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880B1 - 신선식품용 원지 - Google Patents

신선식품용 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880B1
KR102373880B1 KR1020200115806A KR20200115806A KR102373880B1 KR 102373880 B1 KR102373880 B1 KR 102373880B1 KR 1020200115806 A KR1020200115806 A KR 1020200115806A KR 20200115806 A KR20200115806 A KR 20200115806A KR 102373880 B1 KR102373880 B1 KR 10237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food
base paper
layer
raw pap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탁
임우택
공행관
황진규
차재복
Original Assignee
아세아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세아제지(주) filed Critical 아세아제지(주)
Priority to KR102020011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0Wax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21H21/20Wet strength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식품용 원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로부터 표면층과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하층을 강 사이징 처리함과 더불어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되, 통기도를 80초 이상(Gurley type 100cc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하고, 강 사이징에 의하여 30g/㎡이하(Cobb TEST 30초 기준)의 표면흡수도를 갖게 형성하며, 발수제 코팅시 발수제의 이염 또는 얼룩무늬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 신선식품용 원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는 신선식품포장지의 제조에 있어 발수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통기성을 최소화하여 보냉효과를 높아지도록 하며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에 의하여 수분에 대한 강도 하락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사용 후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선식품용 원지{Raw paper for fresh food}
본 발명은 신선식품용 원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로부터 표면층과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하층을 강 사이징 처리함과 더불어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 지력 강도를 보강하여서, 신선식품포장지의 제조에 있어 발수처리가 용이하게 하고 통기성을 최소화하여 보냉효과를 높아지도록 하며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에 의하여 수분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사용후 전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한 신선식품용 원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식품의 포장지는 보관되는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보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신선식품의 포장지는 비닐, 스티로폼 또는 은박지 등이 사용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신선식품의 포장지로 사용되는 비닐, 스티로폼 또는 은박지 등은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신선식품 포장지로 종이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종이를 신선식품 포장지로 알맞게 하기 위하여 인쇄에 적당하고 습도에 대한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사이징 처리를 실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신선식품 포장지는 통기도가 70초(Gurley type 100cc 기준) 미만이어서, 쉽게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유동 되므로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선식품 포장지는 표면흡수도가 35g/㎡(Cobb TEST 30초기준)이상이어서 습도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선식품 포장지는 표하층 사이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수처리가공시 약품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아 이염되거나 얼룩무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9-010515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신선식품 포장지의 통기도가 70초(Gurley type 100cc 기준) 미만이어서, 쉽게 찬 공기와 더운 공기가 유동 되어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과 포장지는 표면흡수도가 30g/㎡ 이하(Cobb TEST 30초 기준) 이상이어서 습도에 약한 문제점 및 표하층 사이징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수처리시 이염되거나 얼룩무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신선식품용 원지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표면층,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하층을 강 사이징 처리함과 더불어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하층 하부에 이면층(기타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의 찬 공기가 나가거나 외부의 더운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통기도를 80초 이상(Gurley type 100cc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팅액이 내부로 침투되거나 코팅시 얼룩무늬가 형성되지 않도록 강 사이징에 의하여 30g/㎡ 이하(Cobb TEST 30초 기준)의 표면흡수도를 갖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수제 코팅시 발수제의 이염 또는 얼룩무늬 발생이 방지되게 표하층을 강 사이징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표면층과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표하층을 강 사이징 처리함과 더불어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한 신선식품용 원지를 제공함으로써, 신선식품포장지의 제조에 있어 발수처리가 가능하고 통기성을 최소화되어 보냉효과를 높아지며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에 의하여 수분에 대한 강도를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며 사용후 용해성이 좋은 습윤지력증강제를 사용하여 재활용 시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전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수처리가 가능하고 보냉효과가 향상되며 습윤강도가 향상된 신선식품용 원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원지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표면층과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하층을 강 사이징 처리함과 더불어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한 것이다.
상기 표면층과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은 천연펄프 및 고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습윤지력증강제는 1~2kg/ton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표면층은 고해도를 25˚SR 이상으로 형성하고, 평량을 25~40gsm으로 형성하며 펄프 사이의 미세틈에 미세입자를 응집시키고 잔존시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섬유 공간을 막아 통기성을 낮출 수 있게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표하층은 고해도를 20~35˚SR 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30~75gsm으로 형성하고 펄프 사이의 미세틈에 미세입자를 응집시키고 잔존시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섬유 공간을 막아 통기성을 낮출 수 있게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표하층의 하부에 이면층(기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면층(기타층)은 고해도를 20~35˚SR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30~110gsm으로 형성하고 펄프 사이의 미세틈에 미세입자를 응집시키고 잔존시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섬유 공간을 막아 통기성을 낮출 수 있게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원지는 내부의 찬 공기가 나가거나 외부의 더운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지 않게 통기도를 형성하여 내부의 신선도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통기도는 80초 이상(Gurley type 100cc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지는 코팅액이 내부로 침투되거나 코팅시 얼룩무늬가 형성되지 않도록 표면흡수도를 갖게 형성한 강 사이징 처리한 것이다.
상기 표면흡수도는 강 사이징에 의하여 30g/㎡ 이하(Cobb TEST 30초 기준)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지는 발수제 코팅시 발수제의 이염 또는 얼룩무늬 발생이 방지되게 표하층을 강 사이징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표면층에 물과의 친밀성을 낮출 수 있게 오일 및 왁스 등 소수성 물질을 코팅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선식품용 원지에 있어서, 표면층과 표하층 및 이면층(기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하층을 강 사이징 처리함과 더불어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을 보강하되, 통기도를 80초 이상(Gurley type 100cc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하고, 강 사이징에 의하여 30g/㎡ 이하(Cobb TEST 30초 기준)의 표면흡수도를 갖게 형성하며, 발수제 코팅시 발수제의 이염 또는 얼룩무늬 발생이 방지되게 표하층을 강 사이징 형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신선식품포장지의 제조에 있어 발수처리가 가능하고 통기성을 최소화되어 보냉효과를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여 습윤지력보강에 의하여 수분에 의한 강도 하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지는 표면층을 고해도를 25˚SR 이상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25~40gsm으로 형성하고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표하층은 고해도를 20~35˚SR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30~75gsm으로 형성하고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이면층(기타층)을 고해도를 20~35˚SR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30~100gsm으로 형성하고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의 흡수도 변화는 KSMISO 535 종이 및 판지-흡수성 시험방법(Cobb 법)에 따라 실시할 결과 아래 표 1과 같다.
30초 60초 180초 300초
신선식품 원지 26 34 50 9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의 흡수성은 시험시작 후 60초까지는 흡수 스폿(spot)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80초를 경과하면서 흡수 스폿이 증가하여 300초에는 흡수 스폿이 많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의 통기도는 KSMISO 5636-5 종이 및 판지-투기도 및 공기저항의 측정-걸리방법에 따라 실시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다.
1차 2차 3차 평균
TEST 1 107.4 88.8 81.5 92.6
TEST 2 86.7 86.3 86.5 86.5
TEST 3 92.8 84.8 103.4 93.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는 TEST 1 내지 3 모두 통기도가 80초 이상으로 내부의 찬 공기가 나가거나 외부의 더운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의 통기도 시험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생산 직후 생산 10일 후
흡수도 통기도 흡수도 통기도
27 92.6 TEST 1 21 95.9
26 86.5 TEST 2 23 86.6
27 93.7 TEST 3 26 93.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선식품용 원지는 TEST 1 내지 3 모두 생산 직후와 비교하여 생산 10일 후에도 흡수도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며, 통기도는 생산 직후와 생산 10일 후 거의 비슷한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표면층의 표면에 오일, 왁스 등의 등 소수성 물질을 코팅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오일, 왁스 등에 의하여 물과의 친밀성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0)

  1. 신선식품용 원지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표면층, 표하층 및 이면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하층은 강 사이징 처리함과 동시에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하되,
    원지는 표면층을 고해도를 25˚SR 이상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25~40gsm으로 형성하고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표하층은 고해도를 20~35˚SR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30~75gsm으로 형성하고 건조지력증강제와 보류제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이면층을 고해도를 20~35˚SR으로 형성하며 평량을 30~100gsm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과 표하층은 천연펄프 및 고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지력증강제는 1~2kg/ton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는 통기도가 적어도 80초(Gurley type 100cc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는 코팅액이 내부로 침투되거나 코팅시 얼룩무늬가 형성되지 않도록 표면흡수도를 갖게 형성한 강 사이징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흡수도는 강 사이징에 의하여 최대 30g/㎡(Cobb TEST 30초기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물과의 친밀성을 낮출 수 있게 오일 및 왁스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식품용 원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5806A 2020-09-10 2020-09-10 신선식품용 원지 KR10237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06A KR102373880B1 (ko) 2020-09-10 2020-09-10 신선식품용 원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06A KR102373880B1 (ko) 2020-09-10 2020-09-10 신선식품용 원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880B1 true KR102373880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806A KR102373880B1 (ko) 2020-09-10 2020-09-10 신선식품용 원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88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282A (ja) * 1997-03-24 1998-10-06 Asahi Chem Ind Co Ltd 電子レンジ包材
JP2002200726A (ja) * 2000-10-23 2002-07-16 Oji Paper Co Ltd 成形加工原紙
JP2004123110A (ja) * 2002-09-30 2004-04-22 Nihon Tetra Pak Kk 液体食品用包装材料の製造方法及び液体食品用包装材料
JP2005035216A (ja) * 2003-07-17 2005-02-10 Toppan Printing Co Ltd 耐油紙
KR20060013657A (ko) * 2003-05-16 2006-02-13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액체 포장용 용기용의 2층 이상의 적층물로 이루어진포장재
KR20090105157A (ko) 2008-04-01 2009-10-07 이호용 신선식품 유통용 포장지
KR20090109532A (ko) * 2006-12-18 2009-10-20 아크조 노벨 엔.브이. 종이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30110346A (ko) * 2012-03-29 2013-10-10 이지훈 특수지
KR20160019396A (ko) * 2012-12-31 2016-02-19 챰니스 바이오디그래더블스, 엘엘씨 내습성 코팅
JP2020521655A (ja) * 2017-05-31 2020-07-27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ラミネートされた包装材料、それから製造される包装容器、及びラミネート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282A (ja) * 1997-03-24 1998-10-06 Asahi Chem Ind Co Ltd 電子レンジ包材
JP2002200726A (ja) * 2000-10-23 2002-07-16 Oji Paper Co Ltd 成形加工原紙
JP2004123110A (ja) * 2002-09-30 2004-04-22 Nihon Tetra Pak Kk 液体食品用包装材料の製造方法及び液体食品用包装材料
KR20060013657A (ko) * 2003-05-16 2006-02-13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액체 포장용 용기용의 2층 이상의 적층물로 이루어진포장재
JP2005035216A (ja) * 2003-07-17 2005-02-10 Toppan Printing Co Ltd 耐油紙
KR20090109532A (ko) * 2006-12-18 2009-10-20 아크조 노벨 엔.브이. 종이 제품의 제조 방법
KR20090105157A (ko) 2008-04-01 2009-10-07 이호용 신선식품 유통용 포장지
KR20130110346A (ko) * 2012-03-29 2013-10-10 이지훈 특수지
KR20160019396A (ko) * 2012-12-31 2016-02-19 챰니스 바이오디그래더블스, 엘엘씨 내습성 코팅
JP2020521655A (ja) * 2017-05-31 2020-07-27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ィングス アンド ファイナンス エス エイ ラミネートされた包装材料、それから製造される包装容器、及びラミネート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3829B2 (en) Anti-microbial paper substrates useful in wallboard tape applications
DE60112841T3 (de) Papier zur Verwendung beim Formpressen
EP0217959B1 (en) Paper manufacturing method
UA124525C2 (uk) Фасонна підкладка або тарілка з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еріалу і спосіб її виготовлення
US8617718B2 (en) Mold-resistant gypsum panel paper
KR102373880B1 (ko) 신선식품용 원지
CN107700232A (zh) 一种发泡涂层内打灯广告布及其制备工艺
CN108824068A (zh) 替代石膏板护面纸的特种贴面玻纤薄毡一次成型工艺
KR102623422B1 (ko) 신선식품원지로 이루어진 신선식품포장상자
RU2719829C1 (ru) Декорирующая бумага для ламината
JP2005206988A (ja) クッション紙
KR100303478B1 (ko) 천연 한지층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JP2002069898A (ja) ファイル・ホルダー用紙及びその製造方法
SE542075C2 (en) Crack-resistant paperboard
JP4707043B2 (ja) クッション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3098B1 (ko) 해리성 무진 종이의 제조방법
US3441474A (en) Paper for graphic arts consisting of asbestos fibers,acrylic resin,and size
US9988765B2 (en) Process for producing at least one ply of a paper or paperboard product and a paper or paperboard product
JP4371826B2 (ja) 耐水板紙及びその製造方法
US2710265A (en) Paper impregnated with potassium alum and process of impregnating
JPH10195792A (ja) 壁紙用原紙
JP2006188788A (ja) 無蛍光板紙
KR20170079043A (ko) 셀룰라아제를 이용하여 형광증백제의 함량이 감소된 제지를 제조하는 방법
JPH0435417Y2 (ko)
KR20050118561A (ko) 황토를 이용한 항균 기능성 백판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