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922B1 -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922B1
KR102375922B1 KR1020200072581A KR20200072581A KR102375922B1 KR 102375922 B1 KR102375922 B1 KR 102375922B1 KR 1020200072581 A KR1020200072581 A KR 1020200072581A KR 20200072581 A KR20200072581 A KR 20200072581A KR 102375922 B1 KR102375922 B1 KR 10237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parts
wall por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272A (ko
Inventor
이의진
웨이밍 조우
Original Assignee
이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진 filed Critical 이의진
Priority to KR102020007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9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벌의 금형으로 만든 동일한 형상의 용기부품을 서로 조립하여 꽂이통이나 속옷 정리함 등의 용기를 만들 수 있고, 용기로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는 용기부품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용기부품에 대한 것이다. 상기 용기부품은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결합벽부,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벽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결합벽부 및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의 한쪽 측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제1볼록부를 가지는 연결벽부를 포함하고, 두 용기부품을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통해 결합하여 용기를 형성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Container parts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부품과 이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하여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부품과 이를 이용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일체로 만들어져 개별적으로 사용되며, 해당 용기의 용도에 맞는 용기로 사용된다. 2개 이상의 용기체를 서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은 주로 상하로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대부분이다.
용기체를 측방으로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는, 쑥뜸기 몸체의 측면에 경첩과 같은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두 개 이상의 쑥뜸기 몸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 공개번호 10-2009-0086661호(발명의 명칭: 쑥뜸기, 발명자: 이홍재)의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이홍재 발명은 양측 쑥뜸기 몸체의 측면에 각각 경첩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용기는 완성된 용기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용기 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조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 책꽂이, 칸막이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용기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용기부품 및 이를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같은 형상의 것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개수의 용기부를 구성할 수 있는 용기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이 편리하고 용기부를 필요한 개수만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기부품과 이를 이용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부로 공기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부품과 이를 이용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은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결합벽부;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벽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결합벽부; 및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의 한쪽 측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제1볼록부를 가지는 연결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용기부품이고, 상기 제1볼록부의 볼록한 부분이 바깥으로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제1결합부를 마주보는 상기 제2결합부에 각각 결합하면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의 두 상기 연결벽부가 제1내부공간의 측면을 둘러싸서 제1용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용기부품은 상기 연결벽부 반대편의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굴곡된 제2볼록부를 가지는 한 쌍의 외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품 2개를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서로 마주보고 결합하는 것에 의해 두 쌍의 상기 외측벽부가 2개의 제2내부공간의 측면을 둘러싸서 상기 제1용기부 양측에 제2용기부를 각각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의 상기 외측벽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상기 외측벽부에 제4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의 볼록한 부분이 서로를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제3결합부를 마주보는 상기 제4결합부에 각각 결합하여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벽부와 상기 외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 또는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출된 바닥판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용기부품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품의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띠상의 상기 바닥판부는 상기 용기부품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상기 용기부품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연결벽부와 한 쌍의 상기 외측벽부는 6각형의 절반의 모양으로 굴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벽부와 한 쌍의 상기 외측벽부는 원형, 타원형, 6각형을 제외한 4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절반의 모양으로 굴곡된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보다 좁은 슬롯을 가지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바깥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의 가장자리에는 걸릴 수 있는 걸림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부품의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제1가장자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품의 타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가장자리결합부 형태의 것에 마주보고 결합될 수 있는 제2가장자리결합부가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 2개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가지 형상의 용기부품을 서로 결합하여 꽂이통이나 속옷 정리함 등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벌의 금형으로 만든 동일한 형상의 용기부품을 서로 조립하여 용기를 만들 수 있어서 용기의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로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는 용기부품으로 분리한 후 분리된 용기부품을 2개 이상으로 겹쳐서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선반이나 책꽂이 또는 칸막이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어 용기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보관된 물품에 곰팡이가 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부품 두 개를 제1볼록부가 바깥으로 향하도록 하여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용기부품 두 개를 조립하여 만든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용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제3결합부와 제4결합부를 이용하여 2개의 용기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제3결합부와 제4결합부를 이용하여 4개의 용기를 서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 용기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7 용기의 조립에 사용된 용기부품의 분리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부품 두 개를 제1볼록부가 바깥으로 향하도록 하여 마주보게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용기부품 두 개를 조립하여 만든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용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100)은 제1결합벽부(110) 및 제1결합벽부(11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결합벽부(120)를 가진다. 제1결합벽부(110)와 제2결합벽부(120)는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결합벽부(110)에는 제1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제2결합벽부(120)에는 제2결합부(122)가 형성된다. 이 실시 예에서, 제1결합부(112)는 삽입공(112a)과 삽입공(112a)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삽입공(112a)보다 좁은 슬롯(112b)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2결합부(122)는 슬롯(112b)에 삽입될 수 있는 목부(122a)와 목부(122a)의 바깥에 형성되고 삽입공(112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슬롯(112b)의 가장자리에는 걸릴 수 있는 걸림턱부(12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삽입공(112a)과 걸림턱부(122b)는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여타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롯(112b)에는 결합된 목부(122b)의 유동을 억제하는 홈(112c)이 형성되고, 목부(122a)의 대응위치에, 바람직하게 목부(122a)의 중간 높이 정도에 양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벽부(110)와 제2결합벽부(120) 사이에는 연결벽부(130)가 설치된다. 연결벽부(130)는 제1결합벽부(110)와 제2결합벽부(120)를 연결하며 제1결합벽부(110)와 제2결합벽부(120)의 한쪽 측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제1볼록부(132)를 가진다. 이 실시 예에서, 연결벽부(130)는 육각형의 절반모양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벽부(130)에 바람직하게, 공기의 원활한 출입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다. 제1결합부(112)와 제2결합부(122)는 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볼록부(132)의 볼록한 부분이 바깥으로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용기부품(100)을 마주보게 배치하면 각 용기부품(100)의 제1결합벽부(110)의 제1결합부(112)는 마주하는 용기부품(100)의 제2결합벽부(120)의 제2결합부(122)와 마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일측 용기부품(100)의 제1결합부(112)를 타측 용기부품(100)의 마주보는 제2결합부(122)에 결합하고 한쪽 용기부품(100)을 살짝 경사지게 회전시켜 타측 용기부품(100)의 제1결합부(112)를 일측 용기부품(100)의 제2결합부(122)에 삽입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완전히 결합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용기부품(100)의 두 연결벽부(130)가 제1내부공간(134)의 측면을 둘러싸서 제1용기부(130a)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100)은 연결벽부(130) 반대편의 제1결합벽부(110)와 제2결합벽부(120)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외측벽부(140)를 더 구비한다. 한 쌍의 외측벽부(140)는 연결벽부(130)와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굴곡된 제2볼록부(142)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외측벽부(140)는 연결벽부(130)와 같은 육각형의 절반모양으로 굴곡되어 있다.
물론, 연결벽부(130)와 외측벽부(140)가 반드시 같은 모양으로 굴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측벽부(140)는 반원형, 반타원형, 사각형의 절단모양, 팔각형의 절반모양을 할 수 있다. 때에 따라, 연결벽부(130)가 반원형, 반타원형, 사각형의 절단모양, 팔각형의 절반모양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부품(100) 2개를 제1결합부(112)와 제2결합부(122)를 통해 서로 마주보고 결합하면 두 쌍의 외측벽부(140)가 2개의 제2내부공간(144)의 측면을 둘러싸서 제1용기부(130a) 양측에 제2용기부(140a)를 각각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한 쌍의 외측벽부(140) 중 일측의 외측벽부(140)에 제3결합부(146)가 형성되고, 타측의 외측벽부(140)에 제4결합부(148)가 형성된다. 이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는 도 3에 나타낸 용기(200)에 다른 용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두 용기(200)의 제2볼록부(142)의 볼록한 부분이 서로를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용기(200)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각각의 제3결합부(146)를 마주보는 제4결합부(148)에 각각 결합하여 2개의 용기(2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 두 용기부품(100)을 같은 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용기(200)의 외측면에 용기부품(100)이나 용기(200)를 더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결합부(146) 및 제4결합부(148)는 제1결합부(112) 및 제2결합부(122)에서와 같이 삽입홈과 슬롯을 가지는 것과 목부 및 걸림턱을 가지는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결합되어 두 용기부품(100)을 연결할 수 있으면 되므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는 그 설치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부(140)에도 공기유통을 위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벽부(130)와 외측벽부(14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바닥판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판부(150)는 면상의 반육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바닥판부(15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닥판부(150)에는 바람직하게 못구멍(152)이 형성되어 있다. 못구멍(152)은 필요에 따라 용기부품(100) 또는 용기부품(100)을 결합하여 만든 용기(200)를 벽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닥판부(1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원모양의 홈(154)은 외부와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한다. 때에 따라, 못구멍(152)도 통기공의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1결합벽부(110)와 제1결합벽부(110)에 연결된 연결벽부(130) 및 외측벽부(140)의 하단을 띠상의 바닥판부(150a)가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띠상의 바닥판부(150a)는 육각형의 절반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제2결합벽부(120)와 제2결합벽부(120)에 연결된 연결벽부(130) 및 외측벽부(140)의 하단을 따라서도 띠상의 바닥판부(150a)가 바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띠상의 바닥판부(150a)는 육각형의 반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띠상의 바닥판부(150a)는 바깥쪽에 다른 용기부품(100)을 결합하는 경우 띠상의 육각형 모양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품(100)의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제1가장자리결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제1가장자리결합부(160)는 외측벽부(140)에서 용기부품(1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띠모양을 하고 있다. 제1가장자리결합부(160)의 상단부에 걸림턱(162)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부품(100)의 타측의 가장자리에는 제1가장자리결합부(160) 형태의 것에 마주보고 결합될 수 있는 제2가장자리결합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장자리결합부(170)는 용기부품(100)의 가장자리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되는 용기부품(100)의 제1가장자리결합부(16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가장자리결합부(170)의 내면에 걸림턱(162)에 걸려 두 용기부품(100)이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걸림부(172)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2의 상태에서, 일측 용기부품(100)의 제2결합부(122)를 높이 조정하여 타측 용기부품(100)의 제1결합부(112)의 삽입공(112a)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측 용기부품(100)을 살짝 상하로 회전시켜 타측 용기부품(100)의 걸림턱부(122a)를 일측 용기부품(100)의 삽입공(112a)에 삽입한 다음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각각의 목부(122a)가 마주보는 용기부품(100)의 슬롯(112b)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2가장자리결합부(170)는 슬롯(112b)으로 삽입되는 목부(122a)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가장자리결합부(16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 제1가장자리결합부(160)와 제2가장자리결합부(170)는 두 용기부품(100)을 마주보고 결합할 때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가장자리가 바깥으로 힘을 받더라도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두 용기부품(100)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제1, 제2결합부(112, 122)와 함께 두 용기부품(100)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두 용기부품(100)이 조립되어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용기(200)가 완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형상의 2개의 용기부품(100)을 조합하여 적어도 제1용기부(130a)를 형성하는, 바람직하게, 중앙의 제1용기부(130a)와 그 양측의 두 개의 제2용기부(140a)를 가지는 용기(200)를 만들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용기(200)의 양측의 외측벽부(140)에는 다른 용기부품(100)이나 용기(2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두 용기(200)를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를 통해 서로 결합하는 과정은 제1결합부(112)와 제2결합부(122)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과 같다.
도 5는 제3결합부와 제4결합부를 이용하여 2개의 용기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제3결합부와 제4결합부를 이용하여 4개의 용기를 서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용기부품(100)으로 만든 2개의 용기(200)를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연결하는 경우, 총 8개의 용기부(CP)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8개의 용기부품(100)으로 만든 4개의 용기(200)를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연결하는 경우, 총 18개의 용기부(CP)를 형성할 수 있다.
용기부(CP)는 앞에서 설명한 제1용기부(130a)와 제2용기부(140a) 외에 제3결합부(146)와 제4결합부(148)를 통해 결합되는 이웃하는 용기(200)들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제3용기부(210a)를 더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용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 용기의 조립에 사용된 용기부품의 분리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때에 따라, 제1가장자리결합부(160)와 제2가장자리결합부(170)는 용기부품(100)의 양측 가장자리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장자리결합부(160)는 걸림부(164a)를 가지는 회동체(164)로 구성되고, 제2가장자리결합부(170)는 걸림부(164a)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17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품(10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바닥판부(150)는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용기부품(100)의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띠상의 바닥판부(150a)는 용기부품(100)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용기부(CP)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어서 용기부(CP)에 보관되는 물품에 습기가 차서 곰팡이가 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품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때에 따라, 연결벽부(130)와 외측벽부(14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굴곡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절반모양으로 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각형의 절반모양으로 굴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을 참고하면 연결벽부(130)와 외측벽부(140)는 원형, 타원형, 6각형을 제외한 4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절반의 모양으로 굴곡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 예와 설명을 참고하면, 비록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벽부(130)와 외측벽부(140)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굴곡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이 역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꽂이통이나 속옷 정리함 등의 용기, 선반, 책꽂이, 칸막이 등을 만드는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용기부품 110: 제1결합벽부
112: 제1결합부 112a: 삽입공
112b: 슬롯 120: 제2결합벽부
122: 제2결합부 122a: 목부
122b: 걸림턱 130: 연결벽부
130a: 제1용기부 140a: 제2용기부
140: 외측벽부 146: 제3결합부
148: 제4결합부 150, 150a: 바닥판부
160: 제1가장자리결합부 170: 제2가장자리결합부
200: 용기 210a: 제3용기부
CP: 용기부

Claims (11)

  1.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결합벽부;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벽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결합벽부; 및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의 한쪽 측방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제1볼록부를 가지는 연결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용기부품이고,
    상기 제1볼록부의 볼록한 부분이 바깥으로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제1결합부를 마주보는 상기 제2결합부에 각각 결합하면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의 두개의 상기 연결벽부가 제1내부공간의 측면을 둘러싸서 제1용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품은 상기 연결벽부의 반대편의 상기 제1결합벽부와 상기 제2결합벽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벽부와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게 각각 굴곡된 제2볼록부를 가지는 한 쌍의 외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품 2개를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서로 마주보고 결합하는 것에 의해 두 쌍의 상기 외측벽부가 2개의 제2내부공간의 측면을 둘러싸서 상기 제1용기부의 양측에 제2용기부를 각각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벽부와 상기 외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을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혹은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출된 바닥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품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품의 바깥쪽으로 형성되는 띠상의 상기 바닥판부는 상기 용기부품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상기 용기부품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용기부와 상기 제2용기부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품.
  2. 삭제
  3. 제1항에서, 일측의 상기 외측벽부에 제3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상기 외측벽부에 제4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볼록부의 볼록한 부분이 서로를 향하도록 하여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각각의 상기 제3결합부를 마주보는 상기 제4결합부에 각각 결합하여 2개의 상기 용기부품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연결벽부와 한 쌍의 상기 외측벽부는 6각형의 절반의 모양으로 굴곡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품.
  7. 제1항에서, 상기 연결벽부와 한 쌍의 상기 외측벽부는 원형, 타원형, 6각형을 제외한 4각형 이상의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절반의 모양으로 굴곡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품.
  8. 제1항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보다 좁은 슬롯을 가지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바깥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의 가장자리에는 걸릴 수 있는 걸림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품.
  9.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용기부품의 일측의 가장자리에는 제1가장자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품의 타측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가장자리결합부 형태의 것에 마주보고 결합될 수 있는 제2가장자리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부품.
  10.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용기부품 2개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9항의 상기 용기부품 2개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00072581A 2020-06-15 2020-06-15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237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81A KR102375922B1 (ko) 2020-06-15 2020-06-15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81A KR102375922B1 (ko) 2020-06-15 2020-06-15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72A KR20210155272A (ko) 2021-12-22
KR102375922B1 true KR102375922B1 (ko) 2022-03-16

Family

ID=7916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81A KR102375922B1 (ko) 2020-06-15 2020-06-15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9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9840U (ko) * 1976-05-11 1977-11-14
JPH053119U (ja) * 1991-07-01 1993-01-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を有する仕切板の電池包装箱
JP2544982Y2 (ja) * 1991-09-02 1997-08-20 鈴木管紙株式会社 スピーカ用ボイスコイルの収納箱
KR20180001331U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엔플라스틱 상호결합 및 벽걸이가 가능한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72A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036B1 (en) Modular storage assembly
US6446414B1 (en) Modular panel construction system
US20160095430A1 (en) Modular storage and work station
US8753162B2 (en) Building set for toy houses
US6606964B2 (en) Modular cage
US7131544B1 (en) Wall conforming wine rack for a plurality of bottles
KR102375922B1 (ko) 용기부품 및 이를 이용한 용기
US6007167A (en) Compact disk storage cabinet
US6386936B1 (en) Building block set
US20070158628A1 (en) Fence
GB2054393A (en) Model building tiles
EP1440892B1 (en) Corner joint particularly for modular cages
JP3212484U (ja) ペット用ケージ及びペット用連結ケージ、連結部品セット
US20090130947A1 (en) Toy building set
US20060048475A1 (en) Building block
ES2498270T3 (es) Estructura de estanterías modular
US6840699B2 (en) Connections for geometric modeling kit
US20200398761A1 (en) Multipiece Center Console Divider System
US7328535B1 (en) Pivotable interlock block connector
CN111874453B (zh) 容器部件及使用其的容器
KR101419866B1 (ko) 조립식 가구
JP2021133226A (ja) フィギュアディスプレーラック組立キット
KR102106638B1 (ko) 선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선반
JP3107485U (ja) 組立式整理棚
US11986717B2 (en) Portable pitching m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