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26B1 -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26B1
KR102374826B1 KR1020200089389A KR20200089389A KR102374826B1 KR 102374826 B1 KR102374826 B1 KR 102374826B1 KR 1020200089389 A KR1020200089389 A KR 1020200089389A KR 20200089389 A KR20200089389 A KR 20200089389A KR 102374826 B1 KR102374826 B1 KR 10237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
noise
vehicle
reduction unit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811A (ko
Inventor
신병철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8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일 개시에 의하여,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고전압의 동작전원을 축전하여 공급하는 배터리,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복수의 릴레이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배터리의 동작전원이 차량에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PRA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PRA 내부에 포함된 두 개의 전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전효과에 의한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도록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소음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optimal wireless charging position}
일 개시에 의하여 브레이크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PRA(Power Relay Assembly)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가 개시된다.
전기 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 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 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구동부는 모터에 인버터가 연결되고, 인버터는 PRA(Power Relay Assembly)를 통하여 배터리에 연결된다. 전기 자동차의 운행 중에 브레이크를 구동시키면, 전기 자동차의 속도가 줄어드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은 PRA 내부의 두 전선 사이에 생기는 전위치가 전선과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에 압전 효과로 인한 치수 변화를 야기시킴으로서 발생하며, PRA가 발생시키는 고유 진동 주파수로 인하여 소음이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3-0052357호 (2003.06.27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20-0018815 호 (2020.02.20 공개)
일 개시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여 PRA의 압전효과로 인한 스위칭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고전압의 동작전원을 축전하여 공급하는 배터리,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복수의 릴레이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배터리의 동작전원이 차량에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PRA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PRA 내부에 포함된 두 개의 전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전효과에 의한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도록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소음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 중 브레이크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현재 상태에 맞는 방식으로 차량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배터리와 모터를 연결하는 PR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공진 주파수 개선 전 PRA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질량 변경 방식을 통한 PRA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흡음재 코?v 방식을 통해 PRA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립(Rib) 구조물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개선한 PRA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100)는 소음 저감 장치(100)로 축약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40), PRA(120), 소음 제어부(110), 소음 저감부(130), 인버터(160), 모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되지 않았지만, 모터(170)를 제어하는 모터(170)제어부(MCU) 및 차량 주행 및 동작에 따른 전반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ECU)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음 저감 장치(100)는 고전압의 동작전원을 축전하여 공급하는 배터리(140),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복수의 릴레이의 동작 여부에 따라 배터리의 동작전원이 차량에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120),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PRA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160),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모터(170), 및 PRA 내부에 포함된 두 개의 전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전효과에 의한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도록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소음 저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된 전기를 동작전원으로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는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셀을 포함하는 배터리(140)를 구비하여 동작하며, 소정의 충전소 또는 차량 충전설비 또는 가정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비되는 배터리(140)를 충전한다.
배터리(140)는 복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며, 고전압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배터리 관리부, 즉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배터리(140)의 잔여용량을 체크하여 충전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충전전류를 전기자동차의 각 부로 공급하는데 따른 관리를 수행한다.
이때, BMS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할 때, 배터리 내의 셀 간의 전압차를 고르게 유지하여, 배터리가 과 충전되거나 과 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또한, BMS는 전류사용에 대한 관리를 통해 차량이 장시간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BMS는 전기자동차에 구비되는 연결단자 또는 연결회로를 통해, 전기 충전소에 연결되는 경우, 공급되는 충전전류를 배터리(140)에 인가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이때, 전기자동차는 충전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40)를 충전하는 충전기, 또는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인버터를 더 포함한다.
모터(170)제어부(MCU)는 차량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70)(17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170)(170)로 인가한다. 또한, 모터(170)제어부(MCU)는 배터리(140)에 충전된 고전압의 전원이 모터(170) 특성에 맞게 변경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차량 제어부(ECU)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소정의 명령을 생성하여 인가하여 제어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차량 제어부(ECU)는 BMS를 통해 배터리(140)를 관리하고, PRA(120)로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여 특정 위치(부품)로의 전원 공급 또는 전원 차단을 제어한다.
차량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고,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전 소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PRA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차량 제어부는 압전 소음의 크기가 기 정해진 범위보다 큰 경우, 복수의 릴레이에 대한 테스트 제어를 통해 PRA의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PRA가 정상 동작 범위인 경우, 압전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변경하고, PRA가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차량의 주행을 중단하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고, PRA의 고장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RA(Power relay assembly)(142)는 고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으로써, 복수의 릴레이와 센서를 포함하여, 배터리(14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의 동작전원을 특정 위치로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특히 PRA(120)는 차량 시동 시, 고전압의 동작전원이 갑자기 공급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릴레이를 제어하여 차량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시동 오프 시, 순차적으로 릴레이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PRA(120)는 MCU, 차량제어부(ECU), 배터리(140), DC-DC컨버터(미도시), 충전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차량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스위칭하여, 배터리(140)의 전원을 공급한다.
PRA(120)는 복수의 릴레이와 센서를 포함하는데, 특히 제 1 메인 컨택트 릴레이(Main contact relay(-)), 제 2 메인 컨택트 릴레이(Main contact relay(+)), 프리 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 그리고 전류센서(current sensor)를 포함한다.
PRA(120)는 차량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를 스위칭한다. 특히 PRA(120)는 차량 시동 시 또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구비되는 복수의 릴레이를 소정 순서에 따라 스위칭함으로써, 차량의 각 부로 배터리(140)에 저장된 고전압의 동작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소음 저감부(130)는 PRA(1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증폭을 막아 PRA(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음 저감부(130)는 PRA의 형상 및 질량을 변경하여 PRA(120)의 스위칭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소음 제어부(110)는 PRA(120)의 상태 정보에 따라,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소음 저감부(130)의 속성 및 종류를 결정한다.
소음 제어부(110)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전 소음의 주파수 범위를 판단하고, 압전 소음의 고유 진동 주파수 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범위의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고,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주파수 범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부(130)의 속성을 결정하고, 결정된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음 제어부(110)는,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차량의 주변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주변 상태정보는 차량의 내외부에 포함된 센싱부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음 제어부(110)는,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소음 저감부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소음 저감부의 종류는 질량을 증감시키는 것, 흡음재 코팅법, 외부에 설치된 격자 구조물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음 제어부(110)는, 결정된 소음 저감부의 성분, 중량 및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각 소음 저감부의 성분, 방법, 질량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음 제어부(110)는, 결정된 소음 저감부의 속성에 따른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예측하여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전히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고유 진동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소음이 증폭되어 소음 크기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재 변경해야 한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배터리와 모터(170)를 연결하는 PR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 제어부는 연결된 각 부분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하는데, 특히 BMS의 상태정보와 측정되는 전류 등에 대응하여 PRA(120)로 스위칭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PRA(120)의 제 1 메인 컨택트 릴레이, 제 2 메인 컨택트 릴레이는 각각 차량 제어부에 별도의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각각 차량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각 릴레이가 온(ON)되면, 그에 따라 소정 전압이 피드백 신호로써 차량 제어부로 입력된다. 차량 제어부는 입력되는 전압값에 따라 제 1 메인 컨택트 릴레이 또는 제 2 메인 컨택트 릴레이가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체크한다.
여기서, 각 릴레이에 연결된 전선과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에 압전효과로 인한 치수변화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이 치수 변화는 공기를 진동시키는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공진 주파수 개선 전 PRA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배터리(140)에 저장되는 전력은 모터(170)를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는 리튬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140)는 PRA(120)를 통해 인버터(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160)는 배터리의 전력을 모터(170)에서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변환하여 모터(170)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170)는 인버터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PRA(120)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RA(120)는 메인 릴레이와 프리-차지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릴레이의 온/오프(on/off)에 따라서 배터리로부터 전류가 흘러 인버터 측으로 공급되고, 모터(170)가 구동될 수 있다. 프리-차지 릴레이는 배터리와 인버터의 커패시터가 메인 릴레이를 통해 연결되기 이전에, 인버터(160)의 커패시터가 프리-차지(Pre-Charge) 되도록 하기 위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에 시동 명령을 입력하면 차량 제어부는 PRA(120)를 제어하여 프리 차지 릴레이로 커패시터를 프리 차징 시킨 후, 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이후 메인 릴레이를 이용하여 전압을 인버터(16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질량 변경 방식을 통한 PRA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음 저감부는 PRA(120)에 기 정해진 범위의 질량을 부가하여, PRA가 구동되는 경우 발생하는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질량 부가 모듈(131)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질량 부가 모듈(131)은 PRA(120)의 질량을 변화시켜, PRA(120) 자체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질량 부가 모듈(131)은 PRA(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전 소음의 고유 진동 주파수와 PRA(120)의 고유 진동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도록, PRA(120)에 적정한 질량을 부가한다.
질량 부가 모듈(131)은 가분성 있는 질량추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정한 질량을 PRA(120)로 부가할 수 있다. PRA(120)로 부가되는 적정한 질량은 소음 제어부(110)에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흡음재 코팅 방식을 통해 PRA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소음 저감부는 PRA의 적어도 일부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는 흡음재(132)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흡음재(132)는 PRA(120)의 외부 표면을 감쌀 수 있으며, PRA(120)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132)는 평균직경이 3.5 ㎛ ~ 5 ㎛인 MB(melt Blown)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3.7 : 6.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강도 6.8 N/25㎜ ~ 13 N/25㎜이고, 면밀도가 330~360 g/m2인 포함하는 흡음 소재, 흡음재의 일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로 이루어진 패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패턴층의 상면을 열경화성 점착제 38 내지 45g/m2로 코팅한 코팅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흡음재(132)는 MB(melt Blown) 섬유로 구성된 멜트블로운 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함유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또는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함유 수지)을,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MI(melt index)가 800 ~ 1,5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1
)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MI가 1,100 ~ 1,4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2
)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MI가 1200 ~ 1,38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3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MI가 8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4
)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멜트블로운 섬유의 섬도가 두꺼워지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가공 온도를 2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5
이상 올리면 공정비용 증가와 폴리프로필렌 탄화물 증가로 인한 노즐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6
)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면 용융강도(melt strength)가 약해져서 섬유형성능 저하로 인해 방사중에 샷(shot)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범위 내의 MI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멜트블로운 방사의 다이(die) 및 노즐(nozzle) 온도와 핫 에어(hot air) 온도는, 25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7
~ 2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8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6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09
~ 28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0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핫 에어 온도가 25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1
미만이면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성분의 섬유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섬유집합체 공극률이 저하되고 함유되어 있는 공기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극세섬유와 공기층에 의한 소리에너지의 유동저항 감소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흡음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핫 에어 온도가 2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2
를 초과하면 공정비용 증가와 폴리프로필렌 탄화물 증가로 인한 노즐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와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성분의 섬유가 안정적으로 집속되지 못하고 날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멜트블로운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단종이 아닌 2종 이상의 섬유로 멜트블로운 복합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로 구성된 멜트블로운 복합 부직포 제조시에는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함유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화합물 함유 수지를 사이드-바이-사이드 복합방사구금으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시킬 때, 방사되는 멜트블로운 기류에 블로잉(Blowing) 설비 및 노즐을 통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혼입시켜서, 멜트블로운 복합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혼합시켜서, 흡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멜트블로운 복합방사의 다이(die) 및 노즐(nozzle)와 핫 에어(hot air) 온도 25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3
~ 2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4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26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5
~ 28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6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핫 에어 온도가 25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7
미만이면 사이드-바이-사이드 복합섬유의 일부인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성분의 섬유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섬유집합체 공극률이 저하되고 함유되어 있는 공기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극세섬유와 공기층에 의한 소리에너지의 유동저항 감소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흡음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핫 에어 온도가 2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8
를 초과하면 공정비용 증가와 폴리프로필렌 탄화물 증가로 인한 노즐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와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성분의 섬유가 안정적으로 집속되지 못하고 날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사이스-바이-사이드 복합섬유 중 다른 사이드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계 화합물 성분의 섬유와의 접합성이 떨어져서 복합섬유집합체 구조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멜트블로운 복합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의 복합섬유로서,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및 폴리에틸렌계 화합물을 1 : 0.5 ~ 2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7 ~ 1.5 중량비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폴리에틸렌계 화합물이 0.5 중량비 미만이면 접착성 및 벌키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 중량비를 초과하면 방사성 저하로 인한 섬도 증가 및 섬유집합체에서 전체적으로 결점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멜트블로운 복합섬유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또는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 함유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MI(melt index)가 800 ~ 1,5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19
)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MI가 1,100 ~ 1,4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0
)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MI가 1200 ~ 1,38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1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MI가 8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2
)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멜트블로운 섬유의 섬도가 두꺼워지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가공 온도를 2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3
이상 올리면 공정비용 증가와 폴리프로필렌 탄화물 증가로 인한 노즐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500g/10분(23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4
)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면 용융강도(melt strength)가 약해져서 섬유형성능 저하로 인해 방사중에 샷(shot)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범위 내의 MI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멜트블로운 복합섬유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계 화합물(또는 폴리에틸렌계 화합물 함유 수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을,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을 사용하는 것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복합섬유의 폴리프로필렌계 화합물과의 접착력 확보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MI(melt index)가 140 ~ 160g/10분(1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5
)인 것을, 바람직하게는 MI가 145 ~ 160g/10분(1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6
)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MI가 150 ~ 160g/10분(1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7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LLDPE 수지의 MI가 140g/10분(1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8
)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흐름성이 저하되어 멜트블로운 섬유의 섬도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MI가 160g/10분(19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29
)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면 방사 중에 멜트블로운 섬유 사절현상이 증가하여 복합 부직포 균제도 제어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LLDPE 수지는 비중이 0.90 ~ 0.95인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0.92 ~ 0.94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복합섬유집합체의 경량성 및 접찹성 확보면에서 유리하다.
일 개시에 의하여 흡음재(132)는 열경화성 점착제를 45 내지 55g/m2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재를 더 포함하여, 차음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140 내지 160g/m2의 면밀도를 갖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개시에 의한 흡음재(132)는 폴리머와 압전물질 또는 고음의 특정 음역대를 구현하는 메탈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머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UA(Poly Urethane Acrylate), PVA(Poly Vinyl Alcohol), 폴리에스테르(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메틸펜텐(TPX),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액정 폴리머(LCP)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압전물질은 BaTiO3, KNbO3, Ba2NaNb5O5, LiNbO3, SrTiO3, Pb(ZrTi)O3, Pb2KNb5O15, LiTaO3, BiFeO3, NaxWO3, ZnO,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에서 선택될 수 있고, 메탈(metal)은 Au, Ag, Al, Cu, Ti, Zn, Fe, Mn, Cr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흡음재(132)에 입사음이 도달하면 이 입사음은 흡음재(132)에 의해 음향학적 각도로 반사음이 되어 반사되며, 일부는 흡음재(132)의 재질적 특성에 따라 흡수음으로 흡수된다. 여기서, 흡수되는 음은 주로 높은 주파수의 음이다.
그리고, 낮은 주파수의 음의 경우에는 흡음재(132)의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의 두께 차이로 인한 난반사가 발생하여 흡음효과가 증가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오목한 부분으로 입사되는 입사음은 표면적이 넓어진 오목한 부분 내에서 더 많이 흡수되고, 볼록한 부분에 의해 반사 및 회절되는 원리로 결과적으로 난반사가 증대되며 이에 따라 더욱 많은 낮은 주파수의 음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음 흡수 과정에서 난반사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머, 압전물질 및 메탈 등으로 구성된 패턴의 재질과 크기 및 모양을 변화시켜 패턴의 고유진동수를 조절함으로써, 저음 또는 특정한 음역대의 주파수를 흡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흡음재(132)가 압전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패터닝된 흡음재가 물리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특성이 나타나므로, 이를 이용하여 흡음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소정의 접지전극 등을 연결하여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흡음효과가 더욱 상승할 수 있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립(Rib) 구조물을 이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개선한 PRA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소음 저감부는 PRA(12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PRA(120)의 적어도 일부의 외부 표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격자형 구조물(133)이다.
격자형 구조물(133)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PRA(120)의 강성을 바꾸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격자형 구조물(133)은 PRA(120)의 외부에 홈을 파서 장착될 수 있으며, PRA(120)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격자형 구조물(133)은 6.0 내지 8.0중량%의 Cr, 3.8 내지 5.0중량%의 Mo, 0.015 내지 0.035중량%의 C, 0.2 내지 0.5중량%의 Si, 1.8 내지 2.6중량%의 Mn, 0.01 내지 0.018중량%의 P, 0.005 내지 0.01중량%이하의 S, 0.15 내지 0.4중량%의 Sn, 0.015 내지 0.055중량%의 RE, 0.10 내지 0.18중량%의 V, 0.01 내지 0.030중량%의 Ti 및 85.5 내지 87.8중량% Fe로 이루어진 철 구조물일 수 있다.
격자형 구조물(133)이 철 구조물인 경우 연신율이 7.6% 이상이고, 항복강도(YS)가 730MPa 이상이며, 인장강도(TS)가 850MPa 이상이며,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비(TS/YS)가 1.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격자형 구조물(133)은 (a) 탄소(C): 0.10 ~ 0.40중량%, 망간(Mn): 1.0 ~ 1.5중량%, 실리콘(Si): 0.05 ~ 0.50중량%, 크롬(Cr): 0.10 ~ 1.00중량%, 바나듐(V): 0.08 ~ 0.18중량%, 구리(Cu): 0 초과 0.40중량% 이하, 몰리브데늄(Mo): 0 초과 0.50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05 ~ 0.070중량%, 니켈(Ni): 0 초과 0.25중량% 이하, 인(P): 0 초과 0.05중량% 이하, 황(S): 0 초과 0.030중량% 이하, 질소(N): 0.005 ~ 0.025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를 1050 ~ 110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30
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b) 재가열된 강재를 920 ~ 100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31
의 최종 마무리 압연 온도 조건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c) 열간 압연된 강재에 대하여 템프코어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철근의 제조방법에서는 내피로 특성 향상을 위해 2차 정련공정인 LF 이후 VD(vacuum Degassing) 공정을 거쳐 산소함량을 낮춘 뒤 연주공정에서 반소재로 응고시켰다.
압연공정은 재가열 과정, 열간변형 공정, 냉각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재가열 과정에서는 반제품 상태인 빌렛을 1050~ 110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32
까지 재가열 한다. 다음으로, 열간 압연 공정은 각 압연롤(RM, IM, FM)을 거치며 최종 마무리압연을 920 ~ 100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33
에서 변형이 완료 후, 템프코어(Tempcore)를 거치며 표면은 마텐사이트 시작온도(Ms)까지 급랭 후, 500 ~ 700
Figure 112020075109996-pat00034
까지 복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재는 탄소(C): 0.10 ~ 0.40중량%, 망간(Mn): 1.00 ~ 1.5중량%, 실리콘(Si): 0.05 ~ 0.50중량%, 크롬(Cr): 0.10 ~ 1.00중량%, 바나듐(V): 0.08 ~ 0.18중량%, 구리(Cu): 0 초과 0.40중량% 이하, 몰리브데늄(Mo): 0 초과 0.50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05 ~ 0.070%, 니켈(Ni): 0 초과 0.25중량% 이하, 인(P): 0 초과 0.05중량% 이하, 황(S): 0 초과 0.030중량% 이하, 질소(N): 0.005 ~ 0.025% 및 나머지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격자형 구조물(133)은 메타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을 말하며, 유효 질량(Effective mass) 또는 유효 강성(Effective stiffness)이 음의 값을 가지는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이나 진동기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물질이다. 메타물질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작은 구조를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음의 물성치를 구현하고, 이러한 구조를 음향결정(Phononic crystal)이라고 부른다.
음향결정이란 음파의 파장의 길이의 절반 이하의 길이를 갖는 단위체가 주기적으로 배열된 구조이다. 음향결정이라고 불리는 주기적인 인공 구조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향 혹은 진동 에너지를 반사 및 투과시키지 않고 저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영역을 이 음향메타물질로 감싸게 되면 외부의 파동 에너지로부터 완전하게 은폐 및 고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단위체(Unit cell)란 음향결정에서 동일한 구조가 반복 배열되어 있는 것 중 하나의 구조를 말한다. 유효 음의 질량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국부 공진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고전압의 동작전원을 축전하여 공급하는 배터리;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동작전원이 차량에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PRA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를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PRA 내부에 포함된 두 개의 전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전효과에 의한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소음 저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PRA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PRA의 적어도 일부의 외부 표면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격자형 구조물로서,
    상기 격자형 구조물은,
    6.0 내지 8.0중량%의 Cr, 3.8 내지 5.0중량%의 Mo, 0.015 내지 0.035중량%의 C, 0.2 내지 0.5중량%의 Si, 1.8 내지 2.6중량%의 Mn, 0.01 내지 0.018중량%의 P, 0.005 내지 0.01중량%이하의 S, 0.15 내지 0.4중량%의 Sn, 0.015 내지 0.055중량%의 RE, 0.10 내지 0.18중량%의 V, 0.01 내지 0.030중량%의 Ti 및 85.5 내지 87.8중량% Fe를 포함하는 강재로 이루어진 철 구조물로서,
    (a) 상기 강재를 1050 ~ 110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b) 재가열된 강재를 920 ~ 1000℃의 최종 마무리 압연 온도 조건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c) 열간 압연된 강재에 대하여 템프코어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템프코어 공정은 상기 열간 압연된 강재를 마텐사이트 시작온도(Ms)까지 급랭 후, 500 ~ 700℃까지 복열하는 것이며,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PRA에 기 정해진 범위의 질량을 부가하여, 상기 PRA가 구동되는 경우 발생하는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시키고,
    상기 격자형 구조물은,
    상기 PRA의 외부 홈에 장착되는 립(Rib)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RA는 다면체로서, 제1 메인 컨택트 릴레이 및 제2 메인 컨택트 릴레이에 의하여 관통되고,
    상기 립 구조물은 상기 PRA의 외부 표면 중 적어도 일부 표면에 장착되되,
    상기 적어도 일부 표면은,
    상기 PRA의 외부 표면 중 상기 제1 메인 컨택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컨택트 릴레이가 관통하지 않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부는,
    상기 PRA의 적어도 일부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는 흡음재이며,
    상기 흡음재는,
    평균직경이 3.5 ㎛ ~ 5 ㎛인 MB(melt Blown) 섬유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3.7 : 6.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강도 6.8 N/25㎜ ~ 13 N/25㎜이고, 면밀도가 330~360 g/m2인 포함하는 흡음 소재;
    상기 흡음재의 일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로 이루어진 패턴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패턴층; 및
    상기 패턴층의 상면을 열경화성 점착제 38 내지 45g/m2로 코팅한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 구조물은 연신율이 7.6% 이상이고, 항복강도(YS)가 730MPa 이상이며, 인장강도(TS)가 850MPa 이상이며,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비(TS/YS)가 1.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압전 소음의 주파수 범위를 판단하고, 상기 압전 소음의 고유 진동 주파수 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범위의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상기 주파수 범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소음 제어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소음 저감부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음 저감부의 성분, 중량 및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소음 저감부의 속성에 따른 상기 PRA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예측하여 상기 압전 소음의 주파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압전 소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PRA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압전 소음의 크기가 기 정해진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릴레이에 대한 테스트 제어를 통해 상기 PRA의 정상 동작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PRA가 정상 동작 범위인 경우, 상기 압전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기 소음 저감부의 속성을 변경하고, 상기 PRA가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을 중단하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고, 상기 PRA의 고장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KR1020200089389A 2020-07-20 2020-07-20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KR10237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89A KR102374826B1 (ko) 2020-07-20 2020-07-20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89A KR102374826B1 (ko) 2020-07-20 2020-07-20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11A KR20220010811A (ko) 2022-01-27
KR102374826B1 true KR102374826B1 (ko) 2022-03-15

Family

ID=8004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89A KR102374826B1 (ko) 2020-07-20 2020-07-20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8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8098A (ja) * 2018-03-16 2019-09-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振動低減材及びそれを備えた振動低減構造、並びに吸音材及びそれを用いた吸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365B1 (ko) * 2001-12-04 2004-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퀄노이즈 저감형 차량의 브레이크시스템
KR100483265B1 (ko) 2001-12-21 2005-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드럼의 고유진동수 측정장치
KR20120081825A (ko) * 2011-01-12 2012-07-20 (주)브이이엔에스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199464B1 (ko) * 2010-09-03 2012-11-09 주식회사 모젤디앤에스 흡음재용 외장시트, 그의 제조방법 및 흡음형 방음패널
KR101406463B1 (ko) * 2012-11-05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자동차 차음구조
KR101836596B1 (ko) * 2016-01-25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의 인버터 제어 방법
KR20180076700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주파음 측정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주파음 측정방법
DE102017213056A1 (de) 2017-07-28 2019-01-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Unterdrücken von Bremsgeräuschen, zentraler Server, Fahrzeugsteuerungsmodul und Speichermed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8098A (ja) * 2018-03-16 2019-09-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振動低減材及びそれを備えた振動低減構造、並びに吸音材及びそれを用いた吸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11A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3647B2 (ja) エコカーサウンドジェネレータ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5083274B (zh) 电动车辆的选择性电动模式
EP1786647B1 (en) Battery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battery
US9162581B2 (en) Vehicle, electric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20080182167A1 (en) Separator for installation in batteries and a battery
CN104554262B (zh) 包括用于电动机的再生水平选择器的车辆
CN106068203A (zh) 混合能量存储模块系统
CN102280945A (zh) 非接触供电装置
CN101085604A (zh) 用于控制混合动力汽车主电池充电和放电量的方法
KR102374826B1 (ko) 브레이크 구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JP5211954B2 (ja) 車両用電源装置
CN103562041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
CN107745717A (zh) 轨道交通混合动力系统控制电路、轨道交通车辆及其供电方法
CN112290622B (zh) 一种汽车混合储能系统的能量分配方法、设备及介质
JP2015133858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US20130033229A1 (en) Method and system to electrically charge and discharge a battery using an electrical charging system that electrically communicates with a regenerative braking electrical circuit
KR102365247B1 (ko) Pra의 구조적 분리를 통해 전기 자동차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JP5298784B2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JP5906641B2 (ja) 車両の駆動制御装置
CN107985091A (zh) 一种基于bms的轮毂电机再生制动的变压充电装置及控制方法
JP2020142757A (ja) 車両
KR102429604B1 (ko) 흡음판을 이용하여 pra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
JP5078525B2 (ja) ハイブリッドカーに走行用バッテリを搭載する方法
JP3351683B2 (ja) 車載電池の制御装置
CN109760522A (zh) 基于多重推理规则的车载复合电源功率分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