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207B1 -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207B1
KR102374207B1 KR1020200030033A KR20200030033A KR102374207B1 KR 102374207 B1 KR102374207 B1 KR 102374207B1 KR 1020200030033 A KR1020200030033 A KR 1020200030033A KR 20200030033 A KR20200030033 A KR 20200030033A KR 102374207 B1 KR102374207 B1 KR 102374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sleeve
coupled
r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660A (ko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김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영 filed Critical 김동영
Priority to KR102020003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2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16L13/103Adhesiv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응축수 배출관과 외부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연결하되, 안내관의 연결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고, 내부에 물의 유동을 작업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외부로 실내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안내관을 연결하는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면은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형성된 오링단에 안착되는 오링;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오링 측면에 형성된 슬리브단에 안착되는 슬리브;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측면에 안착되는 텐션와셔; 및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텐션와셔를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투명이며, 길이가 변경되며, 유연성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고정캡에 형성된 내경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Pipe connector for dischairging condensate water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 실내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며, 실내기는 실내에 배치되고, 실외기는 실외에 배치된다.
이중 실내기는 냉매를 팽창시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서 실내 냉방이 수행된다. 이때 고온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응축수가 생성되어 별도의 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근래에는 시스템 에어컨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시스템 에어컨은 등록특허 제8266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건물 전체의 냉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가정용으로는 각 방에 실내기를 설치하고, 외부에 하나의 실외기만 배치하는 형태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에어컨은 실내기를 주로 천정에 설치한다. 이는 특히 해당 룸의 중앙부분의 천정에 설치하는 경우 룸 전체가 비교적 균일하게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벽면에 설치하는 방식에 비하여 효율적인 특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천정에 실내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발생된 응축수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실내기 내부의 곰팡이 등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시스템 에어컨에서 응축수 배출구는 일반적으로 PVC재질의 배관으로 구성되며, 실제 시공시에는 상기 배관에 별도의 관을 부착하여 응축수가 외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배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실내기 배관과 외부로 연결되는 관을 연결하고, 적절한 구배를 부여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부를 연속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구배가 구현되지 않을 경우,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관 내부에 항상 응축수가 차있어, 곰팡이 등에 의하안 실내기 오염을 야기하므로, 응축수 배출관과 연결되는 배관의 구배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실내기의 응축수 배출관과 외부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연결하되, 안내관의 연결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고, 내부에 물의 유동을 작업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외부로 실내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안내관을 연결하는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면은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형성된 오링단에 안착되는 오링;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오링 측면에 형성된 슬리브단에 안착되는 슬리브;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측면에 안착되는 텐션와셔; 및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텐션와셔를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투명이며, 길이가 변경되며, 유연성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고정캡에 형성된 내경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관이 내경에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오링, 슬리브 및 텐션와셔 및 고정캡이 결합하는 피팅몸체; 및 상기 결합구와 피팅몸체를 연결하며, 유연성과 길이변경 특성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구와 상기 피팅몸체와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부는 유연성 특성과 길이가 변경 가능한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연결부는 연결부를 제외한 몸체의 다른 부분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PP재질이며,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몸체는 ABS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구는 상기 배출관과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블로워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선 제조된 연결부를 금형에 삽입한 후, 사출성형하는 인서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몸체는 내부에 오링, 슬리브, 텐션와셔 및 고정캡을 포함하는 피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고정캡의 내경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는 에어컨 실내기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관과 외부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관 사이를 연결하며,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변경 가능하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 특성을 포함하여, 설치가 편리하고, 내부의 응축수 유동을 확인할 수 있어, 안내과의 구배 조절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의 조립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팅몸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팅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블로워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결부의 설명도이며,
도 7은 인서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몸체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실내기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관(1)에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은 외부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관(2)과 결합하는 것으로,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안착되는 오링(60), 슬리브(61), 텐션와셔(70) 및 고정캡(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상기 배출관(1)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결합구(20)와 상기 오링(60), 슬리브(61), 텐션와셔(70) 및 고정캡(80)으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관(2)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는 피팅부(3)를 위한 피팅몸체(30) 그리고 상기 결합구(20)와 상기 피팅몸체(30) 사이를 연결하며, 내부에 유동부를 형성하고 유연성 특성을 갖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구(2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경부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필요한 경우 상기 응출구 배출관(1)과 접착제의 의하여 강하게 결합하여 응축수의 누출을 사전에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피팅몸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부에 오링(60)을 수용하는 오링단(31)과 상기 오링단(31)측면에 슬리브(61) 수용하는 슬리브단(32)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오링단(31)의 전체 직경은 상기 슬리브단(3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피팅몸체(3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캡(80) 결합용 나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나사(33)의 끝단에 상기 고정캡(80)의 일면과 접촉하는 돌출단(3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몸체(30)와 오링(60), 슬리브(61), 텐션와셔(70) 및 고정캡(80) 의하여 형성되는 피팅부(3)는 상기 안내관(2)이 삽입되는 경우, 바로 고정되는 원터치 방식을 지원하는 구조이다.
상기 피팅부(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팅몸체(30)에 형성된 오링단(31)에 오링(60)이 결합하고, 이후 상기 슬리브단(32)에 슬리브(61)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61)의 측면은 상기 오링(60) 측면과 접촉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61)의 측면에는 텐션와셔(70)가 결합하고, 상기 텐션와셔(70)의 일측은 상기 슬리브(61)의 일면과 접촉하고, 타면은 상기 고정캡(80)의 일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캡(80)이 피팅몸체(30)의 나사(33)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텐션와셔(70)의 일면을 가압하여 텐션와셔(7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텐션와셔(70)는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내관(2)이 삽입되는 경우 우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결합구(20) 역시 상기 피팅몸체(3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오링(60), 슬리브(61), 텐션 와셔(70) 및 고정캡(80)이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응축수 배출관(1)은 상기 연결관(2)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결합구(20)에 형성되는 피팅부(3)는 상기 안내관(2)이 결합하는 피팅부(3)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상의 2개의 원통부(41)와 상기 원통부(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원통부(41)를 연결하는 주름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부(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몸체(10)를 길이 방향으로 늘이는 것과, 형태를 변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2개의 원통부(41)는 각각 결합구(20)와 피팅몸체(30)와 각각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주름부(42)이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동일재질로 한번의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부(40)를 먼저 제조한 후, 인서터 사출 방식에 의하여 기 제조된 연결부(40)를 금형에 투입한 후, 나머지 부분을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은 주름부(42)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연결부(40)와 나머지 부분의 재질을 달리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사출 특성와 유연성 특성이 우수한 PP(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상기 연결부(40)를 먼저 성형한 후, 나머지 부분은 ABS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결합구(20)는 응축수 배출관(1)과 본딩에 의하여 결합하므로, PP재질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주름부(42)를 포함하고 있어, 주름부분의 성형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블로워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는 원통 파이프 형상의 원재료를 가열한 후, 상기 원통부(41)와 주름부(42와 대응되는 공간이 형성된 연결부 금형 내부에 공압을 인가하여 최종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피팅몸체 형성을 위한 금형 내부 형상을 생략함), 블로워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연결부(40)를 몸체 금형 내부에 안착시키 후 용융 수지를 투입하여 나머지 부분을 성형한다.
특히 PP와 ABS는 열가소성 수지이므로, 최종 성형 시 연결부분들은 용융에 의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PP와 ABS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 대체 가능하나, 상기 재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작업 시에 물을 투입하여 물을 흐름을 파악하여 구배 정도를 확인하므로, 투명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내부 물을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배출관 2: 안내관
3: 피팅부 10: 몸체
20: 결합구 30: 피팅몸체
31: 오링단 32: 슬리브단
33: 나사 34: 돌출단
40: 연결부 41: 원통부
42: 주름부 60: 오링
61: 슬리브 63: 텐션와셔
90: 고정캡 100: 연결구

Claims (10)

  1. 에어컨 실내기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외부로 실내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안내관을 연결하는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에 있어서,
    일측면은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형성된 오링단에 안착되는 오링;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오링 측면에 형성된 슬리브단에 안착되는 슬리브;
    상기 몸체의 타측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의 측면에 안착되는 텐션와셔; 및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텐션와셔를 고정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투명이며, 길이가 변경되며, 유연성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안내관은 상기 고정캡에 형성된 내경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배출관이 내경에 삽입되는 결합구;
    상기 오링, 슬리브 및 텐션와셔 및 고정캡이 결합하는 피팅몸체; 및
    상기 결합구와 피팅몸체를 연결하며, 유연성과 길이변경 특성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결합구와 상기 피팅몸체와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사이를 연결하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는 유연성 특성과 길이가 변경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연결부는 연결부를 제외한 몸체의 다른 부분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PP재질이며, 상기 연결부를 제외한 몸체는 ABS재질이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배출관과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블로워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미리 제조된 상기 연결부를 금형에 삽입한 후, 사출성형하는 인서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몸체는 내부에 오링, 슬리브, 텐션와셔 및 고정캡을 포함하는 피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고정캡의 내경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KR1020200030033A 2020-03-11 2020-03-11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KR102374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33A KR102374207B1 (ko) 2020-03-11 2020-03-11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033A KR102374207B1 (ko) 2020-03-11 2020-03-11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60A KR20210114660A (ko) 2021-09-24
KR102374207B1 true KR102374207B1 (ko) 2022-03-14

Family

ID=7791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033A KR102374207B1 (ko) 2020-03-11 2020-03-11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2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261A (ja) * 2001-10-25 2003-05-08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およびその接続構造体
KR200325060Y1 (ko) * 2003-05-27 2003-08-27 서원기 원 터치 배관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864B2 (ja) * 1996-01-08 2000-08-28 三井化学株式会社 金属製接続部材付き合成樹脂製管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15787A (ko) * 2012-04-13 2013-10-22 (주)파워클 에어컨용 매립형 배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261A (ja) * 2001-10-25 2003-05-08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およびその接続構造体
KR200325060Y1 (ko) * 2003-05-27 2003-08-27 서원기 원 터치 배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660A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7858B2 (en) Multi-circuit manifold and method for a geothermal energy system
CN108235719B (zh) 用于将管端连接到空调系统部件的连接元件
CN106255849A (zh) 热介质流路切换装置和具备该热介质流路切换装置的空调装置
KR102374207B1 (ko) 에어컨 응축수 배출용 배관 연결구
KR100975618B1 (ko) 에어컨용 드레인 호스 및 이의 제작방법
CN108700330A (zh) 用于穿过空气处理单元的板的管的紧固系统,以及包括这种系统的空气处理单元
CN217845556U (zh) 一种暖通配件生产用空气泄漏检验测试装置
GB2288214A (en) Universal hose connector
US4699404A (en) Flexible PVC coupling--"Flexfix"
KR102576032B1 (ko) 차량 공조기용 배관연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7420A (ko) 열교환기
CN213599549U (zh) 新风管道组件和新风空调系统
FI115852B (fi) Jakotukki
KR101424263B1 (ko) 공기조화기
CN210179882U (zh) 一种空调排水管接头
KR102492992B1 (ko) 열교환 장치의 배관 연결방법 및 구조
KR200451839Y1 (ko)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KR101591943B1 (ko) 공조시스템용 파이프와 블럭의 연결구조
CN219606358U (zh) 管件
KR102010923B1 (ko) 라디에이터 호스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CN210892074U (zh) 风管组件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CN217815629U (zh) 一种分段式通风通道连接头
CN217503943U (zh) 一种穿墙管、新风管和空调
KR100687286B1 (ko) 상하수관 성형장치
KR200490398Y1 (ko) 에어컨 컴프레셔용 튜브일체형 매니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