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282B1 -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282B1
KR102377282B1 KR1020200120783A KR20200120783A KR102377282B1 KR 102377282 B1 KR102377282 B1 KR 102377282B1 KR 1020200120783 A KR1020200120783 A KR 1020200120783A KR 20200120783 A KR20200120783 A KR 20200120783A KR 102377282 B1 KR102377282 B1 KR 10237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online
card
authoring
online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재명
김현
이혜경
장봉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온
Priority to KR102020012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2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교시 개념이 있는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설계 요청이 입력되면,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로 특정 일자의 시간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 이외의 비교과 활동 시간에 대응하며 온라인 수업의 미리 정해진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클래스 카드,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에 대응하는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를 추가하기 위한 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 및 온라인 수업 내의 클래스 카드에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삽입하기 위한 콘텐츠 삽입 도구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편집된 하나 이상의 클래스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n online class authoring tool that supports designing an online class with a teaching concept is disclosed. The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nline class auth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when a request for designing an online class for a specific date is input, requesting and receiving a timetable for a specific date from an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Class cards that correspond to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s other than those set in the timetable and are placed at predetermined fixed locations in the online class, a class card add button for adding class cards of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s set in the timetable, and classes within the online class. Providing an online class design screen including a content insertion tool for inserting a user's desired type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to a card; Editing an online class on a specific date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an online class design screen; and, when the user's save request is input, requesting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to create and save an online class including one or more class cards edited i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Description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콘텐츠 저작 도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시 개념이 있는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learning content authoring tool,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n online class authoring tool that supports designing online classes with teaching concepts.

초등학교 등의 학교 수업을 가정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하는 경우, 가능하다면 오프라인에서의 학교 수업 환경을 온라인 환경으로 그대로 옮겨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replacing schoo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with online classes at home, it is desirable to transfer the offline school class environment to an online environment if possible.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저작 도구들은 교시 개념이 없으며, 단순히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저작한 다음 시간 단위로 자르는 정도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 저작 환경을 제공한다. 각 과목을 중심으로 커리큘럼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작하여 올려두면 수강생들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순서대로 재생하여 수강할 뿐이다.However, conventional online education content authoring tools do not have a teaching concept and provide an online learning content authoring environment that simply creates online learning content and then cuts it into time units. If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is created and uploaded for each subject, students can simply play it in order and take the course through smart devices such as computers or smartphones.

이러한 공지의 저작 도구들이나 이와 유사한 전자 학습 플랫폼들의 경우 대학 수업이나 학원 수업을 저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으나, 교시 개념이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를 위한 온라인 수업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There is no problem with these published authoring tools or similar e-learning platforms in providing services by authoring college classes or academy classes, but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providing online class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ith a teaching concept. .

특히 초등학교는 대학이나 학원과 달리, 아침 조회 후 정해진 시간만큼 수업을 진행한 후 종례와 함께 하루 일과를 마무리하게 되고, 학급 내 모든 학생들의 시간표가 동일하며, 대부분의 수업을 담임 교사가 진행하고 일부 교과목만 전문 교사가 여러 학급을 돌며 수업을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저작 도구로는 초등학생을 위한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In particular, in elementary schools, unlike universities or academies, classes are held for a set amount of time after morning assembly, and the day ends with a bell ceremony. The timetable for all students in the class is the same, and most classes are conducted by the homeroom teacher, with some classes being conducted by the homeroom teacher.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a teacher who specializes in only one subject travel to several classes to teach.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sign onlin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conventional online education content authoring too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교시 개념이 존재하고 대부분의 수업을 담임 교사가 담당하는 초등학교의 수업 환경을 온라인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의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online classes that can be applied online to the elementary school class environment where the concept of teaching exists and the homeroom teacher is in charge of most classe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가,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설계 요청이 입력되면,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로 상기 특정 일자의 시간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 이외의 비교과 활동 시간에 대응하며 온라인 수업의 미리 정해진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클래스 카드, 상기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에 대응하는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를 추가하기 위한 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 및 상기 온라인 수업 내의 클래스 카드에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삽입하기 위한 콘텐츠 삽입 도구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편집된 하나 이상의 클래스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nline class auth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hen a computer inputs an online class design request for a specific date, the computer sends the specific date to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Requesting and receiving a timetable; A fixed class card that corresponds to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s other than the teaching set in the timetable and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fixed position in the online class, a class card add button for adding a class card of a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 set in the timetable, and the above Providing an online class design screen including a content insertion tool for inserting a user-desired type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to a class card within an online class; Editing the online class for the specific date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And when the user's storage request is input, requesting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to create and save an online class including one or more class cards edited i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의 클래스 카드는 교시 표시 영역, 교과목 선택 영역, 학습 주제 입력 영역, 및 온라인 학습 콘텐츠 삽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 card of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may include a teaching display area, a subject selection area, a learning topic input area, and an online learning content insertion area.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삽입 도구에서 소정 유형의 콘텐츠 아이콘을 상기 온라인 학습 콘텐츠 삽입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하면, 상기 콘텐츠 아이콘이 드롭되는 위치의 클래스 카드에 해당 유형의 학습 도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diting the online class is to drag and drop a content icon of a certain type from the content insertion tool into the online learning content insertion area, and insert the learning tool of the corresponding type into the class card at the location where the content icon is dropped. It may include;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에 포함된 소정의 클래스 카드가 드래그앤드롭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온라인 수업 내 고정 클래스를 제외한 클래스 카드들의 교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diting the online class includes, when a certain class card included in the online class is moved to another location by dragging and dropping, adjusting the teaching order of class cards excluding fixed classes in the online class. can do.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 상기 시간표에 설정된 모든 교시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가 추가되면, 상기 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을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diting the online class may include, when class cards corresponding to all lessons set in the timetable are added to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removing the add class card button from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there is.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클래스 카드의 교시 표시 영역으로 마우스 커서가 이동되면, 상기 교시 표시 영역이 나타내는 원 교시의 다음 교시를 상기 원 교시와 동일 교과목이 반복되는 연속 수업으로 설정하기 위한 연속 수업 생성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연속 수업 생성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클래스 카드가 상기 원 교시 및 다음 교시를 포함하는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래스 카드의 교시 표시 영역이 상기 원 교시 및 다음 교시의 연속 수업임을 나타내도록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editing the online class, when the mouse cursor is moved to the lesson display area of the class card, the next lesson of the original lesson indicated by the lesson display area is set as a continuous class in which the same subject as the original lesson is repeated. displaying a Create Continuous Class button; When the continuous class creation button is clicked, setting the class card to correspond to a continuous class including the original lesson and the next lesson; and changing the lesson display area of the class card to indicate that the lesson is a continuation of the original lesson and the next lesson.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 이후에 존재하는 클래스 카드가 상기 연속 수업 이후의 교시를 나타내도록 해당 교시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editing the online class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the corresponding teaching display area so that the class card existing after the class card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class indicates the teaching after the continuous class.

상기 온라인 수업에 포함되는 클래스 카드는, 대응하는 교과목의 교시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은, 공유된 클래스 카드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ass card included in the online class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whether to share the teaching of the corresponding subject with other users, and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can be downloaded by selecting the shared class card.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아침 조회 및 종례와 더불어 교시 개념이 존재하는 초등학교의 수업을 온라인에서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의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online classes that can conduct onlin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at include morning assemblies and bell rites as well as teaching concep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자별로 온라인 수업을 저작함에 있어서 시간표에 따른 교시와 연속 수업을 만들 수 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교사가 편리하게 온라인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achers can conveniently design online classes by providing an intuitive user interface that can create teaching and continuous classes according to a timetable in creating online classes by d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 및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n online class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an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and an online lesson author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18 illustrate a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erms such as "...means", "...par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is implemented in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 및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an online lesson auth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llustrates the interaction between an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and an online lesson author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온라인 수업 저작 시스템은 온라인 수업을 저작하는 사용자인 교사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20)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에 온라인 수업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에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는 온라인 수업은 통신망을 통해 학생의 단말(미도시)로 제공된다.The online lesson authoring system may be composed of a user terminal 120 used by a teacher, a user who writes online lessons, and an online lesson authoring server 100 that provides an online lesson author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online class created in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and stored in the database 150 is provided to the student's terminal (not show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 단말(120)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인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100)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교사 회원에게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120 provides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100 to teacher members through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which is a dedicated application for using the online lesson autho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web browser.

사용자 단말(120)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와의 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용 컴퓨터 등의 컴퓨팅 장치이다.The user terminal 120 i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smart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or portable computer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through a predetermined network.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는 웹 서버 기반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온라인 수업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으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데이터베이스(150)와 연결되어 있다.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is a computing system equipped with software and/or hardware components to provide a web server-based or dedicated application-based online class authoring service, and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is also connected to the database 150.

데이터베이스(150)는 온라인 수업 저작 서비스에 가입한 교사 회원과 각 학급의 학생 회원의 개인 정보, 인증 정보, 권한 정보, 수업 저작 이력, 수업 참여 이력, 과제물 제출 이력 등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사용자 정보 DB(101), 각 교과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교과목 DB(102), 각 학급에 대해 생성된 학기별 시간표 데이터를 저장한 시간표 DB(103), 교사 회원에 의해 생성되는 일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온라인 수업 DB(104), 온라인 수업의 각 교시에 삽입될 수 있는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DB(10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stores user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ority information, class authoring history, class participation history, and assignment submission history of teacher members who have signed up for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ice and student members of each class. Information DB (101), subject DB (102) storing information about each subject, timetable DB (103) storing semester-specific timetable data created for each class, and daily online classes created by teacher members. It may include an online class DB 104 that stores information, and a content DB 105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that can be inserted into each period of the online class.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는 시간표 생성 모듈(210), 수업 설계 모듈(220), 공유 관리 모듈(230) 및 개별 콘텐츠 관리 모듈(240)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20)에서 실행되는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가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가 요구하는 시간표 생성, 온라인 수업의 생성, 교시의 공유 처리 등을 수행한다.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includes a timetable creation module 210, a class design module 220, a sharing management module 230, and an individual content management module 240, and the online class runs on the user terminal 120. It provides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authoring tool 121 and performs timetable creation, online class creation, and teaching sharing processing as required by the online class authoring tool 121.

개별 콘텐츠 관리 모듈(240)은 온라인 수업에 삽입될 수 있는 학습 도구로써 각종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유형을 정의하고 유형별 콘텐츠를 각 교시에 삽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콘텐츠 삽입 도구를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individual content management module 240 is a learning tool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online class. It defines the types of various online learning contents and provides a content insertion tool, which is a user interface for inserting content by type into each lesson, to the online class authoring tool 121. It can be provided to users through .

온라인 수업에는 텍스트, 실시간 화상, 동영상, 파일, URL(Uniform Resouce Locator) 링크, 퀴즈, 과제 등 다양한 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개별 콘텐츠 관리 모듈(240)이 제공하는 콘텐츠 삽입 도구는 각 유형의 콘텐츠를 삽입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에디터가 제공되거나 해당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위치를 특정하여 온라인 수업 내로 삽입하기 위한 도구가 제공된다.Online classes may include one or more different types of online learning content, such as text, real-time video, video, files,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links, quizzes, and assignments. The content insertion tool provided by the individual content management module 240 may include icons for inserting each type of content,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icon, an editor for authoring the corresponding online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or the corresponding Tools are provided to specify the location of online learning content and insert it into online classes.

시간표 생성 모듈(210)은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요일별로 각 교시와 교과목을 매핑한 시간표 데이터를 생성한다. 시간표는 학급별, 학기별로 생성되어 시간표 DB(103)에 저장될 수 있다.The timetable creation module 210 generates timetable data mapping each period and subject for each day of the week according to the input received from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Timetables can be created by class and semester and stored in the timetable DB (103).

시간표 생성 모듈(210)은 사용자가 원하는 학기의 요일별 시간표를 작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한다. 해당 화면에서, 사용자는 온라인 수업 설계시 기준이 되는 시간표를 등록하기 위해 학기를 선택하고 요일별 각 교시에 원하는 교과목을 세팅할 수 있다. The timetable creation module 210 provides the user terminal 120 with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create a timetable for each day of the week for the desired semester. On this screen, users can select a semester to register a standard timetable when designing online classes and set the desired subjects for each period on each day of the week.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표 작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이다.Figures 4 and 5 are examples of user interface screens for creating a time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시간표 작성 화면은 학기 선택 영역, 교과목 리스트(40) 및 시간표 영역(45)을 포함할 수 있다. 교사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는 자신이 담당하는 학년이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의 리스트(40)와 요일별 시간표(45)를 보면서 시간표를 작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imetable creation screen may include a semester selection area, a subject list 40, and a timetable area 45. Users who sign up as teacher members can create a timetable by looking at the list (40) of subjects that must be completed for the grade they are in charge of and the timetable (45) for each day of the week.

도 5를 참조하면, 교과목 리스트(40)로부터 원하는 교과목(41, 42)을 시간표(45)의 원하는 교시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drag-and-drop)하여 월요일 1교시와 2교시에 각각 '국어'(51)와 '수학'(52)을 추가할 수 있다. 시간표 내에 추가된 교과목을 삭제하려는 경우, 추가된 교과목 표시(51, 52)에 부가된 'x' 마크를 클릭하면 간편하게 교과목을 삭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desired subjects (41, 42) from the subject list (40)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eriod of the timetable (45), they are taught i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on Monday. ‘Korean’ (51) and ‘Mathematics’ (52) can be added, respectively. If you want to delete a subject added to the timetable, you can easily delete the subject by clicking the 'x' mark added to the added subject display (51, 52).

수업 설계 모듈(230)은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학급의 특정 일자에 대응하는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생성한다.The lesson design module 230 designs and creates an online less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y of a specific class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사용자 단말(120)의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로부터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설계 요청이 수신되면, 수업 설계 모듈(230)은 로그인하고 있는 교사 회원의 정보를 사용자 정보 DB(101)로부터 조회하여 담당 학급을 확인한다. 또한, 시간표 DB(103)의 시간표 데이터로부터 해당 학급의 특정 일자에 해당하는 시간표를 추출한다.When a request for online lesson design on a specific date is received from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of the user terminal 120, the lesson design module 230 searches the user information DB 101 for the information of the teacher member logging in and takes charge. Check the class. Additionally, a timetab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e of the class is extracted from the timetable data of the timetable DB 103.

추출된 시간표에 따른 교시 순서가 설정된 각 교시의 클래스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수업 설계 모듈(2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편집된 온라인 수업 설계 결과를 온라인 수업 DB(104)에 저장한다.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 online class including a class card for each period in which the teaching order according to the extracted timetable is set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and the lesson design module 220 uses the user's input. The online class design results edited according to are stored in the online class DB 104.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온라인 수업은 하나 이상의 클래스 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래스 카드는 하나 이상의 교시에 대응한 교육 내용을 포함한다. 수업 설계 모듈(220)은 특정 학급의 특정 일자에 해당하는 온라인 수업에 하나 이상의 클래스 카드가 포함되도록 제어하고, 각 클래스 카드에는 학급에 대한 정보, 날짜와 교시에 대한 정보, 담당 교사에 대한 정보, 대응하는 교과목에 대한 정보, 학습 주제 및 하나 이상의 학습 도구 즉 온라인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An online class cr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class cards, and the class cards includ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teachings. The lesson design module 220 controls one or more class cards to be included in an online less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y of a specific class, and each class card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lass, information about the date and period, information about the teacher in charge, It can be created to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subject, learning topic, and one or more learning tools, i.e., online learning content.

클래스 카드는 특정 일자에 진행될 해당 교시의 수업 내용을 정의하는 데이터 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간표에 삽입되는 각 교시의 교과목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와 시간표에 삽입되지 않지만 온라인 수업의 고정 위치에 삽입되는 아침 활동이나 종례 등의 비교과 활동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A class card can be implemented as a data structure that defines the content of the class that will be held on a specific date, and the class ca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of each class that is inserted in the timetable and the class card that is not inserted in the schedule but is inserted in a fixed position in the online class. It can be classified into class cards that correspond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morning activities or funeral services.

수업 설계 모듈(220)은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로부터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설계 요청 수신시, 해당 일자에 대응하는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 이외의 비교과 활동 시간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를 온라인 수업의 미리 정해진 고정 위치에 추가로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n online lesson design request for a specific date from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the lesson design module 220 creates a class card corresponding to an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 other than the lesson set in the timetable corresponding to that date. You can control additional creation at a fixed location.

온라인 수업 편집시, 수업 설계 모듈(230)은 시간표에 따라 해당 일자의 각 교시에 대응하는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를 생성하고 개별 콘텐츠 관리 모듈(240)이 제공하는 콘텐츠 삽입 도구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각 클래스 카드에 하나 이상 삽입하도록 제어한다.When editing an online class, the lesson design module 230 creates class cards for subjects corresponding to each period of the day according to the timetable and types reques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ntent insertion tool provided by the individual content management module 240. Controls insertion of one or more online learning contents into each class card.

또한, 수업 설계 모듈(220)은 시간표에 동일 교과목이 반복되는 연속 수업이 포함되는 경우, 연속 수업에 해당하는 복수의 교시에 대해 하나의 클래스 카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timetable includes consecutive classes in which the same subject is repeated, the lesson design module 220 can control the creation of one class card for a plurality of lessons corresponding to the consecutive classes.

공유 관리 모듈(230)은 클래스 카드를 다른 교사와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공유 관리 모듈(230)은 온라인 수업 설계시 생성되는 클래스 카드에 대한 공유 여부를 설정하고, 공유되는 클래스 카드가 해당 클래스 카드를 생성한 교사 이외의 교사에 의해 설계되는 온라인 수업의 소정 교시로써 삽입되도록 제어한다. The sharing management module 230 controls class cards to be shared with other teachers. The sharing management module 230 sets whether to share the class card created when designing an online class, and ensures that the shared class card is inserted as a predetermined lesson in an online class designed by a teacher other than the teacher who created the class card. Contro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4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nline class auth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6 to 14 illustrate user interface screens for online class authoring.

단계 S31에서, 사용자 단말(120)의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설계 요청을 입력 받고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로 사용자가 담당하는 학급의 시간표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는 시간표 DB(103)으로부터 온라인 수업 설계가 요청되는 일자에 해당하는 요일의 시간표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제공할 것이다.In step S31, the online class authoring tool 121 of the user terminal 120 receives an online class design request for a specific date from the user and requests and receives the timetable of the class in charge of the user from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will retrieve the timetable data for the day corresponding to the date on which the online class design is requested from the timetable DB 103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20.

단계 S32에서,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는 해당 일자의 시간표에 따라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은, 해당 학급의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 이외의 비교과 활동 시간에 대응하며 온라인 수업의 미리 정해진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클래스 카드,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에 대응하는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를 추가하기 위한 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 및 온라인 수업 내의 클래스 카드에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삽입하기 위한 콘텐츠 삽입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32, the online class authoring tool 121 creates a screen for designing an online class according to the timetable of the relevant da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is for adding fixed class cards that correspond to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s other than those set in the class' timetable and are placed at predetermined fixed positions in the online class, and class cards for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set in the timetable. It may include an add class card button and a content insertion tool for inserting a user's desired type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to the class card within the online class.

단계 S33에서는,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을 편집한다.In step S33, the online class for the specific date is edi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단계 S34에서 사용자의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편집된 하나 이상의 클래스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100)로 요청한다.When the user's save request is input in step S34,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00 is requested to create and save an online class including one or more class cards edited i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수업 설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시간표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일자별로 온라인 수업을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Figure 6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designing online c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create online classes by date after creating a timetable.

초기의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은 하나 이상의 비교과 활동에 대응하는 고정 클래스 카드(60, 63)와 시간표에 따라 각 교시의 교과목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를 추가하기 위한 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itial online class design screen may include fixed class cards 60 and 63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n area 62 for adding class card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s of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timetable.

도 6의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고정 위치 즉 해당 날짜의 온라인 수업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에 자동 배치되는 클래스 카드는 아침 조회에 대응하는 고정 클래스 카드(60)와 종례에 대응하는 고정 클래스 카드(63)이다. 이와 같이 아침 활동 클래스 카드(60)와 종례 클래스 카드(63)가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두 고정 클래스 카드(60, 63)의 가운데 위치한 클래스 카드 추가 영역(62)의 '+' 버튼(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을 눌러 교시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class card automatically placed at a predetermined fixed location, that is, the start and end position of the online class on the relevant day, includes a fixed class card 60 corresponding to the morning assembly and a fixed class card 63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day. )am. In this way, the morning activity class card 60 and the courtesy class card 63 are fixed, and the user presses the '+' button (class card You can create a lesson by clicking the Add button.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의 각 클래스 카드(60)는 교시 표시 영역(61), 교과목 선택 영역(61-1), 학습 주제 입력 영역(68),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 삽입 영역(66), 공유 설정 영역(64), 클래스 카드 삭제 버튼(65) 등을 포함할 수 있다.Each class card (60) o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includes a teaching display area (61), a subject selection area (61-1), a learning topic input area (68), an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insertion area (66), and a sharing settings area ( 64), a class card deletion button 65, etc. may be included.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은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콘텐츠 삽입 도구(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콘텐츠 삽입 도구(67)는 텍스트 아이콘(69), 실시간 화상 아이콘, 동영상 아이콘, 파일 업로드 아이콘, URL 링크 아이콘, 퀴즈 아이콘 및 과제 아이콘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아이콘을 타겟 클래스 카드의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 영역(66)에 끌어다 놓으면 해당 유형의 학습 도구 즉 학습 콘텐츠를 손쉽게 해당 교시에 추가할 수 있다.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insertion tool 67 used to insert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In the embodiment of Figure 6, the content insertion tool 67 includes a text icon 69, a real-time image icon, a video icon, a file upload icon, a URL link icon, a quiz icon, and an assignment icon.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content ic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learning content desired by the user into the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area 66 of the target class card, the learning tool of that type, i.e. learning content, can be easily added to the corresponding less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콘텐츠 삽입 도구(67) 중 텍스트 아이콘(69)을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 영역(66)에 드래그앤드롭한 결과 해당 클래스 카드에 텍스트 유형의 학습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는 도구(70)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도구(70)에서 해당 교시에 가르치고자 하는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user can create text-type learning content on the corresponding class card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text icon 69 from the content insertion tool 67 into the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area 66. It can be seen that a tool 70 is provided. The user can input text information desired to be taught in the corresponding lesson in this tool 70.

한편, 사용자가 클래스 카드 추가 영역(62)의 '+' 버튼을 클릭하면 신규 클래스 카드를 추가할 수 있다. 도 8은 '+' 버튼을 클릭하여 1교시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80)를 추가한 예이다.Meanwhile, the user can add a new class card by clicking the '+' button in the class card addition area 62. Figure 8 is an example of adding a class card 80 corresponding to 1st period by clicking the '+' button.

도 6의 예는 교과목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클래스 카드를 추가하면 첫번째 교과목 수업인 1교시에 해당하는 클래스 카드(80)가 자동으로 추가된다.In the example of Figure 6, the class ca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does not yet exist, so when a new class card is added as shown in Figure 8, the class card 80 corresponding to period 1, which is the first subject class, is automatically added. do.

추가되는 클래스 카드(80)의 교시 표시 영역(81)은 1교시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과목 표시 영역(82)은 해당 날짜의 시간표에 따른 교과목으로 초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표에 2020년 6월 1일의 1교시가 '국어'로 설정되어 있으면 추가되는 1교시 클래스 카드(80)의 교과목(82)은 '국어'로 자동 설정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학습 주제 영역(83)에 해당 교시의 학습 주제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 영역(84)에는 원하는 유형의 콘텐츠 삽입 도구를 하나 이상 끌어와 삽입할 수 있다.The teaching display area 81 of the added class card 80 indicates the first period, and the subject display area 82 may be initially set to a subject according to the timetable for the relevant day. For example, if the 1st period on June 1, 2020 is set to 'Korean' in the timetable, the subject (82) of the added 1st period class card (80) will be automatically set to 'Korean'. Additionally, the user can input the learning topic of the corresponding lesson into the learning topic area 83, and can drag and insert one or more content insertion tools of a desired type into the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area 84.

도 9는 도 8의 예에서 1교시 클래스 카드(80)에 동영상 아이콘(85)과 퀴즈 아이콘(86)을 순차적으로 드래그앤드롭하여 해당 유형의 학습 도구(91, 92)를 추가한 결과를 예시한 화면이다. 추가된 학습 도구(91, 92)를 편집하여 해당 클래스 카드(80)를 완성할 수 있으며, 학습 도구(91, 92)를 클래스 카드로부터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는 대응하는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Figure 9 illustrates the result of adding learning tools (91, 92) of the corresponding type by sequentially dragging and dropping the video icon (85) and quiz icon (86) on the first period class card (80) in the example of Figure 8. It's one screen. The class card 80 can be completed by editing the added learning tools 91 and 92, and if you wish to delete the learning tools 91 and 92 from the class card, just click the corresponding delete button.

해당 일자의 시간표와 비교할 때 시간표에 설정된 모든 교시에 해당하는 클래스 카드가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 추가되면, 해당 일자의 수업 가능 시간이 가득찬 경우이므로 클래스 카드 추가를 위한 '+' 버튼이 화면에서 제거될 것이다.Compared to the timetable for that day, if class cards corresponding to all classes set in the timetable are added to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the '+' button for adding class cards is removed from the screen because the available class time for that day is full. It will b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클래스인 아침 활동과 종례 사이의 '+' 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시간표에 명시된 교시들의 클래스 카드를 채울 수 있는바, 조작이 매우 쉽고 간편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 card of the lessons specified in the timetable can be filled by simply clicking the '+' button between the fixed class morning activities and the final service, providing an intuitive user interface that is very easy and convenient to operate. You can.

한편,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교시별로 저작된 수업 내용 즉 클래스 카드는 다른 교사와 공유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온라인 수업에 포함되는 클래스 카드는, 대응하는 교과목의 교시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영역(64)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은 공유된 클래스 카드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o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class content, or class cards, created for each period can be shared with other teachers. To this end, the class card included in the online class includes a user interface such as an area 64 for setting whether to share the teaching of the corresponding subject with other users, and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selects the shared class card. It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that can be downloaded.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교시의 클래스 카드(80)를 생성한 교사가 공유 설정을 통해 공유를 허락한 경우, 다른 교사가 이를 조회하고 공유된 클래스 카드(80)를 자신의 온라인 수업의 한 교시로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f the teacher who created the class card 80 for a specific lesson allows sharing through sharing settings, another teacher views it and adds the shared class card 80 to one lesson of his or her online class. It can be used as

공유하고자 하는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여도 해당 교시가 생성되고 공유되어 있기만 하면, 다른 교사가 작성중인 온라인 수업에 넣을 수 있다.Even if the class card for the subject you want to share is not complete, as long as the corresponding lesson has been created and shared, it can be added to an online class being written by another teacher.

특히, 담임 교사가 직접 수업하지 않는 예체능 등의 교과목은 해당 교과목의 담당 교사가 미리 공유해둔 클래스 카드를 담임 교사가 저작하는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내에 삽입할 수 있어서 온라인 수업 설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국의 초등 교사들 간에 과목별로 완성된 교시(클래스 카드)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for subjects such a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that are not taught directly by the homeroom teacher, the class card shared in advance by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subject can be inserted into an online class on a specific date written by the homeroom teacher, making online class design easier. there is. Additionally,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completed lessons (class cards) for each subjec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클래스 카드에 2개 이상의 교시를 할당하여 연속 수업을 지원할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의 각 교시별로 수업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쉬는 시간 등이 정해져 있는데, 2개 이상의 교시를 붙여서 연속 수업으로 클래스 카드를 생성하는 경우, 수업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쉬는 시간이 그에 맞춰 수정될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 classes can be supported by assigning two or more classes to one class card. The class start time, end time, and break time are set for each period of an online class. If you create a class card as a continuous class by attaching two or more periods, the class start time, end time, and break time will be modified accordingly. will be.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의 온라인 수업 편집시,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는 사용자에 의해 클래스 카드의 교시 표시 영역으로 마우스 커서가 이동되면, 해당 교시 표시 영역이 나타내는 원 교시의 다음 교시를 원 교시와 동일 교과목이 반복되는 연속 수업으로 설정하기 위한 연속 수업 생성 버튼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연속 수업 생성 버튼이 클릭되면, 클래스 카드가 원 교시 및 다음 교시를 포함하는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해당 클래스 카드의 교시 표시 영역이 원 교시 및 다음 교시의 연속 수업임을 나타내도록 변경한다.When editing an online class o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when the user moves the mouse cursor to the lesson display area of the class card,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selects the next lesson of the original lesson indicated by the corresponding lesson display area with the original lesson. Controls the display of the Create Continuous Class button to set up a continuous class in which the same subject is repeated. When this continuous class creation button is clicked, the class card is set to correspond to a continuous class including the original period and the next period, and the lesson display area of the class card is changed to indicate that it is a continuous class of the original period and the next period. .

또한,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는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 이후에 존재하는 클래스 카드가 연속 수업 이후의 교시를 나타내도록 해당 교시 표시 영역의 교시 순번 표시를 변경한다.Additionally, the online lesson authoring tool 121 changes the teaching order display in the corresponding lesson display area so that the class card that exists after the class card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lesson indicates the lesson after the consecutive lesson.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수업 설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10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for designing continuous c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특정 교시(1교시)의 클래스 카드(80)에 포함된 교시 표시 영역(81)에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면, 다음 교시(2교시)의 교시 표시 영역(1001)이 동일 클래스 카드(80)에 일시적으로 표시되어 다음 교시를 포함하는 연속 수업을 생성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사용자가 다음 교시 추가 없이 마우스 포인터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 연하게 표시된 2교시의 교시 표시 영역(1001)이 화면에서 제거될 것이다.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mouse pointer is moved to the lesson display area 81 included in the class card 80 of a specific period (1st period) on the online lesson design screen, the lesson of the next period (2nd period) is displayed. Area 1001 is temporarily displayed on the same class card 80 to intuitively show the user that a continuous class including the next lesson can be created. If the user moves the mouse pointer to another position without adding the next lesson, the lightly displayed lesson display area 1001 of the second lesson will be removed from the screen.

사용자가 클래스 카드(80)에 일시적으로 나타난 2교시 표시 영역(1001) 내의 '+' 버튼(연속 수업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도 11과 같이 2교시의 교시 표시 영역(1001)이 해당 클래스 카드(80)에 실제로 추가되어 진하게 표시된다. 즉, 국어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80)는 1교시와 2교시의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가 된다. When the user clicks the '+' button (continuous class creation button) in the second period display area 1001 that temporarily appears on the class card 80, the second period lesson display area 1001 is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class card ( 80) and is displayed in bold. In other words, the class card 80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ecomes a class card corresponding to consecutive classes of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어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80) 다음에 교시 표시 영역(1002)이 2교시로 생성되었던 클래스 카드(1000)는 자동으로 3교시에 대응하는 것으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교시 표시 영역(1002)의 내용도 3교시로 변경될 것이다.As shown in FIG. 11, the class card 1000 in which the teaching display area 1002 was created for the 2nd period following the class card 80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s automatically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3rd period, and the teaching display area 1002 is automatically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3rd period accordingly. The content of the display area 1002 will also be changed to 3rd period.

상기와 같은 연속 수업 설정에 의해 클래스 카드(80)에 추가된 교시 표시 영역(1001)에는 '-' 버튼(연속 수업 삭제 버튼)이 포함되며, 이 '-' 버튼을 클릭하면 연속 수업 클래스 카드(80)에서 2교시(1001)가 삭제되어 단일 수업의 클래스 카드로 변경될 것이다. 또한, 3교시로 변경되었던 다음 클래스 카드(1000)는 2교시로 다시 복귀될 것이다.The teaching display area 1001 added to the class card 80 by the continuous class settings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 button (delete continuous class button), and when this '-' button is clicked, the continuous class class card ( 80), the second period (1001) will be deleted and changed to a class card for a single class. Additionally, the next class card (1000), which was changed to 3rd period, will be returned to 2nd period.

이와 같이, 연속 수업의 생성을 위해 별도로 설정을 입력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연속 수업 시작 교시에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한 다음 클릭만 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연속 수업을 만들 수 있으며, 연속 수업의 해제 역시 이와 유사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create the desired continuous class by simply moving the mouse pointer at the start of the continuous class and then clicking without the inconvenient work of entering separate settings to create the continuous class. Canceling the continuous class is similar to this. This can be done through an intuitive user interface.

도 12는 1교시와 2교시의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80)에 실시간 영상에 대응하는 학습 도구(1202)를 삽입한 예를 보여 준다. 실시간 영상에 의한 수업 시간을 입력하면, 해당 시간에 학생 회원이 실시간 영상을 통해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 있다.Figure 12 shows an example of inserting a learning tool 1202 corresponding to a real-time video into a class card 80 corresponding to consecutive classes of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f you enter the class time via real-time video, student members can take online classes through real-time video at that time.

또한, 도 12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2교시 표시 영역(1001)에 이동시키면 다음 교시인 3교시를 연속 수업에 포함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추가적인 교시 표시 영역(1201)이 연하게 표시되며, 해당 '+' 버튼을 클릭하면 클래스 카드(80)를 1~3교시를 연속 수업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use pointer is moved to the 2nd period display area 1001 in FIG. 12, an additional lesson display area 1201 is displayed in light as a user interface that can include the next period, the 3rd period, in a continuous class, and the corresponding '+ By clicking the ' button, you can change the class card (80) to consecutive classes for periods 1 to 3.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121)는 사용자에 의해 온라인 수업에 포함된 소정의 클래스 카드가 드래그앤드롭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 온라인 수업 내 고정 클래스를 제외한 클래스 카드들의 교시 순서를 조정한다.The online class authoring tool 121 adjusts the teaching order of class cards excluding fixed classes in the online class when a certain class card included in the online class is moved to another location by dragging and dropping by the user.

도 13 및 도 14는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클래스 카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s 13 and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class cards on the online lesson design screen.

도 11에서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의 상단에 위치했던 1교시 및 2교시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80)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drag)하여 원하는 위치인 3교시 클래스 카드(1000) 아래에 드롭(drop)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위치했던 3교시의 클래스 카드(1000)가 1교시(1411)에 해당하는 클래스 카드(1410)로 변경되고, 1교시 및 2교시의 연속 수업 클래스 카드(80)는 2교시(1412) 및 3교시(1413)의 연속 수업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1420)로 재배치된다.In FIG. 11, the class card 80 corresponding to the 1st and 2nd period continuous classes located at the top of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is dragged as shown in FIG. 13 to place the 3rd period class card 1000 at the desired location. When dropped below, the class card (1000) of the 3rd period located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ure 14, is changed to the class card (1410) corresponding to the 1st period (1411), and the 1st and 2nd periods The continuous class class card 80 is rearranged to the class card 1420 corresponding to the consecutive classes of the second period 1412 and the third period 1413.

이와 같이 교시의 순서를 잘못 작성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경우, 별도의 번거로운 설정 변경 없이 직관적으로 클래스 카드를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앤드롭하여 교시 순서를 바꿀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teaching order is incorrectly written or needs to be changed, the teaching order can be changed by intuitively dragging and dropping the class card to the desired location without additional cumbersome settings changes.

도 1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작된 온라인 수업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15 illustrates an online class screen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2020년 6월 1일자의 온라인 수업에 4개의 클래스 카드(1510, 1520, 1530, 1540)가 순서대로 포함되어 있으며, 각 클래스 카드에 해당하는 교시는 시간표에 의해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이 미리 설정된다.Referring to Figure 15, the online class as of June 1, 2020 includes four class cards (1510, 1520, 1530, 1540) in order, and the teaching corresponding to each class card is started and timed according to the timetable. The end time is set in advance.

각 클래스 카드에는 교과목, 학습 주제, 학습 도구에 해당하는 개별 온라인 학습 콘텐츠가 포함 또는 연결되어 있으며 지정된 시간에 '학습하기'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학습 도구를 실행하고 해당 교시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1541)를 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Each class card contains or is linked to individual onlin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learning topic, and learning tool. By clicking the 'Learn' button at the designated time, you can run the learning tool and take the corresponding class. 1541) can be displayed dynamically.

교사 회원은 이와 같이 완성된 온라인 수업 화면에서 '수업 편집하기' 버튼(1500)을 클릭해 온라인 수업을 추가로 편집할 수 있다.Teacher members can further edit the online class by clicking the ‘Edit Class’ button (1500) on the completed online class screen.

도 16은 교사 회원이 담당하는 학급의 학생 회원들의 출결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이다.Figure 16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ttendance of student members of a class in charge of a teacher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결 관리 화면에는, 각 학생의 기본 정보, 로그인 정보, 출결 정보, 특이 사항 등의 메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수업이어도 학생들의 출결 관리가 가능하며 결석인 경우라도 체험 학습 등의 사전 신청이 있으면 출석으로 처리 가능할 것이다.On the attendance managemen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ta information such as basic information, login information, attendance information, and special information for each student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nage students' attendance even if it is an online class, and even if they are absent, if there is a prior application for experiential learning, etc., it will be processed as attendance.

도 17 및 도 18은 교사 회원이 소정 교과목의 교시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에서 과제 학습 도구를 이용해 학생들에게 과제를 부여한 경우 과제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s 17 and 18 illustrate a user interface screen for task management when a teacher member assigns a task to students using a task learning tool on a class card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 of a predetermined subject.

도 17을 참조하면, 담당 교사는 특정 과제에 대한 정보와 학생들의 과제 제출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독려 메시지 보내기' 버튼(1701)을 통해 과제를 제출 또는 수행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과제 관리 화면은 누가 과제를 제출했고 아직 제출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학생 이미지를 포함한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아래의 '독려메시지 보내기' 버튼(1701)을 눌러서 과제와 관련하여 학생들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17, the teacher in charge can check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assignment and the status of students' assignment submission, and send a message to students who have not submitted or performed the assignment in batches through the 'Send encouragement message' button (1701). Can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assignment management screen can be controlled so that information about who has submitted the assignment and who has not yet submitted it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including a student image, and you can press the 'Send an encouragement message' button (1701) below to send a message related to the assignment. Communication with students is possible.

도 18을 참조하면, 학생 회원은 과제 질문 게시판을 이용해 소정 과제에 대한 질문을 담당 교사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교사 회원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한 후 '등록' 버튼(1801)을 클릭해 답변을 올릴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8, student members can use the assignment question bulletin board to forward questions about a given assignment to the teacher in charge, and teacher members can enter answers to questions and then click the 'Register' button (1801) to answer. You can raise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00: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
120: 사용자 단말
121: 온라인 수업 저작 도구
150: 데이터베이스
101: 사용자 정보 DB
102: 교과목 DB
103: 시간표 DB
104: 온라인 수업 DB
105: 콘텐츠 DB
210: 시간표 생성 모듈
220: 수업 설계 모듈
230: 공유 관리 모듈
240: 개별 콘텐츠 관리 모듈
100: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120: user terminal
121: Online class authoring tool
150: database
101: User information DB
102: Subject DB
103: Timetable DB
104: Online class DB
105: Content DB
210: Timetable creation module
220: Instructional Design Module
230: Shared management module
240: Individual content management module

Claims (6)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 설계 요청이 입력되면,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로 상기 특정 일자의 시간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 이외의 비교과 활동 시간에 대응하며 온라인 수업의 미리 정해진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 클래스 카드, 상기 시간표에 설정된 교시에 대응하는 교과목의 클래스 카드를 추가하기 위한 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 및 상기 온라인 수업 내의 클래스 카드에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삽입하기 위한 콘텐츠 삽입 도구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특정 일자의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서 편집된 하나 이상의 클래스 카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수업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온라인 수업 저작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mputer system,
When a request for designing an online class for a specific date is input, requesting and receiving a timetable for the specific date from an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A fixed class card that corresponds to extracurricular activity times other than the teaching set in the timetable and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fixed position in the online class, a class card add button for adding a class card of a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teaching set in the timetable, and the above Providing an online class design screen including a content insertion tool for inserting a user-desired type of online learning content into a class card within an online class;
Editing the online class for the specific date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and
When the user's storage request is input, requesting the online class authoring server to create and save an online class including one or more class cards edited on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의 클래스 카드는 교시 표시 영역, 교과목 선택 영역, 학습 주제 입력 영역, 및 온라인 학습 콘텐츠 삽입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nline class creation, wherein the class card of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includes a lesson display area, a subject selection area, a learning topic input area, and an online learning content insertion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삽입 도구에서 소정 유형의 콘텐츠 아이콘을 상기 온라인 학습 콘텐츠 삽입 영역으로 드래그앤드롭하면, 상기 콘텐츠 아이콘이 드롭되는 위치의 클래스 카드에 해당 유형의 학습 도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eps for editing the online class are:
When a content icon of a predetermined type is dragged and dropped from the content insertion tool into the online learning content insertion area, inserting a learning tool of the corresponding type into the class card at the location where the content icon is dropped.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에 포함된 소정의 클래스 카드가 드래그앤드롭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온라인 수업 내 고정 클래스를 제외한 클래스 카드들의 교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s for editing the online class are:
When a predetermined class card included in the online class is moved to another location by dragging and dropping, adjusting the teaching order of class cards excluding fixed classes in the online class;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수업을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에 상기 시간표에 설정된 모든 교시에 대응하는 클래스 카드가 추가되면, 상기 클래스 카드 추가 버튼을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s for editing the online class are:
When class cards corresponding to all lessons set in the timetable are added to the online lesson design screen, removing the add class card button from the online lesson design screen; a user for authoring an online lesson, comprising: How to provide an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수업에 포함되는 클래스 카드는, 대응하는 교과목의 교시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수업 설계 화면은, 공유된 클래스 카드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 저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lass card included in the online class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whether to share the teaching of the corresponding subject with other users,
The online class design screen is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nline class auth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d downloading a shared class card.
KR1020200120783A 2020-09-18 2020-09-18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KR102377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83A KR102377282B1 (en) 2020-09-18 2020-09-18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83A KR102377282B1 (en) 2020-09-18 2020-09-18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282B1 true KR102377282B1 (en) 2022-03-22

Family

ID=8098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783A KR102377282B1 (en) 2020-09-18 2020-09-18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2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54B1 (en) * 2022-08-10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Online class tool service provision system with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or teache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75A (en) * 2006-07-28 2008-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oduction system of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standard template and production method using production system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the production system
KR20110107710A (en) * 2010-03-25 2011-10-04 황은영 Method for online education services with learning contents created by users and associated interactive online and offline learning services
KR20160014335A (en) * 2014-07-29 2016-02-11 주식회사 에듀베이스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authoring online learning contents and d method of authoring online learning contents
KR20170111533A (en) * 2016-03-25 2017-10-12 황순신 Co-authored textbooks and provide possible writing system
KR101899038B1 (en) * 2017-06-27 2018-09-14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on-line study and authoring system for eduction contents using analysis of big data
KR20190141355A (en) * 2018-06-14 2019-12-24 김태현 A Building module system of online teaching for supporting studen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75A (en) * 2006-07-28 2008-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oduction system of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standard template and production method using production system on-line e-learning text teaching aids using the production system
KR20110107710A (en) * 2010-03-25 2011-10-04 황은영 Method for online education services with learning contents created by users and associated interactive online and offline learning services
KR20160014335A (en) * 2014-07-29 2016-02-11 주식회사 에듀베이스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authoring online learning contents and d method of authoring online learning contents
KR20170111533A (en) * 2016-03-25 2017-10-12 황순신 Co-authored textbooks and provide possible writing system
KR101899038B1 (en) * 2017-06-27 2018-09-14 주식회사 앰플소프트 on-line study and authoring system for eduction contents using analysis of big data
KR20190141355A (en) * 2018-06-14 2019-12-24 김태현 A Building module system of online teaching for supporting stud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54B1 (en) * 2022-08-10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Online class tool service provision system with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or teach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2812A1 (en) Online classroom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udent activity
US20080138786A1 (en) Tracking learning objectives for online courses
US20120288843A1 (e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nd method
JP2003021999A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ducational material
JP2016110074A (en) E-Learning system
JP2011118292A (en) E-learning system
US201401063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Course Management and Examination Preparation
Wilkins et al. The virtual construction site: a web-based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construction technology
Rudow et al. The use of web-based video for instruction of GIS and other digital geographic methods
Edl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classroom: experiences and recommendations
US6929477B2 (en) Director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2377282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JP2014514619A (en) Real-time education system
Scholl My Google Classroom Training Guide
KR20200115405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on-line classes
Altalib The Use of Mobile-Wireless Technology for Education.
Mohseni Educational technology: The tablet computer as a promising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Devedžić Introduction to Web-Based Education
Gavrin et al. Engaging students in a large-enrollment physics class using an academically focused social media platform
Hill Dreamweaver and flash: Strategies for updating communication systems instruction
Mering et al. Education and electronic learning-Does online learning assist learners and how can it be continuously improved
Kuzminska et al. Advanced Technological Solutions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via Open-Source H5P Interactive Tools
Brooks-Young Taking the lead
Rebelsky A Web of Resources for Introductory Computer Science.
Voithofer The creation of a Web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