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39B1 - 응축 속성이 있는 앵커 스크루 - Google Patents

응축 속성이 있는 앵커 스크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39B1
KR102374839B1 KR1020187025141A KR20187025141A KR102374839B1 KR 102374839 B1 KR102374839 B1 KR 102374839B1 KR 1020187025141 A KR1020187025141 A KR 1020187025141A KR 20187025141 A KR20187025141 A KR 20187025141A KR 102374839 B1 KR102374839 B1 KR 10237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helical
thread profile
tip
cond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988A (ko
Inventor
살라흐 후아이스
Original Assignee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filed Critical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0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2017/8655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with special features for locking in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owels (AREA)

Abstract

앵커는 홀 속으로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우수한 초기 안정성으로 그 안에 자기잠금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앵커는 공격적으로 나사산형이면서 셀프 태핑하는 첨단 단부를 가진다. 앵커의 중심 영역은 복수의 헬리컬 플루트들과 개재되어 있는 랜드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랜드부는 컨덴싱 에지를 지지한다. 컨덴싱 에지들은, 앵커가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되고 있는 동안 원주방향 스위핑 압축 변형을 주 재료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앵커의 관상 단부는 홀의 직경 둘레에서의 급성장을 완화시키는 코킹 부재를 포함한다. 헬리컬 그루브는 컨덴싱 에지들과 플루트들을 가로지른다. 헬리컬 그루브는 갇힌 주 재료를 압착하면서 변위시키는 기능을 하는 감소하는 깊이와 가변 피치를 가지고, 이로써 안정성과 다른 장점을 강화할 수 있다. 뼈 적용처에서, 그루브는 치유를 강화하면서 촉진하는 재료 조각을 담아낸다.

Description

응축 속성이 있는 앵커 스크루
본 발명은 대체로 주 재료에 고착상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앵커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가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됨에 따라 주 재료에 조밀상태를 만들어내도록 설계되어 있는 앵커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하게는 뼈와 같은 살아있는 유기 재료에 배치되는 이러한 앵커에 관한 것이다.
스크루 인 앵커(screw-in anchor)는 여러 가지 적용처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목재나 콘크리트 또는 금속이나 폴리머가 주 재료인 산업용 세팅 또는 건설용 세팅에서, 앵커는 벽, 또는 다른 요소를 부착하기 위해서 연결수단의 고착 지점을 제공하는 다른 부재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루 인 앵커는, 여러 가지 다른 사용처들 중에서 퀸쳐 네일(Kuntscher nail)과 인터락킹 네일(interlocking nail)과 같은 금속 플레이트, 핀, 막대(rod), 키르쉬너선(Kirschner wire) 및 골수내 장치(intramedullary device)를 위한 연결수단의 고착 지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뼈가 주 재료인 의료용 적용처에서 널리 사용된다.
치아 앵커는 뼈가 주 재료인 스크루 인 앵커의 다른 형태이다. 골내막 임플란트 또는 고착물로도 알려진 치아 앵커는 크라운, 치아의 브리지, 틀니, 안면 보철물을 지탱하거나 치열교정용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사용되는 수술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앵커는 나사산형이면서 테이퍼형인 임플란트로서 설계되어 있는데, 이는 앵커의 틈새나 앵커 둘레의 틈새 속으로 주변의 뼈가 성장함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 완전한 안정성이 도달될 수 있도록 세팅 후 즉각적으로 장착되지 않는다. 앵커가 정상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안정성에 도달할 때까지 뼈 안에서 자라는데는 수개월이 필요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적용처들에서, 앵커 안정성은 핵심적인 고려사항인데, 이는 앵커가 의도된 부하를 지탱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유기 조직이 주 재료가 아닌 경우, 최대 앵커 안정성은 보통 배치 후 즉각적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앵커는 초기 안정성을 최대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뼈나 목재와 같이 살아있는 유기 재료가 주 재료인 적용처들에서, 완전한 앵커 안정성에 도달하는 것은 배치 후 치유와 내적 성장을 위하여 시간의 경과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 빠를수록 더 양호하게 앵커는 충분한 안정성에 도달할 수 있다.
초기 배치시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앵커는 매우 중요시된다. 종래 기술이 앵커 안정성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여러 가지 매우 상이한 설계들과 컨셉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초기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개선의 요구는 남아있다. 특히, 앵커 안정성은 개선이 즉시 받아들여지는 기술 분야에서 오래동안 느껴져왔던 요구사항으로 남아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 재료 속으로 나사결합되는 타입의 앵커에 관한 것이다. 주 재료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앵커는 첨단 단부와 관상 단부 및 중심 영역을 가지는 바디를 구비한다. 중심 영역은 첨단 단부(apical end)와 관상 단부(coronal end)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첨단 단부는, 바디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운동됨에 따라 바디를 홀(hole) 속으로 더 깊게 점진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하여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진다. 중심 영역은 개재되어 있는 랜드부들이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루트(flute)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루트는 깊이를 가진다. 각각의 랜드부는, 앵커가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되고 있는 동안 압밀 동작(densifying action)으로 원주방향 스위핑 압축 변형을 주 재료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덴싱 에지(condensing edge)를 형성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그루브는 중심 영역을 따라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각의 컨덴싱 에지를 적어도 한번은 가로지른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페디클 스크루(pedicle screw)는 첨단 단부와 관상 단부를 가지는 바디를 구비한다. 바디의 중심 영역은 첨단 단부와 관상 단부 사이에 뻗어 있다. 첨단 단부는, 바디가 제 1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운동됨에 따라 바디를 절골 속으로 더 깊게 점진적으로 전진시키기 위하여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진다. 중심 영역은 개재되어 있는 랜드부들이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루트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플루트는 깊이를 가진다. 각각의 랜드부는, 페디클 스크루가 절골 속으로 나사결합되고 있는 동안 압밀 동작으로 원주방향 스위핑 압축 변형을 절골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덴싱 에지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그루브는 중심 영역을 따라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적어도 한번은 각각의 컨덴싱 에지를 가로지른다.
본 발명은 또한 앵커링을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앵커가 적소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됨에 따라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과 안쪽 헬리컬 그루브 사이에 갇힌 주 재료가 점진적으로 압착되고 조작된다. 이 압착과 변위는 주 재료를 앵커에 접촉하도록 압밀하고, 이는 주 재료와 앵커 사이에 일차적인 안정성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주 재료가 뼈나 목재 같은 살아있는 유기질인 경우에는, 이 점진적인 압착 및 변위는 신속하면서도 새로운 성장 형성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과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다음에 오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관련하여 생각해보면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요추 수술 절차가 나타나 있는 단편적인 사시도이고, 여기에서는 앵커가 페디클 스크루의 형태로 채용되어 있다.
도 2는 대체로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페디클 스크루들이 통상적으로 척추골의 페디클들을 통해 척추체 속에 어떻게 배치되는지가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버(bur)로도 지칭되는 툴을 사용하여 예비 홀 형성 절차가 나타나 있는 단순화된 단면도이고, 고려되어 있는 적용처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 절차는 생체내 뼈로 이루어진 주 재료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와 같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일련의 버들을 사용하는 홀을 지나는 과장된 단면도인데, 홀 형성 공정의 각각의 단계로 연삭, 조밀화 및 자가 이식을 겪는 주변의 주 재료가 있는 구역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버의 첨단 단부가 팽창의 다양한 단계들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5는 도 3에서와 같은 버의 첨단 단부의 사시도로서, 주 재료의 입자들이 홀의 주변의 벽들 속으로의 복귀를 위하여 경로형성되어 있는 첨단 단부의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3에서와 같은 도면이지만, 유체 역학적 효과 때문에 홀의 내측 측벽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를 초래하는 다량의 외부 관류(irrigation)와 조합하여 홀의 내측 측벽과 접촉상태가 되도록 아래로 눌려 있는 버가 나타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큰 직경 앵커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대체로 도 7의 라인 8-8을 따라 절단된 앵커의 중심 영역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와 같은 측면도이지만, 비교를 위하여 약간 더 작은 크기의 앵커가 나타나 있다.
도 10은 대체로 도 9의 라인 10-10을 따라 절단된 앵커의 중심 영역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그 상이한 구간들을 확인하도록 명명되어 있는 도 9의 더 작은 크기의 앵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이한 구간들을 확인하도록 명명되어 있는 도 7의 더 큰 크기의 앵커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정한 일반적인 속성을 기술하기 위해서 구성 라인들이 추가되어 있는 도 7에서와 같은 앵커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앵커의 싱글 컨덴싱 에지가 홀의 내측 표면을 가로질러 와이핑( wipe 또는 wiping; 물체의 표면을 휩쓸듯 지나가는 동작 등을 의미하며, 이는 명세서 전체로 동일함)함으로써 바깥쪽을 향하여 변위하면서 주변의 주 재료에 잔류 변형을 유도하는, 앵커의 싱글 컨덴싱 에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생체내 뼈가 주 재료인 적용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변의 주 재료가 탄력적인 응답, 및 심지어 내적 성장의 초기 단계들을 보이도록 일정 기간의 시간이 지난 후의 앵커의 싱글 컨덴싱 에지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6은 주 재료의 홀 내부에 있는 앵커의 매립된 부분이 나타나 있는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g는 도 16에 있는 각각의 위치들(16a, 16b, 16c, 16d, 16e, 16f 및 16g)에서의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과 헬리컬 그루브 안쪽에서 절단된 주 재료의 단면도들로서, 화살표들은 압력을 나타낸다.
도 17은 대체 앵커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적용처들을 위하여 주 재료 속으로 나사결합되는 타입의 앵커에 관한 것이다. 앵커는 그 속에서 최적 크기의 홀이 주 재료 안에 우선 준비되어 있는 설치물들에 적합하지만, 셀프 태핑 적용처들도 가능하다. 나아가, 앵커는 아마도 주 재료가 일부 탄성 특성을 가지는 적용처들에 가장 적합하고, 심지어 어느 정도의 시간 종속적 변형(time-dependent strain)을 보이는 점탄성 특성을 가지는 주 재료에 더욱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주 재료는 뼈, 목재, 세포 성분(cellular composition), 발포 금속(foam metal), 비결정형 폴리머, 반결정형 폴리머, 바이오폴리머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바람직한 한가지 주 재료는 생체내 뼈이고, 여기에서 앵커는 임플란트 또는 다른 수술 장치를 위하여 단단한 기반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에 오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일정한 수술/정형외과 적용처들을 참조하는 것이 빈번하더라도, 앵커가 다양한 산업용 세팅 및 다른 비수술 세팅에서 크게 효과발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에는 예시적인 정형외과 적용처가 척추 안정화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척추 유합(spinal fusion)으로도 알려진 척추 안정화는 가벼운 요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종 수행되는 침습형의 수술이다. 척추 유합은 그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동작을 제거하도록 척추에 있는 2개 이상의 척추골을 영구적으로 연결한다. 여러 가지 경우들에서, 의사는 척추골이 하나의 단단한 유닛 속에서 치유될 수 있도록 척추를 붙잡는데 도움을 주는 플레이트, 앵커(이러한 맥락에서 페디클 스크루로 알려짐) 및 막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들은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예시들을 설명하는데, 도 2의 단면도에는 2개의 페디클 스크루가 페디클들의 협부들을 척추체 속으로 아래쪽으로 파고드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삽입 깊이에서 척추관뿐만 아니라 척추체 피층을 파고드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주의가 취해진다. 이상적으로는, 2개의 페디클 스크루가 척추체와 페디클의 피층 내부에 완전히 머물러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페디클 고착 시스템은 인기있는 기법으로 급부상했지만, 유합 실패의 경우들이 만족스럽지 못할 정도로 빈번하다. 잘 기록되어 있는 한가지 실패 유형은 페디클 스크루의 불안정성에 기인한다. 상당한 힘이 비교적 부드러운 뼈에 있는 페디클 스크루 고착 지점들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뼈-금속 접합지점에서는 실패의 위험이 상승된다.
페디클 스크루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나사산형 앵커는 종종 미리 준비된 홀 속으로 삽입된다. 이는 특히 뼈가 주 재료인 경우에 그러하지만, 여러 가지 다른 타입의 주 재료에서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이다. 뼈에 형성된 홀은 때때로 절골로 지칭된다. 주 재료 성분과 무관하게, 홀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기법은 홀의 내주를 형성해내는 측면 벽들의 물리적인 특성이나 속성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 환언하자면, 홀이 형성되는 방식은 앵커 대 주 접합부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위스트 드릴을 사용하는 표준 드릴가공 기법은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 주 재료를 커팅하고 굴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 홀의 내부 측면 벽들은 밀도, 잔류 변형 등의 관점에서 전체적인 주변의 주 재료와 매우 유사한 성분을 보유할 수 있다. 홀 형성의 전체적인 상이한 예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회전식 압밀, 회전식 응축 및 (뼈 적용처들에서의) 골압밀화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 이러한 후자의 기법은 측면 벽들 속에 나중에 생성된 적은 양의 입자를 자가 이식하는 동안의 파일럿 홀(pilot hole)의 팽창을 특징으로 해서, 주 재료가 거의 제거되지 않거나 제거되지 않는다. 이러한 기법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자 모두 양도된 2016년 9월 17일에 공표된 WO 2015/138842, 및 2014년 5월 22일자로 공표된 WO 2014/077920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참조사항들의 전체적인 개시는 각각의 관할에서의 적용가능한 법률에 의해 용인되는 바와 같이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의 예시에서, 홀(20)은 도 11, 도 12 또는 도 17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스크루 인 앵커를 수용하기 위해서 준비중 주 재료(22)에 형성된다. 이러한 예시들은 뼈가 주 재료(22)인 적용처가 고려되어 있고, 이 경우에는 홀(20)이 절골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완전히 준비된 홀(20) 속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앵커는 적용처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특별히 선택된 알려진 직경과 알려진 스크루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앵커의 치수들은 홀(20)을 준비할 때 중요한 요인이다. 페디클 스크루의 경우, 예를 들자면, 앵커의 임플란트되는 길이는 약 42mm와 비슷할 수 있고, 직경은 약 4.5mm 내지 약 6.5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치아 임플란트의 경우, 다른 예를 들자면, 앵커의 임플란트되는 직경은 약 3mm 내지 9mm와 비슷할 수 있고, 길이는 약 5mm 내지 2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물론, 이것들은 예시적인 측정치들이고, 특정 적용처는 원하는 앵커 치수들을 지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완전히 형성된 홀(20)의 깊이는 홀(20) 속에 나중에 삽입될 앵커의 길이와 대략 같을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수술 맥락에서 계속하면, 홀 형성의 골압밀화 방법은 특정된 깊이까지 파일럿 홀을 드릴가공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특정된 깊이는 앵커의 임플란트되는 깊이와 같거나, 약간 더 크거나 약간 더 작다. 파일럿 홀의 직경은, 예컨대 약 3mm 내지 7mm의 범위 내의 앵커 직경에 맞게 1.5mm와 비슷할 수 있다. 특별히 설계된 버(24)는 고속 드릴 모터(미도시)에 결합된다. 버(24)는 헬리컬 플루트와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형 바디를 가진다. 각각의 블레이드는, 버(24)가 논-커팅 방향(non-cutting direction)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 커팅없이 홀의 안쪽 벽들을 가로질러 연마하는 작업 에지를 가진다. 연마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마찰과 열은 압력 및/또는 관류 유동을 변경시킴으로써 그때 그때 제어된다. 버(24)의 바디가 테이퍼형이기 때문에, 의사/오퍼레이터는 냉각을 허용하기 위해서 작업 에지들을 홀의 안쪽 표면들과의 접촉상태로부터 언제든지 들어올릴 수 있다. 이는 도 3에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되는 "바운스동작(bouncing)"의 형태로 행해질 수 있는데, 여기서는 의사/오퍼레이터가 진전상황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미세한 수정과 조정을 행하는 상태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가해진다. 아래쪽을 향하여 가해지는 힘이 증가함에 따라, 주 재료(22) 안에서의 응력은 항복 강도를 초과한다. 이러한 상황이 일어나는 경우, 작업 에지는 표면을 파낼 수 있어서, 버(24)가 완전한/최대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홀(20)의 직경을 점진적으로 확장시킨다. 버(24)는 제거되고, 더 큰 상이한 버(24)는 공정을 반복하는데 사용되고, 이로써 홀(20)의 팽창을 달성한다. 이러한 공정은 홀(20)의 직경이 의도된 앵커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때까지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도 4에는 주 재료(22)의 입자들을 동시에 조밀화하면서 자가 이식하는 버(24)의 능력이 도시되어 있다. 조밀화 양태는 홀(20)을 둘러싸는 영역 전체에 걸쳐 구성하는 분자들을 조밀화하도록 측면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주 재료의 가벼운 밀어내기(gentle push)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서, 회전식 조밀화 방법으로 형성되는 홀(20)은 점진적으로 커지는 각각의 버(24)로 적은 양의 주 입자들의 필요한 연삭을 강조하기 위해서 (약 2°-3°의 범위 내에 있는 더욱 통상적인 테이퍼와 비교하여) ~7°와 비슷한 과장된 테이퍼로 나타나 있다.
도 4에서, 표면(26)은 약간 더 작은 크기의 상이한 버(미도시)에 의해 앞선 팽창 작업과정에서 준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홀(20)의 내측 벽을 지시한다. 다음의 점점 커지는 크기의 버(24)의 선행 단부는 절골로 들어가는 찰나의 고체상태로 나타나 있고, 다시 홀(20) 속으로 대략 2/3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구성 라인(28)은 버의 선행 단부가 홀(20) 내부에서 정상으로부터 바닥쪽으로 움직일 때의 버의 선행 단부의 원통형 경로를 지시한다. 선행 단부의 경로(28)의 직경은 선행 단부가 지나다니는 거리에 걸쳐 일정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남아있다. 버(24)가 고체상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20)로 먼저 들어가는 경우, 이전 홀(26)의 내경은 선행 단부의 경로(28)의 직경과 대략 같다. 그러나, 이전 홀(26)의 내경은 더 작은 크기의 이전 버의 테이퍼형 형상(미도시) 때문에 홀(20)의 바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진다(즉 안쪽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현재의 버(24)가 홀(20)의 바닥을 향하여 더 깊게 전진됨에 따라, 더 많은 주 재료(22)는 그 전진하는 선행 단부를 위한 빈공간을 만들도록 연삭되고 그리고/또는 변위된다. 표면들(26, 28)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연삭 영역(30)은, 선행 단부가 홀(20)의 최대 깊이까지 길을 만들어감에 따라 선행 단부의 최외측 에지들에 의해 밀링가공되는 그리고/또는 변위되는 주 재료(22)를 나타낸다. 밀링가공된 또는 연삭된 영역(30)은 버(24)의 선행 단부뿐만 아니라 측면 벽들도 포함한다.
도 4의 맥락 안에 남아있는 것에 있어서, 표면(32)은, 그 선행 단부가 바닥에 도달하는 경우 버(24)의 팽창 작업과정에 의해 준비되는 바와 같이 홀(20)의 외측 벽을 지시한다. 표면(32)은 버(24)의 회전체의 실질적으로 완벽한 역상(negative)이다. 환언하자면, 표면(32)은 버(24)의 회전체의 테이퍼와 같은 테이퍼, 및 버의 스피닝 단부(spinning end)에 의해 만들어지는 바닥 압흔을 가질 수 있다. 표면들(28, 32)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압축 영역(34)은 버(24)의 회전체가 홀(20)의 최대 깊이까지 길을 만들어감에 따라 소성적으로 변위되는 주 재료(22)를 나타낸다. 영역(34) 내부의 모든 주 재료(22)는 커팅없이 주변의 구조 속으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조밀화되므로, 압밀화되는 재료가 있는 구역을 나타낸다.
선행 팁의 최외측 에지들이 주 재료(즉 연삭 영역(30))에 접촉하는 경우마다, 마멸은 주 재료(22)가 입자들로 연삭되게 한다. 주 입자들 중 일부는 주 입자들이 홀(20)의 벽들 속으로 조밀화되면서 와이핑되는 플루트들 위쪽에 분포되어 있다(도 5 참조). 주 입자들의 나머지는 홀(20)의 바닥으로 옮겨지고 나서, 바닥 속으로 눌리면서 와이핑된다. 결과적으로, 자가 이식 영역(36)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밀화 영역(34) 둘레에 발달되어 있다.
도 6에는, 회전식 조밀화 방법이 관류 유체의 연속적인 유동과 조합되는 경우 홀(20)의 측면 벽들에 대하여 가해지는 압력 경도(pressure gradient)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버의 플루트들의 역방향 트위스트는 관류 유체를 홀(20)의 바닥을 향하여 추진시킨다(펌핑한다). 초과 관류 유체는 버(24) 둘레에서 간격을 두어 홀(20) 밖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내어진다. 유압은 유체 동역학과 유체역학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 홀(20) 안쪽에 생성된다. 압력 경도는 홀(20)의 내부 표면을 준비하면서 사전조절하도록 측면 벽들에 대하여 밀어낸다. 이 압력 경도는 오퍼레이터가 회전하는 버(24)를 홀(20) 속으로 반복적으로 전진시키거나 늦춤에 따라 오퍼레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양에 직접 응답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관류 유체의 연속적인 공급과 조합하여 버(24)의 포지션을 조절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버(24)의 작업 에지들로 홀(20)의 벽들을 간헐적으로만 터치하도록 홀(20)의 내부에 대한 피스톤 같은 효과를 이용하여 고르게 분포되어 팽창하는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약동하는 유압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것들, 즉: 1) 홀(20)의 주 구조의 가벼운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2) 버(24)와 측면 벽들 사이의 실제 접촉에 앞서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오퍼레이터가 전략적으로 구별하는 것을 허용하되 버(24)를 통해 전송되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3) 주 인성(host toughness)을 증가시키면서 주 가소성(host plasticity)을 증가시키는 주 구조의 강화된 수화(hydration); 4) 주변의 주 재료(22)로의 주 단편들의 유압식으로 보조되는 주입(infusion); 5) 감소된 열 전달; 6) 유체역학적인 윤활성; 7) (예컨대 수술 적용처들의 경우의 환자에 의해) 주 재료에 의하거나 이를 통해 감지되는 외상의 감쇄(dampening) 또는 완충(cushioning); 등을 포함하여 사전조절하는 여러 가지 이점들을 가진다.
버(24)의 작업 에지들이 유체역학적인 레이어를 파괴하는 경우, 작업 에지들은 기술된 조밀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직접 접촉이 있는 영역에서, 압력 경사는, 차례로 주 재료를 소성적으로 변형시키되 작업 에지들을 통해 기계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의 결과로서 예리한 증가를 겪을 수 있다. 한편, 버(24) 아래에 갇힌 관류하는 유체는 사전조절하는 유체 정역학적 압력을 계속해서 가할 수 있다. 홀(20) 내부에서 버(24)의 회전체를 축방향으로 일격함으로써, 안쪽 유압은 강력하게 조절될 수 있다.
홀(20)이 준비되었다면, 적합한 앵커는 그 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6에서,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는 앵커는 대체로 38로 나타나 있다. 앵커(38)는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조밀화 방법을 이용하여 준비된 홀(20) 속에 삽입된다. 그러나, 앵커(38)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홀(20)들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앵커(38)를 위한 적합한 홀(20)은 종래의 드릴가공(drilling) 기법/굴착가공(excavating)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적용처들에서, 특히 앵커(38)가 도 17의 대체 예시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셀프 태핑 리드 나사산들과 들어맞게 되어 있는 경우라면, 준비된 홀이 심지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앵커(38)는 페디클 스크루와 같은 사용에 특히 적합하게 되어 있지만, 비척추 정형외과와 치과뿐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산업상 사용처들을 포함하는 다른 사용처들/적용처들은 일정한 비율로 일부 대체예의 가능성이 확실히 있다.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앵커(38)들은 비교 목적으로 도 7 내지 도 도 12에 나타나 있다. 더 큰 크기의 앵커(38)는 도 7과 도 8 및 도 12에 나타나 있다. 더 작은 크기의 앵커(38)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나 있다. 작은 앵커(38)와 큰 앵커(38) 모두는 전체적으로 약 45mm일 수 있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더 큰 크기의 앵커(38)는 약 6.5mm의 직경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더 작은 크기의 앵커(38)는 약 4.5mm의 직경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치수들은 평균적인 페디클 스크루 적용처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른 적용처들은 일정한 치수의 비율로 대체예를 매우 필요로 할 수 있다.
앵커(38)는 완만한 테이퍼형 외측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나 있다. 도 13에 있는 평행한 구성 라인(A)들은 테이퍼가 1°와 비슷하거나 그 미만으로 매우 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바디는 적어도 3개의 구별가능한 구간들, 즉 첨단 단부(40)와 관상 단부(42) 및 중심 영역(44)을 가진다. 첨단 단부(40)는 앵커의 선행 단부를 형성하고, 사용시 먼저 준비된 홀(20) 속으로 삽입된다. 바디의 중심 영역(44)은 첨단 단부(40)와 관상 단부(42) 사이에 뻗어 있다. 실제로는, 첨단 단부(40), 관상 단부(42) 및 중심 영역(44)의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길이들은 바디의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예시들에서, 첨단 단부(40)는 바디의 전체 길이의 대략 1/4만큼 뻗어 있고, 중심 영역(44)은 바디의 전체 길이의 대략 1/2만큼 뻗어 있고, 그리고 관상 단부(42)는 바디의 전체 길이의 대략 1/4만큼 뻗어 있다.
첨단 단부(40)는 공격적인 V자형의 원-스타트 디자인(one-start design)으로 일 예시에 나타나 있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이 형성되어 있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은 바디가 시계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운동됨에 따라 앵커(38)를 홀(20) 속으로 점진적으로 더 깊게 전진시키기 위하여 우현 트위스트(right-hand twist)를 가진다. 즉,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은 그 프로파일과 같이 홀(20)의 안쪽 벽들 속에서 동시에 커팅하면서 아래쪽을 향하는 경로를 만들어 내는 리드 스크루 부재를 형성한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은 대체로 이러한 용어들이 스크루 나사산의 맥락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첨단 피치(apical pitch)와 첨단 리드(apical lead)를 가진다. 즉, 리드는 앵커(38)의 완전한 1 회전(360°)으로 전진되는 길이방향 거리이다. 피치는 하나의 나사산의 마루로부터 다음번 마루까지의 거리이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이 싱글-스타트 나사산 형태로 설계된 경우라면, 첨단 리드와 첨단 피치는 동일할 것이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을 싱글-스타트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시된 예시들의 경우가 그러하다. 그러나,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은 이와 달리 투-스타트(두번 감긴) 나사산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앵커 바디 둘레에 감싸져 있는 나사산 프로파일(46)의 2개의 비교차형 리지(non-intersecting ridge)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마루(또는 크레스트; crest)들, 즉 최외측 헬리컬 리지들은 도 13에 있는 평행한 구성 라인(A)들과 비교하여 직경이 매우 약하게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앵커(38)의 근부(root) 또는 코어(core)는 포개진 구성 라인(B)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더욱 더 공격적으로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앵커(38)의 루트 또는 코어의 테이퍼형의 형상은, 앵커(38)가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됨에 따라 나사산 권취부들 사이에 갇히게 되는 주 재료(22)를 바깥쪽을 향하여 응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피치는 첨단 단부(40) 전체에 걸쳐 대체로 일정한 상태로 남아있지만, 나사산 형태들의 두께는 중심 영역(44)에 접근할수록 (선택적으로)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나사산 두께는 도 7과 도 13의 더 큰 직경 앵커(38) 예시들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나사산 두께는 도 9의 더 작은 직경 앵커(38)에서 대체로 일정한 상태로 보인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바로 그 선행 팁은 예리한 블레이드 같은 태핑 부재(48)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들에서, 태핑 부재(48)는 전진하는 나사산들이 주 재료(22) 속에서 효과적으로 커팅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의도되어 있는 그라인드의 형태를 취한다. 첨단 나사산 형태(46)가 역상 나사산 형태를 홀(20)의 안쪽 벽들 속에 태핑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서 다른 전략이 고려될 수 있다. 다른 대체 접근법은 도 17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첨단 단부(40)의 최정상부는 홀(20) 바닥에 도달시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다소 뭉뚝하거나 돔형일 수 있다.
중심 영역(44)은 바디 주위에 자리하고 있는 얕은 골(trough) 같은 복수의 플루트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큰 직경 앵커(38)는 12개의 플루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 8에 나타나 있다. 도 10의 작은 직경 앵커(38)는 10개의 플루트만을 가진다. 자연스럽게, 직경들이 크면 클 수록 더 많은 플루트에 잘 맞는다. 플루트들은 삽입 동안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바디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플루트들은 직선 축방향에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루트들은 좌현 방향의 롱-리드 헬리컬 트위스트를 가진다. 환언하자면, 플루트들은 바람직하게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나선형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 트위스트(counter-twist)를 가진다.
또한 도 14와 도 15의 크게 확대된 이미지들을 참조하면, 랜드부(50)는 2개의 인접한 플루트들 사이 마다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랜드부(50)는 선행 면(leading face)(52) 및 반대쪽의 후행 면(trailing face)(54)을 가진다. 즉, 앵커(38)가 홀(20) 속으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각각의 랜드부(50)의 선행 면(52)이 앞서가고 그 후행 플랭크(54)가 뒤따른다. 각각의 랜드부(50)는 끼워져 있는 플루트들의 역방향 헬리컬 트위스에 대응하는 역방향 헬리컬 트위스트를 가지는 리지 같은 부재를 형성한다. 각각의 랜드부(50)와 그 후행 면(54)의 교차점에는 컨덴싱 에지(56)가 있다. 컨덴싱 에지(56)는 실질적으로 여유공간이 거의 없는데, 이는 회전 동안 컨덴싱 에지를 제외하고는 완전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랜드부(50)의 전체 면이 컨덴싱 에지(56)의 앞쪽에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차적인 테이퍼 간극 각도, 즉 각각의 랜드부(50)와 컨덴싱 에지(56)의 접선 사이의 각도는 적용처에 따라 약 1°내지 30°사이 어딘가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랜드부(50)는 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서 컨덴싱 에지(56) 앞에서 경사면(ramp)이나 쐐기(wedge)로 이용되어서, 주 재료(22)가 홀(20)의 내측 벽으로부터 커팅되지 않는다. 따라서, 컨덴싱 에지(56)들은 (앵커(38)의 바디에 대하여) 논-커팅 방향으로 고착되어 있는데, 이는 컨덴싱 에지(56)들이 리머(reamer)와 같이 안쪽 벽들 속에서 절삭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역상 레이크(negative rake)로 홀(20)의 안쪽 벽을 따라 와이핑하거나(wipe) 드래그한다(drag)는 것을 의미한다.
컨덴싱 에지(56)들은 대체로 중심 영역(44)의 총 길이, 즉 관상 단부(42)의 시작과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 사이에 뻗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개재되어 있는 플루트들과 같이, 컨덴싱 에지(56)는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를 공유하지만, 직선 축방향 구성도 가능하다. 앵커(38) 바디의 전체 길이의 1배 내지 3배와 비슷한 롱 리드들은 컨덴싱 에지(56)의 배치가 고려되어 있다. 각각의 컨덴싱 에지(56)의 반경방향 측정값, 즉 앵커(38)의 중심 축으로부터 컨덴싱 에지(56)의 원호까지의 거리(도 15)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에 의해 형성되는 완만한 테이퍼에 관한 함수이다. 즉, 도 13에 있는 평행한 구성 라인들과의 비교에 의해, 컨덴싱 에지(56)들이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마루들의 약간의 테이퍼를 계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각각의 컨덴싱 에지(56)는 헬리컬 그루브(58)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일련의 얕은 플루트들과, 중심 영역(44)을 휘감아 도는 랜드부(50)들 양자 모두는 상대적으로 깊은 헬리컬 그루브(58)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즉 도랑 같은 헬리컬 그루브(58)의 기저부는 바람직하게는 중심 영역(44)의 총 길이를 따라 각각의 교차점에서 플루트들과 랜드부(50)들의 총 부재를 가로막도록 적어도 플루트들 만큼 깊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헬리컬 그루브(58)는 플루트들의 깊이보다 약 1배 내지 4배(1X-4X)의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플루트들의 기저부 아래에 놓여 있다. 헬리컬 그루브(58)와 플루트들 사이의 상대적인 깊이 관계는 중심 영역(44)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는 가변적일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예시들에서, 헬리컬 그루브(58)는 첨단 단부(40)에 인접한 플루트들보다 약 3배(3X) 더 깊고, 관상 단부(42)에 인접한 플루트들보다 약 2배(2X) 더 깊다. 이러한 깊이의 변화는, 헬리컬 그루브(58)의 기저부에서의 직경이 첨단 단부(40)와 같이 동일한 근부 구성 라인(B)들을 따라 대체로 테이퍼형이기 때문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중심 영역(44) 전체에 걸친 헬리컬 그루브(58)의 깊이와,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근부의 깊이는, 첨단 단부(40)에서 선행하는 코어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일반적인 원뿔형의 테이퍼를 공유한다. 구성 라인들(B-B)은 이를 뒷받침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첨단 나사산 근부와 헬리컬 그루브(58)의 원뿔형 기하구성은 우수한 일차적인 안정성과 로딩 프로토콜(loading protocol)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헬리컬 그루브(58)는 첨단 단부(40)에서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헬리컬 근부 패턴과 매끄럽게 연결된다. 환언하자면, 첨단 단부(40)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헬리컬 근부 패턴을 추적하면 직접적이면서도 거의 근소하게 헬리컬 그루브(58) 속에 다다를 수 있다. 도시된 예시들은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을 싱글-스타트 디자인으로 보여주고, 이 경우 헬리컬 그루브(58)는 단일 권취부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달리,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이 더블-스타트 타입을 가지는 경우라면, 아마도 서로 꼬여있는 2개의 헬리컬 그루브들은 중심 영역(44)을 따라 권취할 것이다.
도시된 예시들에서, 헬리컬 그루브(58)의 축방향 폭은 중심 영역(44)의 길이를 따라 대체로 일정한 상태로 남아있지만, 헬리컬 그루브(58)의 피치는 변한다. 바람직하게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헬리컬 그루브(58)의 권취 패턴은 관상 단부(42)를 향하여 권취함에 따라 뻗어 나가거나 성장한다. 따라서, 대체로 일정한 상태로 남아있는(일부 작은 변화는 가능함) 피치를 가지는 첨단 단부(40)의 헬리컬 근부 패턴과 달리, 헬리컬 그루브(58)의 피치는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첨단 단부(40)와 중심 영역(44)의 접합점에서, 헬리컬 그루브(58)의 피치는 매끄러운 전이부로 고려되어 있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헬리컬 근부 패턴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같다. 이는 헬리컬 그루브(58)가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헬리컬 근부 패턴의 연속적인 연장부인 외관을 제공한다. 그러나, 관상 단부(42)와의 중심 영역(44)의 접합점에서, 헬리컬 그루브(58)의 피치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헬리컬 근부 패턴의 피치의 대략 2배(2X)이다. 피치의 이러한 변화는 균일하게 점진적이고, 즉 피치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 피치의 ~1X 내지 ~2X로 적절하게 증가한다. 앵커(38)의 근부 또는 코어의 테이퍼형 형상(도 13의 구성 라인들(B-B))은 헬리컬 그루브(58)의 점진적으로 변하는 피치와 조합되어, 앵커(38)가 홀(20)의 적소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주 재료(22)에 영향을 미치도록 점진적으로 압착하면서 조작하는 효과를 가진다. 압착 효과는 제트 엔진의 컴프레서 섹션이나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분야에서의 일부 스크루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앵커(38)의 바디를 따라, 헬리컬 그루브(58)의 전파는 각각의 컨덴싱 에지(56)와 각각의 플루트를 적어도 한번은 나선형으로 양분한다. 각각의 플루트/컨덴싱 에지(58)와 헬리컬 그루브(58)를 위한 교차 지점의 실제 개수는 헬리컬 그루브(58)의 피치, 플루트들/컨덴싱 에지(58)들의 좌현 트위스트, 및 중심 영역(44)의 길이에 의해 지시된다. 도 7과 도 9의 예시에서, 헬리컬 그루브(58)는 약 4와 2분의 1(4½)회전을 만들고, 각각의 플루트/컨덴싱 에지(56)를 3회 또는 4회 양분한다. 헬리컬 그루브(58)가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헬리컬 근부 패턴과 같이 대략 동일한 폭과 깊이를 가지기 때문에, 중심 영역(44) 내부의 컨덴싱 에지(56)는 넓어지는 나사산 형태의 외관을 취하는데, 그 마루형 리지(crestal ridge)는 컨덴싱 에지(56)들을 지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합되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과 나선형으로 가로막히는 컨덴싱 에지(56)들은, 관상 단부(42)의 전이하는 네크 부재(transitional neck feature)와의 접합점에서 떨어져 나갈 때까지, 대체로 가로막히지는 않지만 연속적으로 크기가 변하되, 첨단 단부(40)로부터 뻗어 있는 통일된 우현 트위스트 나사산 패턴의 외관을 생성한다. 이러한 독특한 구성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들 중 일부는 이내 기술될 것이다.
도 16에서, 앵커(38)는 주 재료(22) 안에 완전히 자리잡은 상태로 나타나 있다. 헬리컨 근부 패턴에 의해 남겨진 압흔의 단면들은 위치들(16a, 16b, 16c, 16d, 16e, 16f, 16g)에 예시되어 있다. 위치들(16a, 16b, 16c, 16d) 사이의 축방향 공간배치는 상대적으로 같은데 반해, 위치들(16d, 16e, 16f, 16g) 사이의 축방향 공간배치는 점진적으로 더 크게 성장한다는 점을 유의한다. 이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상대적으로 고정 피치와 비교되는 헬리컬 그루브(58)의 변하는 피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a 내지 16g는 각각의 이들 위치들의 매우 단순화된 도면을 개별적으로 제공한다. 각각의 이미지는 앵커(38)의 배치시 나선형 골에서 조작되면서 갇힌 상태가 되는 주 재료(22)를 나타낸다. 위에 언급된 압착 효과는 앵커(38)가 주 재료(22) 속으로 더욱 깊게 파고들어감에 따라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압착에 추가하여, 앵커(38)의 중심 영역(44)을 둘러싸는 갇힌 주 재료(22)는 헬리컬 그루브(58)의 변하는 피치때문에 축방향으로도 변위된다. 변위와 결합되는 압착은 주 재료(22)를 앵커(38)에 접촉하도록 압밀하고, 이는 주 재료(22)와 앵커(38) 사이의 물리적인 인터락킹(더 높은 정도의 접촉)때문에 일차적인 안정성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뼈가 주 재료(22)인 경우, 이러한 점진적인 압착과 변위는 앵커(38)와 매우 근접해 있는 뼈에 핵형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들 때문에 신속하면서 새로운 뼈 성장 형성을 촉진한다. 조직형태계측학적 데이터(histomorphological data)는, 자가이식 뼈 조각이 앵커 둘레에서의 새로운 뼈 형성을 촉진하는 핵형성 표면과 같은 역할을 해서 우수한 안정성과 더 큰 뼈 대 임플란트 접촉을 제공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나아가, 헬리컬 그루브(58)와 플루트 및 다른 틈새는 조밀화 자가 이식과 같이 재료 조각을 담아낼 수 있는 챔버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뼈 적용처에서의 치유를 강화하면서 촉진할 수 있다.
도 14는, 앵커(38)가 적소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컨덴싱 에지(56)에 의해 동작되고 있는 주 재료(22)의 매우 확대된 영역을 나타낸다. 컨덴싱 에지(56)는 여기에서 원주방향 스위핑 압축 변형을 홀(20)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컨덴싱 에지(56)는 주 재료(22)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압밀화뿐만 아니라 홀(20)의 동시다발적인 확장을 유발하도록 홀(20)의 안쪽 벽에 대하여 연마하면서 와이핑한다. 앵커(38)가 스스로를 홀(20) 속으로 더 깊게 끌어당김에 따라, 모든 컨덴싱 에지(56)들의 협동 노력에 의해 유발되는 주 재료(22)의 동시다발적인 확장과 압밀화는 앵커(38)의 약간의 테이퍼와 헬리컬 그루브(58)의 변하는 피치 때문에 점진적으로 더 큰 효과를 만들어낸다. 컨덴싱 에지(56)는 도 7 내지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가 형성되는 경우, 뼈 표면을 가로질러 드래그하는 컨덴싱 에지(56)들에 의해 약간의 대향하는 축방향 반발력이 발생될 수 있다. 반발력 성분들(수직방향, 접선방향 및 축방향)의 조합은 그 항복 강도를 넘는 응력이 뼈 재료에 발생하도록 협력하고, 이는 주 재료(22) 안에 응력이 동시다발적으로 누적되는 동안 컨덴싱 에지(56)들이 표면을 파내는 것을 허용한다.
앵커(38)가 홀(20)의 최대 깊이에 도달하는 경우, 주 재료(22)에 축적된 응력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덴싱 에지(56)들의 둘레와 플루트들 속에 거의 즉각적으로 채워지기 시작한다. 주변의 주 재료(22)의 신속한 탄성 응답은 앵커가 용이하게 나사결합해제될 수 없도록 앵커(38)를 포지션에 맞게 빠르게 자기잠금고정(self-ock)시키고, 이로써 앵커(38)에 높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주 재료(22) 안의 모든 잔류 변형이 사라져서 평형 상태에 도달했다면, 앵커(38)는 최대 고착 강도로 적소에 잠금고정될 것이다. 주 재료(22)의 성분 특성에 따라, 평형상태는 모든 플루트들 및 그루브들과 근부들이 완전히 채워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뼈가 주 재료(22)인 경우, 자연 재생과 내적 성장은 시간이 지나면 빈공간들 안에서 완전히 채워질 것이다. 배치 후 오래지 않아, 뼈는 부풀것이고 앵커(38) 둘레의 모든 틈새들 속에서 성장하기 시작할 것이다. 중심 영역(44) 둘레에서 뼈가 부풀게 되면 앵커(38)를 홀(20) 내부에 더욱 단단하게 자기잠금고정시킨다. 앵커의 적어도 일부 부하 감당 용량(load-carrying capacity)은 초기 단계에서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시간(예컨대 정상적인 건강한 뼈에서는 대략 2주 내지 4주)이 지나면, 앵커(38)의 틈새들 속에서의 거의 완전한 뼈 내적 성장이 일어날 것이다. 앵커(38)는 치유가 효과적으로 완료되는 경우 뼈 안에서 기계적으로 완전히 잠금고정된다.
관상 단부(42)는 앵커(38)의 최원위 부재를 정의하는 플랫폼(60)을 구비한다. 사용시, 앵커(38)가 홀(20) 안에 완전히 자리잡게 되면, 플랫폼(60)은 노출된 상태로 남아있다. 일부 경우, 예컨대 치아 임플란트와 벽 앵커와 같이, 플랫폼(60)은 앵커(38)의 바디 속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내부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연결수단은, 버팀 부재의 나사산형 기둥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적용처를 위한 여러 가지 종래의 앵커 설계에서 발견되는, 공동(cavity)같은 표준 부재이다. 이와 달리, 플랫폼(60)은 주 재료(22)의 표면에 걸쳐 힘을 분포시키도록 와셔 헤드처럼 비교적 편평할 수 있다. 페디클 스크루와 같이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도시된 예시들에서, 플랫폼(6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척추 안정화 상황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합한 패스너 요소들과 짝을 이루는 볼(ball)같은 외부 연결 부재를 가진다. 자연스럽게, 내부형이거나 외부형이더라도 또는 이와 다르더라도 플랫폼(60)의 형상 설계는 그것이 무었이건 간에 의도된 적용처의 요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서 어느정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랫폼(60)의 단부들은 공구 수용 소켓(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들에는, 상보적인 형상의 드라이버 헤드를 위하여 스타-포인트(star-point) 또는 폴리드라이브(polydrive) 타입 리셉터클의 형태로 되어 있는 소켓(62)이 나타나 있다. 물론, 공구 수용 포켓(62)의 형태는 사용되는 관련 산업/분야의 표준과 적용처에 부합할 것이다.
관상 단부(42)는 코킹 요소(corking element)(64)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킹 요소(64)는 진입 지점에서의 주재료 대 앵커의 접촉을 향상시키도록, 그리고 홀(20)을 둘러싸는 주 재료(22)에서의 화산같은 급성장이 있는 경우를 제거할 수는 없을지라도 줄이는데 도움을 주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코킹 요소(64)는 설치된 관상 단부(42)가 주 재료(22)의 표면이나 그 근처에 깔끔하게 자리잡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양호한 설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러한 코킹 부재가 설계에 통합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속성과 이점을 향유하는 앵커(38)를 상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코킹 요소(64)는 선택적인 것으로 언급된다. 코킹 요소(64)는, 아마도 어느정도는 차이가 있더라도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들에서, 코킹 요소(64)는 우현 트위스트를 가지는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은 첨단 나사산 피치보다 두드러지게 더 작은 피치를 가지는 원-스타트 나사산 패턴이다. 특히,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의 피치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피치보다 약 40% 더 짧다. 환형의 네크 구간은 중심 영역(44)과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 사이에 짧고 매끄러운 전이부를 형성한다. 이 네크 구간의 직경은 헬리컬 그루브(58)의 인접해 있는 깊이와 대략 같을 수 있고, 이로써 헬리컬 그루브(58)로부터 네크 구간 속으로의 갇힌 주 재료 입자들의 매끄러운 유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13에 있는 구성 라인(B-B)들을 다시 참조하면, 이는 환형의 네크 구간에서 종료 지점들에 다다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크 구간은 주 재료 입자들이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을 조우하기 전에 갇힌 주 재료 입자들을 위하여 유용한 사전준비단계(pre-staging) 영역으로 이용된다.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은 부벽(buttress)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장치에서, 부벽 나사산 형태는 매우 높은 축방향 추력을 한쪽 방향으로 다루도록 설계되어 있다. (잡아당기는 방향에 있는) 부하 감당 나사산 면은 길이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거나 약간(보통 7°이하) 경사져 있다. 다른 면은 약 45°경사져 있다. 앵커(38)가 충분한 깊이로 홀(20) 속으로 나사결합되어 있는 경우,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은 홀(20)의 내측 벽에 맞닿고, 아래쪽을 향하여 와이핑 방향으로 주 재료(22)를 변위시키기 시작한다. 관상 피치가 이 예시에서는 첨단 피치보다 더 작기 때문에,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이 이와 달리 시계방향 회전으로 전진하려는 것보다 더욱 신속하게 절골 속으로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에 의해 잡아당겨질 것이라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 동작은,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의 헬리컬 마루가 홀(20)의 에지들 둘레에서 이미 급성장하기 시작할 수 있는 임의의 주 재료(22)를 포함하는 주 재료(22)를 홀(20) 속으로 아래쪽으로 잡아당기거나 긁어내게 하고, 홀(20) 둘레의 표면이 더 매끄럽고 찢김이 거의 없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물론, 관상 나사산 패턴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상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코킹 요소(64)는 사용되는 경우라면 여러 가지 상이한 구성들을 취할 수 있다. 우현 트위스트 나사산은 한가지 가능한 것일 뿐이다. 다른 가능한 것들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공격적인 와이핑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좌현 트위스트 나사산, 환형의 리브(rib)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시, 통상적으로, 대략 첨단 단부(40)에서의 근부 직경만큼의 크기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는 홀(20)은 앵커(38)를 수용하도록 미리 준비된다. 일부 셀프 태핑 적용처에서, 준비된 홀(20) 없이 앵커(38)를 주 재료(22) 속으로 직접 나사결합하는 것이 무난할 수 있다.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전술한 압밀/자가 이식 기법을 이용하여 홀(20)의 준비가 달성된다. 앵커(38)가 홀(20) 속으로 초기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그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은 주 재료(22)의 내측 표면 속에서 즉각적으로 절삭하고, 완전히 자리잡은 깊이를 향하여 앵커(38)의 남아있는 바디를 끌어당기도록 아래쪽을 향하는 나선형 경로를 전파한다. 컨덴싱 에지(56)들이 홀(20)로 들어가는 경우, 컨덴싱 에지들은 응축 동작으로 원주방향 스위핑 압축 변형을 홀(20)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기 시작한다. 홀(20) 속으로 더 깊게 앵커(38)가 하강할수록, 컨덴싱 에지(56)들이 주 재료(22)에 대하여 와이핑하고 연마하는 정도는 더 커진다. 이는 도 14에 어느정도 과장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주 재료(22)가 어느 정도까지는 탄성 특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컨덴싱 에지(56)가 지나간 후에는 일부 "스프링 백(spring back)"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앵커(38)가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짐에 따라 복수의 컨덴싱 에지(56)는 홀(20)의 안쪽 벽들을 차례차례 와이핑하므로, 주 재료(22)에 잔류 변형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컨덴싱 에지(56)가 주 재료(22)를 가로질러 드래그함에 따라, 각각의 컨덴싱 에지(56) 상의 힘들은 2개의 성분 힘들, 즉: 주 재료를 바깥쪽을 향하여 누르는 주 재료(22)의 표면에 대한 법선방향 힘; 및 홀(20)의 내측 표면을 따라 주 재료를 드래그하는 접선방향 힘;으로 성분분해될 수 있다.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 때문에, 컨덴싱 에지(56)들도 동시다발적으로 홀(20) 속으로 강제로 전진되는 경우 약간의 대향하는 축방향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도 마찬가지로 유의한다. 이러한 대향하는 축방향 반발력은 앵커(38)를 홀(20) 밖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앵커(38) 삽입의 축방향 전진 방향에 대항하여 작용하지만,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견인력을 극복하기에는 너무 약하다. 접선방향 성분이 시계방향 회전을 통해 증가됨에 따라, 컨덴싱 에지(56)들은 홀(20)의 내부 표면들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와 동시에, 컨덴싱 에지(56)를 따르는 수직방향(즉 반경방향) 힘들은 주 재료(22)를 변형시킬 것이고, 이는 주 재료가, 예컨대 해면골(trabecular bone)처럼 비교적 부드러운 경우라면 특히 그러하다. 그러므로, 주 재료(22)의 표면 속으로 도입되는 잔류 변형은 그 항복 강도를 초과할 수 있고, 컨덴싱 에지(56)들이 버니싱(burnishing) 작업과정처럼 표면을 파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컨덴싱 에지(56)들의 파내기 동작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20)의 전체 내부 표면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컨덴싱 에지(56)들을 통해 가해지는 응력들은 홀(20)의 모든 둘레에 계속해서 축적된다. 앵커(38)가 최대 깊이에 도달하고 회전하는 것을 멈추는 경우, 주 재료(22) 안에 누적된 응력들은 소위 속박상태로부터 해제되므로, 컨덴싱 에지(54)들을 도 15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포지션에 들어맞게 잠금고정시키도록 앞서 기술된 스프링 백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아마도 초기 홀 준비 동안 축적되어 있기도 하면서 스크루 인 작업과정으로부터의 응력들의 가중에 대한 주 재료(22)의 거의 즉각적인 탄성 응답은 바람직하면서 우수한 초기 앵커(38) 안정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플루트 안에서 탄성적으로 팽창하는 주 재료(22)의 부분들은 앵커가 나사결합해제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없도록 앵커(38)를 포지션에 맞게 효과적으로 자기잠금고정시킨다. 컨덴싱 에지(56)들이 있는 이러한 앵커(38)의 다른 장점은 일정한 타입의 주 재료(22)의 짜임새를 강화하는 그 능력이다. 예를 들어, (몇가지 예로) 뼈나 목재 또는 발포체가 그 항복점과 그 최대 인장 강도 사이의 영역에서 응력을 받는 경우, 재료는 변형 경화를 겪는다. 가공 경화 또는 냉간 가공으로도 알려진 변형 경화는 소성 변형에 의한 연성 재료의 강화수단이다. 이러한 강화수단은 재료의 결정 구조 내부에서의 전위 이동(dislocation movement)과 전위 발생(dislocation generation)때문에 일어난다. 이 앵커(38)의 또 다른 장점은 컨덴싱 에지(56)와 다른 특별한 속성이 자연스러운 뼈 재생을 활성화하는 능력을 가지는 뼈 적용처에서 특히 발견된다.
따라서 사용 방법은, 일련의 컨덴싱 에지(56)들로 홀(20)의 내부 표면에 원주방향 스위핑 압축 변형을 동시다발적으로 적용하면서 앵커(30)를 준비된 홀(20) 속으로 더 깊게 점진적으로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컨덴싱 에지(56)들이 홀(20)의 내측 표면을 가로질러 드래그함에 따라, 응력들이 측면 벽들 안에 축적된다. 앵커(38)가 최대 깊이에 도달하고 회전하는 것을 멈추는 경우, 누적된 응력들은 더 이상 억제된 상태에 있지 않아서, 주 재료(22)는 컨덴싱 에지(56)들 둘레에서 그 안에 채워진다. 신속한 탄성 응답은 바람직하면서 우수한 앵커(38) 안정성을 제공하고, 앵커가 나사결합해제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없도록 앵커(38)를 포지션에 맞게 자기잠금고정시키고, 홀(20)의 주변의 벽들을 강화한다. 뼈 적용처에서, 자연스러운 뼈 재생은 성공적인 장기간 앵커(38) 안정성을 위하여 자극된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이 예시에서, 앞선 예시들에 기술되어 있는 것들과 대응하는 앵커(138)의 부재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확인되지만, 앞에 1이 있을뿐이다(100만큼 오프셋되어 있음). 이 예시는 또한 도 1과 도 2에서 전술한 페디클 스크루 맥락처럼 정형외과 적용처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다. 첨단 단부(140)와 관상 단부(142)는 중심 영역(14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다. 첨단 단부(140)와 관상 단부(142)가 각각 앵커(138)의 전체 길이의 약 1/5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영역(144)은 앵커(138)의 전체 길이의 약 3/5이다.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146)은 파일럿 홀 또는 아마도 단지 비교적 작은 파일럿 홀이 없는 상태에서 앵커(138)가 셀프 태핑하게 한다. 셀프 태핑(self-tapping)은 앵커(138)가 회전운동되는 경우 전진하면서 그 자신의 나사산을 생성하는 능력을 말한다. 셀프 태핑 능력은 연속적인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14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포켓(148)을 연삭함으로써 수월하게 된다. 앵커(138)가 시계 방향으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포켓(148)(들)은 홀의 주변의 벽들 안에서 상보적인 나사산을 커팅하는데 도움을 준다. 포켓(148)은 삽입 동안 주 조각들을 수거할 수 있다.
중심 영역(144)에서, 앞의 예시에서와 같이 첨두 나사산 프로파일(146)의 근부에 연결되는 헬리컬 그루브가 없다. 그러나, 플루트들과 랜드부(50)들은 연속적이지 않다. 중간 나사산 형태(166)는 중심 영역(144)에서 컨덴싱 에지(156)들을 가로막는다. 중간 나사산 형태(166)는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피치와 대체로 같은 피치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앵커(138)를 홀 속으로 삽입하는 경우, 중간 나사산 형태(166)는 더 부드러운 주 재료에서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146)이 닳아 없어지는 것을 피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146)의 견인하는 노력들을 위한 부스터(booster)로서 이용된다.
관상 단부(142)에서,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들은 코킹 요소(164)를 형성한다. 환형의 네크 구간은 중심 영역(144)으로부터의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들에 대한 전이부로 이용된다. 이러한 관상 나사산 프로파일들은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146)과 중간 나사산 형태(166)의 피치와 대략 동일한 피치를 공유한다. 대체로 짝이 되는 피치들에 있어서, 3개의 세트를 이루는 나사산들(각각의 구간(140, 142, 144)에 하나씩 있음)은 삽입 동안 협력한다.
정형외과 적용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앵커(3, 138)는 초기 배치시 충분한 앵커 안정성에 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뼈 재생을 촉진하는 그 독특한 능력때문에, 장기간 앵커 안정성은 강화될 뿐만 아니라 가속된다. 본 발명의 독특한 응축 속성들은 나사산 형상의 여러 가지 종래 기술 변형예, 표면 짜임새 및/또는 특별한 코팅과 양립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사상은 2014년 6월 19일에 공표된 출원인의 특허 출원 WO 2014/093487에 기술되어 있는 라인들을 따라 치아 임플란트로 사용되는 비교적 짧은 앵커들을 형성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WO 2014/093487에 있는 전체 개시사항은 각각의 관할국에서 적용가능한 법률에 의해 허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참조사항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원리들은 주 재료(22)로서 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의 컨덴싱 앵커(38, 138)는, 앵커(38, 138)가 최대 깊이에 도달하는 경우 주변의 재료 안에 축적된 변형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더 많거나 더 적은 컨덴싱 에지들(56, 156)과 다른 틈새들 둘레에서 그 안에 채워질 수 있도록 적합한 탄성 응답 특성이 제공되어 있는 세포상 재료이건 비세포상 재료이건 대부분의 어떠한 타입의 재료에서든 고착상태를 형성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의 재료의 이러한 탄성 응답은 앵커가 쉽게 나사결합해제될 수 없도록 앵커(38, 138)를 포지션에 맞게 자기잠금고정시키고, 이로써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앵커(38, 138)에 제공할 수 있다. 주 재료(22)가 살아있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치유 유도 내적 성장은 더 강력한 구매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앵커(38, 138)가 살아있는 나무 속으로 나사결합되는 경우, 목재의 살아있는 세포들은 앵커(38)의 틈새들 속에서 성장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앵커(38, 138)가 생체내 뼈 속으로 나사결합되는 경우, 상술된 내적 성장은 실질적으로 강화된 고착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비유기질 적용처들은 최소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앵커(38, 138)는 항공우주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타입의 금속 발포체, 열 차폐 및 다른 중요 적용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앵커(38, 138)의 고려되어 있는 추가적인 적용처는 부드럽고 다져지지 않은 흙이나 먼지가 있는 흙으로 된 홀들에서의 토목 공학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실제로, 앵커(38, 138)의 독특한 응축 품질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적용처들도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우현 나사산과 좌현 나사산에 관해 언급되어 있다. 우현 나사산은 시계방향 회전 하에서 전진하고, 이와 반대로 좌현 나사산은 반시계방향 회전 하에서 전진한다. 우현 나사산은 압도적인 비율로 가장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용법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취하고 있다. 그러나 우현으로부터 좌현으로의(그리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임) 모든 나사산 패턴들의 역전도 가능하고, 삽입시 반시계방향 회전이 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능 특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의 좌현 트위스트는 본 명세서에서 주장하고 개시하는 실시예들에 대한 단지 구조적인 균등물로 여겨진다. 달리 말하자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가 "제 1" 회전 방향이라고 한다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는 "제 2" 회전 방향이라고 할 수 있고, 정확하게 말하자면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46, 146)이 제 1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이때 컨덴싱 에지(56, 156)들의 헬리컬 트위스트는 바람직하게는 제 2 회전 방향 또는 직선방향(즉 무한한 리드)이며, 홀(20)의 내측 벽으로부터 재료를 커팅하지 않기 위해서 논-커팅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전술된 발명은 관련된 법적 기준에 따라 기술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는 본질적으로 제한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다. 특정 분야와 관습적으로 관계될 수 있는 어떠한 용어들의 사용도 본 발명의 추정되는 적용처를 특정 분야의 사용처로 제한하기 위하여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과 수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4)

  1. 주 재료 속으로 나사결합되는 타입의 앵커로서, 상기 앵커는:
    첨단 단부와 관상 단부를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중심 영역은 상기 첨단 단부와 상기 관상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바디;
    를 구비하고,
    상기 첨단 단부는, 상기 바디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를 상기 주 재료 속으로 점진적으로 더 깊게 전진시키기 위하여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중심 영역은 개재되어 있는 랜드부들이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루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플루트는 깊이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랜드부는, 상기 앵커가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되고 있는 동안 압밀 동작으로 원주방향 스위핑 압력 변형을 주 재료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덴싱 에지를 형성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중심 영역을 따라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각의 상기 컨덴싱 에지들을 적어도 한번은 가로지르고, 그리고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근부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그 연속적인 연장부로서 상기 헬리컬 근부 패턴에 바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플루트들의 깊이와 같거나 더 큰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플루트들의 깊이들의 약 1배 내지 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대체로 고정 피치를 가지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가변 피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그루브의 상기 가변 피치는 상기 첨단 단부에 인접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상기 피치와 대체로 같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의 상기 가변 피치는 상기 관상 단부에 인접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상기 피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첨단 단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테이퍼형의 근부 코어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싱글-스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우현 트위스트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컨덴싱 에지는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를 가지고, 상기 플루트들은 상기 컨덴싱 에지들의 상기 좌현 트위스트에 대응하는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9. 첨단 단부와 관상 단부를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중심 영역은 상기 첨단 단부와 상기 관상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바디;
    를 구비하는 페디클 스크루로서,
    상기 첨단 단부는, 상기 바디가 제 1 회전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를 절골 속으로 점진적으로 더 깊게 전진시키기 위하여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중심 영역은 개재되어 있는 랜드부들이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루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플루트는 깊이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랜드부는, 상기 페디클 스크루가 포지션에 들어맞게 나사결합되고 있는 동안 압밀 동작으로 원주방향 스위핑 압력 변형을 절골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덴싱 에지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중심 영역을 따라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각의 상기 컨덴싱 에지들을 적어도 한번은 가로지르고, 그리고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근부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그 연속적인 연장부로서 상기 헬리컬 근부 패턴에 바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클 스크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플루트들의 깊이와 같거나 더 큰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클 스크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대체로 고정 피치를 가지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가변 피치를 가지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의 상기 가변 피치는 상기 첨단 단부에 인접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상기 피치와 대체로 같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의 상기 가변 피치는 상기 관상 단부에 인접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상기 피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디클 스크루.
  12. 주 재료의 준비된 홀 속으로 나사결합되는 타입의 앵커로서, 상기 앵커는:
    첨단 단부와 관상 단부를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바디의 중심 영역은 상기 첨단 단부와 상기 관상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바디;
    를 구비하고,
    상기 첨단 단부는, 상기 바디가 우현 회전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를 홀 속으로 점진적으로 더 깊게 전진시키기 위하여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근부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은 대체로 고정 피치를 가지고,
    상기 중심 영역은 개재되어 있는 랜드부들이 있는 일련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플루트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플루트는 깊이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랜드부는, 상기 앵커가 준비된 홀 속으로 나사결합되고 있는 동안 압밀 동작으로 원주방향 스위핑 압력 변형을 주 재료의 내부 표면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덴싱 에지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컨덴싱 에지는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를 가지고, 상기 플루트들은 상기 컨덴싱 에지들의 상기 좌현 트위스트에 대응하는 좌현 헬리컬 트위스트를 가지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중심 영역을 따라 나선형으로 되어 있으면서 각각의 상기 컨덴싱 에지들을 적어도 한번은 가로지르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플루트들의 깊이들의 약 1배 내지 4배의 깊이를 가지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그 연속적인 연장부로서 상기 헬리컬 근부 패턴에 바로 인접해 있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는 상기 첨단 단부에 인접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상기 피치와 대체로 같은 가변 피치를 가지고, 상기 헬리컬 그루브의 상기 가변 피치는 상기 관상 단부에 인접한 상기 첨단 나사산 프로파일의 상기 피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3. 삭제
  14. 삭제
KR1020187025141A 2016-02-07 2017-02-06 응축 속성이 있는 앵커 스크루 KR102374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2343P 2016-02-07 2016-02-07
US62/292,343 2016-02-07
PCT/US2017/016635 WO2017136801A1 (en) 2016-02-07 2017-02-06 Anchor screw with condensing attribu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988A KR20180109988A (ko) 2018-10-08
KR102374839B1 true KR102374839B1 (ko) 2022-03-17

Family

ID=5950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41A KR102374839B1 (ko) 2016-02-07 2017-02-06 응축 속성이 있는 앵커 스크루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912595B2 (ko)
EP (1) EP3410970B1 (ko)
JP (1) JP6959653B2 (ko)
KR (1) KR102374839B1 (ko)
CN (1) CN108697449B (ko)
AU (1) AU2017214679B2 (ko)
BR (1) BR112018016056B1 (ko)
CA (1) CA3013071A1 (ko)
DK (1) DK3410970T3 (ko)
ES (1) ES2857583T3 (ko)
IL (1) IL261022B2 (ko)
TW (1) TWI734742B (ko)
WO (1) WO2017136801A1 (ko)
ZA (1) ZA201805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2420B1 (en) 2016-01-14 2020-07-01 Huwais IP Holding LLC Autografting tool with enhanced flute profile and methods of use
EP3701893B1 (en) * 2017-12-06 2022-12-21 Stryker European Operations Holdings LLC Orthopedic locking screw
US11000325B2 (en) * 2018-02-27 2021-05-11 Acumed Llc Bone fastener with partially overlapping threads and a varying lead
CN108869500B (zh) * 2018-09-13 2024-05-07 浙江超博尔五金股份有限公司 一种功能性螺栓
TWI812796B (zh) * 2018-10-22 2023-08-21 美商胡瓦司智慧財產權控股有限責任公司 旋入一主體材料中之一製備孔中之類型之錨
ES2900467T3 (es) * 2019-01-11 2022-03-17 Kilian Kraus Implante para la estabilización y/o fusión de la articulación sacroilíaca
WO2020174452A1 (en) * 2019-02-28 2020-09-03 Indian Institute Of Science A dental implant assembly
US11266874B2 (en) * 2019-05-01 2022-03-08 Michael Spink Jaw range of motion device
TWI763162B (zh) * 2020-12-04 2022-05-01 鐿鈦科技股份有限公司 縫合錨釘與其系統及植入方法
KR102599230B1 (ko) * 2020-12-21 2023-11-07 주식회사 디오 미세 홈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487A1 (en) 2012-12-11 2014-06-19 Huwais Salah Condensing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9179A (en) 1946-02-26 1949-11-22 Frederick F Hartman Wheel
US3858942A (en) * 1973-01-05 1975-01-07 Wald Manufacturing Company Inc Hub and axle assembly
SE468154B (sv) 1991-08-27 1992-11-16 Nobelpharma Ab Skruvformat faestelement av titan foer permanent foerankring i benvaevnad.
US5871486A (en) * 1993-01-21 1999-02-16 Acumed, Inc. Variable pitch bone screw
SE9301407D0 (sv) * 1993-04-27 1993-04-27 Medevelop Ab Foer implantation i vaevnad avsett foerankringsorgan foer uppbaerande av proteser, artificiella ledkomponenter eller dylikt
US6149432A (en) 1993-12-27 2000-11-21 Biolok International, Inc. Buttress thread dental implant
CN2199864Y (zh) * 1994-02-08 1995-06-07 林其勋 一种热固性粉末涂料双螺杆挤出机用复合螺杆
US5816812A (en) 1994-07-22 1998-10-06 Osteomed Corporation Dental implant fixture
US5489179A (en) 1994-08-19 1996-02-06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nd building assembly comprising workpiece, substrate, and fastener
US5536127A (en) 1994-10-13 1996-07-16 Pennig; Dietmar Headed screw construction for use in fixing the position of an intramedullary nail
CN2232727Y (zh) 1995-09-15 1996-08-14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卫生部药品仪器检验所 便携式颅骨钻
DE19645757C2 (de) * 1996-11-06 2001-02-15 Sfs Ind Holding Ag Heerbrugg Schraubverbindung
SE9700300D0 (sv) 1997-01-31 1997-01-31 Astra Ab Reamer
US5961329A (en) 1997-07-02 1999-10-05 Stucki-Mccormick; Suzanne U. Combination distrac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6264677B1 (en) 1997-10-15 2001-07-24 Applied Biological Concepts, Inc. Wedge screw suture anchor
US5891146A (en) 1997-10-15 1999-04-06 Applied Biological Concepts, Inc. Wedge orthopedic screw
CN2318985Y (zh) 1997-12-11 1999-05-19 乔金新 锥度刀刃自停颅骨钻头
US6048204A (en) 1998-02-03 2000-04-11 Lifecore Biomedical, Inc. Self tapping screw type dental implant
WO2000006043A1 (de) * 1998-07-30 2000-02-10 Franz Sutter Implantat zum halten und/oder bilden eines zahnersatzes oder eines künstlichen fingergelenks
US6273722B1 (en) * 1999-11-29 2001-08-14 Swiss Implants, Inc. Hybrid press fit-threaded dental implant
US6679701B1 (en) * 2000-03-23 2004-01-20 Gordon D. Blacklock Anchor having threads opposing unthreading
US6641395B2 (en) 2000-08-02 2003-11-04 Nobel Biocare Ab Endosseous implant drill
US6402515B1 (en) 2001-01-10 2002-06-11 Sulzer Dental Inc. Dental implant with variable profile thread
CA2390912C (en) 2001-07-05 2008-01-29 Depuy France Self-tapping screw for small-bone surgery
DK1478301T3 (da) 2002-02-27 2010-07-19 Arsline Sa Instrument til knogleforberedelse, der især er anvendeligt ved tandteknik, og indretning til anvendelse heraf
US7008227B2 (en) 2002-03-04 2006-03-07 Carmichael Robert P Self-drilling implant
US6872042B2 (en) * 2003-05-08 2005-03-29 Illinois Tool Works Inc. Knurled fastener with cutting edges and removable head
US20040230195A1 (en) 2003-05-14 2004-11-18 Inion Ltd. Soft-tissue screw
IL156033A0 (en)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US20050273110A1 (en) 2004-05-12 2005-12-08 Boehm Frank H Jr Devices for performing fusion surgery using a split thickness technique to provide vascularized autograft
US7207761B2 (en) * 2004-07-26 2007-04-24 Illinois Tool Works Inc. Pin fastener for achieving metal-to-metal connections
CN2724645Y (zh) 2004-09-02 2005-09-14 马桂文 一种截骨手术用的钻切工具
US20060111724A1 (en) 2004-11-24 2006-05-25 Yeung Research Bone harvesting drill bit for oral surgery
US7300281B2 (en) 2005-08-02 2007-11-27 Giuseppe Cantatore Endodontic file having bi-directional scraping edges
US7766657B2 (en) 2005-08-09 2010-08-03 Andris Jaunberzins Endodontic file combining active and passive cutting edges
US8277218B2 (en) 2005-10-20 2012-10-02 D Alise David D Screw-type dental implant
WO2007086622A1 (en) 2006-01-27 2007-08-02 Osstem Implant Co., Ltd Fixture
KR100630304B1 (ko) 2006-04-04 2006-10-02 안상훈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JP4576587B2 (ja) 2007-01-23 2010-11-10 株式会社Jimro 骨髄ドリル
CN101292906A (zh) 2007-04-25 2008-10-29 玄英根 骨性结合人工牙
KR100940040B1 (ko) 2007-11-26 2010-02-04 김수홍 임플란트 시술용 탭드릴
KR100924092B1 (ko) 2007-11-30 2009-11-02 김영기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
KR100931996B1 (ko) 2008-05-19 2009-12-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US9314318B2 (en) 2008-08-26 2016-04-19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US8296951B2 (en) * 2009-06-25 2012-10-30 Young Keun Hyu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US20110106157A1 (en) 2009-10-30 2011-05-05 Warsaw Orthropedic, Inc. Self-Locking Interference Bone Screw for use with Spinal Implant
US8945193B2 (en) * 2010-07-20 2015-02-03 X-Spine Systems, Inc. Minimally invasive spinal facet compression screw and system for bone joint fusion and fixation
KR101128730B1 (ko) 2011-02-17 2012-03-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드릴
US9326778B2 (en) 2011-03-23 2016-05-03 Huwais IP Holding LLC Autografting osteotome
US9028253B2 (en) 2011-03-23 2015-05-12 Huwais IP Holding LLC Fluted osteotome and surgical method for use
US9022783B2 (en) 2011-03-23 2015-05-05 Huwais IP Holding LLC Fluted osteotome and surgical method for use
EP2668925B1 (en) 2012-05-29 2016-10-19 A.B. Dental Devices Ltd. A serrated dental implant
EP2919672B1 (en) 2012-11-19 2018-07-18 Huwais Ip Holding Llc Autografting osteotome
WO2014149746A1 (en) * 2013-03-15 2014-09-25 Innovision, Inc. Bone screw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50044638A1 (en) 2013-08-07 2015-02-12 Ebless Victor Baez Dental implant
CN203670399U (zh) * 2013-09-03 2014-06-25 舟山市7412工厂 锁紧螺栓
IL230833A0 (en)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AU2015229217A1 (en) 2014-03-14 2016-09-08 Huwais IP Holding LLC Hydro-mechanical autografting tool and method of use
WO2015168332A2 (en) 2014-04-30 2015-11-05 Osseodyne Surgical Solutions, Llc Osseointegrative surgical implant
EP3142579B1 (en) 2014-05-16 2019-10-23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Orthopedic locking screw for an orthopedic fastening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an orthopedic locking screw
WO2016108238A1 (en) 2014-12-31 2016-07-07 Cortex Dental Implants Industries Ltd Dental implants having golden rati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487A1 (en) 2012-12-11 2014-06-19 Huwais Salah Condensing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449A (zh) 2018-10-23
AU2017214679B2 (en) 2021-05-27
IL261022A (en) 2018-10-31
BR112018016056A2 (pt) 2018-12-26
KR20180109988A (ko) 2018-10-08
AU2017214679A8 (en) 2018-12-20
DK3410970T3 (da) 2021-03-08
JP2019506220A (ja) 2019-03-07
JP6959653B2 (ja) 2021-11-02
CA3013071A1 (en) 2017-08-10
WO2017136801A8 (en) 2018-08-30
TWI734742B (zh) 2021-08-01
US10912595B2 (en) 2021-02-09
WO2017136801A1 (en) 2017-08-10
IL261022B2 (en) 2023-06-01
AU2017214679A1 (en) 2018-08-16
CN108697449B (zh) 2021-05-11
EP3410970A1 (en) 2018-12-12
ZA201805180B (en) 2019-06-26
BR112018016056B1 (pt) 2023-04-18
US20200155210A1 (en) 2020-05-21
EP3410970A4 (en) 2019-09-18
ES2857583T3 (es) 2021-09-29
TW201729763A (zh) 2017-09-01
EP3410970B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839B1 (ko) 응축 속성이 있는 앵커 스크루
US11583294B2 (en) Autografting tool with enhanced flute profile and methods of use
EP2931169B1 (en) Condensing implant
KR20220021905A (ko) 중공-포인트 압밀-다짐 툴
TW202027687A (zh) 具有癒合腔之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