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441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441B1
KR102375441B1 KR1020200093896A KR20200093896A KR102375441B1 KR 102375441 B1 KR102375441 B1 KR 102375441B1 KR 1020200093896 A KR1020200093896 A KR 1020200093896A KR 20200093896 A KR20200093896 A KR 20200093896A KR 102375441 B1 KR102375441 B1 KR 10237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ayment
barcode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159A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김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국 filed Critical 김상국
Priority to KR102020009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4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구매대상 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바코드를 통해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제조사와 상품명과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인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구매리스트를 생성하는 인식수단이 구비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과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생성된 구매리스트를 전달받으며 전달된 구매리스트를 표시하는 정보제공단말; 및 상기 정보제공단말에서 표시되는 구매리스트 데이터를 전달받고 구매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에 대한 총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하는 결제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Shopping payment system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대형 마트나 쇼핑 센터 등에서 쇼핑 과정 중 스마트폰을 이용한 바코드 인식을 통해 구매대상 상품들에 대한 구매리스트를 사전 생성하게 하고, 계산대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구매리스트 정보를 전달받아 구매리스트에 대한 상품명과 금액 등이 표시되게 함은 물론 결제 금액이 자동으로 산출되게 함으로써 쇼핑 및 결제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소비재 산업이 대형화됨에 따라 마트도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형 마트를 이용하는 고객은 일반 영세 소매상점을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다양한 상품을 접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장점과 비교적 가격우위에 있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수요에 의해 대형 마트의 수도 증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고객이 동시에 이용하는 대형 마트는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선택한 상품을 적재하고, 선택한 상품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계산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각 계산대마다 계산 직원이 배치되어 있으며 계산시에는 고객이 구매한 상품들을 일일이 집어내로 계산대로 올려 바코드를 인식시키고, 결제 후 다시 소비자는 계산된 상품 각각을 다시 쇼핑카트에 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많이 이용하는 시간대의 경우 계산 과정에서 각각의 상품에 대한 바코드인식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으로 시간 소요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709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 및 결제 과정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며, 소비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하며 사업장에서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구매대상 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바코드를 통해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제조사와 상품명과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인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구매리스트를 생성하는 인식수단이 구비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과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생성된 구매리스트를 전달받으며 전달된 구매리스트를 표시하는 정보제공단말; 및 상기 정보제공단말에서 표시되는 구매리스트 데이터를 전달받고 구매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에 대한 총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하는 결제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결제단말은, 결제 처리 완료 후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명과 총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내역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회신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결제단말의 결제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결제 내역을 가공하여 가계부로 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은, 가공된 가계부 데이터를 날짜별로 저장하면서 누적된 가계부 데이터를 통계화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일별 또는 월별 또는 년별 가계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인식수단은, 사용자의 쇼핑 과정에서 선택된 구매대상 상품에 있어 바코드가 노출된 면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영상을 전달받고 영상으로부터 바코드가 인쇄된 특정 영역을 추정하고 추정된 특정 영역에서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는 바코드추출부; 상기 바코드추출부에서 추출된 바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제조사, 상품명,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가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구매리스트로 생성하는 바코드인식부; 및 상기 정보제공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바코드인식부에서 생성한 구매리스트를 접속된 정보제공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바코드추출부는,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스피커를 통한 음향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되게 하여 영상의 재촬영을 요청하는 재인식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카트가 더 구성되되, 상기 카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면에 복수의 바퀴와, 상기 몸체에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이 탈착되는 장착구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탈착이 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품이 수용될 수 있는 챔버몸체와 상기 챔버몸체 하면에 구성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과 연동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의 무게를 현시하는 모니터부가 구성되는 구획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형 마트나 쇼핑 센터 등에서 쇼핑 과정 중 스마트폰을 이용한 바코드 인식을 통해 구매대상 상품들에 대한 구매리스트를 사전 생성하게 하고, 계산대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구매리스트 정보를 전달받아 구매리스트에 대한 상품명과 금액 등이 표시되게 함은 물론 결제 금액이 자동으로 산출되게 함으로써, 쇼핑 및 결제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여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업장에서는 상품의 결제를 담당할 캐셔(cashier) 인력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바코드 인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가계부 제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바코드 인식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가계부 제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 과정 중 구매대상 상품을 인식하여 구매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10)과 상기 사용자단말(10)과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10)로부터 생성한 구매리스트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정보제공단말(20) 및 상기 정보제공단말(20)에서 표시되는 구매리스트에 대한 결제 금액을 산출하고 이를 결제 처리하는 결제단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단말(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구매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단말(10)은 보편적으로 공산품에 대한 기본 제조정보와 제조일시, 상품명, 가격 등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구매대상 상품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들로 구성되는 구매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10)은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구매대상 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바코드를 통해 상품명과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인식하며 이를 저장하는 인식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사용자단말(10)의 OS(Operating System)환경에 적합하게 개발된 통상의 App(application)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단말(10)에 사전 설치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10)은 영상 촬영을 위하여 카메라부(100)가 구비된 스마트폰으로, 상기 인식수단의 설치에 적합한 OS(Operating System)환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식수단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인식수단은, 카메라부(100)와 바코드추출부(110)와 바코드인식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00)는 상기 인식수단 실행에 연동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쇼핑 과정에서 선택된 구매대상 상품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상기 바코드추출부(11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00)에 의해 촬영되는 구매대상 상품은 바코드가 노출된 면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며, 인식 대상 이미지의 해상도 문제 등에 따른 오류로 2회 이상 촬영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바코드추출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전달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한다.
즉 상기 바코드추출부(110)는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전달된 영상의 전체면에서 바코드가 인쇄된 특정 영역을 추정하게 되며, 해당 전체면으로부터 바코드 이미지로 추정되는 상기 특정 영역만을 잘라낸 후 각도 및 회전 등의 보정을 수행하여 정위치시킴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코드인식부(12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적합한 형태의 최종 바코드 이미지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통상의 바코드의 방향성과 이미지의 왜곡으로 인한 인식 실패 등을 고려한 것으로, 이러한 바코드추출부(110)의 사전 보정 과정을 통해 인식 오류를 최소화하며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요 시간이 단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바코드추출부(110)는 재인식요청부(140)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재인식요청부(140)는 상기 바코드추출부(110)에서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지 못할 경우 재인식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이 왜곡되거나 바코드가 인쇄된 면을 촬영하지 않은 경우 또는 영상 자체의 해상도가 좋지 않아 바코드에 대한 특정 영역을 추정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재인식요청부(140)에서는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기가 곤란하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의 재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재인식요청부(140)의 재촬영 요청은 상기 사용자단말(10)의 스피커를 통한 음향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재촬영 요청이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코드인식부(120)는 통상의 바코드 리더(bar-code reader)일 수 있다.
상기 바코드인식부(120)는 상기 바코드추출부(110)에서 추출 및 보정된 이미지 형태의 바코드를 인식한다. 이러한 바코드인식부(120)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품 고유식별의 정보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대상 상품의 상품명, 가격, 제조사, 제조일시, 제조정보, 판매정보 등의 상품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며 인식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품정보들이 누적 저장된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구매리스트로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인접한 정보제공단말(20)과의 접속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바코드인식부(120)에서 생성된 구매리스트를 접속된 정보제공단말(2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130)에 의한 통신인터페이스는 공지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 중 적합한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정보제공단말(20)은 대형 마트나 쇼핑 센터 등에서 계산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제공단말(20)은 상기 인식수단의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단말(10)의 인접 여부와 접속을 시도하며, 접속된 사용자단말(10)에서 송신하는 구매리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한다.
즉 상기 정보제공단말(20)은 사용자단말(10)의 인식수단을 통해 리스트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들을 전달받고, 하나 이상의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제조사, 상품명, 가격정보 등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이 선택한 구매대상 상품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제공단말(20)에서 표시되는 구매리스트 데이터는 관리자 확인을 통해 수정 가능함은 물론 최종적으로 사용자 확인이 완료된 구매리스트 데이터는 결제 과정을 위해 상기 결제단말(30)로 전달된다.
상기 결제단말(30)은 상기 정보제공단말(20)에서 표시되는 구매리스트 데이터를 전달받고 구매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에 대한 총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결제단말(30)은 상기 정보제공단말(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구매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들에 대한 각각의 가격정보를 취합하여 총 결제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단말(30)은 현금 결제 또는 카드 결제 또는 현금과 카드의 병행 결제 등 공지 기술에 따른 결제방식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제단말(30)이 카드 결제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결제단말(30)은 일반적인 신용카드결제 단말기 및 포스(POS) 단말기는 물론 카드 결제 외 기타 결제 방식에 대한 모든 단말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방식의 결제 단말기, 모바일상품권 결제 단말기, IC카드 결제단말기 및 이들을 통합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복합 결제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단말(30)은 결제되는 카드를 인식하고 카드 결제에 따른 승인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결제단말(30)은 MS 카드 리더부를 탑재하며, 신용카드번호, 직불카드번호 등이 기록된 MS카드가 밀착하여 유동시, 자기 헤드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로딩되는 것을 이용하여 MS카드의 MS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랙(Track)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제단말(30)은 소비자의 신용카드 결제 요청시 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게 되며,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사인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제단말(30)은 상기 사인패드로부터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인식정보가 포함된 결제요청전문을 생성하여 거래 중인 밴(VAN)사의 밴사서버나 또는 카드사서버로 통신망을 이용해 전달하며, 상기 밴사서버 또는 카드사서버로부터 회신하는 승인결과전문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단말(30)은 결제 처리 완료 후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명과 총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하는 결제 내역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0)로 회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단말(30) 역시 상기 사용자단말(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10)은 상기 결제단말(30)의 결제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결제 내역을 가공하여 가계부로 생성하게 되며,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의 사용자단말(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내역회신부(150)와 가계부변환부(160) 및 데이터베이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내역회신부(150)는 상기 결제단말(30)의 결제 처리에 따라 전달되는 결제 내역을 수신한다.
상기 가계부변환부(160)는 상기 결제내역회신부(150)에서 수신한 결제 내역을 가공하여 가계부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가계부는 구매 상품의 상품명, 가격 등이 리스트화되며 리스트화된 구매 상품에 대하여 지출된 금액이 표시되게 하는 공지의 다양한 디지털 가계부 양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70)는 가공된 가계부 데이터를 날짜별로 저장하면서 누적된 가계부 데이터를 통계화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7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일별 또는 월별 또는 년별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단말(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게 하거나 또는 USB와 같은 저장매체로 전송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들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트(40)가 더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카트(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 하면에 복수의 바퀴(410)와, 상기 몸체(410)에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10)이 탈착되는 장착구(420)와,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탈착이 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품이 수용될 수 있는 챔버몸체(431)와 상기 챔버몸체(431) 하면에 구성되는 로드셀(432)과 상기 로드셀(432)과 연동하여 상기 챔버몸체(431)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의 무게를 현시하는 모니터부(433)가 구성되는 구획챔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몸체(400)와 상기 바퀴(410)는 일반적인 카트(4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구(420)는 상기 몸체(400)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구(420)에 의해 사용자단말(10)이 몸체(40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착구(420)를 구성하는 이유는 장착구(420)에 의해 사용자단말(10)이 삽지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사용자단말(10)에 의한 상품의 바코드 인식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렇게 바코드 인식에 의해 현재 쇼핑중인 구매리스트가 사용자에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쇼핑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구(420)는 다양하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단말(10)에 의한 상품의 바코드 인식이 용이해지도록 하여야 하는 바, 상기 장착구(420) 자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와 상기 장착구(420)에 사용자단말(10)이 탈착되는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카트(40)에는 구획챔버(430)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구획챔버(430)는 상기 몸체(400)의 일측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구획챔버(430)는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탈착이 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품이 수용될 수 있는 챔버몸체(431)와 상기 챔버몸체(431) 하면에 구성되는 로드셀(432)과 상기 로드셀(432)과 연동하여 상기 챔버몸체(431)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의 무게를 현시하는 모니터부(43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로드셀(432)과 상기 로드셀(432)에 의해 감지되는 무게가 현시되도록 하는 모니터부(433)의 작동기작은 공지의 작동기작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로드셀(432)과 모니터부(433)의 연동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챔버몸체(431)가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 탈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경우도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획챔버(430)를 구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쇼핑과정에서 구매여부가 고민되는 상품의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10)에서의 상품 바코드 인식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기 챔버몸체(431)에 일단 저장후 최종적으로 결정하여 선택된 상품의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10)에서의 상품 바코드 인식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10)로부터 구매리스트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여 생성되는 구매리스트 정보가 정보제공단말(2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품 구매여부가 고려되어야 하는 상품의 경우 일단 카트에 수용후 물리적인 분리를 통해 사용자단말(10)을 통한 바코드 인식의 선후를 조정함으로써 최종적인 결정시 구매리스트 정보가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바코드 인식을 거치지 않은 상품이 챔버몸체(431)에 수용여부는 로드셀(432)에 의한 상품무게가 상기 모니터부(433)에 현시됨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토록 하여 바코드 인식 없이 결제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구획챔버(430)를 구성하는 이유는 바코드 인식여부에 따라 분리수용과 상관없이 무게측정이 필요한 상품의 경우 별도로 구획챔버(430)에 수용시켜 무게를 감지토록 하는 것이다. 예로 이와 같이 무게를 감지하여 비행기 등에 탑승시와 같이 무게제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무게에 의해 상품의 선택여부도 고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사용자단말 20 : 정보제공단말
30 : 결제단말 100 : 카메라부
110 : 바코드추출부 120 : 바코드인식부
130 : 통신부 140 : 재인식요청부
150 : 결제내역회신부 160 : 가계부변환부
17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6)

  1. 촬영된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구매대상 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바코드를 통해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제조사와 상품명과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인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상품정보를 기반으로 구매리스트를 생성하는 인식수단이 구비되는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과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생성된 구매리스트를 전달받으며 전달된 구매리스트를 표시하는 정보제공단말;
    상기 정보제공단말에서 표시되는 구매리스트 데이터를 전달받고 구매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에 대한 총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 처리하는 결제단말; 및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면에 복수의 바퀴와, 상기 몸체에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단말이 탈착되는 장착구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탈착이 될 수 있으며 내부에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되지 않은 상품이 임시 수용될 수 있는 챔버몸체와 상기 챔버몸체 하면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되지 않은 상태로 챔버몸체에 분리 수용된 상태의 상품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과 연동하여 로드셀로부터 감지되는 상품의 무게를 현시하여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되지 않은 상품의 여부가 확인되게 하는 모니터부가 구성되는 구획챔버를 포함하는 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수단은,
    사용자의 쇼핑 과정에서 선택된 구매대상 상품에 있어 바코드가 노출된 면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영상을 전달받고 영상으로부터 바코드가 인쇄된 특정 영역을 추정하고 추정된 특정 영역에서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되, 바코드 이미지를 추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스피커를 통한 음향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표시되게 하여 영상의 재촬영을 요청하는 재인식요청부를 포함하는 바코드추출부;
    상기 바코드추출부에서 추출된 바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제조사, 상품명,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가 누적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구매리스트로 생성하는 바코드인식부; 및
    상기 정보제공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바코드인식부에서 생성한 구매리스트를 접속된 정보제공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말은,
    결제 처리 완료 후 구매대상 상품에 대한 상품명과 총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내역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회신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결제단말의 결제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결제 내역을 가공하여 가계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가공된 가계부 데이터를 날짜별로 저장하면서 누적된 가계부 데이터를 통계화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일별 또는 월별 또는 년별 가계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3896A 2020-07-28 2020-07-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KR10237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96A KR102375441B1 (ko) 2020-07-28 2020-07-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896A KR102375441B1 (ko) 2020-07-28 2020-07-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59A KR20220014159A (ko) 2022-02-04
KR102375441B1 true KR102375441B1 (ko) 2022-03-28

Family

ID=8026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96A KR102375441B1 (ko) 2020-07-28 2020-07-28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4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099A (ko) 2011-09-07 2013-03-15 문재길 상품 계산 기능을 구비한 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1354078B1 (ko) * 2012-03-29 2014-01-27 주식회사 삼보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643446B1 (ko) * 2013-07-12 2016-08-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1341A (ko) * 2015-05-31 2016-12-08 유지원 쇼핑카트
KR101742067B1 (ko) * 2015-10-20 2017-05-31 임동석 물품의 자동인식이 가능한 카트 및 상기 카트를 활용한 결제시스템
KR20170124307A (ko) * 2016-05-02 2017-11-10 서철욱 문자인식 또는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59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0355B2 (ja) チェック装置、及びチェックプログラム
US8364552B2 (en) Camera as a vehicle to identify a merchant access device
US20160379297A1 (en) Mobile device based digital wallet for retail shopping, related system and method
US10192213B2 (en) Mobil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100153269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14014303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own a free computer, a free mobile device and a free wearable device and life time warranty via the same device payment cashback
CN101116090A (zh) 在销售点设备上的预付激活和充值
AU2010222885B2 (en) Portable consumer device for use in currency conversion process
US2016024848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umer testing of an nfc device
JP6322383B2 (ja) 決済支援システム、決済支援装置、決済支援プログラム、決済支援方法
JP2014513825A (ja) 安全な2者照合取引システム
JP2014513825A5 (ko)
EP3273403A1 (en) Automated identification of amounts in transactions for transaction records
KR20120087768A (ko) 영상인식코드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시스템 및 방법
CN104704520B (zh) 基于云的支付方法
JP2011253507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US20190318334A1 (en) Cloud-based point-of-sale system
JP6896214B1 (ja) 携帯機器及び電子決済方法
KR10237544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JP6735888B2 (ja) 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商品データ処理方法
JP2018018519A (ja) 決済処理システム
WO2016157137A1 (en) Digital receip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2639853A (zh) 便携设备及电子结算方法
JP7477664B2 (ja) 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商品データ処理方法
JP6983955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