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91B1 -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91B1
KR102374891B1 KR1020210077050A KR20210077050A KR102374891B1 KR 102374891 B1 KR102374891 B1 KR 102374891B1 KR 1020210077050 A KR1020210077050 A KR 1020210077050A KR 20210077050 A KR20210077050 A KR 20210077050A KR 102374891 B1 KR102374891 B1 KR 10237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unit
electrode
time
electroly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을환
Original Assignee
김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을환 filed Critical 김을환
Priority to KR102021007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농작물의 선도 유지, 병해 방제 및 친환경 농업의 실현을 위하여 농작물에 살포될 농업용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농작물에의 살균수의 살포 주기 및 일일 살포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가동 시간에 맞춰 가동됨에 따라 물에 염화물을 용해한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및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PPARATUS FOR GENERATING STERILIZED WATER}
본 발명은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아염소산은 살균, 소독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락스의 주성분인 차아염소산나트륨보다 유효 염소 대비 살균 효과가 매우 높다.
또한 차아염소산은 체내 호중구에서 만들어내는 살균 물질로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인정한 물질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차아염소산의 특징들에 따라 차아염소산를 포함하는 살균수를 살균제로써 농작물 재배에 활용할 경우 농작물의 품질 및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살균제로서의 효용성이 높은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갖는 살균수를 효과적으로 생성 가능한 전극, 장치 및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33117호 (2017.03.24. 공개)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갖는 살균수를 효과적으로 생성 가능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농작물의 선도 유지, 병해 방제 및 친환경 농업의 실현을 위하여 농작물에 살포될 농업용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농작물에의 살균수의 살포 주기 및 일일 살포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가동 시간에 맞춰 가동됨에 따라 물에 염화물을 용해한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및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가 제공된다.
살포 주기는, 최초 5일간 살균수를 연속 살포한 이후 2 내지 3일 간격이고, 일일 살포 시점은, 일출 2시간 후 또는 일몰 1 내지 2 시간 전일 수 있다.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지되도록 피드백 하기 위하여,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전해질의 전기 분해 시 한 쌍의 전극에의 스케일 발생을 방지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전극의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는,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제2 전극이 음극인 상태로 제1 시간 동안 가동하는 단계, 제1 시간 이후에 제2 시간 동안 휴지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이후에 제1 전극이 음극이고 제2 전극이 양극인 상태로 제1 시간에 대응되는 제3 시간 동안 재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에서는, 전기 분해되는 전해질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1 시간 및 제3 시간을 감소시키고 제2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에 전해질을 제2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극에 생성된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질의 순환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극에 생성된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조 내의 전해질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극에의 스케일 발생을 방지 가능하도록,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조 내의 전해질에 마이크로 버블 또는 나노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갖는 살균수를 효과적으로 생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일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용 전극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용 전극(10), 살균수 생성 장치(100) 및 살균수 생성 장치(100) 제어 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에 같이, 농작물의 선도 유지, 병해 방제 및 친환경 농업의 실현을 위하여 농작물에 살포될 농업용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농작물에의 살균수의 살포 주기 및 일일 살포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10), 가동 시간에 맞춰 가동됨에 따라 물에 염화물을 용해한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S120), 및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갖는 농업용 살균수를 효과적으로 생성 가능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농작물의 선도 유지, 병해 방제 및 친환경 농업의 실현을 위하여 농작물에 살포될 농업용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살균수의 염소 살균 효과를 통해 농작물의 영양소 파괴 없이 그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의 강력한 살균력을 통해 농작물 내의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미생물을 박멸하여 농작물의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 살균제 내지 소독제와 달리 농작물 내지 토지 내에서 즉시 분해되므로, 농작물 내 농축 위험이 없어 수확 직전까지 살포가 가능하고, 토양 내지 지하수 유입에 따른 환경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110에서는 농작물에의 살균수의 살포 주기 및 일일 살포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가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포 주기는, 최초 5일간 살균수를 연속 살포한 이후 2 내지 3일 간격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살균수를 최초 사용 시에 연속 5일동안 야외 농경지 내지 비닐 하우스 내에서 살포하고, 예방적 차원으로 2 내지 3일의 간격으로 살포하여 농작물의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일일 살포 시점은, 일출 2시간 후 또는 일몰 1 내지 2 시간 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살균수에 의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살균수의 살포는 12 내지 14시의 한낮 시간대을 피하고 가급적 늦은 오후에 시행함으로써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120에서는 가동 시간에 맞춰 가동됨에 따라 물에 염화물을 용해한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전술한 살포 주기 및 일일 살포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설정된 가동 시간이 도래하여 가동됨에 따라 전해질을 전해질이 공급되는 공급조에서 전기 분해가 일어나는 전해조로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염화물은 염소와 그 밖의 원소 또는 원자단의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염화나트륨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120는, 가동 시간에 맞춰 물에 기설정된 양의 염화물을 자동 투입하고 용해시켜 전해질을 마련하는 단계, 및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을 마련하는 단계는, 가동 시간을 기준으로, 전해질의 양에 따라 염화물이 물에 용해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해 설정된 시간 전부터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전해질이 정체되어 전기 분해됨에 따라 전극이 배치되는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농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분해 성능이 급감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단계130에서는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음극과 양극의 한 쌍의 전극에서 일어나는 전기 분해 화학 반응을 식으로 표현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음극: 2H2O → 2H2 + 4OH-
양극: 2H2O → O2 + 4H+
Cl2 + H2O → HOCl + HCl
OH- + HOCl → OCl- + H2O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S130) 이후에,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S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전해질은 전기 분해가 이루어짐에 따라 그 온도, pH 및 농도가 점차 변화되어 전기 분해 성능이 감소되는 바,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측정값을 전기 분해 성능 유지를 위한 판단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단계140 이후에, 측정된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지되도록 피드백하는 단계(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된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도록 피드백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전기 분해 실험 내지 통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최적의 전기 분해 성능이 얻어지는 수치 내지 범위일 수 있다.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S130) 이후에, 전해질의 전기 분해 시 한 쌍의 전극에의 스케일 발생을 방지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전극의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S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용매인 물 중에는 염화물의 양이온, 구체적으로 나트륨 외에 칼슘,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은 음극에서 발생하는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금속수산화물, 즉 스케일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스케일은 음극의 전극 표면에 부착 내지 석출되어 전기 분해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분해를 위한 한 쌍의 전극의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로 변경함으로써 고정된 극성으로 전기 분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어느 한 전극에 스케일이 누적적으로 부착되어 전기 분해 성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전극의 극성을 교차 변경함에 따라 양이온들이 전극으로부터 탈락 내지 어느 한 전극에서 다른 한 전극으로 이동하므로, 스케일의 생성 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S150)는, 제1 전극이 양극이고 제2 전극이 음극인 상태로 제1 시간 동안 가동하는 단계(S152), 제1 시간 이후에 제2 시간 동안 휴지하는 단계(S154), 및 제2 시간 이후에 제1 전극이 음극이고 제2 전극이 양극인 상태로 제1 시간에 대응되는 제3 시간 동안 재가동하는 단계(S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 제2 시간 및 제3 시간은 기설정된 것으로 상기의 설정 시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3 시간은 제1 시간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제1 시간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 시간으로부터 제2 시간을 거쳐 제3 시간으로 이어지는 가동, 휴지, 재가동이 한 사이클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S150)에서는, 전기 분해되는 전해질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1 시간 및 제3 시간을 감소시키고 제2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 분해는 전기 분해되는 전해질의 양이 증가될수록 단위 전해질 양 당 소요 시간이 감소되는 바, 이 경우 전기 분해되는 전해질 양이 증가됨에 따라 스케일 생성 속도 역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및 재가동되는 제1 시간 및 제3 시간을 감소시키고 휴지되는 제2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기 분해 성능은 유지하되 스케일 생성 속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시간에 전해질을 제2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S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극에 생성된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질의 순환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S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휴지되는 제2 시간 또는 재가동되는 제3 시간 초반의 설정 시간 동안에 전해질의 순환 속도를 순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전극에 모인 양이온 내지 전극에 생성된 스케일을 전극으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에 생성된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조 내의 전해질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단계(S18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선회류는 전해조 내에서 전해질에 발생되는 강한 일방향성 회전류로서, 선회류의 회전력으로써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 동안의 단시간 동안에 전극에 모인 양이온 내지 전극에 생성된 스케일을 전극으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다.
전극에의 스케일 발생을 방지 가능하도록,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조 내의 전해질에 마이크로 버블 또는 나노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S1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이크로 버블 내지 나노 버블은 표면이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어, 마이크로 버블 내지 나노 버블이 전술한 스케일을 형성하는 금속성 양이온을 전기적으로 끌어들여 흡착 및 제거함으로써, 스케일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스케일의 발생 방지, 억제, 및 탈락 촉진을 위한 단계들(S150, S160, S170, S180, S190)은 각각 일 동작 모드를 이룰 수 있고, 이러한 동작 모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살균수 생성 장치에 적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계들(S150, S160, S170, S180, S190)은 제2 시간 또는 제3 시간 동안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살균수 생성용 전극(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과 연결되는 제1 전원 연결부(121), 제1 전원 연결부(121)와 연결되고, 양측 개방되는 제1 내부 공간(124)을 구비하는 제1 주전극부(122), 및 제1 내부 공간(124)에 배치되어 제1 주전극부(122)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제1 통과홀(130)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가지 전극부(123)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용 전극(10)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제로서의 효용성이 높은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보다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용 전극(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전원 연결부(121)는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원 연결부(121)는 후술할 제1 전원 연결부(121)에 연결되는 제1 주전극부(122) 및 제1 주전극부(122)에 연결되는 제1 가지 전극부(12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연결부(121)는 제1 주전극부(122) 대비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를 위한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121)의 단부 측에는 연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전원 연결부(121)는 연결홀을 통해 전원과 연결된 전선과 결합되어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주전극부(122)는 제1 전원 연결부(121)와 연결되고, 양측 개방되는 제1 내부 공간(12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주전극부(122)는 후술할 제1 가지 전극부(123)가 배치되기 위한 제1 내부 공간(124)을 제공하고, 또한 제1 전원 연결부(121)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제1 가지 전극부(123)로 전달하기 위한 주된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제1 주전극부(122) 역시 전기 분해 시 전해질 내 이온과 전자를 교환하는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주전극부(122)는 제1 내부 공간(124)을 중심으로 한 프레임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지 전극부(123)는 제1 내부 공간(124)에 배치되어 제1 주전극부(122)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제1 통과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
전해질의 분해 시에 전원의 음극 및 양극 각각에 연결되어 전해질과 접촉되는 최소 2 이상의 전극판이 필요하고, 이 때 두 전극판은 서로 개방되며, 해당 개방된 공간에는 전해질이 위치하게 된다.
전기 분해 장치의 사이즈 감소 내지 단위 부피 당 다수의 전극판 배치 등을 위해 전극판 간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경우, 양 전극판 사이에 위치한 전해질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기 분해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부(123)가 형성한 제1 통과홀(130)을 통해 전해질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 분해의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통과홀(130)은 제1 내부 공간(124)에 복수의 제1 가지 전극부(123)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제1 가지 전극부(123)의 각 사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과 연결되는 제2 전원 연결부(141), 제2 전원 연결부(141)와 연결되고, 양측 개방되는 제2 내부 공간(144)을 구비하는 제2 주전극부(142), 및 제2 내부 공간(144)에 배치되어 제2 주전극부(142)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제2 통과홀(132)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가지 전극부(1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 제2 전원 연결부(141), 제2 주전극부(142) 및 복수의 제2 가지 전극부(143)는 각각 제1 전원 연결부(121), 제1 주전극부(122) 및 복수의 제1 가지 전극부(123)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내부 공간(124) 및 제2 내부 공간(144)은, 제1 가지 전극부(123) 및 제2 가지 전극부(143)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영역(150), 및 제1 가지 전극부(123) 및 제2 가지 전극부(143)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영역(16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지 전극부(123) 내지 제2 가지 전극부(143)가 제1 영역(150)과 제2 영역(160)에서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통과홀(130) 내지 제2 통과홀(132)의 관통 형상이 제1 영역(150)과 제2 영역(160)에서 상이해짐에 따라 전해질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전해질의 순환 속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가지 전극부(123) 및 제2 가지 전극부(143)는, 제1 내부 공간(124)의 제1 영역(150) 및 제2 내부 공간(144)의 제2 영역(160)이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메쉬 구조(17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구조(170)는 제1 통과홀(130) 내지 제2 통과홀(132)의 관통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1 가지 전극부(123) 및 제2 가지 전극부(143)가 만들어내는 형상으로서, 해당 메쉬 구조(170)를 통해 한 쌍의 살균수 생성용 전극(10) 사이에 위치된 전해질의 순환 속도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50)과 제2 영역(160)은 일 특정의 대칭 중심점 내지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제1 내부 공간(124) 내지 제2 내부 공간(1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지 전극부(123) 및 제2 가지 전극부(143)는 제1 내부 공간(124)의 제1 영역(150) 및 제2 내부 공간(144)의 제2 영역(160)이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한 쌍의 메쉬 구조(17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균수 생성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통과홀(130)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23)을 구비하는 제1 전극 유닛(120), 제1 전극 유닛(120)과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가지 전극(123)과 메쉬 구조(170)를 형성하도록, 제1 가지 전극(123)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43)을 구비하는 제2 전극 유닛(140), 및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하도록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과 결합되고,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전해질을 유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 유닛(180)을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10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제로서의 효용성이 높은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보다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전극 유닛(120)은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통과홀(130)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23)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 유닛(120)은 전원과 연결되는 제1 전원 연결부(121), 제1 전원 연결부(121)와 연결되고, 양측 개방되는 제1 내부 공간(124)을 구비하는 제1 주전극부(122), 및 제1 내부 공간(124)에 배치되어 제1 주전극부(122)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제1 통과홀(130)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 유닛(12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은 전술한 살균수 생성용 전극(10)의 그것을 따를 수 있다.
제2 전극 유닛(140)은 제1 전극 유닛(120)과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가지 전극(123)과 메쉬 구조(170)를 형성하도록, 제1 가지 전극(123)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4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 구조(170)를 통해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사이에 위치된 전해질의 순환 속도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제2 전극 유닛(140)은 전원과 연결되는 제2 전원 연결부(141), 제2 전원 연결부(141)와 연결되고, 양측 개방되는 제2 내부 공간(144)을 구비하는 제2 주전극부(142), 및 제2 내부 공간(144)에 배치되어 제2 주전극부(142)와 연결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제2 통과홀(132)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전원 연결부(141), 제2 주전극부(142) 및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43)은 각각 제1 전원 연결부(121), 제1 주전극부(122) 및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23)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유닛(120)과 제2 전극 유닛(140)은 물(H2O)에 정제염(NaCl, 0.06~0.09%)을 용해시킨 전해질에 침수되어 차아염소산(HOCl) 및 그 이온(OCl-)을 포함하는 잔류염소가 생성되는 음극과 양극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 유닛(120) 및/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은 이리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리듐(Ir)은 강도, 내산성, 내부식성 등이 높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리듐으로 상기 제1 전극 유닛(120) 및/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을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 유닛(120) 및/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의 극판으로서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 유닛(120) 및/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은 1T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도 및 분해량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제1 전극 유닛(120)은 양측 개방되어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23)을 배치 가능한 제1 내부 공간(124)을 구비하고, 제2 전극 유닛(140)은 양측 개방되어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43)을 배치 가능한 제2 내부 공간(14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1 내부 공간(124) 및 제2 내부 공간(144)은, 제1 가지 전극(123) 및 제2 가지 전극(143)이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영역(150), 및 제1 가지 전극(123) 및 제2 가지 전극(143)이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영역(16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과홀(130) 내지 제2 통과홀(132)의 관통 형상이 제1 영역(150)과 제2 영역(160)에서 서로 상이해짐에 따라 제1 전극 유닛(120) 내지 제2 전극 유닛(140) 내외에서의 전해질의 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해질의 순환 속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123) 및 제2 가지 전극(143)은, 제1 내부 공간(124)의 제1 영역(150) 및 제2 내부 공간(144)의 제2 영역(160)이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메쉬 구조(17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구조(170)는 제1 통과홀(130) 내지 제2 통과홀(132)의 관통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제1 가지 전극(123) 및 제2 가지 전극(143)이 이루는 형상으로서, 해당 메쉬 구조(170)를 통해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사이에 위치된 전해질의 순환 속도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영역(160)과 제1 영역(150)은 일 특정 대칭 중심점 내지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제1 내부 공간(124) 내지 제2 내부 공간(14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지 전극(123) 및 제2 가지 전극(143)은 제1 내부 공간(124)의 제1 영역(150) 및 제2 내부 공간(144)의 제2 영역(160)이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한 쌍의 메쉬 구조(170)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유닛(180)은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하도록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과 결합되고,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전해질을 유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 유닛(180)은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과의 결합을 통해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전해질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180)은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는 상기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과 적층 결합되어 상기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할 수 있다.
단층 결합 구조의 경우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약한 결합면에서 구성이 쉽게 분리되는 것과 대비하여, 위와 같은 적층 결합 구조는 각 결합면에서의 결합력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보다 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81)의 일면에는,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을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홈(18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은 삽입홈(182a)에 삽입되어 두 지지 플레이트(181)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지지 유닛(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81)의 타면에는 삽입홈(182a)에 대응되는 삽입 돌기(182b)가 돌출되고, 삽입홈(182a)에는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중 하나와 삽입 돌기(182b)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삽입홈(182a)에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이 삽입된 후 다시 삽입 돌기(182b)가 삽입됨에 따라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은 삽입홈(182a)과 삽입 돌기(182b) 사이에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삽입홈(182a) 및 삽입 돌기(182b)는 각각 후술할 초음파 융착 결합력 향상을 위한 융착홈(184a) 및 융착 돌기(184b)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81)는, 전해질을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의 형상 및 결합 위치에 대응되게 관통되는 유입홀(18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181)에 유입홀(183)이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가 적층 결합되어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함과 동시에 유입홀(183)을 통해 외부의 전해질이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는,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85), 및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18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85)는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간의 이격된 공간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내지 세퍼레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187)는 제1 지지 플레이트(185)로부터 적층되면서 상호 결합되어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나의 지지 유닛(180)으로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85)의 유입홀(183)의 내주면에는, 전해질을 유입홀(183)로 유입시켜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사이에 위치 가능한 보조 유입홀(18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185)의 경우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사이에 개재되는 바 제1 지지 플레이트(185)에 구비된 유입홀(183)은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85)의 유입홀(183)의 내주면에 보조 유입홀(186)이 형성됨으로써 제1 지지 플레이트(185)의 유입홀(183)은 제2 지지 플레이트(187)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전해질을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플레이트(185)는 복수의 분리된 구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187)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유입홀(183)을 통해 제1 전극 유닛(120) 또는 제2 전극 유닛(140)으로 유입되는 전해질을 분산 가능하도록, 유입홀(183)을 가로지르는 분산부(18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는 서로 초음파 융착 결합되고, 지지 플레이트(181)의 일면에는, 초음파 융착 결합 시 융착 면적을 넓히기 위해 융착홈(184a)이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181)의 타면에는, 융착홈(184a)에 대응되는 융착 돌기(184b)가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융착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접합시키는 기술로서, 초음파를 통해 물체를 높은 진동수로 진동시켜 순간적으로 고온 진동 마찰열을 발생시킴으로써 해당 열을 이용해 접합부를 결합시키는 방법이다.
초음파 융착을 통해 강력한 분자 결합에 따른 결합 품질 향상, 짧은 결합 시간에 따른 생산 효율 향상, 높은 표면 마감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가 상술한 바에 따른 초음파 융착 결합되되, 지지 플레이트(181)에 형성되는 융착홈(184a)과 융착 돌기(184b)를 통해 융착 면적을 높여 초음파 융착에 의한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초음파 융착의 결합 대상물로 열가소성 수지가 주로 이용되는데,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181)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의 전극 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가능하도록, 전극 유닛과 적층 결합된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1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유닛(19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전극 유닛(120) 및 제2 전극 유닛(140)을 지지하면서 적층 결합된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를 내부 공간으로 삽입시켜 지지 유닛(18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181)의 적층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 유닛(190)의 단면에는 전선홀이 형성될 수 있고, 해당 전선홀을 통해 전선을 통과시켜 전선을 상술한 제1 전원 연결부(121) 내지 제2 전원 연결부(141)와 결합시킴으로써 제1 전극 유닛(120) 내지 제2 전극 유닛(140)을 전원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살균수 생성용 전극(10) 및 이를 구비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갖는 살균수에 대한 수질검사 데이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수질검사 성적서(1)
1) 검사 기관: KOTITI 시험연구원
2) 접수 번호: 제 82203006100025-001,002 호
3) 시험 방법: 물에 총대장균군수(군수/100mL)를 풀고, 살균수 살포 전과 후의 시료를 채취하여 검사함
4) 검사 결과:
(1) 시료1 - 살균수 살포 전 총대장균군수 35,000,000,000마리 검출
(2) 시료2 - 살균수 살포 후 총대장균군수 0마리 검출
2. 수질검사 성적서(2)
1) 검사 기관: KOTITI 시험연구원
2) 접수 번호: 제 82203006100026-001,002 호
3) 시험 방법: 일반 수돗물 시료와 살균수 시료에 염소, 질소, 이온 검출 검사함
4) 검사 결과:
(1) 시료1 - 일반 수돗물: 유리잔류염소 불검출, 질산성질소 28.8mg/L, 염소이온 303.7mg/L
(2) 시료2 - 살균수: 유리잔류염소 49.80mg/L, 질산성질소 28.6mg/L, 염소이온 513.9mg/L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용 전극
100: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 장치
120: 제1 전극 유닛
121: 제1 전원 연결부
122: 제1 주전극부
123: 제1 가지 전극부/제1 가지 전극
124: 제1 내부 공간
130: 제1 통과홀/통과홀
132: 제2 통과홀
140: 제2 전극 유닛
141: 제2 전원 연결부
142: 제2 주전극부
143: 제2 가지 전극부/제2 가지 전극
144: 제2 내부 공간
150: 제1 영역
160: 제2 영역
170: 메쉬 구조
180: 지지 유닛
181: 지지 플레이트
182a: 삽입홈
182b: 삽입 돌기
183: 유입홀
184a: 융착홈
184b: 융착 돌기
185: 제1 지지 플레이트
186: 보조 유입홀
187: 제2 지지 플레이트
188: 분산부
190: 결합 유닛

Claims (10)

  1. 농작물의 선도 유지, 병해 방제 및 친환경 농업의 실현을 위하여 상기 농작물에 살포될 농업용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를 생성하는 장치는,
    전해질이 통과 가능한 통과홀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구비하는 제1 전극 유닛;
    상기 제1 전극 유닛과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가지 전극과 메쉬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가지 전극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구비하는 제2 전극 유닛; 및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으로 상기 전해질을 유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유닛은,
    양측 개방되어 상기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배치 가능한 제1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극 유닛은,
    양측 개방되어 상기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배치 가능한 제2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부 공간 및 제2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가지 전극 및 제2 가지 전극이 제1 배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가지 전극 및 제2 가지 전극이 상기 제1 배치 방향과 상이한 제2 배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 가지 전극 및 제2 가지 전극은,
    상기 제1 내부 공간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의 제2 영역이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메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호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과 적층 결합되어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전극 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가능하도록, 상기 전극 유닛과 적층 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의 적층 결합력을 향상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삽입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는,
    초음파에 의해 진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마찰열에 의해 상호 대향면이 열융착되어, 초음파 융착 결합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가 초음파 융착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과 함께 일체화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초음파 융착 결합 시 융착 면적을 넓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융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면에는,
    상기 융착홈에 대응되는 융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전해질을 상기 제1 전극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극 유닛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전극 유닛 또는 상기 제2 전극 유닛의 형상 및 결합 위치에 대응되게 관통되는 유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전극 유닛 또는 제2 전극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유입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 플레이트가 서로 초음파 융착 결합됨에 따라 일체화된 상기 지지 유닛의 측면을 통해 상기 전해질을 상기 유입홀로 유입시켜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제2 전극 유닛 사이에 위치 가능한 보조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농작물에의 상기 살균수의 살포 주기 및 일일 살포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가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 시간에 맞춰 가동됨에 따라 물에 염화물을 용해한 상기 전해질을 제1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해질의 전기 분해 시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상기 제2 전극 유닛에의 스케일 발생을 방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상기 제2 전극 유닛의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 유닛이 양극이고 상기 제2 전극 유닛이 음극인 상태로 제1 시간 동안 가동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 이후에 제2 시간 동안 휴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이후에 상기 제1 전극 유닛이 음극이고 상기 제2 전극 유닛이 양극인 상태로 상기 제1 시간에 대응되는 제3 시간 동안 재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에 상기 전해질을 제2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 주기는,
    최초 5일간 상기 살균수를 연속 살포한 이후 2 내지 3일 간격이고,
    상기 일일 살포 시점은,
    일출 2시간 후 또는 일몰 1 내지 2 시간 전인,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염소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지되도록 피드백 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질의 온도, pH 및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단계에서는,
    전기 분해되는 상기 전해질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1 시간 및 제3 시간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시간을 증가시키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상기 제2 전극 유닛에 생성된 상기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시간 또는 상기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상기 전해질의 순환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상기 제2 전극 유닛에 생성된 상기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시간 또는 상기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조 내의 상기 전해질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유닛 및 상기 제2 전극 유닛에의 상기 스케일 발생을 방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시간 또는 상기 제3 시간의 초반 설정 시간에 전해조 내의 상기 전해질에 마이크로 버블 또는 나노 버블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KR1020210077050A 2021-06-14 2021-06-14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KR10237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50A KR102374891B1 (ko) 2021-06-14 2021-06-14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050A KR102374891B1 (ko) 2021-06-14 2021-06-14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891B1 true KR102374891B1 (ko) 2022-03-15

Family

ID=8081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050A KR102374891B1 (ko) 2021-06-14 2021-06-14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8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272A (ko) * 2009-02-20 2010-08-30 한국돌기 주식회사 인체에 무해한 의료 기기의 살균이나 곡물 야채의 살균 세척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액의 제조 방법
KR101145864B1 (ko) * 2011-11-02 2012-05-17 (주) 테크로스 산기관을 장착한 고효율 전기분해 반응조
JP2015150483A (ja) * 2014-02-13 2015-08-24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海水電解システム及び電解液注入方法
KR20170033117A (ko) 2015-09-16 2017-03-24 (주) 덴토존 바이오필름 검출부를 구비한 수직구조 치과용 전기분해 살균수 생성 및 수관소독 세척을 위한 장치.
KR101944884B1 (ko) * 2017-07-04 2019-02-07 주식회사 워터핀 전해 살균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272A (ko) * 2009-02-20 2010-08-30 한국돌기 주식회사 인체에 무해한 의료 기기의 살균이나 곡물 야채의 살균 세척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액의 제조 방법
KR101145864B1 (ko) * 2011-11-02 2012-05-17 (주) 테크로스 산기관을 장착한 고효율 전기분해 반응조
JP2015150483A (ja) * 2014-02-13 2015-08-24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海水電解システム及び電解液注入方法
KR20170033117A (ko) 2015-09-16 2017-03-24 (주) 덴토존 바이오필름 검출부를 구비한 수직구조 치과용 전기분해 살균수 생성 및 수관소독 세척을 위한 장치.
KR101944884B1 (ko) * 2017-07-04 2019-02-07 주식회사 워터핀 전해 살균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103B2 (ja) 電解水製造方法及び装置
JPH1043764A (ja) 水電気分解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て水を滅菌する方法
US2006016957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oxidative water to be employed for sterilization
JP2006322053A (ja) 水電気分解用電極
JP2005058848A5 (ja) 水の製造方法
US201402028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hlorine-containing compound
CN100500586C (zh) 一种电解法水处理装置
KR20160093650A (ko) 동심 전극 쌍들을 구비한 전해 셀
Isidro et al. How to avoid the formation of hazardous chlorates and perchlorates during electro-disinfection with diamond anodes?
JP3396853B2 (ja) 水の製造方法及び得られた水
KR102374891B1 (ko) 살균수 생성 장치 제어 방법
JP5282201B2 (ja) 電気分解水生成器
KR101706124B1 (ko) 전해질 및 용매 전기분해 장치 및 방법
JP3363248B2 (ja) 殺菌水、その製造法及び製造装置
KR102091477B1 (ko) 티타늄 재질 열교환관의 천공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KR101903387B1 (ko) 전기를 이용하는 장치
KR102352780B1 (ko)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 장치
JPH11128940A (ja) 水電気分解装置及び水電気分解方法
JPH11235590A (ja) イオン水生成器
KR102121254B1 (ko) 전기분해조 내에 구비된 티타늄 재질의 열교환관
US20150056303A1 (en) Electrolytic Magnetic Cell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Hypochlorous Acid and other Disinfectant Chlorine Oxidants
JP2896122B2 (ja) 電解生成殺菌水の製造方法
KR102120149B1 (ko) 전기분해조 내에 티타늄 재질의 냉각관을 구비한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JP2007252963A (ja) 電解水製造装置
CN105439254A (zh) 一种电解水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