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76B1 - 안전 커플러 및 소켓 - Google Patents

안전 커플러 및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76B1
KR102374376B1 KR1020200110851A KR20200110851A KR102374376B1 KR 102374376 B1 KR102374376 B1 KR 102374376B1 KR 1020200110851 A KR1020200110851 A KR 1020200110851A KR 20200110851 A KR20200110851 A KR 20200110851A KR 102374376 B1 KR102374376 B1 KR 10237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leeve
longitudinal direction
socket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649A (ko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장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7065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80808A/ko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호 filed Critical 장준호
Priority to KR102020011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3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gate valve or sliding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20Safety or prote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안전 커플러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유체가 지나가는 관로가 형성된 몸체, 몸체의 일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어, 몸체의 일단에 인입되는 플러그를 고정 및 분리하는 슬리브, 몸체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과 몸체를 축으로 회전되어 슬리브를 고정하는 조절부 및 몸체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파이프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된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커플러 및 소켓{SAFETY COUPLER AND SOCKET}
본 발명은 안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소켓과 플러그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안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압축가스, 압축공기, 휘발유 등)를 사용하는 기계류나 공구류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며, 파이프의 중간에는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체의 압력에 의하거나, 사용 중에 커플러 부분이 작업장의 바닥에 끌리거나, 작업장의 사물에 걸리는 등의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플러그와 소켓이 분리되면서 불특정 위치로 순간 이동하여 충돌 및 충격을 주게 되므로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에 흐르던 유체가 밖으로 유출됨에 따라 폭발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커플러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은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진 커플러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 커플러에 있어서,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유체가 지나가는 관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어,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에 인입되는 플러그를 고정 및 분리하는 슬리브,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과 상기 몸체를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슬리브를 고정하는 조절부 및 상기 몸체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파이프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된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홈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몸체를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리거나,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고정홈에 끼움되어,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고정홈에 끼움되어, 상기 슬리브와 연접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슬리브의 전후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림턱이 걸림 부재에 걸리어, 상기 슬리브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슬리브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에는 상기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유체홈과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제2 유체홀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1 유체홀과 상기 제1 유체홀과 대응되게 제2 유체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유체홀 및 제2 유체홀 사이에 상기 관로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막는 가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은 상기 유체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와 연접한 위치에 상기 조절부가 고정된 경우, 상기 연결부에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몸체의 관로를 일부를 지나고, 상기 가림막에 의해 상기 제1 유체홀을 통과하여 상기 유체홈을 지나며, 인접한 다른 제2 유체홀을 통과하여 남은 몸체의 관로를 지나 상기 플러그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조절부가 고정된 경우,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유체홀이 차단되어 상기 연결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상기 플러그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부재는 타원형으로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상기 조절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 인입되어 상기 슬리브에 의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파이프와 연결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할 때, 별도의 시설을 통해서 유체의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커플러 자체에서 유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시킬 때, 유체를 차단함으로써, 작업자가 플러그와 소켓의 분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시킬 때, 유체를 차단함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의 분리 시에 유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이동될 때 슬리브의 전후 이동이 고정됨으로써, 플러그가 소켓에서 빠지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과 플러그로 이루어진 안전 커플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내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플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SOCKET)(10)과 플러그(PLUG)(20)로 이루어진 안전 커플러(COUPLER)(1)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안전 커플러(1)는 소켓(10)과 플러그(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10)과 플러그(20)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소켓(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10)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10)의 내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4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켓(10)은 몸체(100), 조절부(200), 슬리브(300) 및 연결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유체가 지나가는 관로(10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가스, 공기, 물, 휘발유 등일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관로(109)에서 유체홈(201)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1 유체홀(102) 및 제2 유체홀(10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체홀(103)은 제1 유체홀과 대응되게 몸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관로(109)에서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막는 가림막(107)이 제1 유체홀(102) 및 제2 유체홀(103)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림막(107)은 몸체(100)의 내측에 제1 유체홀(102) 및 제2 유체홀(10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외주면에는 걸림 부재(101)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몸체(100) 일단의 외주면에는 록킹홀(105)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록킹홀(105) 안에는 록킹볼(106)이 록킹홀(105)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록킹볼(106)은 몸체(100)의 내측에 인입되는 플러그(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록킹볼(106)은 슬리브(300)에 의해 록킹홀(105) 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내측면에는 오링(10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104)는 몸체(100)의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된 플러그(20)와 몸체(100) 사이에 틈을 최소화하여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일단 가장자리에는 고정링(108)이 위치하여, 슬리브(300)가 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반대 일단 가장자리에는 오링(1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110)은 몸체(100)에 연결부(400)가 연결되었을 때,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절부(200)는 몸체(100)의 외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200)는 몸체(100)를 조절부(200)의 관내에 위치시켜, 몸체(100)를 감싸 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20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몸체(10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200)는 전후 이동과 회전으로 몸체(10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슬리브(300)를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조절부(200)의 슬리브(300) 고정 방식과 관련하여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조절부(200)에는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유체홈(205)과 몸체(100)에 형성된 유체홀(102, 103)을 차단하는 차단부(204)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00)의 내측에는 걸림 부재(101)와 결합되는 고정홈(202)과 걸림턱(20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200)는 몸체(100)를 축으로 회전되어 내부의 걸림턱(203)이 몸체(100)의 걸림 부재(101)에 걸리거나, 몸체(100)의 걸림 부재(101)가 고정홈(202)에 끼움됨으로써,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후 이동이 불가능 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00)의 걸림턱(203)은 몸체(100)의 걸림 부재(10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조절부(200)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00)의 내측에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205)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링(205)은 유체가 유체홈(205)을 지날 때, 유체가 조절부(20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리브(300)는 몸체(100)의 일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어, 몸체(100)의 일단에 인입되는 플러그(20)를 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00)의 내측에는 단턱(302)이 형성되며, 단턱(302)은 록킹볼(106)이 록킹홀(105)에서 튀어나오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턱(302)이 록킹볼(106)을 록킹홀(105)에서 튀어나오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록킹볼(106)이 플러그(20)가 소켓(10)에 결합된 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00)의 내측엔 스프링(301)이 형성되어 평상시에 슬리브(300)의 단턱(302)이 록킹볼(106)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평상시는 사용자에 의해 슬리브(300)에 힘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로, 슬리브(300)의 위치가 힘이 가해지지 않은 채 고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커플러(1)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20)는 몸체(100)의 일측에 인입되고, 플러그(20)의 구속홈(21)에 록킹볼(106)이 결합됨으로써, 플러그(20)가 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300)의 단턱(302)이 록킹볼(106)을 눌러 록킹홀(105)에 고정되게 하고, 록킹볼(106)이 플러그(20)의 구속홈(21)에 위치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20)가 몸체(100)에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슬리브(300)는 스프링(301) 및 고정링(108)에 의해 평상시에는 일정 위치를 고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슬리브(300)는 스프링(310)에 의해 단턱(302)이 록킹볼(106)에 접한 상태를 평상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슬리브(30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302)은 고정링(108)에 걸려 슬리브(300)가 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몸체(10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어, 호스 또는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소켓(10)은 경우에 따라 상술한 구성을 일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10)은 몸체(100), 조절부(200) 및 슬리브(3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러그(20)는 일단이 몸체(100)의 일단에 인입되고, 인입 후 슬리브(300)에 의해 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일단은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20)는 소켓(10)과 결합하기 위한 구속홈(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플러그(20)는 구속홈(21)이 형성된 일단이 몸체(100)의 일단에 인입된 후, 록킹볼(10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록킹볼(106)은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에 의해 록킹홀(105) 내측에 고정되거나, 록킹홀(105) 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슬리브(300)가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단턱(302)이 록킹볼(106)을 누르고 고정하고 있으므로, 플러그(20)의 구속홈(21)에 록킹볼(106)은 구속된 채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슬리브(300)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고 단턱(302)이 록킹볼(106)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플러그(20)의 구속홈(21)에 구속되었던 록킹볼(106)이 이탈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플러그(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안전 커플러(1)의 각 구성의 동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몸체(100)의 외주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걸림 부재(101)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조절부(200)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조절부(200)의 걸림턱(203) 및 고정홈(202)는 걸림 부재(101)에 대응되게 조절부(2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절부(200)의 내측(206)은 걸림 부재(10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200)가 몸체(100)를 축으로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조절부(200)의 내주면과 몸체(100)의 외주면이 대응되는 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몸체(100)가 조절부(200)의 내측을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즉, 조절부(200)는 회전하는 정도로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200)가 몸체(100)를 축으로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몸체(100)의 걸림 부재(100)가 걸림턱(203)에 걸리거나, 고정홈(202)에 걸림 부재(100)가 끼움됨에 따라, 몸체(100)가 조절부(200)의 내측을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조절부(200)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몸체(100)에 기준선(e)와 조절부(200)의 기준선(d)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조절부(200)가 몸체(100)에 고정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몸체(10)에 형성된 기준선(e)과 조절부에 형성된 기준선(d)가 일직선에 놓이는 경우에는 몸체(100)의 외주면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걸림 부재(101)는 조절부(2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조절부(200)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b)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몸체(10)에 형성된 기준선(e)과 조절부에 형성된 기준선(d)가 일직선에 놓이지 않는 경우에는 조절부(200)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b)으로 전후 이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몸체(10)에 형성된 기준선(e)과 조절부에 형성된 기준선(d)가 일직선에 놓이지 않는 경우, 몸체(100)의 걸림 부재(100)가 걸림턱(203)에 걸리거나, 고정홈(202)에 걸림 부재(100)가 끼움된 경우가 되어 조절부(200)가 몸체(100)의 길이 방향(b)으로 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도 8와 같이 조절부(200)가 슬리브(300)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조절부(200)는 슬리브(300)의 몸체(100) 길이 방향의 전후 이동(c)의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절부(200)는 회전에 의해 걸림턱(203)이 걸림 부재(101)에 걸리고, 슬리브(30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300)의 (c) 방향으로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조절부(200)는 위치하는 지점에 따라 유로를 차단하거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200)가 슬리브(30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경우 조절부(200) 내측에 형성된 차단부(204)는 복수의 제2 유체홀(103)을 모두 차단하여 유체가 관로(109)의 일부분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ㄱ)방향으로 유입되는 경우, 몸체(100) 내측에 형성된 가림막(107) 및 차단부(204)에 의해 유체는 관로(109)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즉, 조절부(200) 내측에 형성된 차단부(204)는 유체가 안전 커플러(1)에 흐르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 및 도 11와 같이 조절부(200)가 슬리브(30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면, 유체의 흐름이 소켓(10) 내에서 차단되고, 이와 동시에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c)이 제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슬리브(300)를 이동시켜, 록킹볼(106)을 고정시킨 단턱(302)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록킹홀(105)에서 록킹볼(106)이 이탈 가능하게 됨으로써 플러그(20)를 소켓(10)에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기 수 있다.
즉, 플러그(20)가 소켓(10)에서 고정되지 않고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조절부(200) 내측에 형성된 차단부(204)가 복수의 제2 유체홀(103)을 모두 차단하여 유체가 관로(109)의 일부분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 몸체(100) 내측에 형성된 가림막(107) 및 차단부(204)에 의해 유체가 관로(109)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20)와 소켓(10)을 분리 또는 결합시킬 때 유체를 미리 차단함으로써, 플러그(20)와 소켓(10)의 분리 시에 유체의 유출을 막고 작업자가 플러그(20)와 소켓(10)의 분리 또는 결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연결부(400)에서 플러그(20)방향으로 흐르는 유체를 예시로 들었으나, 반대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차단될 수 있으며,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른 일부 구성의 위치, 형태 등의 변경은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상술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13을 참조하여, 안전 커플러(1)에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 해제하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1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10)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조절부(200)는 슬리브(300)에 연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200)를 슬리브(300)에 연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몸체(100)를 축으로 회전(a)하여 걸림 부재(101)가 고정홈(202)에 끼움됨으로써, 조절부(200)를 슬리브(300)에 연접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 부재(101)가 고정홈(202)에 끼움됨으로써, 조절부(200)는 몸체(100)에 고정되어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300)와 연접한 위치에서 조절부(200)가 고정된 경우, 연결부(400)에서 유입된 유체는 몸체(10)를 지나 플러그(20)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브(300)와 연접한 위치에 조절부(200)가 고정된 경우, 연결부(400)에서 유입된 유체는 몸체(100)의 관로(109)를 지나고, 가림막(107)에 의해 제1 유체홀(102)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체홈(201)을 통과한 유체는 인접한 다른 제2 유체홀(103)을 통과하고 남은 몸체(100)의 관로(109)를 지나 플러그(2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유체가 이동될 때 유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이 고정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20)가 소켓(10)에서 임의로 빠지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커플러(1)는 도시된 바와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인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가림막(107)에는 유체홀(102, 103)으로 유체가 유입 또는 유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10)이 더욱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107)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림막(109)은 가장 자리에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홈(110)은 유체홀(102, 10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0)은 완만한 홈으로 이루어져 유체가 유체홀(102, 103)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거나, 유체홀(102, 103)에서 관로(109) 방향으로 유체가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커플러(1)에 따르면, 조절부(200)는 슬리브(30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c)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조절부(200) 내측에 형성된 차단부(204)는 복수의 제2 유체홀(103)을 모두 차단하여 유체가 관로(109)의 일부분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플러그(20)와 소켓(10)을 분리시킬 때 유체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작업자가 플러그(20)와 소켓(10)의 분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101)가 고정홈(202)에 끼움되어 조절부(200)가 몸체(100)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300)와 연접한 위치에 조절부(200)가 고정된 경우에는, 연결부(400)에서 유입된 유체가 소켓(10)을 통과하여 플러그(2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슬리브(300)의 전후 이동은 고정됨으로, 플러그(20)가 유압에 의해 소켓(10)에서 임의로 빠지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안전 커플러 10 : 소켓
20 : 플러그 21 : 구속홈
100 : 몸체 101 : 걸림 부재
102 : 제1 유체홀 103 : 제2 유체홀
104,110 : 오링 105 : 록킹홀
106 : 록킹볼 107 : 가림막
108 : 고정링 109 : 관로
110 : 가이드 홈 200 : 조절부
201 : 유체홈 202 : 고정홈
203 : 걸림턱 204 : 차단부
205 : 오링 206 : 내측
300 : 슬리브 301 : 스프링
302 : 단턱 400 : 연결부

Claims (15)

  1. 유체가 이동하는 관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인입되는 플러그와 상기 몸체를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슬리브;
    상기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관체와 연통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상기 관로와 함께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유체홀; 및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홀은,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유체홀; 및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체홀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유체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유체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체홈;
    상기 조절부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고정홈; 및
    상기 조절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맞물리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걸림부재가 이탈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재에 맞물리는 경우 상기 조절부의 일단이 상기 슬리브의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2 유체홀을 차단하여 유체가 상기 관로의 일부분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상기 슬리브의 전후 이동 제한이 해제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슬리브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홈에 상기 걸림부재가 수용될 경우 상기 조절부의 일단이 상기 슬리브의 단부와 접촉하며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유로가 개방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두개의 직선변과 상기 두개의 직선변을 연결하는 두개의 곡선변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부의 내측면은 상기 걸림부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조절부가 상기 몸체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조절부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 및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탄성 가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의 일단과 상기 슬리브의 단부가 이격되어 상기 슬리브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 경우 상기 슬리브의 위치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유체홀과 상기 제2 유체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관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를 상기 제1 유체홀 또는 제2 유체홀로 안내하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유체홀과 상기 제2 유체홀은 상기 유체홈과 연통되며, 상기 유로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2 유체홀은 상기 차단부에 의해 상기 유체홈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개방된 경우,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슬리브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슬리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차단된 경우, 상기 조절부의 일단은 상기 슬리브의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슬리브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10851A 2018-12-27 2020-09-01 안전 커플러 및 소켓 KR10237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51A KR102374376B1 (ko) 2018-12-27 2020-09-01 안전 커플러 및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59A KR20200080808A (ko) 2018-12-27 2018-12-27 안전 커플러 및 소켓
KR1020200110851A KR102374376B1 (ko) 2018-12-27 2020-09-01 안전 커플러 및 소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659A Division KR20200080808A (ko) 2018-12-27 2018-12-27 안전 커플러 및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649A KR20200105649A (ko) 2020-09-08
KR102374376B1 true KR102374376B1 (ko) 2022-03-14

Family

ID=8082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51A KR102374376B1 (ko) 2018-12-27 2020-09-01 안전 커플러 및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272A (ja) * 1998-08-07 2000-02-22 Hiroaki Taguchi 高圧用迅速継手
KR200344245Y1 (ko) * 2003-12-05 2004-03-10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라이드 밸브 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272A (ja) * 1998-08-07 2000-02-22 Hiroaki Taguchi 高圧用迅速継手
KR200344245Y1 (ko) * 2003-12-05 2004-03-10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라이드 밸브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649A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997B2 (en) Fluid coupling
JP6285224B2 (ja) クイックコネクト継手雌部材とその部材を備えたクイックコネクト継手
JP4611757B2 (ja) 輸液ラインの接続装置
US10161552B2 (en) Coaxial fluid connector
US10442287B2 (en) Filling device
US6422267B1 (en) Pipe coupling
KR20140066650A (ko) 암컷 신속 연결 결합구 요소 및,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신속 연결 결합구
KR102101244B1 (ko) 유체기기 유닛
KR20170075659A (ko) 퀵 커넥터용 소켓 요소와 소켓 요소를 구비하는 퀵 커넥터
KR102374376B1 (ko) 안전 커플러 및 소켓
US10525820B2 (en) Filling device
CN109237295B (zh) 填充装置
JP2011075055A (ja) 管継手の雌型継手部材
JP4691227B2 (ja) 迅速継手のソケット
KR20200080808A (ko) 안전 커플러 및 소켓
KR102440670B1 (ko) 퀵 커넥터
ES2951635T3 (es) Sistema de acoplamiento para mangueras y/o tuberías y procedimiento para establecer y detener un flujo de fluido
US3308815A (en) Connector regulator for breathing mask
EP3511602B1 (en) Quick-coupling with internal slide locking mechanism
JP6300688B2 (ja) 雌型管継手部材
JP5249846B2 (ja) 誤接続防止装置及び誤接続防止構造
JP5576448B2 (ja) アダプタ
JP5836139B2 (ja) 誤接続防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5676725B2 (ja) アダプタ
EP3719381B1 (en) Fil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0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430

Effective date: 2022012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