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785B1 -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785B1
KR102374785B1 KR1020177008970A KR20177008970A KR102374785B1 KR 102374785 B1 KR102374785 B1 KR 102374785B1 KR 1020177008970 A KR1020177008970 A KR 1020177008970A KR 20177008970 A KR20177008970 A KR 20177008970A KR 102374785 B1 KR102374785 B1 KR 10237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ing member
valve
wear
temperature
material act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341A (ko
Inventor
베르너 잘하스
마르쿠스 크라플
슈테판 틸
Original Assignee
에이씨에스 에어 컴프레서 시스템 게엠베하
마르쿠스 크라플
슈테판 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씨에스 에어 컴프레서 시스템 게엠베하, 마르쿠스 크라플, 슈테판 틸 filed Critical 에이씨에스 에어 컴프레서 시스템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20700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7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91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fluid parameters

Abstract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는데, 밸브의 마모도는 팽창 재질로 제조되며 각 온도 변화 시마다 기계적 이동을 수행하는 작동 부재에 의해 좌우되어, 온도 변화가 마모를 야기하며, 팽창 재질로 제조된 작동 부재는 피스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팽창 재질로 제조된 작동 부재(3)의 이동은 먼저 작동 부재(3)의 온도 변화의 감지에 의해 연산되고, 이어서 팽창 재질로 제조된 작동 부재(3)에 적용되는 온도/이동 곡선에 기초하여 온도 변화가 재연산된다.

Description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WEAR OF A VALVE,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다방향 밸브(multi-way valve) 등의 밸브의 장래 또는 이미 실제 발생된 마모도(degree of wear)의 판정(determining)에 관한 것이다.
다방향 밸브의 내부에는 피스톤이 위치하는데, 이는 다른 위치들을 차지할 수 있다. 매질(medium)이 다방향 밸브를 흐르는 유량(ratio)은 피스톤의 위치에 좌우된다. 피스톤의 위치는 피스톤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소위 팽창 재질(expandable material) 작동 부재(operating element)에 의해 온도 의존적 방식(temperature-dependent manner)으로 변화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는 온도가 상승되면 온도/이동 곡선(temperature/movement curve)을 따라 팽창되고 온도가 하락되면 다시 수축된다.
이 온도 의존적 이동이 마모를 야기한다. 다방향 밸브의 내부에서 팽창 재질 작동 부재는 마모도에 따라 밸브의 기능을 특히 좌우하는 부재이다.
공지된 형식의 다방향 밸브의 제조업체들은 다방향 밸브의 작동 조건들에 대한 과거의 경험들로부터 경험적으로 취득된 값들을 가져, 이로부터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도달할 가능성이 있는 마모 한도(wear limit)까지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다방향 밸브 내에서 사용을 유지할 수 있는 수명을 도출해낸다.
냉각 회로 내의 다방향 밸브의 사용 기간의 기준상, 어떤 기간의 사용 후에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마모는 어떤 정도의 확률로 다방향 밸브와 다방향 밸브가 존재하는 시스템의 지속적인 작동 신뢰성을 위해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포함된 다방향 밸브의 구성 부품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도까지 진행된다고 가정된다. 또한 팽창 재질 작동 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는 다방향 밸브도 있다.
이를 위해 공지의 다방향 밸브는 분리 가능한 커버(removable cover)를 가진다. 이 커버를 분리하면 마모 부품의 교체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를 가지는 다방향 밸브는 냉각 회로에 사용된다. 복잡한 냉각 회로에는 대개 이런 다방향 밸브들이 복수로 존재한다.
냉각 회로의 각 다방향 밸브 내의 각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실제 마모는 제조업체가 표시한 보증 기간(trouble-free period)에 대한 이론값과 다른 경우가 많다. 그런데 냉각 회로의 유지보수 작업 동안, 해당 다방향 밸브의 각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현재로서의 실제 마모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평균 이하 및 평균 이상의 마모가 모두 가능하다.
복잡한 냉각 회로의 경우, 유지보수 스케줄들은 안전상의 이유로 평균 이상의 마모를 가정하여 모든 다방향 밸브들의 모든 마모 부품들의 조기 교체를 준비한다. 그 단점은 마모 부품들이 실제 마모 한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라도 마모 부품들이 이런 다방향 밸브들로부터 교체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방향 밸브들의 실제 개별적인 작동 조건들이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평균보다 큰 마모를 야기하거나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마모 이외의 결점 때문에 손상되는 경우, 그 결과로 스케줄에 따라 제공되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기 전에 다방향 밸브가 손상되는 불리한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향 밸브가 채용된 시스템에 예기치 못한 중단 및/또는 손상이 유해하게 발생될 수 있다.
밸브 내의 팽창 재질 작동 부재는 마모 부품으로, 진행 중인(ongoing) 작동 동안에는 아직 실제 마모도를 확인할 수 없다. 실제 마모도의 진단(diagnosis)을 위해서는 밸브를 개방하여 팽창 재질 작동 부재를 분리해야 한다. 밸브의 개방과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분리 및 점검(checking)은 분리 가능한 커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시간 소모적(time-consuming)이고 노동 집약적인(labour-intensive) 작업이다. 작업 중에는 밸브가 작동하지 못하므로 이 작업은 작동 중인(running)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어 시스템의 작동중단(shutdown)에 의해 원가를 상승시킨다.
DE20120609U1이 종래기술로 공지되었다. 이 문헌은 밸브 장치 등의 유체 기술 장치(fluid-technical device)를 위한 진단장치(diagnostic device)를 기재하고 있다. 여기에는 밸브에 할당되어 (측정된) 값들을 전송(deliver)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값들을 기준으로, 밸브 상의 마모의 추정 마모도가 경험적으로 결정된 비교 값들의 도움으로 연산된다. 공지의 유체 기술 장치의 추정 마모도의 연산은 예를 들어 유체 기술 장치의 작업 사이클(work cycle)의 계수(counting)로 이뤄질 수 있다. 그런데 작업 사이클의 계수만으로는 밸브 상의 마모에 대한 충분히 신뢰성 높은 결론을 도출할 수 없으므로 추가적인 마모 관련 지표(parameter)들을 취득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모든 취득된 지표들의 도움으로 마모에 대한 가능한 한 정확한 결론이 통계적으로 경험적인 기준에 따라 도출되도록 의도되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밸브의 실제 마모도의 판정(determining)에 대해서는 어떤 교시도 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기술에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대한 언급(reference)이나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전형적인 문제점들 역시 전혀 언급이 없다. 마모도의 연산에 온도/이동 곡선을 지표로 사용한다는 언급 역시 종래기술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다방향 밸브 내에 위치하여 다방향 밸브를 개방하거나 분해하지 않고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실제 마모를 판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각 종속항 2 내지 9의 주제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각 이동이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온도의 변화로 야기된다는 지식을 채용하고 있다. 열전도의 결과, 밸브를 흐르는 유체 또는 매질의 온도의 변화가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온도 변화 역시 야기한다. 이로부터 도출되는 결론은 유체 또는 매질의 온도 변화가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이동 역시 야기한다는 것이다.
다방향 밸브의 작동 중에, 모든 이동의 절대값의 영구적인 추가(adding-up)에 의해 이동 거리(covered distance) 값이 연속적으로 갱신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제조업체들은 마모 한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 거리를 비교적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 또는 매질의 온도 변화는 온도가 상승하건 하락하건 어떤 거리만큼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이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온도의 영구적 변화와 온도/이동 곡선이 팽창 재질 작동 부재를 정확한 이동 거리의 판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하는 데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온도/이동 곡선은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나타내도록 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변화가 상승 또는 하락 방향인지에 대한 히스테리시스의 경로 역시 이동 거리의 판정에 감안될 수 있다.
제조업체가 보증하는 전체 이동 거리의 사양과 함께, 현재 판정된 이동 거리를 보증된 전체 이동 거리와 비교하면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마모 한도까지 얼마나 남았는지에 대한 판정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기로 현재 측정된 값과 연산에 기초하여 마모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마모에 관한 결론이 사용 시간(time in use)과 경험적으로 결정된 값들에 기초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은 특정한 이동 거리에 도달하기까지 경과된 시간을 개별적으로 측정한다는 것이다. 이는 마모 한도에 도달하기까지의 기간에 대한 예측적 결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 이동 거리가 특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신호가 생성되어 유지보수 작업을 계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방향 밸브의 적용분야 및/또는 사용 위치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의 계획을 위해 신호가 생성될 임계값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방향 밸브가 어떤 사용 위치에 자리하고 이 사용 위치에 도달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면, 임계값은 이에 따라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element)은 어떤 기간 동안 양적으로 검출된 모든 이동들의 합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현재 거동에 대한 정보로 즉시 제공되는 현재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마모도가 추정된다는 것이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온도/이동 곡선은 데이터 시트(data sheet)에 의해 제공되거나,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 장치(8) 자체로 확인될 수 있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적용되는 온도/이동 곡선에 대응하므로 팽창 재질 작동 부재(3)가 여전히 팽창 및 수축 중인지의 여부는 측정된 온도 값과 이와 동시에 측정되는 피스톤(2)의 위치의 상관관계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온도/이동 곡선에서 도출되는 피스톤의 위치와 측정된 위치간의 편이(deviation) 역시 마모의 지표(indication)이다. 진행 중인 마모(creeping wear)의 경우, 이 편이는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실제 발생된 마모는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아직 허용 가능한(tolerated) 편이의 임계값에 대해서도 규정될 수 있다.
허용 가능한 값을 초과하는 편이가 발생한 경우, 신호가 생성되거나 및/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센서 및/또는 평가 전자회로 자체에 의해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적용되는 온도/이동 곡선이 각 다방향 밸브마다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분산(scatter)이 보상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조업체의 데이터 시트로부터의 일반적인 곡선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가져온다.
새로운 다방향 밸브가 사용되거나 팽창 재질 작동 부재가 교체되고 난 경우에는 개별적 곡선이 생성되어 팽창 재질 작동 부재와 피스톤의 위치의 상관관계가 기록되고 추후 연산을 위해 저장된다. 각 이산된(discrete) 온도 값에 대해 (피스톤의) 위치가 저장된다. 바람직하기로 복수의 데이터 쌍들이 예상되는 전체 온도 범위에 걸쳐 기록 및 저장된다.
히스테리시스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두 데이터 쌍들 간의 온도 변화가 상승 경향을 가질 때 이들 데이터 쌍들을 기록하고 온도 변화가 하락 경향을 가질 때 이들 데이터 쌍들을 다시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용되는 온도/이동 곡선으로부터 실제 피스톤 위치의 편이를 평가하기 위해 온도 변화가 상승 또는 하락 경향을 가지는지 역시 고려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능한 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밸브(1)를 개략 단면으로 도시한다.
피스톤(piston)(2)이 다방향 밸브(multi-way valve)(1) 내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 피스톤은 팽창 재질 작동 부재(expandable material operating element)(3)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방향 밸브(1)는 매질(medium)이 흘러들어올 수 있는 유입 개구(inlet opening)(4)를 가진다. 피스톤(2)의 위치에 따라 매질은 두 유출 개구(outlet openings)(5 또는 6) 중의 하나로 흘러나갈 수 있다. 매질이 부분적으로 유출 개구(5)를 통하고 부분적으로 유출 개구(6)을 통해 흘러나갈 수 있는 피스톤(2)의 위치 역시 존재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는 마모 부품이므로 다방향 밸브(1)는 이를 통해 팽창 재질 작동 부재(3)가 교체될 수 있는 커버(cover)(7)를 가진다. 커버(7)는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센서(sensor)(9, 9a), 표시기(indicator)(10), 그리고 선택적인 평가 전자회로(evaluation electronics)와 선택적인 전원(energy source)을 가지는 측정 장치(measuring device)(8)가 이 커버(7) 내에 수납된다.
측정 장치(8), 위치 센서(9), 온도 센서, 그리고 선택적인 추가 부품들의 커버(7) 내의 수납(housing)은 기존의 다방향 밸브에서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일상적 교체를 위해 기존의 커버를 분리하고 본 발명 커버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장(retrofit)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개장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커버(7)는 기존의 커버의 자리에 맞는다.
커버(7)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현재의 마모도를 표시하는 광학적 표시기(optical indicator)(10)를 그 외측에 선택적으로 가진다. 커버(7)에 음향 표시기(acoustic indicator)(10)를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기(10)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 한도 또는 실제 마모 한도에 도달하기 이전에 임계값이 초과되었을 때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표시기(10)는 유지보수 작업 중에 어느 다방향 밸브가 유지보수를 요하는지 여부를 광학적 또는 음향적으로 신속히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냉각 회로에서 특히 유용하다. 편이가 발생한 경우 측정 장치(8)가 신호를 방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측정 장치(8)는 위치 센서(9) 및 온도 센서와 별도로 예를 들어 제2 위치 센서(9a) 또는 압력 센서 등의 추가적인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센서(9)는 피스톤(2)의 소정의 축방향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방식(principle)으로는 예를 들어 유도 또는 용량, 자기 위치 측정, 광학 위치 측정 또는 초음파 위치 측정 등의 무접촉(contactless) 센서 방식이 가능하다. 피스톤(2)의 위치가 전위차계(potentiometer) 또는 가변 캐패시터(variable capacitor)와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제공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피스톤(2)의 축방향 위치 판정에 더하여, 두 위치 센서(9, 9a)로 피스톤(2)에서의 횡방향 변위(lateral play)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 위치 센서(9, 9a)에서의 이러한 피스톤(2)에서의 횡방향 변위는 측정값에서의 양적으로 동일한 변화를 유발하지만 부호(sign)에 관해서는 다를 것이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와 조합된 피스톤(2)에서의 횡방향 변위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가 마모를 나타낸다는 사실의 추가적인 지표(indication)이다.
온도 센서는 다방향 밸브(1) 내의 매질의 현재 온도를 측정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온도는 어떤 시간 지연(time-lag)를 가지고 매질 내의 이 온도 변화를 추종하며, 이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이동을 야기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팽창하는 한편, 팽창 재질 작동 부재(3)는 온도의 하락에 따라 수축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피스톤(2)은 온도 변화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된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에 적용되는 온도/이동 곡선에 기초하여,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팽창 및 수축은 매질의 영구적 온도 변화만으로 판정될 수 있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는 모든 팽창 및 수축 이동의 합(sum)으로부터 연산될 수 있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에 적용될 온도/이동 곡선은 데이터 시트로부터 취득되거나 본 발명에 따라 측정 장치(8) 자체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새로운 밸브 또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교체 후의 경우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온도와 피스톤(2)의 위치가 장래의 연산을 위해 기록 및 저장된다. 각 이산된(discrete) 온도 값에 대해 위치가 저장된다. 바람직하기로 예상되는 전체 온도 범위에 걸쳐 복수의 데이터 쌍(data pair)들이 기록 및 저장된다.
히스테리시스 효과(hysteresis effect)를 감안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두 데이터 쌍 간의 온도 변화가 상승 경향을 가질 때 이들 데이터 쌍들을 기록하고 온도 변화가 하락 경향을 가질 때 다시 데이터 쌍들을 기록하도록 되어있다.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적용되는 온도/이동 곡선에 대응하므로 팽창 재질 작동 부재(3)가 아직 팽창 중인지 수축 중인지 여부는 측정된 온도 값과 이와 동시에 측정된 피스톤(2)의 위치의 상관관계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온도/이동 곡선으로부터의 편이(deviation) 역시 마모의 지표(indication)이다. 이에 따라 마모는 바람직하기로 이미 실제 발생한 것에 더해 모든 변화의 양적인 합이 경험적으로 결정된 값을 초과하기 전에 검출되어 이로부터 유지보수 작업의 계획에 정상적으로 사용될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다방향 밸브(1) 또는 다방향 밸브(1)의 각 부품 역시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2)이 비금속 재질로 제조된다면 예를 들어 용량 측정 방법 등 비금속 재질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이 사용된다.
하우징(housing)이 비금속 재질로 제조된 다방향 밸브(1)의 경우, 측정 장치는 다방향 밸브(1)의 외부에 장착되어 커버(7) 내에 수납될 필요가 없다. 이는 측정 장치가 다방향 밸브의 진행 중인 작동 동안에 개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방향 밸브가 비금속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 적절한 측정 장치에 의해 금속 입자가 유체 또는 매질 내에 존재하는가가 검출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냉각 회로용 밸브(1)에 있어서,
    - 상기 밸브 내에 존재하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에 좌우되는 상기 밸브(1)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장치;
    -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2);
    - 상기 밸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가 연산될 수 있는 값을 전송하며, 평가 전자회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교체 시에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위치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인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와, 관련된 상기 평가 전자회로는 상기 커버 내에 수납되고,
    상기 평가 전자회로가 상기 커버 내에 수납되는 광학 또는 음향 표시기(10)에 연결되거나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호 출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용 밸브(1).
  2. 제1항에 있어서,
    - 센서들은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온도 또는 밸브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연결된 피스톤(2)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9)이고,
    - 센서들에서 전송된 값으로부터 피스톤(2)의 위치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에 적용된 온도/이동 곡선에 기초하여 연산된 피스톤(2)을 연산하여 예측된 위치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으며,
    - 온도/이동 곡선에서 도출되는 위치와 측정된 위치간의 편이(deviation)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의 지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용 밸브(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중의 하나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 또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품이 무접촉 또는 기계적 접촉으로 검출되는 위치 센서(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용 밸브(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이는 상기 마모도에 대한 정보로 제공되고, 유지보수 작업의 계획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용 밸브(1).
  5.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위치 센서(9, 9a)가 구비되고, 2개의 상기 위치 센서(9, 9a)에서 전송된 신호의 평가에 의해 상기 밸브(1) 내의 상기 피스톤(2)의 횡방향 변위가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용 밸브(1).
  6. 제1항에 있어서, 측정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서 밸브 내에 위치하는 각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에 대한 온도/이동 곡선이 기록되고, 복수의 온도 값에서 피스톤(2)의 위치를 측정하여 온도와 위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쌍들이 저장되어 추후 연산에 사용되며, 상기 데이터 쌍들은 두 데이터 쌍 간의 온도 변화가 상승 경향일 때 한번 기록되고 두 데이터 쌍 간의 온도 변화가 하락 경향일 때 다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회로용 밸브(1).
  7. 밸브(1)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밸브 내에 존재하는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에 좌우되는 상기 밸브(1)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의 피스톤(2)은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는 평가 전자회로와, 위치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인 하나 이상의 센서를 수납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가 연산될 수 있는 값을 전송하고, 상기 평가 전자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팽창 재질 작동 부재의 교체 시에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고,
    평가 전자회로가 상기 커버 내에 수납되는 광학 또는 음향 표시기(10)에 연결되거나 팽창 재질 작동 부재(3)의 마모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신호 출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1)용 커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7008970A 2014-09-01 2015-09-01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37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00372A KR102373745B1 (ko) 2014-09-01 2015-09-01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2688.9 2014-09-01
DE102014012688.9A DE102014012688B4 (de) 2014-09-01 2014-09-01 Mehrwegeventil
PCT/EP2015/025063 WO2016034292A1 (de) 2014-09-01 2015-09-01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verschleissgrades eines ventil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372A Division KR102373745B1 (ko) 2014-09-01 2015-09-01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341A KR20170045341A (ko) 2017-04-26
KR102374785B1 true KR102374785B1 (ko) 2022-03-15

Family

ID=540651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970A KR102374785B1 (ko) 2014-09-01 2015-09-01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0207000372A KR102373745B1 (ko) 2014-09-01 2015-09-01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372A KR102373745B1 (ko) 2014-09-01 2015-09-01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079040B2 (ko)
EP (3) EP3751183B1 (ko)
KR (2) KR102374785B1 (ko)
CN (2) CN110118283B (ko)
DE (1) DE102014012688B4 (ko)
DK (1) DK3189258T3 (ko)
ES (1) ES2881604T3 (ko)
WO (1) WO2016034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4961A1 (de) * 2017-07-05 2019-01-10 Rehau Ag + Co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thermoelektrischen 2-Punkt-Antriebs eines Ventils eines Heizungs- und/oder Kühlungssystems
ES2786636T3 (es) * 2018-03-16 2020-10-13 Siemens Ag Medición de flujo en válvulas con corrección térmica
US11754324B2 (en) 2020-09-14 2023-09-12 Copeland Lp Refrigerant isolation using a reversing valve
US11940188B2 (en) 2021-03-23 2024-03-26 Copeland Lp Hybrid heat-pump system
US20220307736A1 (en) * 2021-03-23 2022-09-2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eat-Pump System With Multiway Valve
CN113218800B (zh) * 2021-04-25 2022-06-21 同济大学 一种基于压电促动器的球阀微动磨损测试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644Y1 (ko) * 2000-03-24 2000-10-02 송인구 마모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된 비통전물질제어용 밸브
JP2002276612A (ja) * 2001-03-21 2002-09-25 Takatani Engineering:Kk 水平維持装置
DE102011077901A1 (de) * 2011-06-21 2012-12-27 Behr Thermot-Tronik Gmbh Thermostatventil
JP2013137070A (ja) * 2011-12-28 2013-07-11 Nippon Thermostat Co Ltd 流体制御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327A (en) * 1982-07-26 1984-07-03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emperature responsive valve mechanism
DE20120609U1 (de) 2001-12-20 2002-03-21 Festo Ag & Co Diagnoseeinrichtung für eine fluidtechnische Einrichtung sowie damit ausgestattete fluidtechnische Einrichtung
DE10222890B4 (de) * 2002-05-23 2004-06-17 Bosch Rexroth Ag Elektrische Einrichtung für die Ansteuerung eines Mehrwegeventils mit einer Verschleißzustandserkennung
DE10310300A1 (de) * 2003-03-10 2004-09-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en Aktors, insbesondere eines Gaswechselventils einer Brennkraftmaschine
US7178353B2 (en) * 2004-02-19 2007-02-20 Advanced Thermal Sciences Corp. Thermal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02004033061A1 (de) * 2004-07-08 2006-02-09 Eilers, Helmut Kompressions-Kälteanlage mit Nutzung der Kompressionsenergie
WO2007061424A1 (en) * 2005-11-22 2007-05-31 Norgren, Inc. Valve with sensor
EP2042708A1 (en) * 2007-09-26 2009-04-01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Butterfly val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9030237A1 (de) * 2009-06-23 2010-12-30 Behr Thermot-Tronik Gmbh Längsschieber-Thermostatventil
CN103722024A (zh) * 2012-10-14 2014-04-16 陕西杰创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轧辊磨损度的系统
CN102913186A (zh) * 2012-10-30 2013-02-06 陕西启源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注气阀
CN202971969U (zh) * 2012-12-05 2013-06-05 四川渊合高分子材料科技有限公司 蝶阀阀板
CN105102868B (zh) * 2013-03-08 2017-05-24 株式会社富士金 流体控制装置以及流体控制装置上的热传感器设置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644Y1 (ko) * 2000-03-24 2000-10-02 송인구 마모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된 비통전물질제어용 밸브
JP2002276612A (ja) * 2001-03-21 2002-09-25 Takatani Engineering:Kk 水平維持装置
DE102011077901A1 (de) * 2011-06-21 2012-12-27 Behr Thermot-Tronik Gmbh Thermostatventil
JP2013137070A (ja) * 2011-12-28 2013-07-11 Nippon Thermostat Co Ltd 流体制御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341A (ko) 2017-04-26
US11378203B2 (en) 2022-07-05
EP3879154A1 (de) 2021-09-15
US20170284561A1 (en) 2017-10-05
DK3189258T3 (da) 2021-08-02
EP3189258A1 (de) 2017-07-12
KR102373745B1 (ko) 2022-03-11
CN107208823A (zh) 2017-09-26
DE102014012688B4 (de) 2022-04-21
WO2016034292A1 (de) 2016-03-10
US11079040B2 (en) 2021-08-03
US20210310582A1 (en) 2021-10-07
CN110118283A (zh) 2019-08-13
CN107208823B (zh) 2019-08-09
CN110118283B (zh) 2020-10-16
EP3751183B1 (de) 2024-04-03
ES2881604T3 (es) 2021-11-30
EP3751183A1 (de) 2020-12-16
EP3189258B1 (de) 2021-04-21
KR20200004473A (ko) 2020-01-13
DE102014012688A1 (de) 2016-04-07
US20190195390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785B1 (ko) 밸브의 마모도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668826B1 (ko) 액추에이터의 이상 검출 시스템
JP4707717B2 (ja) 少なくとも1つの空気弁アクチュエータ装置のための診断装置
CN105698903B (zh) 提供用于仪表校验结果的质量测量的方法
US2018016389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variable of a valve diaphragm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and motor-driven diaphragm valve, and diaphragm valve system
JP2005063443A (ja) 循環システムの診断方法及びその装置
RU2654807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клапана авиаци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CN105804831B (zh) 用于无线流体液位传感器的控制方法
HRP20190870T1 (hr) Sustav za detektiranje zamjene ventila i postupak njegove upotrebe
TW200848355A (en) Method for fault localization and diagnosis in fluidic installation
US95289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quantifying a leakage flow on an actuator
CN102348585A (zh) 用于运行液压或者气动系统的方法
AU201834021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actuating force on the basis of sound emission measurements
KR102406848B1 (ko) 웨지 드라이브 툴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EP3267274A1 (en) System for the predictive maintenance of valves and method for carrying out said maintenance
JP7457455B2 (ja) 流体制御弁用診断装置、流体制御装置、及び流体制御弁用診断プログラム
JP2019100696A (ja) 熱交換器の状態監視方法および熱交換器
KR102045746B1 (ko) 오폐수 펌프의 예지보전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SI1972906T1 (sl) Postopek za odkrivanje napak v senzorju pretoka
CN103827569A (zh) 带故障监测的冷凝液排水器
CN110926636A (zh) 具有主密封验证的热电偶套管
JP6835373B1 (ja) 圧縮空気圧回路において発生するドレン量計測システム
JP2021026268A (ja) バルブメンテナンス支援装置および支援方法
PL421324A1 (pl) Urządzenie do kontroli i sprawdzania filtra DPF oraz metodyka oce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