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078B1 -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078B1
KR101354078B1 KR1020120032617A KR20120032617A KR101354078B1 KR 101354078 B1 KR101354078 B1 KR 101354078B1 KR 1020120032617 A KR1020120032617 A KR 1020120032617A KR 20120032617 A KR20120032617 A KR 20120032617A KR 101354078 B1 KR101354078 B1 KR 10135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shopping cart
frame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566A (ko
Inventor
엄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to KR102012003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07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16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6Lockers, hooks, e.g. for personal belong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쇼핑 물건을 수납하는 바스켓(200),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캐스터(3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400)에는 쇼핑정보와 이동거리에 따른 칼로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500)가 구비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하고, 쇼핑기간 동안 다양한 물품에 대한 각종 쇼핑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물품을 쇼핑하도록 유도한다.

Description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SHOPPING CART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쇼핑자가 카트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였을 때 그립감이 개선되었음을 느낄 수 있고, 카트의 손잡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쇼핑자가 쇼핑을 지루하지 않게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쇼핑기간 동안 쇼핑자의 이동거리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파악할 수 있는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쉬카트(push cart) 또는 쇼핑카트(shopping cart)라 함은 대형 할인매장, 백화점, 공항 및 면세점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물품을 구입하여 운반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운반기구를 말한다.
최근 물품의 구매행태가 대형 쇼핑센터나 할인매장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쇼핑센터나 할인매장들이 곳곳에 들어서고 있고, 이에 따라 쇼핑카트의 사용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쇼핑카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내측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스켓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손잡이부는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사이드바의 끝단을 연결하는 파지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쇼핑카트 손잡이부는 2006년 7월 26일에 출원된 '항균 손잡이를 갖는 화물운방용 카트'(출원번호:20-2006-0020201)와 같이 사이드바와 파지봉을 독립된 별개의 물품으로 제조한 후 이 사이드바와 파지봉을 서로 조립하거나 용접결합시키기 때문에 사이드바와 파지봉의 결합지점에 돌출된 이음매가 존재하여 쇼핑자가 쇼핑카트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였을 때 그립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쇼핑카트는 단순히 쇼핑물건을 수납하는 것만을 주목적으로 하다 보니 쇼핑카트가 쇼핑한 물건의 운반을 도와주는 운반기구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부에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여 쇼핑을 하는 동안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하고, 쇼핑기간 동안 다양한 물품에 대한 각종 쇼핑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물품을 쇼핑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속도센서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쇼핑카트 사용자의 이동거리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표시함으로써 쇼핑카트 사용자의 건강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쇼핑센터 내부에 쇼핑자가 더 오래 체류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는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사이드바와 파지봉을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시켜 사이드바와 파지봉 사이에 이음매가 없게 함으로써 쇼핑카트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았을 때 그립감을 좋은 방향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쇼핑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쇼핑 물건을 수납하는 바스켓,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캐스터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쇼핑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바 및 사출성형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바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바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파지봉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PCB 및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과 바스켓 및 손잡이부 중 어느 한 곳에는 가속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전이나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에 동전이나 개인식별카드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PCB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폐쇄 동작시 쇼핑정보와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칼로리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과 바스켓 사이에는 로드셀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바스켓 및 손잡이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거리계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로드셀과 거리계로부터 신호를 받아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광고지를 삽입하는 광고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면을 커버하는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의 하면에 반사필름을 부착하여 제작되는 거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손잡이부에 마련된 삽입구에 동전이나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c) 쇼핑센터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쇼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가속도센서를 이용해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이동거리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하고, 쇼핑기간 동안 다양한 물품에 대한 각종 쇼핑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물품을 쇼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쇼핑센터의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를 통해 이동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고, 이 칼로리 소모량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쇼핑카트 사용자의 운동욕구를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쇼핑카트 사용자의 건강향상을 도모하고, 쇼핑카트 사용자로 하여금 쇼핑센터 내부에 더 오래 있을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은 삽입구에 동전이나 신용카드 또는 할인카드와 같은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되는 경우에만 배터리의 전원을 디스플레이장치로 공급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고,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사이드바와 파지봉이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이드바와 파지봉 사이에 이음매가 없어서 쇼핑카트 사용자가 쇼핑카트의 손잡이부를 파지하였을 때 손에 걸리는 부분이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와 디스플레이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는 도 1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바스켓(200),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캐스터(300),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손잡이부(400) 및 손잡이부(4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프레임(100)은 바스켓(20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캐스터(300)가 장착된다.
바스켓(200)은 내부에 쇼핑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부분으로, 프레임(10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쇼핑 물건을 용이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캐스터(30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쇼핑카트의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후 어느 방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4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쇼핑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밀거나 잡아당길 때 쇼핑카트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손잡이부(400)는 사이드바(410), 사이드바(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파지봉(4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사이드바(410)와 파지봉(420)은 각각 독립된 물품으로 제작하여 서로 조립을 함으로써 손잡이부(400)를 완성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바(410)와 파지봉(420)을 사출성형의 방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시켜 손잡이부(400)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바(410)와 파지봉(42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이드바(410)와 파지봉(420) 사이에 이음매가 없어져서 외관을 좋게 하고, 쇼핑카트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파지할 때 손에 걸리는 부분이 없어져 손잡이부(400)의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사이드바(410)는 일단이 프레임(10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즉, 프레임(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사이드바(410)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이드바(41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프레임(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부(400)의 사이드바(410)에는 물병홀더(411)와 휴대폰홀더(4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의 우측에 연결된 사이드바(410)에 물병홀더(411)가 구비되면, 프레임(100)의 좌측에 연결된 사이드바(410)에는 휴대폰홀더(412)가 구비되는 것이다.
물병홀더(411)는 물병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바(4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물병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바닥판(411a), 바닥판(411a)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물병의 전방 하측 외면에 접촉되는 전방파지판(411b), 바닥판(411a)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전방파지판(411b)보다 높게 형성되어 물병의 후방 하측 외면에 접촉되는 후방파지판(411c)을 구비한다.
휴대폰홀더(412)는 휴대폰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412a), 바닥판(412a)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폰의 전방 하측 외면에 접촉되는 전방파지판(412b), 바닥판(412a)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전방파지판(412b)보다 높게 형성되어 휴대폰의 후방 하측 외면에 접촉되는 후방파지판(412c), 바닥판(412a)의 좌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측파지판(412d), 바닥판(412a)의 우단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우측파지판(412e) 및 좌측파지판(412d) 또는 우측파지판(412e)의 중앙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휴대폰의 전면 중앙부분에 접촉되는 중앙파지판(412f)을 구비한다.
파지봉(420)은 앞서 말한 것처럼 사출성형에 의하여 사이드바(4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봉(420)은 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바(41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한다. 이렇게 파지봉(420)이 사이드바(410)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쇼핑카트 사용자는 자신의 손으로 파지봉(420)을 파지한 후 쇼핑카트를 밀거나 끌어 쇼핑카트를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손잡이부(400)의 파지봉(420)에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쇼핑을 하는 동안 이동하는 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과 쇼핑에 관한 각종 쇼핑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여 쇼핑카트 사용자로 하여금 쇼핑센터 내부에 더 오래 있을 수 있도록 유인하고 쇼핑카트 사용자의 운동욕구를 자극하여 건강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0), 하우징(510)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520) 및 제어부(560)가 마련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530) 및 하우징(5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크린(540)을 구비한다.
하우징(510)은 손잡이부(400)의 파지봉(420)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5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배터리(520)와 PCB(530)가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510)의 일측,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쇼핑카트 사용자가 쇼핑카트의 파지봉(420)을 잡았을 때 쇼핑카트 사용자의 몸을 향하는 면에 삽입구(511)가 형성되고, 삽입구(511) 내부에는 동전 삽입 여부에 따라 배터리(520)로부터 PCB(530)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550)가 구비된다.
삽입구(511)는 동전을 하우징(510) 내부에 투입하기 위한 곳으로서, 동전이 삽입구(511)에 투입되면, 복수의 쇼핑카트를 서로 연결하도록 손잡이부(400)에 형성된 연결구로부터 연결핀(도면 미도시)이 탈착되면서, 스위칭부(550)가 폐쇄 동작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550)가 폐쇄 동작하여 배터리(520)로부터 PCB(530)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스크린(540)에 영상이 표시된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장치(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540) 이외에 광고지가 삽입되는 광고수단(550), 디스플레이장치(500)의 상면을 커버하여 스크린(540) 등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창(570) 및 투명창(570)과 하우징(510) 사이에 광고수단(550)과 스크린(540)이 보일 수 있도록 하우징(510) 상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투명창(570)의 하면에 부착되는 거울(5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광고판을 이용해 이벤트나 할인 쿠폰과 같은 쇼핑 정보를 제공하고, 거울을 이용해 사용자가 얼굴이나 머리 상태 등은 물론 옷차림 또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부에 투명창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스크린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삽입구(511)에 동전을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신용카드나 할인카드와 같은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인식별카드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구를 형성하고,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되면, 배터리(520)로부터 PCB(5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배터리(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PCB(530)와 스크린(540)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PCB(530)는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520)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PCB(530)에 설치된 제어부(560)는 배터리(5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 구동되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스크린(5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60)는 후술할 가속도센서(6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쇼핑카트 사용자가 쇼핑카트를 밀거나 끌어 이동한 거리로부터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고, 이 칼로리 소모량을 스크린(540)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560)는 앞서 말한 칼로리 소모량뿐만 아니라 각종 쇼핑정보를 스크린(540)을 통해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쇼핑시간을 지루하지 않게 하고, 쇼핑하는 사람들을 쇼핑센터에 더 오래 붙잡아 둘 수 있으며, 다양한 쇼핑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물품을 구매하도록 쇼핑카트 사용자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60)는 쇼핑센터의 서버로부터 각종 쇼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도면 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540)은 하우징(5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PCB(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칼로리 소모량이나 쇼핑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스크린(540)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쇼핑카트 사용자가 영상을 좀 더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말한대로 본 발명에 의한 쇼핑카트에는 가속도센서(600)가 설치되는데,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속도센서(600)는 프레임(100), 캐스터(300), 바스켓(200) 및 손잡이부(40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600)는 쇼핑카트의 이동거리나 가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560)로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가속도센서(600)를 이용해서 이동거리나 가속도를 측정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700)과 거리계(800)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즉, 프레임(100)과 바스켓(200) 사이에 로드셀(700)을 설치하여 바스켓(200)과 바스켓(200)에 수납된 쇼핑물품의 무게를 측정하고, 프레임(100)과 바스켓(200) 및 손잡이부(400) 중 어느 한 곳에 거리계(800)를 설치하여 쇼핑카트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로드셀(800)과 거리계(900)에서 측정된 무게와 이동거리를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560)는 그 신호를 받아서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제어부(560)에 바스켓(20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프레이, 캐스터, 손잡이부 등)의 무게를 미리 저장한 상태에서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때 바스켓(20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무게를 같이 더하여 계산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핑카트 사용자로부터 하우징(510)에 형성된 삽입구(511)에 동전이 투입되면(S10), 복수의 쇼핑카트를 연결하도록 연결구에 결합된 연결핀이 탈착됨에 따라 스위칭부(550)는 배터리(520)로부터 PCB(5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폐쇄 동작한다.
이에 따라, PCB(630)에 구비된 제어부(560)는 스크린(540) 및 가속도센서(600)에 배터리(5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킨다(S11).
그리고 제어부(560)는 내부에 구비된 통신모듈을 이용해 쇼핑센터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쇼핑센터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할인행사 상품정보, 할인 쿠폰정보와 같은 각종 쇼핑정보를 수신하여 스크린(5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2).
이와 같이, 스크린에 각종 쇼핑정보가 표시되면, 쇼핑카트 사용자는 쇼핑정보를 이용해 할인행사를 진행하는 상품이나 할인쿠폰이 제공되는 상품의 필요 여부를 고려해서 구매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쇼핑카트 사용자에게 애초 구매 의사가 있는 상품뿐만 아니라, 구매 의사가 없었던 상품에 대한 구매 여부를 다시 한번 재고하게 하여 쇼핑센터의 매출을 높일 수 있게 한다.
한편, 가속도센서(600)는 쇼핑카트의 이동거리나 가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560)로 전송한다(S13).
그러면, 제어부(560)는 전송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스크린(5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4).
이와 같이, 스크린(540)에 칼로리 소모량이 표시되면, 쇼핑카트 사용자는 이 칼로리 소모량을 본 후 좀 더 움직이려는 욕구가 발생되어 쇼핑카트를 조금 더 이동시켜 건강향상을 도모하고, 쇼핑카트를 더 움직이는 만큼 쇼핑센터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쇼핑센터의 매출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만약, 스크린(540)에 표시된 칼로리 소모량이 280KCal이라면 쇼핑카트 사용자는 조금 더 움직여서 300KCal를 채우려는 욕구가 발생되는 것이 자연적이므로, 20KCal에 해당되는 운동량만큼 쇼핑카트 사용자는 쇼핑카트를 더 움직이게 되어 그 결과로 운동량이 더 많아지고 쇼핑센터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560)는 칼로리 소모량을 스크린(540)에 표시할 때, 칼로리 소모량이 표시되지 않는 스크린(540)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 각종 쇼핑정보나 영상을 표시하여 쇼핑자들의 쇼핑시간이 지겹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S15단계에서 제어부(560)는 상기 연결구에 다시 연결핀이 결합되면서 삽입구(511)에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연결핀이 연결구에 결합될 때까지 제 S11단계 내지 S15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제 S15단계에서 상기 연결구에 연결핀이 결합되면, 삽입구(511)에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고, 스위칭부(550)는 배터리(520)로부터 PCB(530)에 전원공급을 중지하도록 개방 동작함에 따라, 제어부(560)는 디스플레이장치(500)의 구동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전이 삽입되는 경우에만 배터리로부터 PCB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배터리 전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하고, 쇼핑기간 동안 다양한 물품에 대한 각종 쇼핑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물품을 쇼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쇼핑카트의 바스켓(200)에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RFID 태그를 장착하면, 쇼핑센터 매장 곳곳에 설치된 RFID 리더기를 통해 상품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쇼핑카트의 바스켓(200)에 수용된 쇼핑물건의 가격을 미리 계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쇼핑센터에서 쇼핑카트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쇼핑시간이 지루하지 않게 하고, 쇼핑기간 동안 다양한 물품에 대한 각종 쇼핑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물품을 쇼핑하도록 유도하는 쇼핑카트 기술에 적용된다.
100: 프레임 200: 바스켓
300: 캐스터 400: 손잡이부
410: 사이드바 411: 물병홀더
411a: 바닥판 411b: 전방파지판
411c: 후방파지판 412: 휴대폰홀더
412a: 바닥판 412b: 전방파지판
412c: 후방파지판 412d: 좌측파지판
412e: 우측파지판 412f: 중앙파지판
420: 파지봉 500: 디스플레이장치
510: 하우징 511: 삽입구
520: 배터리 530: PCB
540: 스크린 600: 가속도센서
700: 로드셀 800: 거리계

Claims (7)

  1.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쇼핑 물건을 수납하는 바스켓(200),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캐스터(3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400)에는 쇼핑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500)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0)과 바스켓(200) 사이에는 로드셀(70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0)과 바스켓(200) 및 손잡이부(400) 중 어느 하나에는 거리계(800)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상기 로드셀(700)과 거리계(8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스크린(54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0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00)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바(410) 및
    사출성형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바(4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바(41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봉(4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상기 파지봉(420)에 설치되는 하우징(510);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520);
    상기 하우징(5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5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PCB(530) 및
    상기 PCB(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5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동전이나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구(511),
    상기 삽입구(511)에 동전이나 개인식별카드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520)로부터 PCB(53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스위칭부(550) 및
    상기 스위칭부(550)의 폐쇄 동작시 쇼핑정보와 상기 로드셀(700) 및 거리계(800)의 신호를 받아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쇼핑카트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여 칼로리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스크린(5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광고지가 삽입되는 광고수단(550),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의 상면을 커버하는 투명창(570) 및
    상기 투명창(570)과 하우징(510) 사이에 구비되는 거울(5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7. (a) 손잡이부에 마련된 삽입구에 동전이나 개인식별카드가 삽입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해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c) 쇼핑센터의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쇼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쇼핑카트와 쇼핑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쇼핑카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계를 이용해 쇼핑카트의 이동거리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0120032617A 2012-03-29 2012-03-29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35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17A KR101354078B1 (ko) 2012-03-29 2012-03-29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17A KR101354078B1 (ko) 2012-03-29 2012-03-29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66A KR20130110566A (ko) 2013-10-10
KR101354078B1 true KR101354078B1 (ko) 2014-01-27

Family

ID=4963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617A KR101354078B1 (ko) 2012-03-29 2012-03-29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27B1 (ko) * 2019-10-31 2023-05-17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무작위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공하는 쇼핑 카트와 그 방법
KR102375441B1 (ko) * 2020-07-28 2022-03-28 김상국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 결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437A (ko) * 1995-03-29 1998-11-05 대그 크젤드스베르그 브래킷을 이용하여 쇼핑 트롤리의 핸들상에 정보/광고를 나타내기 위한 장치
KR20050009097A (ko) * 2003-07-15 2005-01-24 조인호 스마트카트
KR20100043692A (ko) * 2008-10-21 2010-04-29 이상도 스마트 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카트 관리방법
KR20120005649A (ko) * 2010-07-09 2012-01-17 장호연 쇼핑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437A (ko) * 1995-03-29 1998-11-05 대그 크젤드스베르그 브래킷을 이용하여 쇼핑 트롤리의 핸들상에 정보/광고를 나타내기 위한 장치
KR20050009097A (ko) * 2003-07-15 2005-01-24 조인호 스마트카트
KR20100043692A (ko) * 2008-10-21 2010-04-29 이상도 스마트 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카트 관리방법
KR20120005649A (ko) * 2010-07-09 2012-01-17 장호연 쇼핑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66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725B2 (en) Shopping cart handle with built-in console for the input and display of consumer product information
US6484939B1 (en) Self scanning and check out shopping cart-based electronic advertising system
US10339515B1 (en) Shopping cart with integrated scale and point of sale device
CN204605901U (zh) 智能购物车和智能购物系统
CN104603850B (zh) 购物手推车中的货品扫描
US7661588B2 (en) Stored-value card with pedometer and clip
CN107845212B (zh) 基于身份识别的智能购物系统
JP7175925B2 (ja) Rfid小売りフロアアイテムキャリッジ
US20180370554A1 (en) Shopping cart with checkout equipment and system for use
US20060097467A1 (en) Shopping cart with shopping bag dispenser
EP2273446A3 (en) Media enabled advertising shopping cart system
KR101354078B1 (ko) 쇼핑카트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20110106697A1 (en) Transaction product assembly with remote controlled article
US7620475B1 (en) Dispens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s for acquiring product data in a shopping centre, integrated system for dispensing said portable terminals, and integrated system for selling products through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CN108725563A (zh) 一种自助结算超市购物车
CN107415988A (zh) 一种智能超市购物系统及方法
US20130117082A1 (en) Electronic Shopping System
JP2005292939A (ja) 自動販売機
Mane et al. Electronic shopping using barcode scanner
CN201143069Y (zh) 超市智能购物车
Pandita et al. Automatic shopping trolley using sensors
GB2447051A (en) Automated shopping system using RFID tags
US20190164307A1 (en) Recognition system, storage system including recognition system, shopp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storage system, storag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CN207281820U (zh) 智能支付系统
JP6217121B2 (ja) Pos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