 g/10 min: 190℃, 밀도 0.92 g/cm3),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B'7) 에틸렌/폴리부텐 공중합체 (DP8911ME (상품명), 리온델바셀 인더스트리즈(LyondellBasell Industries) 제조, MFR 200 g/10 min: 190℃, 밀도 0.90 g/cm3),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한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
점착부여 수지 (C)
(C1) 수소화 디시클로펜타디엔-기재의 수지 (아이-마르브 P100 (상품명), 이데미쓰 코산 캄파니, 리미티드 제조, 연화점 100℃)
(C2) 수소화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아르콘 P90 (상품명), 아라카와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제조, 연화점 90℃)
(C3) 수소화 테르펜 수지 (클리어온 P105 (상품명), 야수하라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 제조, 연화점 105℃)
왁스 (D)
(D1) 파라핀 왁스 (파라핀 왁스-150 (상품명), 니폰 세이로 캄파니, 리미티드 제조)
(D2) 피셔-트롭쉬 왁스 (사솔 H8 (상품명), 사솔 제조)
(D3) 미세결정질 왁스 (마이크로왁스(Microwax) 180 (상품명), 제이엑스티지 니폰 오일 앤드 에너지 코포레이션(JXTG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제조)
오일 (E)
(E1) 파라핀 오일 (디아나 프레시아 S32 (상품명), 이데미쓰 코산 캄파니, 리미티드 제조)
(E2) 파라핀 오일 (파졸(Phazol) 35 (상품명), 에스케이 루브리칸츠 캄파니, 리미티드(SK Lubricants Co., Ltd.) 제조)
(E3) 나프텐 오일 (선퓨어(SUNPURE) N90 (상품명), 재팬 선 오일 캄파니, 리미티드(Japan Sun Oil Co., Ltd.) 제조)
안정화제 (F)
(F1) 산화방지제 (에이디케이 스타브 AO-60 (상품명), 아데카 코포레이션 제조)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
성분 (A) 내지 (F)를 표 1에 제시된 비 (중량부)로 약 145℃에서 약 1.5시간 동안 만능 교반기를 사용하여 가열하고, 용융시키고, 서로 혼합하여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의 핫 멜트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 기술된 핫 멜트 접착제와 관련하여, 용융 점도 및 점도의 유지율, 종이 팩에 대한 접착 성능 (4℃, 23℃, 50℃) 및 블로킹 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용 샘플의 제조 방법, 평가 시험 방법 및 평가 기준이 하기에 기술된다.
<점도의 측정>
핫 멜트 접착제를 각각 180℃의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20분 후에, 브룩필드 점도계 및 27호 회전자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를 JAI7-1991에 규정된 방법 B에 따라 측정하였다.
<점도의 유지율>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의 핫 멜트 접착제의 점도 (180℃)를 측정하고 상기 핫 멜트 접착제를 최초 샘플로 삼았다. 핫 멜트 접착제 (최초 샘플) 20그램을 70 ml 유리 용기에 넣고, 온도조절기에 180℃에서 72시간 동안 두었고, 상기 샘플을 시간 경과 샘플로 삼았다.
시간 경과 샘플의 점도를 JAI7-1991에 규정된 방법 B에 따라 측정하였고, 하기 계산식을 사용하여 점도의 유지율을 계산하였다.
수식 1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1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 점도의 유지율은 80% 내지 120%였고, 상태 변화가 없었다.
×: 점도의 유지율은 80% 미만 또는 120% 초과였거나, 상태 변화가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상태 변화"는 유리 용기 내의 시간 경과 샘플에 있어서 임의의 환, 피막 및 상 분리의 발생으로서 규정된다. 용융된 상태를 나타내는 각각의 용어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환: 핫 멜트 접착제의 열화물(deteriorated product)이 유리 용기의 벽 표면 상에 환상으로 침전된 상태
피막: 핫 멜트 접착제의 열화물이 액체 표면 상에 막을 형성한 상태
상 분리: 핫 멜트 접착제가 분리되어 둘 이상의 층을 형성한 상태
<접착 강도의 평가>
(샘플의 제조)
핫 멜트 접착제 0.03 내지 0.04 g을 핫 멜트 건을 사용하여 피착물 (또는 기재)인 종이 팩 상에 코팅하였다. 코팅 온도는 180℃였다. 핫 멜트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피착물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빨대 포장체를 겹치고 손가락으로 가압하였다. 수득된 샘플을 평가용 샘플로 삼았다.
고온, 상온 또는 저온에서의 접착 강도의 평가를 위한 샘플을 실온 (23℃)에서 24시간 동안 두었고, 이어서 이것을 평가를 위해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박리 시험을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접착 강도 평가용 샘플에 대해 만능 인장 시험기 (시마즈 코포레이션(Shimadzu Corporation) 제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속도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핫 멜트 접착제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와 관련하여, 적어도 세 개의 샘플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고, 세 개의 샘플의 접착 강도 값을 수득하였다. 이 값들의 평균 값을 계산하여 평균 접착 강도 값 (단지 "접착 강도"라고도 지칭됨)을 얻었다. 측정을 각각 4℃, 23℃ 및 50℃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접착 강도를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A" (탁월): 평균 접착 강도가 15 N 이상이었음;
"B" (우수): 평균 접착 강도가 8 N 이상 및 15 N 미만이었음;
"C" (허용불가): 평균 접착 강도가 8 N 미만이었음.
<블로킹 내성의 평가>
핫 멜트 접착제를 5 mm의 두께를 갖는 시트로 만들었고 각각 25 제곱밀리미터 크기를 갖는 두 개의 시트를 잘라 내었다. 잘라낸 두 개의 시트를 겹치고, 핫 멜트 시트를 겹친 것에 1 kg 하중을 가한 상태로 23℃에서 24시간 동안 두었다. 이어서, 두 개의 핫 멜트 시트를 손으로 박리시켰고, 핫 멜트 시트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았다:
○: 두 개의 시트를 쉽게 박리시킬 수 있었다;
△: 두 개의 시트가 서로 어느 정도는 접착되어 있었지만, 그것들의 계면에서 그것들을 박리시킬 수 있었다;
×: 두 개의 시트를 박리시키자, 핫 멜트의 응집 파괴가 일어났다. 또 다르게는, 두 개의 시트를 박리시킬 수 없었다.
<표 1>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2
1: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 수소화 디시클로펜타디엔-기재의 수지
3: 수소화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4: 피셔-트롭쉬 왁스
5: 미세결정질 왁스
<표 2>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3
<표 3>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4
1: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 수소화 디시클로펜타디엔-기재의 수지
3: 수소화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4: 피셔-트롭쉬 왁스
5: 미세결정질 왁스
<표 4>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5
<표 5>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6
1: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 수소화 디시클로펜타디엔-기재의 수지
3: 수소화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4: 피셔-트롭쉬 왁스
5: 미세결정질 왁스
<표 6>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7
<표 7>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8
1: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 수소화 디시클로펜타디엔-기재의 수지
3: 수소화 시클로지방족 석유 탄화수소 수지
4: 피셔-트롭쉬 왁스
5: 미세결정질 왁스
<표 8>
Figure 112019029543928-pct00009
산업적 응용가능성
본 발명은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및 상기 핫 멜트 접착제로 코팅됨으로써 수득되는 빨대를 갖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저온 내지 고온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종이 팩 및 플라스틱 컵에 대한 접착 특성에 있어 탁월하고, 점도의 유지율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또한 블로킹 내성에 있어 탁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는 빨대를 갖는 용기, 특히 종이 팩 용기를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
1: 빨대를 갖는 용기
2: 상부 표면
3: 빨대 삽입 구멍
4: 핫 멜트 접착제
5: 빨대
6: 빨대 포장체

Claims (7)

  1.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 메탈로센 중합체 (B), 점착부여 수지 (C), 왁스 (D), 및 오일 (E)을 포함하는,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A) 내지 (E)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부의 점착부여 수지 (C)를 포함하는,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정형 폴리-α-올레핀 (A)이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화학 구조를 갖는 것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탈로센 중합체 (B)가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5. 빨대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인, 빨대를 갖는 용기.
  6. 삭제
  7. 삭제
KR1020197008332A 2016-08-23 2017-07-07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KR102377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2564 2016-08-23
JP2016162564A JP6958992B2 (ja) 2016-08-23 2016-08-23 ストロー付容器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PCT/JP2017/024941 WO2018037735A1 (en) 2016-08-23 2017-07-07 Hot melt adhesive agent for container with stra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52A KR20190042652A (ko) 2019-04-24
KR102377337B1 true KR102377337B1 (ko) 2022-03-21

Family

ID=5938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332A KR102377337B1 (ko) 2016-08-23 2017-07-07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49170B2 (ko)
EP (1) EP3504286B1 (ko)
JP (1) JP6958992B2 (ko)
KR (1) KR102377337B1 (ko)
CN (1) CN109642132A (ko)
BR (1) BR112019003539A2 (ko)
RU (1) RU2745958C2 (ko)
WO (1) WO2018037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9003B2 (ja) * 2018-12-13 2023-02-27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7336188B2 (ja) * 2018-12-13 2023-08-31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20117606A (ja) * 2019-01-23 2020-08-06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組成物
JP7283905B2 (ja) * 2019-01-23 2023-05-30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組成物
CN110128980A (zh) * 2019-04-28 2019-08-16 深圳市同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增塑剂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10540818B (zh) * 2019-09-18 2021-12-24 杭州之江新材料有限公司 非反应型聚烯烃热熔胶、其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533A (ja) 2008-03-31 2009-10-22 Henkel Japan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
WO2016073868A1 (en) * 2014-11-07 2016-05-12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that include semi-crystalline propylene polymer and wax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752A (ja) 1991-07-05 1993-01-26 Toray Ind Inc エアバツグ
JPH05162752A (ja) 1991-12-02 1993-06-29 Showa Denko Kk ストロー付缶
JP3457757B2 (ja) 1995-02-02 2003-10-20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棒状体パッケージ
JPH09278066A (ja) 1996-04-10 1997-10-28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付飲料用紙容器
US7223814B2 (en) * 2003-11-17 2007-05-29 Eastman Chemical Company Hot melt adhesives with improved performance window
JP5162752B2 (ja) * 2007-03-20 2013-03-13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セルロースエアロ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076407B2 (en) * 2008-02-08 2011-12-13 Henkel Ag & Co. Kgaa Hot melt adhesive
US8921474B2 (en) * 2009-07-24 2014-12-30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olefin block copolymers
EP2467441B1 (en) * 2009-08-20 2014-03-05 Henkel Corporatio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CA2807966C (en) * 2010-08-26 2019-10-29 Henkel Corporatio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amorphous poly-.alpha.-olefin adhesive
US20120329353A1 (en) * 2011-06-27 2012-12-27 H.B. Fuller Company Olefin based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nonwoven and packaging articles including the same
ES2762234T3 (es) * 2011-08-04 2020-05-22 Henkel IP & Holding GmbH Adhesivos y uso de los mismos
JP5924894B2 (ja) * 2011-09-16 2016-05-25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使い捨て製品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20150259578A1 (en) * 2014-03-14 2015-09-17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that include propylene polymer and ethylene copolym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2533A (ja) 2008-03-31 2009-10-22 Henkel Japan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
WO2016073868A1 (en) * 2014-11-07 2016-05-12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that include semi-crystalline propylene polymer and wax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4286B1 (en) 2023-08-30
KR20190042652A (ko) 2019-04-24
JP2018030918A (ja) 2018-03-01
EP3504286A1 (en) 2019-07-03
CN109642132A (zh) 2019-04-16
RU2019108266A3 (ko) 2020-11-02
US20190185718A1 (en) 2019-06-20
BR112019003539A2 (pt) 2019-05-21
JP6958992B2 (ja) 2021-11-02
WO2018037735A1 (en) 2018-03-01
US11149170B2 (en) 2021-10-19
RU2745958C2 (ru) 2021-04-05
RU2019108266A (ru)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337B1 (ko) 빨대를 갖는 용기를 위한 핫 멜트 접착제
KR101921035B1 (ko) 핫 멜트 접착제
US9758704B2 (en) Hot melt adhesive
US9822283B2 (en) Hot melt adhesive
KR102040994B1 (ko) 일회용 제품용 핫 멜트 접착제
JP6404563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20140012648A (ko) 핫 멜트 접착제
EP3894504B1 (en) Hot-melt adhesive
JP2016155916A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7229003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WO2020122009A1 (en) Hot-melt adhes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