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239B1 - 부품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239B1
KR102375239B1 KR1020150070306A KR20150070306A KR102375239B1 KR 102375239 B1 KR102375239 B1 KR 102375239B1 KR 1020150070306 A KR1020150070306 A KR 1020150070306A KR 20150070306 A KR20150070306 A KR 20150070306A KR 102375239 B1 KR102375239 B1 KR 10237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mounting space
seating guide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603A (ko
Inventor
장철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using hand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장착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장착장치는 블럭케이스(10)의 외면에 형성된 장착공간(12)에 어댑터(20)가 장착되어 상기 어댑터(20)에 안착된 부품(30)을 블럭케이스(10)에 회전동작에 의해 장착하게 된다. 상기 장착공간(12)은 원형의 공간으로 되고, 상기 어댑터(20)의 외관을 구성하는 어댑터몸체(21)의 일부도 상기 장착공간(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어댑터몸체(21)에는 안착안내리브(26)와 탄성걸림편(24)이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12)에는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안내되는 안착가이드채널(14)과 이동채널(16)이 있고, 상기 블럭케이스(10)에는 상기 탄성걸림편(24)의 걸림턱(25)이 걸어지는 걸이편(18)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30)을 블럭케이스(10)에 쉽고 신속하게 장착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장착장치{Parts mou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럭 등에 부품을 별도의 체결구없이 장착하도록 한 부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부품을 차량용 블럭 등에 장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차량용 블럭 등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켜서 부품을 차량용 블럭에 장착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품에 상기 나사가 관통하는 장착브라켓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장착브라켓이 차량용 블럭에 위치하기 위해서 점유하는 면적이 발생하고, 상기 나사를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조립 작업에서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지루한 작업이다.
따라서, 나사를 사용하여 부품을 차량용 블럭 등에 장착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비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21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을 별도의 체결구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원형상의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어댑터몸체의 상면으로 개방되게 부품안착공간이 형성되어 부품이 안착되며 상기 원형상의 장착공간 내에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어댑터몸체의 일부가 상기 원형상의 장착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안착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가이드채널의 일단부에서 상기 바닥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몸체에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과 이동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안착안내리브가 상기 어댑터몸체의 외면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공간의 입구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몸체에는 선단 일측 외면에 걸림턱이 구비된 외팔보 형상의 판상인 탄성걸림편이 상기 걸이편에 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걸림편과 상기 안착안내리브는 다수개가 상기 어댑터몸체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림편끼리 그리고 상기 안착안내리브끼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품을 어댑터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대상에 회전동작에 의해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을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고 부품이 장착대상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차량용 블럭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공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어댑퍼의 구성을 보인 측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품이 장착된 어댑터가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부품이 장착된 어댑터가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차량용 블럭에 장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블럭의 외관을 구성하는 블럭케이스(10)의 일측에는 장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2)은 평면도로 볼 때, 원형상이다. 상기 장착공간(12)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서 조금 돌출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장착공간(12)이 형성되는 영역이 반드시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서 돌출될 필요는 없다.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면에는 다수 곳에 안착가이드채널(1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은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과 입구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댑터(20)의 안착안내리브(26)가 이동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안착가이드채널(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을 따라서는 이동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16)은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의 일단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각각의 안착가이드채널(14)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16)을 따라서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을 따라 내려온 안착안내리브(26)가 이동된다.
상기 장착공간(12)의 입구 가장자리에 인접하여서는 다수개의 걸이편(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편(18)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판형상이다. 상기 걸이편(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댑터(20)의 탄성걸림편(24)이 걸어진다.
어댑터(20)는 상기 장착공간(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져 체결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20)의 외관과 골격을 어댑터몸체(21)가 형성한다.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적어도 일부인 하부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어댑터몸체(21)의 하부는 상기 장착공간(12)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는 원형상이다.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상면에는 부품안착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은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어댑터몸체(2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탄성걸림편(24)들이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24)들은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24)들은 또한 대략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외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된다. 상기 탄성걸림편(24)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판상이다. 상기 탄성걸림편(24)의 선단 일측 외면에는 걸림턱(25)이 있다. 상기 걸림턱(25)은 상기 걸이편(18)의 일측 단부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5)에는 경사면과 직교면이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걸이편(18)을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고, 상기 직교면은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어댑터몸체(21)의 최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안착안내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는 본 실시례에서는 3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의 갯수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의 갯수와 같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와 상기 탄성걸림편(24)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와 상기 탄성걸림편(24)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안착안내리브(26)끼리와 탄성걸림편(24)끼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어댑터(20)의 회전각도를 최소화하면서도 어댑터(20)가 블럭케이스(10)에 체결되는 부분이 등간격으로 되도록 하여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의 내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28)는 본 실시례에서는 통공의 형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결합부(28)는 홈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결합부(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30)의 제2결합부(36)가 결합되어 부품(30)이 부품안착공간(22)에 고정되어 안착되도록 한다.
부품(30)은 상기 어댑터(20)의 부품안착공간(22)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부품(30)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전자식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품(30)의 외관과 골격을 부품하우징(32)이 형성하고, 상기 부품하우징(32)의 외부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탭단자(34)가 있다. 상기 탭단자(34)는 부품(30)과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탭단자(34) 각각에는 예를 들면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부품하우징(32)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36)는 본 실시례에서는 돌기 형태로 된다. 참고로, 상기 제1결합부(28)는 홈형상이고, 상기 제2결합부(36)는 돌기 형상인데, 이들은 서로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28)와 제2결합부(36)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부품(30)은 상기 어댑터(20)의 부품안착공간(22)에 안착된다. 상기 부품(30)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품하우징(32)의 외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36)가 상기 부품안착공간(22)의 제1결합부(28)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안착공간(22)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블럭케이스(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다.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어댑터(20)의 어댑터몸체(21)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안내리브(26)를 상기 장착공간(12)의 안착가이드채널(14)의 입구에 위치시킨다.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을 따라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이동되도록 상기 어댑터(20)를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에 상기 어댑터(20)의 하부가 위치되면, 상기 안착안내리브(26)는 상기 이동채널(16)의 입구와 일단부가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이다. 여기서는 상기 걸이편(18)이 상기 탄성걸림편(24)과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위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이동채널(16)을 따라 가도록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어댑터(20)가 회전되어, 상기 탄성걸림편(24)이 상기 걸이편(18)에 접근하게 된다. 상기 걸이편(18)에 상기 탄성걸림편(24)의 걸림턱(25)이 안내되기 시작하면, 상기 탄성걸림편(24)은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탄성걸림편(24)의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을 통과하면, 상기 어댑터(2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는 상기 이동채널(16)의 길이를 특정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을 통과하면 상기 탄성걸림편(24)이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의 일단부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품(30)이 장착된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에 장착되면 상기 이동채널(16)의 일측 끝에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에서 상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걸림턱(25)이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져 있음으로 해서 상기 어댑터(20)가 상기 장착공간(12) 내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20)는 상기 장착공간(12)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탭단자(34)들에는 상대 커넥터 들이 결합된다. 상기 탭단자(34)들은 상기 부품하우징(32)의 내부에 있는 기판에 실장되어 있고, 이들 탭단자(34)들이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품(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댑터(20)를 상기 장착공간(12)에 조립할 때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먼저, 상기 걸이편(18)에 걸어진 걸림턱(25)이 분리되도록 상기 탄성걸림편(24)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어댑터(20)를 조금 회전시킨다.
상기 걸림턱(25)들이 모두 상기 걸이편(18)에서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이동채널(16)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채널(16)을 지나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된다. 상기 안착안내리브(26)가 상기 안착가이드채널(14)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0)를 들어 올리면 상기 장착공간(12)에서 상기 어댑터가 분리되어 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댑터(20)의 부품안착공간(22)에서 상기 부품(30)을 분리해 내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럭케이스 12: 장착공간
14: 안착가이드채널 16: 이동채널
18: 걸이편 20: 어댑터
21: 어댑터몸체 22: 부품안착공간
24: 탄성걸림편 25: 걸림턱
26: 안착안내리브 28: 제1결합부
30: 부품 32: 부품하우징
34: 탭단자 36: 제2결합부

Claims (5)

  1. 케이스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원형상의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어댑터몸체의 상면으로 개방되게 부품안착공간이 형성되어 부품이 안착되며 상기 원형상의 장착공간 내에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어댑터몸체의 일부가 상기 원형상의 장착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장착공간의 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안착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가이드채널의 일단부에서 상기 바닥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몸체에는 상기 안착가이드채널과 이동채널을 따라 이동되는 안착안내리브가 상기 어댑터몸체의 외면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장착되며,
    상기 장착공간의 입구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걸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몸체에는 선단 일측 외면에 걸림턱이 구비된 외팔보 형상의 판상인 탄성걸림편이 상기 걸이편에 걸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걸림편과 상기 안착안내리브는 다수개가 상기 어댑터몸체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림편끼리 그리고 상기 안착안내리브끼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인 부품장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70306A 2015-05-20 2015-05-20 부품장착장치 KR10237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06A KR102375239B1 (ko) 2015-05-20 2015-05-20 부품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06A KR102375239B1 (ko) 2015-05-20 2015-05-20 부품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03A KR20160136603A (ko) 2016-11-30
KR102375239B1 true KR102375239B1 (ko) 2022-03-16

Family

ID=5770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06A KR102375239B1 (ko) 2015-05-20 2015-05-20 부품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882A (ja) * 1998-09-04 2000-03-21 Toko Inc 電子部品用ケース
JP2012188089A (ja) * 2011-03-14 2012-10-04 Japan Climate Systems Corp 部品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538B2 (ja) * 1996-01-31 2005-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部品の取付構造
US7726994B1 (en) 2009-01-30 2010-06-01 Itt Manfacturin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helmet-mounted night vis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882A (ja) * 1998-09-04 2000-03-21 Toko Inc 電子部品用ケース
JP2012188089A (ja) * 2011-03-14 2012-10-04 Japan Climate Systems Corp 部品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03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9533B2 (en)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US9502812B2 (en) Connector having movable housing within frame
US10290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6033893A (ja) 防水コネクタ
KR200494540Y1 (ko) 커넥터
US10290960B2 (en) Terminal detachable device
JP6101664B2 (ja) コネクタ装置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KR102375239B1 (ko) 부품장착장치
JP6447744B2 (ja) コネクタ装置
US20160190755A1 (en) Connector
US20140193996A1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key to avoid contact damage
US11692570B2 (en)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and related methods
TWI661618B (zh) 電連接器和電連接器組件
US11404819B2 (en) Contact device, contact system having such a contac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ntact system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102219174B1 (ko) 전자부품 장착장치
EP2903110A1 (en) Mounting box assembly
JP6389363B2 (ja) 部品の取付構造
US20160123337A1 (en) Ventilating fan
KR20170117693A (ko) 커넥터
JP6278863B2 (ja) コネクタ
RU2729768C2 (ru) Узел рамы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основания для механизмов скрытого монтажа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этого узла
KR102589863B1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
KR102410463B1 (ko)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