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236B1 -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236B1
KR102375236B1 KR1020190164620A KR20190164620A KR102375236B1 KR 102375236 B1 KR102375236 B1 KR 102375236B1 KR 1020190164620 A KR1020190164620 A KR 1020190164620A KR 20190164620 A KR20190164620 A KR 20190164620A KR 102375236 B1 KR102375236 B1 KR 10237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material
friction stir
stir welding
strength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875A (ko
Inventor
김성욱
천창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3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7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involving metallurgical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은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와 제2 고강도 소재의 테두리들에 저강도 소재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 마찰 교반 용접 툴로 상기 저강도 소재의 표면을 마찰하여 상기 저강도 소재의 발열을 이용해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제2 고강도 소재를 예열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상기 저강도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사이의 접촉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FRICTION STIR WELDING METHOD OF HIGH STRENGTH MATERIAL}
본 기재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은 회전하는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서로 접하는 피접합체들과 마찰하여 발열함으로써 융점 이하에서 피접합체들 간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에 이용되는 마찰 교반 용접 툴은 내마모성 및 고온 강도가 높은 툴 소재인 텅스텐 및 초경소재 등을 포함하였다.
최근, 다양한 합금계를 포함하는 마찰 교반 용접 툴 소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툴 소재의 내마모성 및 고온 강도가 부족하여 용접 대상이 되는 피접합체는 주로 알루미늄, 구리, 마그네슘 등의 저강도 소재에 한정되고 있다.
피접합체들로서 티타늄, 철강 등의 고강도 소재들을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이용해 마찰 교반 용접할 경우, 마찰 교반 용접 툴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는,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이용해 고강도 소재들을 마찰 교반 용접하더라도, 마찰 교반 용접 툴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와 제2 고강도 소재의 테두리들에 저강도 소재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 마찰 교반 용접 툴로 상기 저강도 소재의 표면을 마찰하여 상기 저강도 소재의 발열을 이용해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제2 고강도 소재를 예열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상기 저강도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사이의 접촉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저강도 소재는 동일한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제2 고강도 소재는 티타늄 합금을 포함하며, 상기 저강도 소재는 순수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저강도 소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의 테두리들과 상기 저강도 소재의 테두리 사이를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이용해 고강도 소재들을 마찰 교반 용접하더라도, 마찰 교반 용접 툴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의 효과를 확인한 제1 실험예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의 효과를 확인한 제2 실험예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의 테두리들에 저강도 소재(LS)의 테두리를 접합한다(S100).
구체적으로, 마찰 교반 용접 대상인 제1 고강도 소재(HS1)의 테두리와 제2 고강도 소재(HS2)의 테두리를 서로 접촉시킨다. 그리고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의 테두리들에 저강도 소재(LS)의 테두리를 접합한다. 여기서, 저강도 소재(LS)의 접합은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재(HS2) 중 적어도 하나와 저강도 소재(LS) 사이를 연결하는 추가의 고정 부재를 이용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재(HS2)와 저강도 소재(LS) 사이의 접합 부분에서 유격이 없도록 사전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고강도 소재(HS1), 제2 고강도 소재(HS2), 저강도 소재(LS)는 동일한 금속 재료를 포함한다.
저강도 소재(LS)는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제(HS2)와 조성계가 동일하면서 순도가 높은 소재일 수 있다.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재(HS2)가 고강도 티타늄 합금을 포함할 경우, 저강도 소재(LS)는 티타늄 순도가 높은 순수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저강도 소재(LS)는 순도가 높을수록 좋으나, 초고순도계의 소재는 필요 없으며, 공업용 순수 조성계의 소재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재(HS2)는 Ti-6Al-4V 티타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강도 소재(LS)는 CP-Ti 순수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강도 소재(HS1), 제2 고강도 소재(HS2), 및 저강도 소재(LS)는 판 형태를 가지며, 제1 고강도 소재(HS1), 제2 고강도 소재(HS2), 및 저강도 소재(LS)는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한편,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의 테두리들과 저강도 소재(LS)의 테두리 사이를 용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의 테두리들과 저강도 소재(LS)의 테두리 사이를 TIG(tungsten inert gas) 용접을 이용해 용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마찰 교반 용접 툴(10)로 저강도 소재(LS)의 표면을 마찰하여 저강도 소재(LS)의 발열을 이용해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재(HS2)를 예열한다(S200).
구체적으로, 마찰 교반 용접 툴(10)로 저강도 소재(LS)의 표면을 마찰하여 저강도 소재(LS)의 발열인 마찰열을 이용한 열전도에 의해 제1 고강도 소재(HS1) 및 제2 고강도 소재(HS2)를 예열한다.
여기서, 마찰 교반 용접 툴(10)은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마찰 교반 용접 툴(10)의 툴 소재는 공지된 고강도 소재의 용접용 툴을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마찰 교반 용접 툴(10)의 툴 소재는 텅스텐 및 초경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 마찰 교반 용접 툴(10)을 저강도 소재(LS)의 표면으로부터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의 접촉면(CS)으로 이동시켜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한다(S300).
구체적으로, 마찰 교반 용접 툴(10)의 표면 마찰에 의한 저강도 소재(LS)의 발열이 충분히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고, 마찰 교반 용접 툴(10)을 저강도 소재(LS)의 표면으로부터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의 접촉면(CS)으로 이동시켜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를 마찰하여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를 서로 마찰 교반 용접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은 마찰 교반 용접 툴(10)을 이용해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하더라도, 우선 마찰 교반 용접 툴(10)로 저강도 소재(LS)를 표면 마찰하여 저강도 소재(LS)의 발열인 마찰열을 이용한 열전도에 의해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를 예열한 후 마찰 교반 용접 툴(10)로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의 접촉면(CS)을 마찰 교반 용접함으로써, 제1 고강도 소재(HS1)와 제2 고강도 소재(HS2) 사이를 용접하는 마찰 교반 용접 툴(10)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고강도 소재들간의 마찰 교반 용접 시 고강도 소재들의 예열을 위한 추가적인 예열 장치가 필요치 않은 동시에 마찰 교반 용접 툴(10)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의 효과를 확인한 제1 실험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의 효과를 확인한 제1 실험예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3의 (A)는 제1 실험예의 실험 순서를 나타낸 사진들이며, (B)는 제1 실험예의 실험 결과인 마찰 교반 용접된 판재들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티타늄 합금(Ti-6Al-4V) 판재들의 마찰 교반 용접 시 순티타늄(CP-Ti) 판재를 맞대고 접합하고 순티타늄(CP-Ti) 판재의 표면을 FSW 툴로 마찰하여 발열시킨 후 티타늄 합금(Ti-6Al-4V, Ti64) 판재들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하였다.
제1 실험예의 실험 결과, FSW 툴이 순티타늄(CP-Ti) 판재에서 발열 후 티타늄 합금(Ti64) 판재들과 접촉 시 발열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다시 재가열되어 마찰 교반 용접이 진행되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의 효과를 확인한 제2 실험예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4의 (A)는 제2 실험예의 실험 순서를 나타낸 사진들이며, (B)는 제2 실험예의 실험 결과인 마찰 교반 용접된 판재들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티타늄 합금(Ti-6Al-4V) 판재들의 마찰 교반 용접 시 순티타늄(CP-Ti) 판재를 TIG(tungsten inert gas) 용접으로 완전히 접합하고 순티타늄(CP-Ti) 판재의 표면을 FSW 툴로 마찰하여 발열시킨 후 티타늄 합금(Ti-6Al-4V, Ti64) 판재들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하였다.
제2 실험예의 실험 결과, FSW 툴이 순티타늄(CP-Ti) 판재에서 발열 후 티타늄 합금(Ti64) 판재들과 접촉 시 발열이 줄어들지 않고 마찰 교반 용접이 진행되었다.
본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1 고강도 소재(HS1), 제2 고강도 소재(HS2), 저강도 소재(LS), 마찰 교반 용접 툴(10)

Claims (5)

  1. 서로 접촉하는 제1 고강도 소재와 제2 고강도 소재의 테두리들에 저강도 소재의 테두리를 접합하는 단계;
    마찰 교반 용접 툴로 상기 저강도 소재의 표면을 마찰하여 상기 저강도 소재의 발열을 이용해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제2 고강도 소재를 예열하는 단계; 및
    상기 마찰 교반 용접 툴을 상기 저강도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사이의 접촉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사이를 마찰 교반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저강도 소재는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대비 강도가 낮은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저강도 소재는 동일한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제2 고강도 소재는 티타늄 합금을 포함하며,
    상기 저강도 소재는 순수 티타늄을 포함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제1 고강도 소재, 상기 제2 고강도 소재, 및 상기 저강도 소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5. 제1항에서,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제1 고강도 소재와 상기 제2 고강도 소재의 테두리들과 상기 저강도 소재의 테두리 사이를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KR1020190164620A 2019-12-11 2019-12-11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KR10237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20A KR102375236B1 (ko) 2019-12-11 2019-12-11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20A KR102375236B1 (ko) 2019-12-11 2019-12-11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75A KR20210073875A (ko) 2021-06-21
KR102375236B1 true KR102375236B1 (ko) 2022-03-15

Family

ID=7660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620A KR102375236B1 (ko) 2019-12-11 2019-12-11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582A (ja) 2001-02-23 2002-09-03 Hitachi Ltd 摩擦攪拌接合方法
JP2018061980A (ja) * 2016-10-13 2018-04-19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摩擦攪拌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582A (ja) 2001-02-23 2002-09-03 Hitachi Ltd 摩擦攪拌接合方法
JP2018061980A (ja) * 2016-10-13 2018-04-19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摩擦攪拌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75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4871B2 (ja) 異なる金属部分を融接するためのuam遷移
Watanabe et al. Joining of aluminum alloy to steel by friction stir welding
CN103108720A (zh) 用于利用高旋转速度以使搅拌摩擦焊期间的载荷最小化的系统
JP2003170280A (ja) 異種金属材料の接合方法
JP4656495B2 (ja) 酸化皮膜形成材料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2006239734A (ja) 溶接継手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12183565A (ja) 摩擦撹拌接合方法及び接合治具
JP2005288499A (ja) 摩擦撹拌による接合方法及び改質方法
KR20180003878A (ko) 마찰교반에 의한 두께가 상이한 이종재료의 접합방법
EP14536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JOINING OF METAL COMPONENTS, PARTICULARLY LIGHT METAL COMPONENTS
JP2006224147A (ja) 異材接合用溶加材及び異材接合方法
JP2003211270A (ja) アルミニウムと鉄鋼の接合方法
JP3862640B2 (ja) アルミニウム系材の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101276334B1 (ko) 하이브리드 마찰교반에 의한 알루미늄 합금과 티타늄 합금의 접합방법
KR102375236B1 (ko) 고강도 소재의 마찰 교반 용접 방법
EP3096919B1 (en) Method for metallurgical bonding
JP3091843B1 (ja) 溶融溶接方法
JP2008200750A (ja) 片面アークスポット溶接方法
JP2004160467A (ja) 異種金属からなる溶接継手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6357204B2 (ja) アークスタッド溶接に用いられるフラックス及びアークスタッド溶接方法
Kah et al. Joining of sheet metals using different welding processes
JP2002283070A (ja) 異種金属材料の摩擦撹拌接合方法
JP7255652B2 (ja) ウェルドボンド継手の製造方法
JP6777020B2 (ja) 接合方法
KR101276332B1 (ko) 하이브리드 마찰교반에 의한 마그네슘 합금과 구조용강의 접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