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037B1 -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 Google Patents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037B1
KR102376037B1 KR1020210098259A KR20210098259A KR102376037B1 KR 102376037 B1 KR102376037 B1 KR 102376037B1 KR 1020210098259 A KR1020210098259 A KR 1020210098259A KR 20210098259 A KR20210098259 A KR 20210098259A KR 102376037 B1 KR102376037 B1 KR 10237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anister
forging
pipe
stainles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명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원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원단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원단조
Priority to KR102021009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6Heating or 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forging or press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9/00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during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부재를 1000 ~ 1080
Figure 112021086499878-pat00004
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업세팅하며 황타금형으로 단조되고 황타금형으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제품형상으로 가공되도록 가압하고 표면에 펀치를 압입시켜 공동부를 만들고 재가압하고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단조단계; 및 상기 단조단계(S10)에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상변태 온도 영역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제어냉각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냉각단계는 상기 단조단계가 진행되는 단조라인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냉각하는 쿨링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Forgings method intergrated with cooling process}
본 발명은 단조공정에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조는 기계적 방법으로 압축하중을 가하여 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속 가공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재료의 온도에 따라 열간 단조, 온간 단조, 냉간 단조로 분류된다.
열간 단조는 재료를 재결정 온도(1000℃) 이상으로 가열해 실시하는 것으로 냉간단조에 비해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제작비가 저렴하고 단조품의 형상의 제약이 적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온간 단조는 열간 단조 내지 냉간 단조의 중간온도에서 실시하며 냉간 단조는 재료를 가열하지 않고 상온 또는 상온과 가까운 온도에서 실시한다. 정밀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으나 소재는 중, 저 탄소강 또는 저합금강으로 한정된다.
냉간 단조는 정형성형이 가능하여 재료 이용률의 대폭적 향상을 도모하고, 후절삭 가공의 배제 및 절감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경 친화적인 공정으로 환경 유해적 요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자동차 부품의 경우 고정밀도 부품의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조 방법이 사용 되는 스테인리스 강은 단조가공후의 잔류응력 제거와 기계가공후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식성, 내열성을 좋게 하기 위해 고용화열처리를 하게 되어 있다.
종래는 이와 같은 성형되는 스테인리스 제품의 고용화열처리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테인리스 고용화 열처리로를 제작하여 설치하거나 설비를 보유한 업체에 용역처리를 하고있다. 이에 따라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어 원가의 상승이 초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온의 제품을 열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화된 냉각프로세스가 적용된 단조 방법은 단조 공정 이후 열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정 소요기간을 단축시켜 비용적, 시간적 비용을 저감하고자 한다.
스테인리스 부재를 1000℃ ~ 1080℃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업세팅하며 황타금형에서 단조되고 황타금형에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제품형상으로 가공되도록 가압하고 표면에 펀치를 압입시켜 공동부를 만들고 재가압하고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단조단계; 및 상기 단조단계에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상변태 온도 영역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제어냉각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냉각단계는 상기 단조단계가 진행되는 단조라인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냉각하는 쿨링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화된 냉각프로세스가 적용된 단조 방법은 단조라인과 제어 냉각단계가 진행되는 쿨링 컨베이어가 통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냉각을 위한 별도의 세팅없이 공정가능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인 단조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냉각기능과 캐니스터가 통합된 형태의 쿨링 컨베이어가 적용되어 종래의 고용화 열처리장치장치를 대체하여 스테인리스강의 냉각과정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정축소가 가능하고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에 기여될 수 있는 단조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조단계를 도시화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조가공이 적용되는 스테인리스 부재의 성분비를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냉각단계에 적용되는 쿨링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캐니스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캐니스터결합부와 냉각유로관의 결합면 방향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는 도 5에 도시된 캐니스터결합부의 냉각수관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방법은 스테인리스 부재를 단조하는 가열하여 가공하는 단조단계(S10) 및 단조단계(S10)가 진행된 스테인리스 부재를 이송 및 냉각하는 제어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조단계를 도시화한 그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부재를 1000℃~1080℃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업세팅하며 황타금형으로 단조되고 황타금형으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제품형상으로 가공되도록 가압하고 표면에 펀치를 압입시켜 공동부를 만들고 재가압하고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특징이 형성되는 단조단계(S10) 및 단조단계(S10)에서 단조된 스테인리스 부재를 상변태 온도 영역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제어냉각단계(S2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조 방법은 단조단계(S10)의 모든공정이 수행되는 단조라인(F)과 제어냉각단계(S20)가 수행되는 쿨링 컨베이어(100)가 연속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조단계(S10)에서 제어냉각단계(S20)로 진행될 경우 준비 시간이 절약되어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조가공이 적용되는 대상은 스테인리스 부재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조가공이 적용되는 스테인리스 부재의 성분비를 나타낸 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테인리스 부재의 재질은 SUS 309 및 SUS3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SUS309 및 SUS310 소재의 성분은 C(탄소) 0.2%이하, Si(규소) 1.5 1.5~2.5%, Mn(망간)2.0%이하, P(인) 0.045%이하, S(황) 0.03%이하, Ni(니켈) 11.0~13.0%, Cr(크롬) 19.0~21.0% 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SUS 309 및 SUS 310 소재는 직진성이 강하고 성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종래에는 단조공법을 통해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열온도를 제어하여 소재 터짐을 방지하고, 단조의 압하율을 제한한 단조공법을 통해 제품을 제조하고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쿨링 컨베이어(100)를 통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된 공정이 적용되어 성형간 응력이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조단계(S10)는 업세팅되는 과정에서 2개의 평평한 다이 사이에 원통형 소재를 넣고 압력을 가하거나, 가열한 금속을 두들겨서 뭉툭하게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가열된 스테인리스 부재의 상하부면을 가압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진행된 스테인리스 부재는 예비단조(황타)로, 단조품의 형상에 맞추어 제품의 형상을 예비 가공하게 된다. 또한, 예비단조과정이 진행된 스테인리스 부재는 정타과정이 진행되어 최종제품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거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타과정이 진행된 스테인리스 부재는 피어싱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 부재는 피어싱과정에서 표면에 펀치가 압입되어 공동부를 제거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피어싱과정이 진행된 스테인리스 부재는 열간코이닝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열간코이닝 단계는 스테인리스 부재의 평밀도가 형상될 수 있도록 미세하게 성형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열간코이닝 단계는 스테인리스 부재를 800℃ ~ 850℃로 식혀 해당 온도에서 제품의 성형이 수행될 수 있다. 열간코이닝 단계는 업세팅과정보다 작은힘으로 가압하여 0.2mm~0.4mm의 미세성형을 하여 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조단계(S20)가 진행되어 제품으로 생산되는 스테인리스 부재(S)는 압하율은 35% 이내 또는 65%이내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조단계(S20)가 진행된 스테인리스 부재는 제어냉각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냉각단계(S20)는 일반적으로 급속 공냉 또는 수냉식 담금질 냉각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수냉식 담금질 냉각의 경우, 출구온도 200℃ 이하에서 수냉식 담금질에 의해 제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조 후 800℃ ~ 850℃의 스테인리스 제품을 냉각유로의 하부에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120)의 동작을 통해 일상온도까지 냉각시키는 냉각단계가 진행됨으로써 스테인리스 부재 내에 잔류응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냉각단계(S20)는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상변태 온도 영역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때, 제어냉각단계(S20)는 단조단계(S10)가 진행되는 단조라인(F)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 부재를 냉각하는 쿨링 컨베이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냉각단계에 적용되는 쿨링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쿨링 컨베이어(100)는 단조라인(F)과 연결되어 스테인리스 부재(S)가 이송되며 냉각되는 유로로 형성되는 냉각유로관(110); 냉각유로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동작되어 스테인리스 부재(S)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120); 냉각유로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서모커플(130); 및 냉각유로관(110)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유로관(110)에 공기를 주입되도록 복수개의 팬이 동작되는 송풍기(14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쿨링 컨베이어(100)는 컨베이어벨트(120)의 경로에 공냉장치가 다중으로 배치되어 스테인리스부재(S)가 이송위치 및 이송시간에 따라 정밀하게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냉각기능을 추가한 캐니스터를 활용하여 공간활용이 용이성 및 냉각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쿨링 컨베이어(100)는 냉각유로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관(110)은 소정길이로 형성된 중공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중공관의 외관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냉각유로관(110)은 일측이 기울어진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유로관(110)은 단조단계(S10)가 진행되는 단조라인(F)과 연결되어 단조공정이 완료된 스테인리스부재(S)가 이송되며 냉각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냉각유로관(110)은 단조라인(F)에서 공정이 진행된 스테인리스부재(S)가 충분히 냉각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유로관(110)은 하측에 배치 컨베이어벨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120)는 일반적으로 이송에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단조라인(F)을 거쳐 이송되는 스테인리스부재(S)는 고온의 상태로 이송되므로 고열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컨베어벨트(12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벨트(120)는 냉각유로관(110)과 대응되어 소정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유로관(110)의 하측에 배치된 컨베이어벨트(120)의 회전으로 스테인리스부재(S)는 일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냉각유로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서모커플(130)이 배치될 수 있다. 서모커플(130)은 냉각유로관(110)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스테인리스부재(S)가 냉각되는 온도가 측정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냉각유로관(110)의 일측에는 송풍기(14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는 냉각유로관(110)에 공기를 주입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송풍기(1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140)는 토출각도가 냉각유로관(110)가 배치된 각도와 형성되는 각(140a)이 둔각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풍기(140)와 냉각유로관(110)의 사이에는 유로(141)가 연결될 수 있다. 유로(141)는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중공면이 형성된 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로(141)는 송풍기(140)에서 냉각유로관(110)으로 향할수록 폭이 커지는 테이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유로관(110)의 일측에는 캐니스터(150)가 배치될 수 있다. 캐니스터(150)는 스테인리스부재(S)가 냉각유로관(110)에서 이동되며 발생되는 가스와 같은 물질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니스터(150)는 냉각유로관(11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상측 부분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캐니스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150)는 냉각유로관(110)과 결합되는 캐니스터결합부(150a)가 형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결합부(150a)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결합부(150a)는 냉각유로관(110)의 하측방향에 결합되는 측면은 소정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냉각유로관(110)의 상측방향에 결합되는 면은 수직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결합부(150a)는 냉각유로관(110)와 결합이 볼팅 또는 용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150)와 냉각유로관(110)는 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캐니스터결합부(150a)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는 한 개 이상의 냉각토출유로(A1)가 될 수 있다. 냉각토출유로(A1)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내부의 공간 중 가장자리의 위치에 형성된 유로가 될 수 있다.
도 6의 (a)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와 냉각유로관(110)의 결합면 방향에서 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의 (a)을 참조하면, 냉각토출유로(A1)는 내부의 공간 중 가장자리 부분에 방사형태로 분할된 냉각토출유로(A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토출유로(A1)의 분할된 공간에는 각각 냉각토출팬(151a)이 배치될 수 있다. 냉각토출팬(151a)은 냉각유로관(110)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냉각토출유로(A1)의 분할된 개수는 필요한 냉각토출팬(151a)의 풍량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냉각토출팬(151a)의 필요한 풍량은 냉각유로관(110)의 공기가 냉각토출유로(A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풍량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에 형성되는 냉각토출유로(A1) 및 흡기유로(A3)가 배치된 전체형태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 유량이나 냉각효율에 따라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 냉각토출유로(A1)의 배치형태는 비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는 도 5에 도시된 캐니스터결합부의 냉각수관배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캐니스터결합부(150a)는 냉각토출유로(A1)의 외측에는 냉각수관배치부(A2)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관배치부(A2)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관(152a)이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냉각수관배치부(A2)는 냉각토출유로(A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수관배치부(A2)는 외관이 주름관과 같은 연속된 파형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냉각수관배치부(A2)의 내부에 배치되는 냉각수관(152a)은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냉각토출유로(A1)가 권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관(152a)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냉각수관배치부(A2)의 외관은 냉각수관(152a)의 배치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수관배치부(A2)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의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토출유로(A1)와 냉각수관(152a)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53a)에는 열전달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 또는 써멀 패드(Thermal pad)가 도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수관(152a)과 외측의 열교환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캐니스터결합부(150a)에 형성된 복수개의 냉각토출유로(A1)에 둘러쌓인 공간에는 흡기유로(A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기유로(A3)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중심의 위치에 형성된 유로가 될 수 있다. 흡기유로(A3)는 냉각유로관(110)의 공기가 캐니스터(150)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기유로(A3)는 냉각유로관(110)에서 순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이때, 흡기유로(A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스테인리스부재가 냉각되며 형성되는 가스와 같은 유해물질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캐니스터(150)는 캐니스터필터부(150b)가 형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필터부(150b)는 캐니스터(150)의 내부에 필터(152b)가 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캐니스터필터부(150b)에 배치되는 필터(152b)의 크기는 캐니스터필터부(150b)의 공간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152b)는 활성탄 및 캐니스터필터부(150b)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상측에 원통형의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필터부(150b)와 캐니스터(150)는 외측에 플랜지형태로 형성된 제1 결합단부(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단부(154a)는 캐니스터결합부(150a)와 캐니스터필터부(150b)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필터부(150b)에는 관측창(151b)이 형성될 수 있다. 관측창(151b)은 캐니스터필터부(150b)의 외관 형태인 원통형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된 투명 창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측창(151b)은 캐니스터(15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152b)의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150)의 내부에 발생되는 결함이나 문제상황을 확인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니스터(150)는 캐니스터배기부(150c)가 형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배기부(150c)는 캐스트필터부(150b)와 연통된 구조로 형성된 관로 형태가 될 수 있다. 캐니스터배기부(150c)는 캐니스터필터부(150b)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도록 캐니스터배기부(150c)의 일측에는 팬이 결합되어 캐니스터(150) 내부의 공기를 외측방향으로 토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필터부(150b)와 캐니스터배기부(150c)의 연결은 제2 결합단부(153b)에 의해 될 수 있다. 제2 결합단부(153b)는 제1 결합단부(154a)와 같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니스터(150)는 제1 결합단부(154a) 및 제2 결합단부(153b)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분리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150)는 제1 결합단부(154a) 및 제2 결합단부(153b)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형성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일체화된 냉각프로세스가 적용된 단조 방법은 단조라인(F)과 쿨링컨베이어(200)가 일체화된 구조의 단조방법으로 된 공정으로 별도의 세팅이 필요없이 공정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인 단조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 스테인리스 부재 S10 : 단조단계
S20 : 제어냉각단계 100 : 단조라인
110 : 냉각유로관 120 : 컨베이어벨트
130 : 써모커플 140 : 송풍기
141 : 유로 150 : 캐니스터
150a : 캐니스터결합부 150b : 캐니스터필터부
150c : 캐니스터배기부 200 : 쿨링 컨베이어

Claims (7)

  1. 스테인리스부재(S)를 1000℃ ~ 1080℃로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스테인리스부재(S)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업세팅하며 황타금형에서 단조되고 황타금형에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부재(S)를 제품형상으로 가공되도록 가압하고 표면에 펀치를 압입시켜 공동부를 만들고 재가압하고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단조단계(S10); 및
    상기 단조단계(S10)에서 단조된 상기 스테인리스부재(S)를 상변태 온도 영역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하는 제어냉각단계(S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냉각단계(S20)는
    상기 단조단계(S10)가 진행되는 단조라인(F)과 연결되어 설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부재(S)를 냉각하는 쿨링 컨베이어(100)를 포함하고
    상기 쿨링 컨베이어(100)는
    상기 단조라인(F)과 연결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부재(S)가 이송되며 냉각되는 유로로 형성되는 냉각유로관(110);
    상기 냉각유로관(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동작 시 상기 스테인리스부재(S)가 일측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120);
    상기 냉각유로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온도가 측정되는 서모커플(130); 및
    상기 냉각유로관(110)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유로관(110)에 공기를 주입되도록 복수개의 팬이 동작되는 송풍기(140); 를 포함하고
    상기 쿨링 컨베이어(100)는
    상기 냉각유로관(110)의 상측부분에 결합되는 캐니스터(150); 를 포함하고
    상기 캐니스터(150)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의 외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유로관(110)과 결합이 볼팅 또는 용접으로 형성되는 캐니스터결합부(150a);
    상기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상측에 원통형의 형태로 연장되 형성되며 내부어 필터가 배치되는 캐니스터필터부(150b); 및
    상기 캐니스터필터부(150b)와 연통된 구조로 형성되어 일측에 팬이 결합되어 상기캐니스터(150)내부의 공기가 상기 캐니스터(150)의 외측방향으로 토출되는 캐니스터배기부(150c); 를 포함하고
    상기 캐니스터결합부(150a)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일측에 냉각토출팬(151)a이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냉각유로관(110)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각토출유로(A1); 및
    상기 복수개의 냉각토출유로(A1)에 둘러쌓인 형태로 상기 캐니스터결합부(150a)의 중심에 위치되어 일측에 팬이 결합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흡기유로(A3);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토출유로(A1)는
    외측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관(152a)이 나선형의 형태로 권취되고 상기 냉각토출유로(A1) 및 상기 냉각수관(152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써멀그리스 또는 써멀패드가 도포되는 차량용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40)는
    상기 냉각유로관(110)와 둔각으로 형성되어 위치되는 차량용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40)의 상기 냉각유로관(110)와 연통된 유로(1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41)는 상기 냉각유로관(110)에 향할수록 폭이 커지는 테이퍼형태로 형성된 차량용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150)는
    상기 캐니스터결합부(150a)와 상기 캐니스터필터부(150b)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결합단부(154a)로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캐니스터필터부(150b)와 상기 캐니스터배기부(150c)는 상기 제1 결합단부(154a)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결합단부(153b)로 결합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테인리스 단조품의 제조방법.
KR1020210098259A 2021-07-27 2021-07-27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KR10237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59A KR102376037B1 (ko) 2021-07-27 2021-07-27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59A KR102376037B1 (ko) 2021-07-27 2021-07-27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037B1 true KR102376037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59A KR102376037B1 (ko) 2021-07-27 2021-07-27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0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540A (ja) * 1993-11-30 1995-06-13 Mitsubishi Motors Corp 鍛造設備におけるワーク冷却装置
KR100928689B1 (ko) * 2007-07-19 2009-11-2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용 벨트풀리의 제조방법
KR101607052B1 (ko) * 2015-03-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재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540A (ja) * 1993-11-30 1995-06-13 Mitsubishi Motors Corp 鍛造設備におけるワーク冷却装置
KR100928689B1 (ko) * 2007-07-19 2009-11-2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용 벨트풀리의 제조방법
KR101607052B1 (ko) * 2015-03-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재의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0328B2 (ja) ホットスタンピング成型用金型
CN104532154B (zh) 高硬度高抛光预硬化塑胶模具钢及其制备工艺
JP4173817B2 (ja) 排ガス熱交換体
CN109648025B (zh) 一种优化钴基变形高温合金锻棒材的制造工艺
CN102989942A (zh) 一种单拐曲轴的锻造方法
CN108237155B (zh) 一种大型托卡马克真空室壳体复杂曲面的制造方法
RU2667112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льцевого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CN103415389A (zh) 改进的外冷却回路
CN113122684B (zh) 一种提高模具钢sdh13性能的处理方法
KR102376037B1 (ko) 냉각프로세스가 통합된 단조 방법
CN102392114A (zh) 一种精铸机匣结构件热校型方法
CN101189417A (zh) 增压空气中冷器
US20150110611A1 (en) Airfoil cooling circuit and corresponding airfoil
CN102989944A (zh) 一种胀断连杆的锻造方法
JP5982477B2 (ja) ピストン又はピストンシャフトを製造するための鍛造方法
CN106001232A (zh) 一种节镍型不锈钢温差拉深成形装置及方法
CN111201414B (zh) 热交换器和用于制造热交换器的增材制造方法
KR101185018B1 (ko) 열간 프레스용 금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2974729A (zh) 一种汽车发动机左板的加工方法
US9765677B2 (en) Catalyst casing-integrated exhaust manif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637156B (zh) 锻造模具
CN113458308B (zh) 一种实现超大型涡轮盘锻件的极限成形方法
CN110405125B (zh) 一种蓖条闭式模锻工艺及成形闭式模具
CN114770048A (zh) 大型合金铝板的一次拉延热成型方法
CN215597847U (zh) 一种碳化硼喷嘴坯料热处理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