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683B1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683B1
KR102373683B1 KR1020200061792A KR20200061792A KR102373683B1 KR 102373683 B1 KR102373683 B1 KR 102373683B1 KR 1020200061792 A KR1020200061792 A KR 1020200061792A KR 20200061792 A KR20200061792 A KR 20200061792A KR 102373683 B1 KR102373683 B1 KR 10237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gear
driving gea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434A (ko
Inventor
이성훈
주병현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683B1/ko
Priority to PCT/KR2020/011605 priority patent/WO2021235606A1/ko
Priority to EP20936163.3A priority patent/EP4155486A1/en
Priority to US17/927,293 priority patent/US20230200619A1/en
Publication of KR2021014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29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motor-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1Geared sectors or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도어록부;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에 의해 상기 기어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와 같이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 중에는 도어를 구비하는 기기들이 있다. 예를 들어,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는 식기세척기, 오븐(oven),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 등이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의 본체 내부에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가 마련된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결합되어 세척조를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도어와, 도어를 잠가서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선행특허문헌 EP 2 846 676 B1(2015.03.18 공개)에는 식기세척기와 같이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의 식기세척기에는 도어와, 도어를 잠그고 도어의 잠긴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의 잠금장치는 모터(electric motor)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신축성 요소(flexible element)를 감아서 당겨주고, 모터의 동작 시 신축성 요소와 하나의 바디를 이루는 전달 레버(transmission lever)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도어에 걸림 상태로 있는 잠금 요소(locking element)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의 잠긴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의 잠금장치의 경우, 신축성 요소의 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갖도록 가공해야 하므로, 신축성 요소의 가공이 다소 어렵고, 충격에 의해 신축성 요소의 일부가 잘려질 우려가 있다. 아울러, 전달 레버와 신축성 요소를 하나의 바디로 형성하기 위하여, 전달 레버와 신축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각각 가공한 후 접합시켜야 한다.
또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신축성 요소가 감겨지는 상태에서, 신축성 요소가 다시 풀리려는 힘이 존재하여, 신축성 요소에 작용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일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김을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과 연관되는 잠금장치의 구성이 보다 간결하게 이루어지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도어;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도어록부;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에 의해 상기 기어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톱니부가 마련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마련되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는 상기 곡면부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곡면부는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곡면부는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부는, 입력되는 회전 수보다 출력되는 회전 수가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회전축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톱니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3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 수는 상기 제3 기어의 회전 수보다 작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구동기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기어부가 회전하는 경로상에서 상기 구동기어부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 동작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는 일단부에 마련되는 후크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후크 걸림부에 걸림되는 도어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록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부분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의 타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내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부와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리기 전 상태에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하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면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전 상태에서 소정 크기의 끼인각(included angle)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부의 일단부를 상기 후크부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하여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기어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구동기어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록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록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전기기는, 일방향으로 회전 시 후크부를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구동기어부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와 직접 맞물리게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여, 기어부로부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움직임에 의해 도어록부의 후크부를 밀어내어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부의 구성이 간결하여, 구동기어부의 가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구동기어부의 가공에 소요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부의 간결한 구조에 의해, 구동기어부의 일부가 충격 등에 의해 잘려질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어, 구동기어부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구동기어부의 톱니부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와 직접 맞물려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므로,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의 전달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의 측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부와 도어록부를 동작시키는 구성들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부의 내부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부의 후크부를 도어록부의 외측을 밀어내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성들의 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구동기어부를 중심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기어부가 회전하기 전 도어가 잠긴 상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기어부가 회전하여 도어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기어부의 다른 일 예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후크부가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전 상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후크부가 구동기어부에 의해 밀려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가전기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100)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100)의 측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록부(120)와 도어록부(120)를 동작시키는 구성들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부(120)의 내부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록부(120)의 후크부(121)를 도어록부(120)의 외측을 밀어내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구성들의 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구동기어부(150)를 중심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기어부(150)가 회전하기 전 도어(110)가 잠긴 상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기어부(150)가 회전하여 도어(110)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전기기(100)는 도어(110), 도어록부(120), 모터(130), 기어부(140) 및 구동기어부(150)를 포한한다.
가전기기(100)는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기기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가전기기(100)는, 도어(110)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오븐(oven), 전자레인지(microwave ran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어(110)를 구비하는 가전기기(100) 중에서 상기 식기세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전기기(100)의 본체(101) 내부에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102)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1)는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개구부가 본체(101)의 전방에 형성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세척조(102)의 투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세척조(102)의 내부에는 식기를 거치할 수 있는 선반(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1)의 상면상에는 본체(101)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판(101a)이 배치될 수 있다.
도어(110)는, 본체(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전기기(100)는, 본체(101)에 대하여 도어(11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10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힌지부(103)는 도어(110)의 하측 단부와 본체(101)를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1)의 상측 단부가 힌지부(103)를 중심으로 본체(101)의 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와 도어(110)는, 본체(101)의 전방이 아닌 본체(101)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어(110)는 후술하는 후크 걸림부(121a)에 걸림되게 형성되는 도어 걸림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록부(120)는, 도어(11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110)가 잠긴 상태를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록부(120)는 도어(110)를 잠그거나 도어(11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지는 후크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록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록부(120)는 상기 도어(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어(110)의 잠금 해제 시 도어(110)의 자중에 의해 도어(110)의 상측 단부가 힌지부(103)를 중심으로 본체(10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면, 도어(110)가 개방될 수 있다.
후크부(121)는,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 시 도어(110)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11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반대로, 후크부(121)는 도어록부(120)의 내측으로 이동 시 도어(110)를 잠가 도어(110)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후크부(121)는 일단부에 마련되는 후크 걸림부(121a)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21a)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상기 도어 걸림부(111)에 걸림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모터(130)는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모터(130)의 일측에는 전기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132)이 배치될 수 있다. 모터(130)는 상기 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130)는 모터(130)의 회전축(130a)을 형성하는 샤프트(13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가전기기(100)는 상기 모터(13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모터(130)의 제어 뿐만 아니라, 가전기기(100)의 조작과 연관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가전기기(1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모터(13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가전기기(100)의 특정 작동 과정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모터(130)를 동작시켜 도어(11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부(140)는, 모터(130)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부(140)는, 입력되는 회전 수보다 출력되는 회전 수가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13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어부(140)의 구성에 의하면, 샤프트(131)의 회전 속도는 감소하는 반면, 모터(130)의 상기 회전력은 기어부(140)를 통해 전달되면서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기어부(140)의 적어도 어느 일부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부(140)는, 제1 기어(141), 제2 기어(142) 및 제3 기어(1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어(141)는, 모터(130)의 상기 샤프트(131)에 결합되어, 모터(130)의 회전축(130a)을 중심으로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130)의 감속을 위하여, 제1 기어(141)의 톱니(tooth)의 개수는 후술하는 제2 기어(141)의 톱니의 개수보다 적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어(142)는, 제1 기어(141)와 맞물리게 형성되고, 모터(130)의 회전축(130a)과 교차하는 회전축(145a)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부(140)는 제2 기어(142)의 회전축(145a)과 후술하는 제3 기어(143)의 회전축(145a)을 형성하는 기어축(145)을 구비할 수 있다. 기어축(145)은 제2 기어(142)의 일면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어(141,142)는 동일한 회전 방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제2 기어(141)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기어(14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제2 기어(14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기어(143)는 제2 기어(142)에 결합되어 제2 기어(142)와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어(143)는 제2 기어(142)의 일면상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축(145)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기어(143)는 제2 기어(142)와 상기 기어축(145)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축(145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어(143)의 톱니의 개수는 제2 기어(142)의 톱니의 개수보다 적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어(142)와 함께 회전하는 제3 기어(143)는 후술하는 구동기어부(150)에 구비되는 톱니부(150a)와 맞물리게 형성되어, 모터(130)의 상기 회전력을 구동기어부(15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수는 제3 기어(143)의 회전 수보다 작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30)의 상기 회전력은 제3 기어(143)에서 구동기어부(150)로 전달되면서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3 기어와 구동기어부(150)는 서로 반대되는 회전 방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어(14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구동기어부(1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3 기어(14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구동기어부(1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기어부(150)는, 상기 기어부(140)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톱니부(150a)를 구비한다. 즉, 구동기어부(150)의 톱니부(150a)는 기어부(140)와 직접 맞물리게 형성되어 모터(130)에서 기어부(140)로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도록 이루어진다. 구동기어부(150)의 적어도 어느 일부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기어부(150)는 상기 톱니부(150a)에 의해 기어부(140)로부터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회전 시 도어록부(120)의 상기 후크부(121)를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도어(11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부(1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후크부(121)를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기어부(150)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가전기기(100)는 상기 구동기어부(150)를 수용하는 하우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60)는 구동기어부(150)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용공간(160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60a)에는, 구동기어부(150) 외에 모터(130)와 기어부(140)가 수용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60)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60a)을 형성하는 제1 커버(161)와 제2 커버(1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버(161)와 제2 커버(162)에는, 제1 및 제2 커버(161,162)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홀(161a)과 제2 체결홀(162c)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60)는 스토퍼(162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62)는 구동기어부(150)가 회전하는 경로상에서 구동기어부(150)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동작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제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162)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130)의 오작동 시에도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을 설계된 회전 경로의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기어부(150)는, 제1 부분(151)과 제2 부분(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51)은, 기어부(140)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상기 톱니부(150a)가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부분(152)은, 상기 제1 부분(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부분(151)과 후크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부분(151)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후크부(121)를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기어부(150)는 제2 부분(152)를 제1 부분(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핀(154)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핀(15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51)상에 마련되는 리브(151a)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핀(154)은 제2 부분(152)은 회전축(152a)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톱니부(150a)는 구동기어부(150)의 제1 부분(15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부(140)와 톱니부(150a)에 의해 맞물리는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b)은 상기 제1 부분(15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부(150)는 구동기어부(150)의 타측에 마련되어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a)을 형성하는 축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부(153)는 구동기어부(150)를 수용하는 하우징부(160)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기어부(150)의 상기 제2 부분(152)은,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부분(152)의 구성에 의하면, 지렛대(lever) 구조에 의해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시 제2 부분(152)에 더 큰 힘이 작용하여 모터(130)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기어부(150)의 제1 부분(15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51)의 일측에 마련되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부(151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톱니부(150a)는 곡면부(151b)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면부(151b)는,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톱니부(150a)의 구조에 의하면, 톱니부(150a)와 기어부(140)의 기어비(gear ratio)를 보다 증가시켜, 구동기어부(150)로 전달되는 모터(130)의 상기 회전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비는 큰 기어의 톱니의 수를 작은 기어의 톱니의 수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어록부(120)는 탄성부(122)와 지지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122)는, 일단부가 구동기어부(150)의 상기 제2 부분(152)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122)의 타단부에 걸림되어 후크부(122)를 도어록부(120)의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부(121)의 타단부에는 상기 탄성부(122)의 일부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부(121b)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122)는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122)는 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3)는 상기 탄성부(122)의 타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3)는 상기 탄성부(122)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3)는 도어록부(120)상에서 후크부(121)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록부(12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가전기기(100)는 센싱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80)는, 구동기어부(15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80)는 센서하우징(181)과 센서하우징(181)상에서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서(182)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182)는 센서하우징(181)상에서 제1 방향(180a) 또는 제1 방향(180a)과 반대되는 제2 방향(180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방향(180a)과 제2 방향(180b)은 하나의 직선 상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센서(182)에는 걸림홀(182a)이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180)는 하우징부(160)의 제2 커버(162)의 저면에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버(162)에는 센서(182)가 제2 커버(162)의 저면을 관통하여 제2 커버(16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홀(162b)이 마련될 수 있다.
센싱부(180)는 일단부가 상기 걸림홀(182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우징부(160)의 제2 커버(162)상에 마련되는 고리부(162c)에 연결되는 스프링(18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7)은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프링(187)은 센서하우징(181)상에서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센서(182)를 상기 제2 커버(162)의 고리부(162c)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싱부(180)는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동작 시 발생하는 움직임을 센싱부(180)로 전달하는 레버부(185)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부(185)는, 일단부가 센서(182)와 상기 고리부(162c)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구동기어부(150) 회전 경로상에서 구동기어부(150)의 일부가 접하도록 형성되고, 레버축부(185b)를 중심으로 회전축(185a)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기어부(150)에서 레버부(185)의 타단부와 접하는 부분에는 제1 부분(15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185) 타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151c)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싱부(180)와 레버부(185)의 구성에 의하면, 레버부(185)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센서(182)와 구동기어부(150)와 항상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센서(182)가 센서하우징(181)상에 이동함에 따라 구동기어부(150)의 회전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가전기기(100)의 상기 제어부(170)는 센싱부(180)에서 상기 구동기어부(15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모터(130)를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100)의 구성에 의하면, 후크부(121)가 도어록부(12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후크부(121)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구동기어부(150)의 제2 부분(152)이 도어록부(12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발생한다. 그리고, 제2 부분(152)이 도어록부(12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부분(15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분(151)이, 모터(130)의 동작 시 회전하는 일방향과 반대되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100)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가전기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도어(110)를 본체(101)를 향하여 밀어주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센싱부(180)가 도어(1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도어(1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터(130)를 동작시켜 도어록부(12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어(110)의 열림이 도어(110)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구동기어부(150)의 다른 일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7과 함께 도 8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기어부(150)의 다른 일 예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의 (a)는 모터(130)가 동작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의 (a)는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동작이 일어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b)는 모터(130)가 동작하여, 구동기어부(15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난 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기어부(150)의 제1 부분(151)은, 제1 부분(151)의 일측에 마련되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부(151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곡면부(151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곡면부(151b)와 달리,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b)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면부(151b)의 구조에 의하면, 구동기어부(150)는 모터(130)에서 발생하는 상기 회전력을 기어부(140)로부터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구동기어부(15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후크부(121)가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어(11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곡면부(151b)가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b)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우, 곡면부(151b)가 구동기어부(150)의 회전축(15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구조에 비하여, 구동기어부(150)의 체적을 보다 작게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어록부(120)의 후크부(121)를 도어록부(120)의 외측을 밀어내어 도어(110)를 개방시키는 구성들을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후크부(121)가 구동기어부(150)에 의해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10)의 잠긴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후크부(121)가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전 상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10에 도 9에 도시된 후크부(121)가 구동기어부(150)에 의해 밀려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록부(120)의 후크부(121)와 구동기어부(150)의 제2 부분(152)은, 모터(130)가 동작하여 상기 제2 부분(152)이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 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면(121c)과 제2 접촉면(152a)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부(120)의 상기 후크부(121)는, 제2 부분(152)에 의해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밀리긴 전 상태에서, 후크 걸림부(121a)가 구비되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하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접촉면(121c)과 상기 제2 접촉면(152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부(150)의 제2 부분(152)이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전 상태에서 소정 크기의 끼인각(included angle)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30)가 동작하여 구동기어부(120)의 제2 부분(152)이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부(121)의 일단부를 후크부(121)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하여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모터(130)에 전기가 인가되어 제2 부분(152)이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어록부(120)의 탄성부(122)는 압축이 발생하고, 모터(130)에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122)는 상기 지지부(123)에 의해 타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후크부(121)를 도어록부(12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후크부(121)의 일단부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다시 회전하면서, 후크 걸림부(121a)와 도어 걸림부(111)가 다시 체결되어 도어(110)가 닫힌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21)가 도어록부(12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후크부(121)의 일단부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후크부(12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후크 걸림부(121a)에 걸림되는 도어 걸림부(111)는 걸림이 해제된다. 도어 걸림부(111)의 걸림이 해제되면, 도어(110)는 힌지부(103)를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본체(101)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면서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가전기기(100)의 도어(110)를 직접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0)를 상기 탄성부(122)가 가지는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본체(101)의 전방으로 당겨주는 조작에 의해 도어(11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6)

  1. 도어;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도어록부;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에 의해 상기 기어부로부터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톱니부가 마련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2 부분를 상기 제1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일단부에 마련되는 후크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후크 걸림부에 걸림되는 도어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록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 부분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의 타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후크부를 상기 도어록부의 내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가전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에 마련되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톱니부는 상기 곡면부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입력되는 회전 수보다 출력되는 회전 수가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회전축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톱니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3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 수는 상기 제3 기어의 회전 수보다 작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기어부가 회전하는 경로상에서 상기 구동기어부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 동작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와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밀리기 전 상태에서,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하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면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전 상태에서 소정 크기의 끼인각(included angle)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도어록부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부의 일단부를 상기 후크부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하여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기어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에서 상기 구동기어부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록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록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KR1020200061792A 2020-05-22 2020-05-22 가전기기 KR10237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792A KR102373683B1 (ko) 2020-05-22 2020-05-22 가전기기
PCT/KR2020/011605 WO2021235606A1 (ko) 2020-05-22 2020-08-31 가전기기
EP20936163.3A EP4155486A1 (en) 2020-05-22 2020-08-31 Home appliance
US17/927,293 US20230200619A1 (en) 2020-05-22 2020-08-31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792A KR102373683B1 (ko) 2020-05-22 2020-05-22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34A KR20210144434A (ko) 2021-11-30
KR102373683B1 true KR102373683B1 (ko) 2022-03-15

Family

ID=7870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792A KR102373683B1 (ko) 2020-05-22 2020-05-22 가전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0619A1 (ko)
EP (1) EP4155486A1 (ko)
KR (1) KR102373683B1 (ko)
WO (1) WO2021235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9832A (zh) * 2022-08-05 2022-11-08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开门控制方法、装置、洗涤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0809A1 (de) * 1999-12-16 2001-06-2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ürverschluß
CN210383839U (zh) * 2019-03-06 2020-04-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门体能自动开关的清洗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527A (ja) * 1996-02-09 1997-08-19 Yazaki Corp ドアロックの施解錠操作装置
DE102012207836A1 (de) 2012-05-10 2013-11-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KR102527312B1 (ko) * 2017-08-28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KR102368211B1 (ko) * 2018-04-16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 모듈,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가전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0809A1 (de) * 1999-12-16 2001-06-28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ürverschluß
CN210383839U (zh) * 2019-03-06 2020-04-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门体能自动开关的清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5606A1 (ko) 2021-11-25
KR20210144434A (ko) 2021-11-30
EP4155486A1 (en) 2023-03-29
US20230200619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877B2 (en) Door lock for the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174589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
EP2561168B1 (en) Push-pull closing device
US8246089B2 (en) Lock for a household appliance
US20180363200A1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and cover thereof
EP1640493B1 (en) Door-lock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WO2014013687A1 (ja) 衣類処理装置
JP3811696B2 (ja) 洗濯機
EP3091153B1 (en)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KR102373683B1 (ko) 가전기기
KR20090115018A (ko)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스위치어셈블리
EP3983603B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lock
US20070256715A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Child Safety Feature
KR20140138619A (ko) 가전제품의 도어를 위한 도어록 장치
EP0728861A1 (en) Front loading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with improved means for the door opening
KR100954077B1 (ko) 양방향 락커를 구비한 가전제품용 도어락 장치
KR102364088B1 (ko) 가전기기
CN216950005U (zh) 一种洗碗机自动推拉门装置及包含该装置的洗碗机
EP2929077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with door assembly
KR102168505B1 (ko) 배수 모터
KR20220027675A (ko) 식기세척기
KR20220020733A (ko) 식기세척기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EP2458057B1 (en) Appliance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ssembly to an appliance
CN115263097B (zh) 一种用于家用电器的门锁执行机构
CN218092512U (zh) 门锁以及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