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40B1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40B1
KR102374340B1 KR1020170039004A KR20170039004A KR102374340B1 KR 102374340 B1 KR102374340 B1 KR 102374340B1 KR 1020170039004 A KR1020170039004 A KR 1020170039004A KR 20170039004 A KR20170039004 A KR 20170039004A KR 102374340 B1 KR102374340 B1 KR 10237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eat dissipation
side plate
electric moto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304A (ko
Inventor
모토히로 노노가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3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specially adapted for liquids, e.g. cooling j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lex Calcu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손가락 등과 전동 모터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릴 본체(1)에 설치되어,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과, 릴 본체(1)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스풀(5)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M)와,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전동 모터(M)의 주위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커버 부재에는, 전동 모터(M)의 전방이 되는 부위 및 측방이 되는 부위 중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321, 322, 34a)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 {ELECTRICALLY DRIVEN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구동용의 전동 모터를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의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을 권취하여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낚시용 전동 릴은 실제 낚시에 있어서, 낚싯봉, 낚시 도구, 물고기 등에 의해 장력이 가해진 낚싯줄을 다량으로 권취해야만 한다.
낚시용 전동 릴의 전동 모터는 양 측판 사이 및 스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열성이 바람직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장력이 가해진 낚싯줄을 다량으로 권회하고 있으면, 전동 모터가 가열되기 쉬워져, 모터 성능이 저하되고 귄상 효율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향상시킨 낚시용 전동 릴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와, 이 모터 케이스에 설치된 방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구동에 의해 전동 모터로부터 발해지는 열을 방열 부재를 통해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4273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릴 본체에 방열 부재가 노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제 낚시 시 등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방열 부재에 잘못하여 접촉할 우려가 있어, 이를 개선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었다. 또한, 방열 부재의 형상에 따라서는, 줄 늘어짐 등에 의해 불어난 낚싯줄이 방열 부재에 휘감길 우려도 있고, 낚시 조작성이 저하되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손가락 등과 모터 케이스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모터 케이스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에 설치되어,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 모터의 주위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전동 모터의 전방이 되는 부위 및 상기 전동 모터의 측방이 되는 부위 중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전동 모터의 주위를 커버 부재로 덮으면서,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커버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전방이 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릴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방측판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전방측판의 개구부를 통해 릴 본체의 전방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판은 상기 개구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낚싯줄 안내용의 창 구멍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창 구멍 사이에 형성되어,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에 부착된 물방울을 창 구멍 통과 시에 경사부에 대해 적하할 수 있다. 경사부에 적하된 물방울은 경사부 위를 내려가 개구부에 흐른다. 이에 의해, 개구부에 흐른 물방울에 의해 전동 모터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창 구멍을 따라서,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창 구멍 통과 시에 창 구멍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적하된 물방울은 경사부 위를 내려가 개구부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개구부에 흐른다. 이에 의해, 개구부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전동 모터를 물방울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의 측방이 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릴 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측판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측판의 개구부를 통해 릴 본체의 측방의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는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받는 방열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방열 부재를 통해 개구부로부터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전동 모터의 주위를 커버 부재로 덮으면서,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커버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전동 모터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시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전동 모터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전방측판이나 측판 등의 통상 사용되는 부재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외기로 방열할 수 있으므로, 큰 설계 변경을 행하지 않고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에 부착된 물방울을 이용하여 전동 모터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전동 모터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창 구멍 통과 시에 창 구멍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적하된 물방울로, 개구부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전동 모터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전동 모터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 부재를 갖는 구성에서는 전동 모터로부터 나오는 열을 방열 부재를 통해 개구부로부터 외기로 적합하게 방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전동 모터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전동 모터의 방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을 도시하는 평면도(일부 생략).
도 2는 동일하게 우측 후방 경사 상방에서 본 낚시용 전동 릴의 사시도.
도 3의 (a)는 우측 프레임으로부터 지지부를 제거한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b)는 우측 프레임에 지지부를 고정한 릴 본체의 측면도.
도 4의 (a)는 우측 프레임으로부터 우측판을 제거한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b)는 우측 프레임에 우측판을 고정한 릴 본체의 측면도.
도 5는 덮개, 측부 방열 부재 및 우측판을 제거한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의 (a)는 전방측판의 정면도, (b)는 릴 본체의 정면도.
도 7은 전방부 방열 부재 및 전방측판을 제거한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전방부 방열 부재 및 전방측판을 우측 후방 경사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4의 (b)의 C-C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를 말할 때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상하」를 말할 때는,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용 전동 릴은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부재로서의 측판(3)을 구비한 릴 본체(1)를 갖고 있다.
프레임(2)은 릴 본체(1)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고, 좌측 프레임(2a), 우측 프레임(2b) 및 스풀(5)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2c)(도 5 내지 도 7 참조)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좌측 프레임(2a), 우측 프레임(2b), 전방 프레임(2c)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좌측 프레임(2a), 우측 프레임(2b), 전방 프레임(2c)을 별체로 형성하고, 고정 수단 등에 의해 일체화해도 되고,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좌우 프레임(2a, 2b)은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지주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하방의 도시하지 않은 지주에는 낚싯대의 릴 시트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릴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좌우 프레임(2a, 2b), 전방 프레임(2c)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다. 좌우 프레임(2a, 2b)의 상부 에지에는 카운터 케이스(14)가 적재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2c)은 좌우 프레임(2a, 2b)에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내부에는 전동 모터(M)(도 5 참조)가 수용된다. 전방 프레임(2c)은 전동 모터(M)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60)(도 5 참조)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모터 케이스(60)의 상세는 후기한다.
측판(3)은 좌측 프레임(2a)을 덮는 좌측판(30A)과, 우측 프레임(2b)을 덮는 우측판(30B)과, 전방 프레임(2c)을 덮는 전방측판(30C)을 구비하고, 낚시꾼의 손에 의해 악지되거나, 보유 지지되거나 하는 부분(낚시꾼의 손이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좌측판(30A), 우측판(30B) 및 전방측판(30C)은 개별적으로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고, 좌측 프레임(2a), 우측 프레임(2b) 및 전방 프레임(2c)에 각각 장착된다.
우측 프레임(2b)에는 지지부(3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우측 프레임(2b)은 서로 별개가 된 2개의 부재[우측판(30B) 및 지지부(31)]로 덮여 있다. 지지부(31)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권취 조작되는 핸들(70)의 핸들축(7) 및 피니언 기어축(9j)을 지지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프레임(2a, 2b) 사이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5)의 전방에는 전동 모터(M)가 배치되어 있고, 스풀(5)은 핸들(70)의 권취 조작 및 전동 모터(M)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력 전달 기구를 이루는 공지의 감속 기구 G1 등을 통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동 모터(M)는 카운터 케이스(14)의 후방측에 있어서의 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한 조작 레버(6)의 전후 방향의 회전 조작으로, 모터 출력이 증감 조절된다.
스풀(5)은 낚싯줄이 권회되는 낚싯줄 권회 동체부(5a)를 구비하고 있고, 그 양단에는 권회되는 낚싯줄을 규제하는 플랜지(5b, 5c)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5)은 스풀축(5d)에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통해 좌우 프레임(2a, 2b)에 지지되어 있다.
스풀(5)에는 감속 기구 G1 및 우측 프레임(2b)에 설치된 공지의 감속 기구 G2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감속 기구 G1은 전동 모터(M)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M)의 출력을 감속한다. 감속 기구 G1에 의해 감속된 회전 구동력은 공지의 동력 전달부 G3을 통해 스풀축(5d)에 전달된다.
또한, 감속 기구 G2는 우측 프레임(2b)측에 설치되어 있고, 스풀축(5d)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스풀(5)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스풀(5)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55)을 통해 피니언 기어축(9j)이 연결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2b)을 덮는 지지부(31)는 금속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지지부(31)는 핸들축(7)의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이고, 우측 프레임(2b)에 대해 직접 고정되어 있다. 우측판(30B)은 지지부(3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부재이고, 우측 프레임(2b)에 대해 직접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31)는 알루마이트 가공 처리 등에 의해 컬러링 가능하다.
지지부(31)는, 도 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 지지부(31a)와, 피니언 기어축 지지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축 지지부(31a)의 내측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동판(32a)을 구비하는 드래그 기구(32) 및 드라이브 기어(8)가 수용되어 있다. 핸들축 지지부(31a)는 베어링 부재(31d) 및 홀더(32b)를 통해 핸들축(7)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핸들축(7)에는 드래그 기구(32)를 통해 드라이브 기어(8)가 마찰 결합하고 있다. 또한, 핸들축(7)의 기단부(7a)는 우측 프레임(2b)에 공지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7)은 공지와 같이 역전 방지 기구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의 정회전을 허용하여, 낚싯줄 조출 방향의 역회전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축 지지부(31b)의 내측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9)가 수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축 지지부(31b)의 저부(31e)에는 베어링이 되는 베어링 부재(31f)를 통해 피니언 기어축(9j)의 선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축(9j)은 스풀(5)에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9)에는 드라이브 기어(8)가 교합하고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축 지지부(31b)의 내측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클러치 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9a)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다.
지지부(31)는, 도 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용 나사(31m, 31n)로 우측 프레임(2b)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부(31)는 우측판(30B)과는 독립하여 우측 프레임(2b)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판(30B)은 지지부(31)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고, 우측 프레임(2b)에 대해 독립하여 고정되는 부재이다. 우측판(30B)에는 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33)를 통해, 지지부(31)의 핸들축 지지부(31a) 및 피니언 기어축 지지부(31b)가 우측판(30B)의 우측에 노출되는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도 2, 도 9 참조).
개구부(33)의 후방 상부 에지부에는 우측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5)는,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지지부(35)에는 공지의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38)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38)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9a)[도 4의 (a), 도 9 참조]가 슬라이드되어, 클러치 기구의 결합 분리(온/오프)가 이루어진다.
우측판(30B)의 전방부에는,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의 모터 커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커버부(34)에는 전동 모터(M)(도 5 참조)의 방열용의 개구부(34a)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모터 커버부(34)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측부 방열 부재(37)가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34a)의 크기는 실제 낚시 시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 방열 부재(37)는, 예를 들어 방열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구리 합금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 방열 부재(37)의 우측면에는 주위 홈(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위 홈(37a)에 의해, 측부 방열 부재(37)의 우측면의 방열 면적이 증대하고 있다. 측부 방열 부재(37)는 상기 개구부(34a)를 통해 모터 커버부(34)의 측방으로부터 면해지는 개구부(34a) 내에 노출되어 있다[도 4의 (b) 참조]. 측부 방열 부재(37)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34p)을 통해, 모터 커버부(34)의 내면에 밀착하고 있다. 측부 방열 부재(37)는 알루마이트 가공 처리 등에 의해 컬러링 가능하다.
전동 모터(M)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60)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 케이스(60)는 상기한 전방 프레임(2c)과, 덮개(62)(도 9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2c)은 전동 모터(M)를 수용 가능한 내경을 갖고 있다. 전방 프레임(2c)은 좌우 프레임(2a, 2b)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덮개(62)는 전동 모터(M)의 우측부를 덮고 있다. 덮개(62)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2c)의 우측 에지부(63)에 O링(63a)을 통해 스피곳 결합되어 있다. 덮개(6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에지의 플랜지부(62f)에 형성된 각 나사 구멍(62g)에 나사(62h)를 삽입 관통하고, 이것을 우측 프레임(2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우측 프레임(2b)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모터(M)를 모터 케이스(60)에 수용하고 있지만, 모터 케이스(60)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덮개(62)의 주위면에는 전동 모터(M)의 전선 M1이 인출되는 인출구(6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선 M1은 전동 모터(M)의 도출부 M5(도 5 참조)로부터 인출구(62a)를 통해 직경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전선 M1은 카운터 케이스(14)(제어 기판)측의 도시하지 않은 전선과 접속된다.
덮개(62)의 저부(62b)에는, 도 5,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결합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62c)는 측부 방열 부재(37)의 대향면에 형성된 환형의 오목부(37c)(도 9 참조)에 걸림 결합된다. 또한, 걸림 결합부(62c)의 내측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M)의 축부 M2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62e)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62b)의 내면(좌측면)에는 전동 모터(M)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 결합 돌기부(62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 돌기부(62f)는 전동 모터(M)의 우측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 구멍 M3에 걸림 결합 가능하다. 이 걸림 결합에 의해, 전동 모터(M)의 우측부가 덮개(62)에 위치 결정된다.
전동 모터(M)로부터 발생한 열은 모터 케이스(60)의 일부인 덮개(62)를 통해 측부 방열 부재(37)에 전해지고, 측부 방열 부재(37)로부터 우측판(30B)의 개구부(34a)를 통해 릴 본체(1)의 우측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은 개구부(34a)를 갖는 우측판(30B)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주연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나사 구멍(36a)에 고정 나사(36b)를 각각 삽입 관통하고, 이들을 우측 프레임(2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우측 프레임(2b)에 고정된다.
전방측판(30C)은,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2c)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전방측판(30C)은 모터 케이스(60)를 구성하는 전방 프레임(2c)의 일부를 덮는 손가락 가드용의 커버로서 기능한다. 즉, 전방측판(30C)은 모터 케이스(60)에 손가락이 잘못하여 접촉해 버리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하고 있다. 전방측판(30C)과 전방 프레임(2c) 사이에는 전방부 방열 부재(350)가 개재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판(30C)은 하부(301)와, 측부(302, 303)와, 상부(304)와, 전방부(305)와, 경사부(325)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판(30C)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302, 303)와, 전방부(305)와, 경사부(325)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개구부(321)를 갖고 있다. 또한, 전방측판(30C)은 측부(302, 303)와, 하부(301)와, 전방부(305)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개구부(322)를 갖고 있다. 또한, 전방측판(30C)은 측부(302, 303)와, 전방부(305)와, 상부(304)에 의해 둘러싸이는, 낚싯줄 안내용의 창 구멍(323)을 갖고 있다. 창 구멍(323)은 스풀축(5d)(도 1 참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로로 긴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창 구멍(323)에는 스풀(5)(도 1 참조)에 낚싯줄을 균등하게 권회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는 공지의 레벨 와인드 기구에 의해 창 구멍(323)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개구부(321) 및 제2 개구부(322)는 창 구멍(323)의 형상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321, 322)는 모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2c)[모터 케이스(60)]에 대향하고 있다.
제1 개구부(321)는,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 구멍(323)의 하방 위치가 되는, 전방측판(30C)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창 구멍(323)과 제1 개구부(321) 사이에는 경사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25)는 창 구멍(323)으로부터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면을 갖고 있다. 제1 개구부(321)는 창 구멍(323)과 대략 동일 정도의 개구 면적을 갖고 있다.
제2 개구부(322)는 전방부(305)를 사이에 두고 제1 개구부(321)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322)는 제1 개구부(321)보다도 작은 개구 면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제1 개구부(321) 및 제2 개구부(322)로부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방열 부재(350)가 면하고 있다. 제1 개구부(321) 및 제2 개구부(322)는 실제 낚시 시에 릴 본체(1)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측부(302, 303)로 가드되고, 모터 케이스(60)[전방부 방열 부재(350)]가 내측(후방측)에 들어가 있다. 또한, 제1 개구부(321) 및 제2 개구부(322)의 크기는 실제 낚시 시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들어가기 어렵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부(302)의 상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좌측 프레임(2a)(도 7 참조)에 설치되는 연장부(306)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측부(303)의 상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우측 프레임(2b)(도 7 참조)에 설치되는 연장부(307)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305)의 후방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용의 종리브(308)가 설치되어 있다. 종리브(308)는 제1 개구부(321)와 제2 개구부(322)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301)의 후방면에는 마찬가지로 보강용의 종리브(309)가 설치되어 있다.
창 구멍(323)의 후방부 개구 에지(326)에는 좌우 한 쌍의 걸림 결합 돌기부(327, 327)와, 좌우 한 쌍의 나사 구멍(329, 3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301)의 후방면에는 종리브(309)를 사이에 두도록 좌우 한 쌍의 보스부(301a, 301a)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는, 도 8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판(30C)의 후방면에 설치된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는 박판이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2c)의 외형상을 따르는 단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는, 예를 들어 방열성이 양호한,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구리 합금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는 알루마이트 가공 처리 등에 의해 컬러링 가능하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의 상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352)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52)에는 좌우 한 쌍의 걸림 결합 구멍(355, 355) 및 좌우 한 쌍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356, 356)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걸림 결합 구멍(355, 355)은 전방측판(30C)의 좌우 한 쌍의 걸림 결합 돌기부(327, 327)에 대응하고 있고, 걸림 결합 돌기부(327, 327)에 걸림 결합 가능하다. 좌우 한 쌍의 나사 삽입 관통 구멍(356, 356)은 전방측판(30C)의 좌우 한 쌍의 나사 구멍(329, 329)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의 상단부[절곡부(352)]는 각 나사 삽입 관통 구멍(356)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삽입 관통하고, 각 나사를 전방측판(30C)의 나사 구멍(329)에 각각 나사 결합함으로써, 전방측판(30C)에 고정된다.
한편, 전방부 방열 부재(350)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구부러진 좌우 한 쌍의 설치편(353, 353)이 형성되어 있다. 각 설치편(353)에는 나사 구멍(357)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357)은 전방측판(30C)의 좌우 한 쌍의 보스부(301a, 301a)에 대응하고 있다. 전방부 방열 부재(350)의 하단부[각 설치편(353)]는 각 나사 구멍(357)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삽입 관통하고, 각 나사를 전방측판(30C)의 보스부(301a)에 각각 나사 결합함으로써, 전방측판(30C)에 고정된다.
전동 모터(M)로부터 발생한 열은 모터 케이스(60)의 일부인 전방 프레임(2c)을 통해 전방부 방열 부재(350)에 전해지고, 전방부 방열 부재(350)로부터 전방측판(30C)의 2개의 개구부(321, 322)를 통해 릴 본체(1)의 전방의 외기로 방열된다.
또한, 전방부 방열 부재(350)는 모터 케이스(60)의 일부인 전방 프레임(2c)에 대해 밀착해도 되고, 밀착하지 않고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전방부 방열 부재(350)는 전방측판(30C)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전방 프레임(2c)이나 좌우 프레임(2a, 2b)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전동 모터(M)의 주위를 전방측판(30C)이나 우측판(30B)으로 덮으면서, 전동 모터(M)로부터 모터 케이스(60)[전방 프레임(2c), 덮개(62)]에 전해진 열을, 제1 개구부(321), 제2 개구부(322) 및 개구부(34a)를 통해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모터 케이스(60)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모터 케이스(60)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낚시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전동 모터(M)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전방측판(30C)이나 우측판(30B) 등의 통상 사용되는 부재에 개구부(321, 322, 34a)를 형성함으로써, 전동 모터(M)로부터 모터 케이스(60)에 전해진 열을 외기로 방열할 수 있으므로, 큰 설계 변경을 행하지 않고 모터 케이스(60)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측판(30C)은 창 구멍(323)과 제1 개구부(321) 사이에 경사부(32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에 부착된 물방울을 창 구멍(323)의 통과 시에 경사부(325)에 대해 적하할 수 있다. 경사부(325)에 적하된 물방울은 경사부(325) 위를 내려가 제1 개구부(321)에 흐른다. 이에 의해, 제1 개구부(321)에 흐른 물방울에 의해 전방부 방열 부재(350)[모터 케이스(60)]를 적합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낚싯줄 권취 시에 낚싯줄에 부착된 물방울을 이용하여 전방부 방열 부재(350)[모터 케이스(60)]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모터 케이스(60)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모터 케이스(60)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부(321)는 창 구멍(323)을 따라서, 스풀축(5d)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창 구멍(323)의 통과 시에 창 구멍(323)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적하된 물방울은 경사부(325) 위를 내려가 제1 개구부(321)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제1 개구부(321)에 흐른다. 이에 의해, 제1 개구부(321)의 연장 방향에 걸쳐서 전방부 방열 부재(350)[모터 케이스(60)]를 물방울에 의해 냉각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4a)의 내측에 모터 케이스(60)로부터의 열을 받는 측부 방열 부재(37)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1 개구부(321)의 내측에 모터 케이스(60)로부터의 열을 받는 전방부 방열 부재(35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통해 외기로 모터 케이스(6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모터 케이스(60)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모터 케이스(60)의 방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판(30C)에 제1 개구부(321) 및 제2 개구부(322)를 형성하고, 우측판(30B)에 개구부(34a)를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방측판(30C)은 제1 개구부(321) 및 제2 개구부(322)의 양쪽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어도 된다.
또한, 제1 개구부(321), 제2 개구부(322) 및 개구부(34a)의 수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계 사양에 따라 설정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개구부(321)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실제 낚시 시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전방부 방열 부재(350)에 접촉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방열 부재(350)나 측부 방열 부재(37)는 반드시 설치하지는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우측판(30B)의 개구부(34a)나 전방측판(30C)의 제1 개구부(321), 제2 개구부(322)에 모터 케이스(60)를 직접 면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 : 릴 본체
3 : 측판
5 : 스풀
30 : 모터 케이스
37 : 측부 방열 부재(방열 부재)
30A : 좌측판(커버 부재)
30B : 우측판(커버 부재)
30C : 전방측판(커버 부재)
34a : 개구부
321 : 제1 개구부(개구부)
322 : 제2 개구부(개구부)
323 : 창 구멍
325 : 경사부
350 : 전방부 방열 부재(방열 부재)
M : 전동 모터

Claims (10)

  1. 릴 본체에 설치되어,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의 전방이 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전방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판은,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낚싯줄 안내용의 창 구멍과, 상기 창 구멍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창 구멍을 따라서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부와, 상기 창 구멍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터 케이스와 상기 전방측판의 사이에는, 금속재로 박판의 단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 부재가 개재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전방측판의 전방으로 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39004A 2016-02-02 2017-03-28 낚시용 전동 릴 KR102374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7906A JP6587950B2 (ja) 2016-02-02 2016-02-02 スカラ特徴量によって時系列変化点を検出可能な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JP-P-2016-017906 201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304A KR20170113304A (ko) 2017-10-12
KR102374340B1 true KR102374340B1 (ko) 2022-03-16

Family

ID=5956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004A KR102374340B1 (ko) 2016-02-02 2017-03-28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87950B2 (ko)
KR (1) KR102374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9362B2 (ja) * 2018-08-16 2022-03-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異常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7668762B (zh) * 2024-01-31 2024-05-17 新疆三联工程建设有限责任公司 用于住宅地下渗漏的监测预警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834A (ja) 2000-01-01 2001-03-06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4000029A (ja) 2012-06-18 2014-01-09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2014000030A (ja) * 2012-06-18 2014-01-0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両軸受リールおよび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619B2 (ja) 1995-03-07 2001-04-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4468131B2 (ja) * 2004-10-06 2010-05-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異常値検出装置、変化点検出装置及び異常値検出方法、変化点検出方法
US7620523B2 (en) * 2007-04-30 2009-11-17 Integrien Corporation Nonpara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omalous event states in complex systems exhibiting non-stationarity
JP5424338B2 (ja) * 2010-03-18 2014-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衛星測位システムの異常値検出装置、異常値検出方法及び異常値検出プログラム
JP5874298B2 (ja) * 2011-10-14 2016-03-02 富士電機株式会社 負荷予測装置、空調システム、負荷予測プログラムおよび負荷予測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834A (ja) 2000-01-01 2001-03-06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4000029A (ja) 2012-06-18 2014-01-09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2014000030A (ja) * 2012-06-18 2014-01-0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両軸受リールおよび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304A (ko) 2017-10-12
JP6587950B2 (ja) 2019-10-09
JP2017138708A (ja)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8719B (zh) 钓鱼用电动卷线器
US7370821B2 (en) Spool assembly for a dual bearing reel
KR102374340B1 (ko) 낚시용 전동 릴
KR101950304B1 (ko) 듀얼 베어링 릴
US8517299B2 (en) Dual-bearing reel spool-braking device
JP6295047B2 (ja) 両軸受リール
EP1413196B1 (en) Spool for dual-bearing reel
US4585182A (en) Time measuring device for a fishing reel
US20060076445A1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JP2013153659A5 (ko)
KR101896933B1 (ko) 전동 릴의 레벨 와인드 기구
KR101946285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US10492482B2 (en) Dual-bearing reel
US4771964A (en) Fishing reel
JP2007006782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EP3180977A1 (en) Spinning reel rotor and spinning reel
CN110710500A (zh) 双轴承绕线轮
JP201717611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718719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H0965804A (ja) 両軸受型リール
JP6600273B2 (ja) 魚釣用リール
JP7420702B2 (ja) 両軸受リール
JP745687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US20210298281A1 (en) Dual-bearing reel
JP2017176111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