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312B1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312B1
KR102527312B1 KR1020180057923A KR20180057923A KR102527312B1 KR 102527312 B1 KR102527312 B1 KR 102527312B1 KR 1020180057923 A KR1020180057923 A KR 1020180057923A KR 20180057923 A KR20180057923 A KR 20180057923A KR 102527312 B1 KR102527312 B1 KR 10252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ok
ring
uni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617A (ko
Inventor
함형근
임현규
박남수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58,32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78697B2/en
Priority to EP18852287.4A priority patent/EP3619384B1/en
Priority to CN201880053935.2A priority patent/CN111032983B/zh
Priority to PCT/KR2018/009260 priority patent/WO2019045318A1/en
Publication of KR2019002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05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Dutch doors", i.e. upper and lowe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중 열림이 방지되는 이중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일측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개구부를 구비한 제1 도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메인 고리 유닛;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도어를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대해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Home Appliance}
본 개시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븐,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븐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실을 구비하고,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실을 구비하며,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을 구비하고,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세탁실을 구비한다.
아울러, 전술한 가전기기는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한다.
최근의 가전기기는, 수용공간의 활용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수용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이중 도어를 포함한다.
이중 도어를 구비한 가전기기는 수용공간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메인 도어(제1 도어)와, 메인 도어의 개구부를 개폐함으로써 수용공간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 도어(제2 도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이중 도어를 구비한 가전기기는 수용공간의 전체와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중 도어를 구비한 오븐은 조리실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메인 도어와, 메인 도어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 도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도어 및 보조 도어를 통해, 조리실의 전체 및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보조 도어의 개폐를 통해 조리과정에서의 조리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리실의 일부만을 열 손실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이중 도어를 구비한 가전기기는 메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보조 도어가 불필요하게 열림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이중 열림이 방지되는 이중 도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가전기기는, 일측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개구부를 구비한 제1 도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메인 고리 유닛;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도어를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대해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고리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잠금 유닛; 및 상기 제2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잠금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잠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잠금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잠금 유닛을 상기 제1 잠금 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고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몸체; 상기 제1 잠금 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메인 고리; 및 상기 메인 고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잠금 유닛과 접촉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된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후크 부재; 및 상기 제1 후크 부재가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후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유닛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제2 홀더; 상기 제2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후크 부재; 및 상기 제2 후크 부재가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후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후크 부재가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후크 부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고리 부재; 및 상기 회전 고리 부재가 상기 제2 후크 부재와 결합하는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고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고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후크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고리 유닛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1 도어가 열리면, 상기 메인 고리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후크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회전 고리 부재와 분리되는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고리 부재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제1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어가 열리고 상기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회전 고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2 후크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3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가압부를 구비한 레버 몸체; 및 상기 레버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파지부가 가압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 후크 부재를 가압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도어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도어 핸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며,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홀과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홀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 돌기를 구비한 제1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고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 및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분리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고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 유닛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제2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걸림 돌기와 결합하는 제3 회전방향 및 상기 제2 걸림 돌기와 분리되는 제4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고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고리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2 고리 부재가 상기 제4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2 고리 부재와의 간섭이 해제되고 상기 제1 고리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1 고리 부재가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도어가 열리면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잠금 유닛;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잠금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잠금 유닛;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잠금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잠금 유닛이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메인 고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고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몸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된 제1 잠금 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메인 고리; 및 상기 메인 고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일 예로서 오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븐을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오븐의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오븐의 제1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오븐의 제2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제1 도어가 열리는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가압 되었을 때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잠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잠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1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제2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잠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잠금 장치의 메인 고리 유닛과, 제1 잠금 유닛, 및 제2 잠금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잠금 장치의 메인 고리 유닛의 토션 스프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a는 제1 도어가 열리는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가 가압 되었을 때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제2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의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6의 잠금 장치에 사용되는 메인 고리 유닛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1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2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1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2 도어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개시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개시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일 예로서 오븐(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븐(1)을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1)는 본 개시가 적용 가능한 오븐(1)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개시는 이중 도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등의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1)의 일 예로서 오븐(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결합된 제1 및 제2 도어(21, 22)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30)이 배치된다.
컨트롤 패널(30)은 오븐(1)을 동작할 수 있는 조작부(31) 및 오븐(1)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를 포함한다.
아울러, 컨트롤 패널(30)의 내부에는 오븐(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오븐(1)은 일측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101)을 구비한다. 본체(10)의 수용공간(101)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1)일 수 있으며, 조리실(101)은 오븐(1)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2),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3),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 패널(14)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5)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전술한 전면 패널(11), 상면 패널(12), 후면 패널(13), 저면 패널(14) 및 측면 패널(15)이 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패널(11), 상면 패널(12), 후면 패널(13), 저면 패널(14) 및 측면 패널(15)은 일체로서 본체(10)를 구성할 수 있다.
조리실(101)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음식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이 개방된다. 이를 위해 전면 패널(11)은 조리실(101)과 연결되는 개구를 구비한다.
조리실(101)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도어(21)는 조리실(101)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조리실(101)의 전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된다.
제1 도어(21)의 하단부는 전면 패널(11)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도어(21)의 하단부는 전면 패널(11)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1 힌지축(2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축(211)은 본체(10)가 설치된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도어(21)는 제1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도어(21)는 조리실(101)과 연결된 개구부(21S, 도 3b 참조)를 구비하며,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의 개구부(21S)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도어(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조리실(10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더(102)가 배치될 수 있다.
디바이더(102)는 조리실(101)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플레이트의 형상일 수 있으며, 조리실(101)은 디바이더(102)에 의해 복수의 조리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102)는 조리실(101)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조리실(101)을 제1 조리실(101a) 및 제2 조리실(101b)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조리실(101a)은 디바이더(10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 조리실(101b)은 디바이더(10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조리실(101a)과 제2 조리실(101b)은 디바이더(102)의 위치에 따라 그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조리실(101)은 복수의 디바이더(102)가 조리실(101)에 배치됨으로써 3개 이상의 조리실로 구획될 수 있다.
아울러, 조리실(101)은 디바이더(102)의 배치 없이 단일의 조리실(101)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어(21)는 조리실(101)과 연결되는 개구부(21S)를 포함한다.
개구부(21S)는 제1 조리실(101a)과 제2 조리실(101b) 중에서 사용 빈도가 보다 높은 조리실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21)의 개구부(21S)는 제1 조리실(101a)과 연결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의 개구부(21S)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도어(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2 도어(22)의 하단부는 개구부(21S)의 하단부에 배치된 제2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힌지축(222)은 제1 힌지축(2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도어(22)는 제2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구부(21S)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즉,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조리실(101a)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도어(22)의 상측에는 도어 핸들(221)이 결합된다.
도어 핸들(221)은 제2 도어(22)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도어 핸들(221)과 제2 도어(22) 사이에는 파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파지 공간에 손을 넣어 도어 핸들(221)을 파지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전방으로 당겨줌으로써, 제1 도어(21) 및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도어 핸들(221)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 외에도, 제2 도어(22)가 열리거나 닫히는 방향으로 제2 도어(22)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제1 힌지축(211)과 제2 힌지축(222)이 본체(10)가 설치된 바닥면, 즉, 본체(10)의 저면 패널(14)과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힌지축이 저면 패널(14)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오븐(1)은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잠금 장치(1000)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1000)의 구조 및 잠금 장치(1000)를 통한 제1 및 제2 도어(21, 22)의 이중 열림 방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1 및 제2 도어(21, 22)의 적어도 일부분은 조리실(101) 내부의 조리과정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리실(101)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랙(rack, 40a, 40b)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리실(101a)에는 제1 랙(40a)이 배치되고, 제2 조리실(101b)에는 제2 랙(40b)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랙(40a, 40b)은 그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식물이 올려 놓아질 수 있도록 조리실(101)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실(101)의 내부에는 조리실(101)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0)가 배치된다.
히터(50)는 가열 방식에 따라 전기 히터 또는 가스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50)는 제1 조리실(101a)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됨이 없이 히터(50)는 복수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의 후면에는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순환 유닛(60a, 60b)이 각각 배치된다.
제1 순환 유닛(60a)은 제1 순환 팬(61a), 제1 순환 팬(61a)과 결합하여 제1 순환 팬(61a)을 회전시키는 제1 순환 모터(62a) 및 제1 조리실(101a)의 후면과 제1 순환 팬(61a) 사이에 배치된 제1 순환 팬 커버(63a)를 포함한다.
제1 순환 팬 커버(63a)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을 포함한다.
제1 순환 모터(62a)가 회전함으로써 제1 순환 팬(61a)이 회전하고, 제1 순환 팬(61a)의 회전에 의해 제1 조리실(101a) 내부의 공기가 대류한다. 이를 통해, 제1 조리실(101a)의 공기가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제2 순환 유닛(60b)은 제2 조리실(101b)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2 조리실(101b)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제2 순환 유닛(60b) 역시 제2 순환 팬, 제2 순환 모터 및 제2 순환 팬 커버를 구비한다. 제2 순환 유닛(60b)은 제1 순환 유닛(60a)과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면 패널(13)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조리실(101)로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13H)이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13H)은 제2 조리실(101b)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제2 조리실(101b)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흡입 유닛(70)이 유입홀(13H)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닛(70)은 흡입 모터(71), 흡입 모터(71)에 결합된 흡입 팬(72) 및 가이드 브라켓(73)을 포함한다.
흡입 팬(72)이 결합된 흡입 모터(71)는 유입홀(13H)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가이드 브라켓(73)은 흡입 팬(72)과 제2 조리실(101b)을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흡입 모터(71)의 동작에 의해 흡입 팬(72)이 회전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유입홀(13H)로 유입되고, 유입홀(13H)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 브라켓(73)을 통해 제2 조리실(101b)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조리실(101b)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브라켓(73)은 제2 순환 유닛(60b)과 연결됨으로써, 제2 순환 유닛(60b)의 제2 순환 팬 커버를 통해 제2 조리실(101b)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흡입 유닛(70)은 제1 조리실(101a)과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공기를 제1 조리실(101a)로 유입시킴으로써 제1 조리실(101a)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조리실(101)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양에 상응하는 공기가 조리실(101)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후면 패널(13)에는 배출관(미도시) 및 배출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리실(101a)의 상부에는 회로 기판 등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배치되는 전장실(10S)이 마련된다.
전장실(10S)은 조리실(101)의 상부, 후방, 하부를 감싸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장실(10S)의 전방에는 전술한 컨트롤 패널(30)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전장실(10S)에는 전장실(10S)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닛(80)이 배치된다.
냉각 유닛(80)은 냉각 모터(81)와 냉각 모터(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냉각 팬(8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장실(10S)과 제1 조리실(101a) 사이에는 본체(10)의 전방으로 개방된 전방 유로(80F)가 마련될 수 있으며, 냉각 유닛(80)은 전장실(10S)과 전방 유로(80F) 사이에 배치되어 전장실(10S) 내부의 공기를 전방 유로(80F)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장실(10S) 내부의 고온의 공기는 전방 유로(80F)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장실(10S)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아울러, 조리실(101)과 전장실(10S)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부재(90)가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재(90)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열부재(90)가 제1 조리실(101a)의 상부,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의 후방, 제2 조리실(101b)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 패널(30), 제1 및 제2 랙(40a, 40b), 히터(50), 제1 및 제2 순환 유닛(60a, 60b), 흡입 유닛(70), 냉각 유닛(80) 및 단열부재(90)를 구비한 오븐(1)의 구조는, 종래의 오븐의 구조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오븐(1)의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힘으로써,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은 폐쇄된다.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이 폐쇄된 상태에서 히터(50)가 동작함으로써, 제1 및 제2 랙(40a, 40b) 상에 놓여진 음식물들이 가열될 수 있다.
오븐(1)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열리지 않도록 제1 및 제2 도어(21, 22)는 별도의 고정 장치(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전면 패널(11)과 제1 도어(21) 사이에는 제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21)와 조리실(101) 사이를 밀폐할 수 있는 제1 실링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 사이에도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도어(22)와 개구부(21S) 사이를 밀폐할 수 있는 제2 실링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오븐(1)의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제2 도어(22)에 결합된 도어 핸들(221)을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당김으로써 제1 도어(21)를 열 수 있다.
제1 도어(21)는 제1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열리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은 개방될 수 있으며,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 내부로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조리를 마친 음식물을 제1 및 제2 조리실(101a, 101b)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림으로써, 잠금 장치(1000)의 제1 고리 부재(1100, 도 4 참조)와 제1 잠금 유닛(1200, 도 4 참조)이 분리되며, 잠금 장치(1000)는 제1 도어(21)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2 도어(22)가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연결한다.
아울러, 잠금 장치(1000)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1400)가 가압 되더라도 제2 도어(22)가 열리지 않도록 제2 도어(22)의 고정을 유지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오븐(1)의 제2 도어(22)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조작 레버(1400)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조작 레버(1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조작 레버(1400)를 누른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조작 레버(1400)가 가압되면,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되어 제2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해지고, 이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전방을 향해 당겨짐으로써 제2 도어(22)가 열릴 수 있다.
잠금 장치(1000)는 조작 레버(1400)가 가압되면 제1 도어(21)를 본체(10)에 결합된 메인 고리 유닛(110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2 도어(22)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1 도어(21)가 함께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장치(1000)의 세부 구조 및 잠금 장치(1000) 통한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개폐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 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장치(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잠금 장치(100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잠금 장치(1000)는 본체(10)에 결합된 메인 고리 유닛(1100), 제1 도어(21)에 결합되어 메인 고리 유닛(11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잠금 유닛(1200), 제2 도어(22)에 결합되어 제1 잠금 유닛(12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잠금 유닛(1300) 및 가압에 의해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1400)를 포함한다.
조작 레버(1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제1 잠금 유닛(1200)과 제2 잠금 유닛(1300)을 분리시킴으로써,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분리할 수 있다.
메인 고리 유닛(1100)은 전면 패널(11)에 결합된다.
메인 고리 유닛(1100)은 전면 패널(11)에 결합된 몸체(1110) 및 몸체(1110)에 결합되어 전방을 향해 돌출된 메인 고리(1120)를 포함한다.
몸체(1110)와 메인 고리(1120) 사이에는 결합홀(1100H)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고리(1120)의 양측에는 몸체(1110)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지지부재(1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잠금 유닛(1200)은 제1 도어(21)에 결합된 제1 홀더(1210), 제1 홀더(1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후크 부재(1220), 제1 홀더(1210)에 결합되며 제1 후크 부재(1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축(1240) 및 제1 후크 부재(1220)가 메인 고리 유닛(1100)과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제1 후크 부재(1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1250)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125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홀더(1210)는 제1 개구부(1210H)를 포함하며, 제1 개구부(1210H)에 제1 후크 부재(1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회전축(1240)은 제1 홀더(1210)에 결합되어 제1 개구부(1210H)를 관통하며, 제1 후크 부재(122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후크 부재(1220)는 제1 개구부(1210H)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제1 후크 부재(1220)는 메인 고리 유닛(1100)의 메인 고리(1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hook) 형상의 제1 후크부(1221)와 제1 후크부(1221)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제1 피가압부(1222)를 포함하고, 제1 후크부(1221)와 제1 피가압부(1222) 사이에는 제1 회전축(1240)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12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후크부(1221)의 하측에는 제1 탄성 부재(125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122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홀더(1210)의 내측에는 제1 탄성 부재(125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121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후크 부재(1220)는 제1 탄성 부재(125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후크부(1221)가 메인 고리 유닛(1100)의 결합홀(1100H)에 삽입되어 메인 고리(1120)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 후크 부재(1220)와 메인 고리 유닛(1100)은 결합할 수 있다.
제2 잠금 유닛(1300)은, 제2 도어(22)에 결합된 제2 홀더(1310), 제2 홀더(1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후크 부재(1320) 및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제2 후크 부재(1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1340)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134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홀더(1310)는 제2 개구부(1310H)를 포함하며, 제2 개구부(1310H)에 제2 후크 부재(13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 회전축(1330)은 제2 홀더(1310)에 결합되어 제2 개구부(1310H)를 관통하며, 제2 후크 부재(132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개구부(1310H)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1 후크 부재(1220)의 제1 피가압부(12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제2 후크부(1321)와 제2 후크부(1321)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제2 피가압부(1322)를 포함하고, 제2 후크부(1321)와 제2 피가압부(1322) 사이에는 제2 회전축(1330)이 삽입되는 제2 관통홀(13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2 후크부(1321)의 하측에는 제2 탄성 부재(134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결합돌기(1324, 도7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홀더(1310)의 내측에는 제2 탄성 부재(134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4 결합돌기(131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탄성 부재(134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후크 부재(1220)가 메인 고리 유닛(1100)과 분리되도록 제1 후크 부재(12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탄성 부재(1340)의 탄성력은 제1 탄성 부재(1250)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탄성 부재(134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후크부(1321)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제1 피가압부(1222)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2 후크부(1321)는 제1 탄성 부재(1250)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제1 후크 부재(1210)를 가압하므로, 제1 후크 부재(1210)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후크 부재(1210)는 제2 후크 부재(1320)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제1 회전방향(R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후크 부재(1220)는 제2 후크부(132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1 회전방향(R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홀더(1210)에 간섭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1 후크 부재(1220)를 탄성 지지한다는 의미는, 제1 탄성 부재(125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제1 후크 부재(122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2 탄성 부재(1340)의 탄성력을 통해 제1 후크 부재(1220)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탄성 부재(134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후크 부재(122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후크 부재(1320) 역시, 제1 회전방향(R1)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2 홀더(1310)에 간섭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이중 열림 방지 부재(1230, 1260)는 제1 홀더(1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고리 부재(1230) 및 회전 고리 부재(1230)가 제2 후크 부재(1320)와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고리 부재(123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탄성 부재(1260)를 포함한다.
제3 탄성 부재(126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중 열림 방지 부재(1230, 1260)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1400)가 가압되는 경우 제2 도어(22)가 제1 도어(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2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고리 부재(1230)는 제1 회전축(1240)에 결합됨으로써, 제1 후크 부재(1220)와 동축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고리 부재(1230)는 제2 후크부(1321)에 근접한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 고리부(1231)와 회전 고리부(1231)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12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돌기(1232)는 회전 고리부(123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한 쌍의 지지돌기(1232)와 회전 고리부(1231) 사이에는 제1 회전축(1240)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관통홀(123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돌기(1232) 사이에는 제1 후크 부재(122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 고리 부재(1230)는 한 쌍의 지지돌기(123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5 결합돌기(1234)를 포함한다.
제5 결합돌기(1234)는 지지돌기(1232)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5 결합돌기(1234)에는 제3 탄성 부재(1260)의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제1 홀더(1210)의 내측에는 제3 탄성 부재(126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6 결합돌기(1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고리 부재(1230)는 제3 탄성 부재(126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 고리부(1231)가 제2 후크부(1321)에 걸림으로써, 회전 고리 부재(1230)와 제2 후크 부재(1320)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1230)의 한 쌍의 지지돌기(1232)는 회전 고리 부재(123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메인 고리 유닛(1100)의 한 쌍의 지지부재(1130)에 지지된다.
또한, 회전 고리 부재(1230)는 제1 도어(21)가 열림으로써 한 쌍의 지지부재(1130)로부터 지지가 해제되면, 제2 후크 부재(132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제2 후크 부재(1320)가 회전 고리 부재(1230)를 탄성 지지한다는 의미는, 제3 탄성 부재(126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회전 고리 부재(123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2 탄성 부재(1340)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 고리 부재(1230)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2 탄성 부재(1340)의 탄성력은 제3 탄성 부재(1260)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1 후크 부재(1220)와 회전 고리 부재(1230)를 함께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 부재(1340)의 탄성력은 제1 탄성 부재(1250)의 탄성력과 제3 탄성 부재(1260)의 탄성력의 합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조작 레버(1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2 후크 부재(1320)는 조작 레버(14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 고리 부재(1230)와 분리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작 레버(1400)는 레버 몸체(1410), 레버 몸체(1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케이스(1420), 레버 몸체(1410)에 삽입되는 레버 축(1430) 및 레버 몸체(14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레버 탄성부재(1440)를 포함한다.
레버 몸체(14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411)와 파지부(1411)의 일단에 결합된 가압부(1412)를 포함한다.
가압부(1412)는 제2 후크 부재(1320)를 향해 돌출되며, 제2 후크 부재(1320)의 제2 피가압부(1322)와 접촉한다.
파지부(1411)와 가압부(1412) 사이에는 레버 축(1430)이 삽입되는 레버 축 홀(1413)이 형성된다.
레버 축 홀(1413)은 수직방향으로 레버 몸체(1410)를 관통하며, 이를 통해 레버 몸체(1410)는 레버 축(1430)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1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1410)는 가압부(1412)가 제2 피가압부(1322)를 가압하도록 레버 축(14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레버 케이스(1420)는 제1 케이스(1421) 및 제2 케이스(142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421)는 가압부(1412)가 관통하는 관통부(1421H)를 구비하며, 제2 케이스(1422)에는 레버 축(1430)이 결합된다.
아울러, 레버 탄성부재(1440)는 레버 몸체(1410)가 제2 피가압부(1322)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레버 몸체(141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레버 탄성부재(144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 탄성부재(14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파지부(1411)를 가압함으로써, 가압부(1412)가 제2 후크부재(1320)를 가압하도록 레버 몸체(1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압부(1412)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1322)는 가압부(1412)와 접촉하는 슬라이딩면(1322S)을 포함한다.
파지부(1411)가 가압됨으로써 레버 몸체(1410)가 회전하면, 슬라이딩면(1322S)이 가압부(14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1400)의 파지부(1411)가 가압되면,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여 회전 고리 부재(13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조작 레버(1400)의 조작을 통해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구조는 전술한 구조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1411)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당겨줌으로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아울러, 조작 레버(1400)는 제2 도어(22)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제2 도어(22)의 전면과 마주하는 도어 핸들(22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레버(1400)의 파지부(1411)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어 핸들(221)을 통해 제1 및 제2 도어(21, 22)를 여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만, 조작 레버(1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되지 않고 컨트롤 패널(30) 등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조작 레버(1400)의 파지부(1411)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당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도 7은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1230)는, 한 쌍의 지지돌기(1232)가 메인 고리 유닛(1100)의 한 쌍의 지지부재(1130)에 지지됨으로써, 그 위치가 유지된다.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1 후크 부재(1220)가 메인 고리(1120)에 결합되지 않도록 제2 후크부(1231)를 통해 제1 피가압부(1222)를 가압함으로써, 제1 후크 부재(1220)를 탄성 지지한다.
아울러, 제2 후크 부재(1320)는 회전 고리 부재(1230)의 회전 고리부(1231)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는 결합됨으로써 제2 도어(22)의 회동이 방지되며, 제1 도어(21)는 본체(10)로부터 회동이 가능하다.
도 8a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후크 부재(1220)는 메인 고리 유닛(1100)과 결합되지 않으며, 제2 후크 부재(1320)와 회전 고리 부재(1230)는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 핸들(221)을 당기는 경우,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21)는 제1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열리게 된다.
제1 도어(21)가 열리면, 회전 고리 부재(1230)의 한 쌍의 지지돌기(1232)는 메인 고리 유닛(1100)의 한 쌍의 지지부재(1130)로부터 지지가 해제된다. 이를 통해, 회전 고리 부재(1230)는 제2 후크 부재(1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후크 부재(132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 8b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1400)가 가압 되었을 때 잠금 장치(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파지부(1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1410)가 회전함으로써 가압부(1412)는 제2 후크 부재(1320)의 제2 피가압부(1322)를 가압한다.
제2 피가압부(1322)의 슬라이딩면(1322S)이 가압부(14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130)는 제2 후크 부재(1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후크 부재(13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면, 회전 고리 부재(1230)는 제2 후크 부재(1320)와 결합된 상태로 제3 탄성 부재(126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회전 고리 부재(1230)와 제2 후크 부재(132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1400)가 가압되더라도, 제2 도어(2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도어(22)가 열리는 과정에서의 잠금 장치(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1400)의 파지부(1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1410)가 회전함으로써 가압부(1412)는 제2 후크 부재(1320)의 제2 피가압부(1322)를 가압한다.
제2 피가압부(1322)의 슬라이딩면(1322S)이 가압부(14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1230)는 한 쌍의 지지돌기(1232)가 메인 고리 유닛(1100)의 한 쌍의 지지부재(1130)에 지지됨으로써 그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고리 부재(1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후크 부재(1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후크 부재(13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후크 부재(1220)는 제1 탄성 부재(125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후크 부재(1220)는 메인 고리 유닛(1100)의 메인 고리(1120)에 걸리게 됨으로써 메인 고리 유닛(1100)과 결합한다.
이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411)가 가압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면,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2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아울러, 제1 도어(21)는 제1 후크 부재(1220)가 메인 고리 유닛(1100)에 결합됨으로써 본체(10)에 고정되므로, 제2 도어(22)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1 도어(21)가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조작 레버(1400)는 파지부(1411)가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후크 부재(1320)를 회전 고리 부재(1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에 의해 파지부(1411)의 선단이 레버 케이스(1420)를 향해 이동하는 거리를 기준으로, 파지부(1411)가 0mm 내지 2.5mm 가압되는 경우 제2 후크 부재(1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 고리 부재(133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면 제1 도어(21)가 열린다.
아울러, 파지부(1411)가 2.5mm 내지 4.0mm 가압되는 경우, 제2 후크 부재(1320)와 회전 고리 부재(123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후크 부재(1220)는 메인 고리 유닛(1100)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도어(21)는 본체(10)에 고정되고,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2)에 고정됨으로써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더라도 제1 및 제2 도어(21, 22)는 열리지 않는다.
또한, 파지부(1411)가 4.0mm 내지 8.0mm 가압되는 경우에 제2 후크 부재(1320)는 회전 고리 부재(123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2 도어(22)가 열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의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는 본체(10, 도 3b 참조)에 결합된 메인 고리 유닛(2100), 제1 도어(21, 도 3b 참조)에 결합되어 메인 고리 유닛(21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잠금 유닛(2200), 제2 도어(22, 도 3c 참조)에 결합되어 제1 잠금 유닛(22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잠금 유닛(2300) 및 가압에 의해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2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잠금 장치(2000)의 메인 고리 유닛(2100), 제1 잠금 유닛(2200), 제2 잠금 유닛 및 조작 레버(2400)는 본체(10)로부터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조작 레버(2400)는 도어 핸들(221, 도 3c 참조)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제1 잠금 유닛(2200)과 제2 잠금 유닛(2300)을 분리시킴으로써,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잠금 장치(2000)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2400)가 가압 되더라도 제2 도어(22)가 열리지 않도록 제2 도어(22)의 고정을 유지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잠금 장치(2000)는 본체(10)에 결합된 메인 고리 유닛(2100), 제1 도어(21)에 결합된 제1 잠금 유닛(2200), 제2 도어(22)에 결합된 제2 잠금 유닛(2300) 및 도어 핸들(221)에 결합된 조작 레버(2400)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3a 내지 도 9b를 통해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와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다. 다만, 잠금 장치(2000)의 메인 고리 유닛(2100), 제1 잠금 유닛(2200), 제2 잠금 유닛(2300) 및 조작 레버(2400)의 세부 구성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잠금 장치(2000)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잠금 장치(20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겠으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고리 유닛(2100)은 본체(10)의 전면 패널(11)에 결합된다.
메인 고리 유닛(2100)은 전면 패널(11)에 결합된 몸체(2110), 몸체(2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고리 부재(2120), 몸체(2110)에 결합되며 제1 고리 부재(2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축(2130) 및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1 잠금 유닛(2200)의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메인 고리(21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T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몸체(2110)는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2110S)를 포함한다.
제1 회전축(2130)은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몸체(2110)의 수용부(2110S)를 관통하여 몸체(2110)에 결합되며, 제1 고리 부재(2120)에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고리 부재(2120)는 몸체(2120)의 수용부(2110S)의 내측에서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잠금 유닛(2200)의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1 고리부(2121)를 포함하며, 제1 고리부(2121)와 반대되는 타단부(2122)는 제1 탄성 부재(T1)의 일단이 결합된다.
제1 고리부(2121)는 수용부(2110S)로부터 제1 걸림 돌기(22111)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 걸림 돌기(22111)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고리부(2121)와 제1 고리 부재(2120)의 타단부(2122)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2123)을 포함하며, 제1 고리 부재(2120)의 관통홀(2123)에 제1 회전축(2130)이 삽입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T1)의 타단은 몸체(2110)의 수용부(2110S) 상에서 몸체(211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제1 탄성 부재(T1)로부터 탄성력을 인가 받는다.
제1 탄성 부재(T1)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탄성 부재(T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2110)에 간섭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걸림 돌기(221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잠금 유닛(2200)은 제1 도어(21)에 결합된 제1 홀더(2210) 및 제1 홀더(2210)의 내부에 배치된 이중 열림 방지 부재(2220, 2230, 2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홀더(2210)는 제1 커버(2211)와 제1 커버(2211)에 결합된 제2 커버(2212)를 포함한다.
제1 커버(2211)는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홀(22111H) 및 제2 결합홀(22112H)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결합홀(22111H, 22112H) 상에서 돌출된 제1 및 제2 걸림 돌기(22111, 22112)를 포함한다.
제2 커버(2212)는 제1 커버(2211)의 제1 및 제2 결합홀(22111H, 22112H)과 각각 연결되도록 제2 커버(2212)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 및 제2 연결홀(22121a, 22121b)을 포함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홀(22111H)은 제2 결합홀(22112H)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고리부(2121)가 제1 결합홀(22111H)에 삽입됨으로써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리부(2121)의 제1 고리홀(2121H)에 제1 걸림 돌기(22111)가 삽입됨으로써, 메인 고리 유닛(2100)과 제1 잠금 유닛(2200)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리부(2121)가 제1 걸림 돌기(22111)에 결합하기 위해 제1 걸림 돌기(22111)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고리부(2121)는 제1 걸림 돌기(22111)에 가압됨으로써 제1 회전방향(R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고, 이후, 제1 고리홀(2121H)에 제1 걸림 돌기(22111)가 삽입됨으로써 제1 고리부(212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제1 고리부(2121)는 제1 탄성 부재(T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1 고리부(2121)는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고리부(2121)가 제1 걸림 돌기(2211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은 제1 고리부(2121)가 제1 걸림 돌기(22111)에 결합되는 과정의 역순이다.
제1 결합홀(22111H)의 하측에는 제2 결합홀(22112H)이 배치되며, 제2 결합홀(22112H)에는 제2 걸림 돌기(22112)가 배치된다.
제2 걸림 돌기(22112)는 제1 걸림 돌기(22111)와 그 구조가 유사하며, 후술하는 제2 잠금 유닛(2300)의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2 결합홀(22112H)에 삽입됨으로써 제2 고리 부재(233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홀더(2210)의 내부에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2220, 2230, 2240)가 배치된다. 이중 열림 방지 부재(2220, 2230, 2240)는 제1 슬라이딩 부재(2220), 제1 스토퍼(2230) 및 제2 스토퍼(224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 부재(2220)는 제1 홀더(2210)의 내측에서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제1 슬라이딩 부재(2220)의 일측에는 제2 탄성 부재(T2)가 결합된다.
제2 탄성 부재(T2)는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1 수평방향(X1)으로 이동하도록 제1 슬라이딩 부재(222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제2 탄성 부재(T2)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재(2220)는, 제1 결합홀(22111H)의 하측에 배치되며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안착부(2221), 안착부(2221)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2222), 제1 걸림부(222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2223) 및 안착부(2221)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3 걸림부(2224)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2 탄성 부재(T2)는 제3 걸림부(2224)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2230)가 제1 수평방향(X1)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1 수평방향(X1)은 제3 걸림부(2224)가 배치된 안착부(2221)의 타단으로부터 제1 걸림부(2222)가 배치된 안착부(2221)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재(2220)는 제2 탄성부재(T2)에 의해 제1 수평방향(X1)으로 슬라이딩하거나, 제1 수평방향(X1)과 반대되는 제2 수평방향(X2)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1 수평방향(X1)으로 이동한 위치를 제1 위치로 정의하고,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한 위치를 제2 위치로 정의한다.
안착부(2221)는 제1 슬라이딩 부재(222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제1 고리 부재(2120)의 제1 고리부(2121)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탄성 부재(T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고리부(2121)는 안착부(222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리부(2121)와 제1 걸림 돌기(22111H)는 분리된다.
제1 고리 부재(2120)와 제1 걸림 돌기(2211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제1 걸림부(2222)는 제1 고리부(2121)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1 걸림부(2222)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제1 고리 부재(2120)와 간섭될 수 있으며,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2222)의 상측에는 제1 스토퍼(2230)가 배치된다.
제1 스토퍼(2230)의 상단에는 제3 탄성 부재(T3)가 결합된다.
제3 탄성 부재(T3)는 제1 스토퍼(2230)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제3 탄성 부재(T3)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제3 탄성 부재(T3)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스토퍼(2230)는 제3 탄성 부재(T3)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결합홀(22111H)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2230)는 제1 고리 부재(2120)로부터 지지됨으로써 제1 결합홀(22111H) 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1 홀더(2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230)는,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1 결합 돌기(2211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고리 부재(2120)로부터 가압되는 경사면(2231)을 포함한다.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1 걸림 돌기(2211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1 스토퍼(2230)는 제1 고리 부재(2120)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된다. 따라서, 제1 스토퍼(2230)는 제3 탄성 부재(T3)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1 결합홀(22111H) 상으로 돌출된다.
제1 스토퍼(2230)가 제1 결합홀(22111H) 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 스토퍼(2230)는 제1 걸림부(2222) 상에 안착된다.
이로 인해, 제2 걸림부(2223)는 제1 스토퍼(2230)에 간섭됨으로써,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1 결합홀(22111H)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스토퍼(2230)의 경사면(2231)은 제1 고리부(2121)에 가압됨으로써 제1 스토퍼(2230)가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2 스토퍼(2240)는 안착부(2221)의 하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스토퍼(2240)는 제1 걸림부(2222)가 결합된 안착부(2221)의 일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3 걸림부(2224)와 마주할 수 있다.
제4 탄성 부재(T4)는 제2 스토퍼(22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 스토퍼(224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제4 탄성 부재(T4)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스토퍼(2240)는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홀(22112H) 상으로 돌출되며, 제2 고리 부재(23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제2 고리 부재(2330)와 간섭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스토퍼(2240)는 제2 고리 부재(2230)가 제2 걸림 돌기(22112)와 분리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라이딩 부재(2220), 제1 스토퍼(2230) 및 제2 스토퍼(2240)를 통해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2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부재(2220), 제1 스토퍼(2230) 및 제2 스토퍼(2240)를 통한 제2 도어(22)의 이중 열림 방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잠금 유닛(2300)은 제2 도어(22)에 결합된 제2 홀더(2310), 제2 홀더(231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슬라이딩 부재(2320), 제2 슬라이딩 부재(2320)가 제1 수평방향(X1)으로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5 탄성부재(T5),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고리 부재(2330),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에 결합되며 제2 고리 부재(2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회전축(2340) 및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도록 제2 고리 부재(233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6 탄성 부재(T6)를 포함한다.
제2 홀더(2310)는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2310S, 도 15a 참조)를 포함하며,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는 제2 홀더(2310)의 수용부(2310S)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수평방향(X1, X2)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2 홀더(2310)는 후술하는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2 고리부(2331)가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2310H)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는 제2 홀더(2310)의 수용부(2310S)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홀더(2310)의 수용부(2310S) 상에서 제1 및 제2 수평방향(X1, X2)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아울러, 제5 탄성 부재(T5)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20)가 제1 수평방향(X1)으로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며, 제5 탄성 부재(T5)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제2 홀더(2310)의 내측에 결합된다. 제5 탄성 부재(T5)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내측에는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1 및 제2 회전방향(R1, R2)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1 고리 부재(2120)와 동일하게 제1 및 제2 회전방향(R1, R2)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제2 고리 부재(2330)가 회전하는 제1 및 제2 회전방향(R1, R2)은 각각 제3 및 제4 회전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제1 수용부(2320S1, 도 15a 참조)를 관통하도록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회전축(2340)이 삽입됨으로써, 제1 수용부(2320S1)의 내측에서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1 잠금 유닛(2200)의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고리부(2331)를 포함하며, 제2 고리부(2331)와 반대되는 타단부(2332)는 제6 탄성 부재(T6)의 일단이 결합된다.
제2 고리부(2331)는 제2 걸림 돌기(22112)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2 걸림 돌기(22112)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는 제2 고리부(2331)가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2320H)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2 고리부(2331)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개구부(2320H) 및 제2 홀더(2310)의 개구부(2310H)를 순차적으로 관통함으로써,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2 고리부(2331)가 제2 결합홀(22112H)에 삽입되면, 제2 고리부(2331)의 일측은 제3 걸림부(2224)와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개구부(2320H) 및 제2 홀더(2310)의 개구부(2310H)의 폭은 제2 고리부(2331)의 폭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개구부(2320H) 및 제2 홀더(2310)의 개구부(2310H)의 높이는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1 및 제2 회전방향(R1, R2)으로의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고리부(2331)와 제2 고리 부재(2330)의 타단부(2332)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2333)을 포함하며, 제2 고리 부재(2330)의 관통홀(2333)에 제2 회전축(2140)이 삽입된다.
또한, 제6 탄성 부재(T6)의 타단은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제1 수용부(2320S1) 상에서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2 고리 부재(2300)는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도록 제6 탄성 부재(T6)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는다. 제6 탄성 부재(T6)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6 탄성 부재(T6)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회전방향(R2)으로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슬라이딩 부재(2320) 또는 제2 홀더(2310)에 간섭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걸림 돌기(221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개구부(2320H) 또는 제2 홀더(2310)의 개구부(2310H)에 간섭됨으로써, 그 회전반경이 규제될 수 있다.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고리부(2331)가 제2 결합홀(22112H)에 삽입됨으로써, 제2 걸림 돌기(22112)가 제2 고리부(2331)의 제2 고리홀(2331H)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잠금 유닛(2300)과 제1 잠금 유닛(2200)은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리부(2331)가 제2 걸림 돌기(22112)에 결합하기 위해 제2 걸림 돌기(22112)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고리부(2331)는 제2 걸림 돌기(22112)에 가압됨으로써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이후, 제2 고리홀(2331H)에 제2 걸림 돌기(22112)가 삽입됨으로써 제2 고리부(233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제2 고리부(2331)는 제6 탄성 부재(T6)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2 고리부(2331)는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고리부(2331)가 제2 걸림 돌기(22112)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은 제2 고리부(2331)가 제2 걸림 돌기(22112)에 결합되는 과정의 역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2 고리부(2331)의 하측에는 제2 스토퍼(2240)가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2 고리부(2331)는 제2 스토퍼(2240)에 간섭됨으로써 제2 간섭 돌기(22112)와 분리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조작 레버(2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되며, 가압에 의해 동작하여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는 조작 레버(24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재(23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에 결합된 제2 고리 부재(2330) 또한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조작 레버(2400)는 레버 몸체(2410), 레버 몸체(2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케이스(2420), 레버 몸체(2410)에 삽입되는 레버 축(2430) 레버 몸체(24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레버 탄성부재(2440)를 포함한다.
레버 몸체(24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411)와 파지부(2411)의 일단에 결합된 가압부(2412)를 포함한다.
가압부(2412)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를 향해 돌출되며,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제2 수용부(2320S2, 도 15b 참조)에 삽입되어 제2 슬라이딩 부재(23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하도록 제2 수용부(2320S2)의 내측을 가압할 수 있다.
파지부(2411)와 가압부(2412) 사이에는 레버 축(2430)이 삽입되는 레버 축 홀(2413)이 형성된다.
레버 축 홀(2413)은 수직방향으로 레버 몸체(2410)를 관통하며, 이를 통해, 레버 몸체(2410)는 레버 축(2430)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2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2410)는 가압부(2412)가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를 가압하도록 레버 축(24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레버 케이스(2420)는 제1 케이스(2421) 및 제2 케이스(242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2421)는 가압부(2412)가 관통하는 관통부(2421H)를 구비하며, 제2 케이스(2422)에는 레버 축(2430)이 결합된다.
아울러, 레버 탄성부재(2440)는 레버 몸체(2410)가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레버 몸체(241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레버 탄성부재(244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 탄성부재(24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파지부(2411)를 가압함으로써, 가압부(2412)가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를 가압하도록 레버 몸체(2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파지부(2411)를 가압함으로써,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를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파지부(2411)가 가압됨으로써 레버 몸체(2410)가 회전하면, 가압부(2412)가 삽입된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제2 수용부(2320S2)의 내측벽이 가압부(24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는 제2 수평방향(X2)으로 슬라이딩 한다.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2400)의 파지부(2411)가 가압되면, 제2 슬라이딩 부재(2320) 및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에 결합된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한다.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고리부(2331)는 제3 걸림부(2224)를 제2 수평방향(X2)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슬라이딩 부재(2220)는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걸림부(2224)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2 고리부(2331)는 제2 스토퍼(2240)에 의한 간섭이 해제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걸림부(2224)와 제2 스토퍼(2240) 사이에는 제2 고리부(2331)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간섭 돌기(22112)와 분리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이 가능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2411)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당겨줌으로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아울러, 조작 레버(2400)는 제2 도어(22)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제2 도어(22)의 전면과 마주하는 도어 핸들(22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레버(2400)의 파지부(2411)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어 핸들(221)을 통해 제1 및 제2 도어(21, 22)를 여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만, 조작 레버(2400)는 도어 핸들(221)에 결합되지 않고 컨트롤 패널(30) 등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조작 레버(2400)의 파지부(2411)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당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열리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1 도어(21)가 열리는 과정에서 잠금 장치(2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제1 도어(21)가 열리는 구조 및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22)가 이중으로 열리지 않는 이중 열림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는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2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결합홀(22111H)에 삽입되어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한다.
이때,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결합홀(22112H)에 삽입되어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하며, 제2 스토퍼(2240)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제2 걸림 돌기(22112)와 분리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의 회전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b는 제1 도어(21)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2000)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c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2000)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도어(22)에 결합된 도어 핸들(221)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당겨지기 시작함으로써, 제2 도어(22)가 결합된 제1 도어(21)는 열리기 시작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리기 시작하면,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걸림 돌기(2211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고리 부재(2120)의 제1 고리홀(2121H)과 제1 걸림 돌기(22111)는 분리된다.
이후,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221)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더 당겨짐으로써, 제1 고리 부재(2120)와 제1 걸림 돌기(22111)는 분리되고,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탄성 부재(T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메인 고리 유닛(2100)과 제1 잠금 유닛(2200)은 분리되며, 이를 통해, 제1 도어(21)는 열리게 된다.
아울러,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림으로써, 제1 고리 부재(2120)가 제1 걸림 돌기(22111)로부터 분리되면, 제1 스토퍼(2230)는 제1 고리부(2121)에 의한 지지가 해제된다.
따라서, 제1 스토퍼(2230)는 제3 탄성 부재(T3)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결합홀(22111H) 상으로 돌출된다.
제1 스토퍼(2230)가 제1 결합홀(22111H) 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1 스토퍼(2330)는 제1 걸림부(2222) 상에 안착한다.
이를 통해, 제2 걸림부(2223)는 제1 스토퍼(2230)에 간섭됨으로써,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제1 스토퍼(2230)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부재(2220)의 제2 수평방향(X2)으로의 이동이 차단됨에 따라, 제3 걸림부(2224)와 마주하는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2 수평방향(X2)으로의 이동 또한 차단되며, 제2 고리 부재(2330)가 결합된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제2 수평방향(X2)으로의 이동 역시 차단된다.
따라서, 파지부(2411)가 가압되더라도 레버 몸체(2410)는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된다.
이를 통해,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2400)가 가압되더라도, 제2 도어(2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22)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제2 도어(22)가 열리는 과정에서 잠금 장치(2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20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4a에 도시된 도면과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잠금 장치(2000)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도 15b 및 도 15c는 조작 레버(2400)의 파지부(2411)가 가압된 상태의 잠금 장치(2000)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2400)의 파지부(2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2410)가 회전함으로써 제2 수용부(2320S2)에 삽입된 가압부(2412)는 제2 슬라이딩 부재(2320)를 제2 수평방향(X2)으로 가압한다.
제2 슬라이딩 부재(23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제2 슬라이딩 부재(2320)의 제1 수용부(2320S1)에 결합된 제2 고리 부재(2330) 역시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 부재(2220)의 제3 걸림부(2224)는 제2 고리부(2331)에 의해 가압되며, 이를 통해, 제1 슬라이딩 부재(2220) 역시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한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스토퍼(2240)로부터 간섭됨이 없이 제2 걸림 돌기(22112)와 분리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제1 슬라이딩 부재(2220)가 제2 수평방향(X2)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걸림부(2222)는 제1 고리부(2121)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2 걸림부(2223)는 제1 스토퍼(2230)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고리부(2121)의 하측에 배치된 제1 걸림부(2222)에 간섭됨으로써, 제1 걸림 돌기(22111)로부터 분리되는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파지부(2411)가 가압되면,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걸림부(2222)에 의해 제1 걸림 돌기(22111)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스토퍼(2230)는 제2 걸림부(2223)에 간섭됨으로써, 제3 탄성 부재(T3)에 의한 하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후,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411)가 가압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기 시작하면,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2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기 시작한다.
파지부(2411)가 가압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면,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2 걸림 돌기(221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제2 고리 부재(233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고리 부재(2330)의 제2 고리홀(2331H)과 제2 걸림 돌기(22112)는 분리된다.
아울러,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걸림 돌기(22112)와 결합하고,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걸림 돌기(22112)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후,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221)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더 당겨짐으로써, 제2 고리 부재(2330)와 제2 걸림 돌기(22112)는 분리되고, 제2 고리 부재(2330)는 제5 탄성 부재(T5)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2 잠금 유닛(2300)과 제1 잠금 유닛(2200)이 분리됨으로써 제2 도어(22)는 열리게 된다.
제2 도어(22)가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되어 열리는 과정에서, 제1 고리 부재(2120)는 제1 걸림부(2222)에 간섭됨으로써 제1 걸림 돌기(22111)로부터 분리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의 회전이 차단되는바, 이를 통해, 제1 도어(21)는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2411)가 가압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당겨지는 경우, 제1 도어(21)는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제2 도어(22) 만이 열리게 된다.
전술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는, 제1 슬라이딩 부재(2220), 제1 및 제2 스토퍼(2230, 2240)를 통해 제1 및 제2 고리 부재(2120. 2330))를 제1 및 제2 걸림 돌기(22111, 22112)에 선택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6000)의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잠금 장치(6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잠금 장치(6000)의 메인 고리 유닛(6100), 제1 잠금 유닛(6200), 및 제2 잠금 유닛(6300)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잠금 장치(6000)는 본체(10)(도 3b 참조)에 설치된 메인 고리 유닛(6100), 제1 도어(21)(도 3b 참조)에 설치되어 메인 고리 유닛(6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잠금 유닛(6200), 제2 도어(22)(도 3c 참조)에 설치되어 제1 잠금 유닛(6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잠금 유닛(6300), 및 가압에 의해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6400)를 포함한다.
조작 레버(6400)는 도어 핸들(221)(도 3c 참조)에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제1 잠금 유닛(6200)과 제2 잠금 유닛(6300)을 분리시킴으로써,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 레버(6400)를 가압하면, 제2 잠금 유닛(6300)이 제1 잠금 유닛(6200)에서 분리되어,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메인 고리 유닛(6100)은 본체(10)의 전면 패널(11)(도 21 참조)에 제1 도어(21)를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메인 고리 유닛(6100)은 전면 패널(11)에 설치된 몸체(6110), 몸체(6110)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해 돌출된 메인 고리(6120), 및 메인 고리(6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6130)를 포함한다.
몸체(6110)와 메인 고리(6120) 사이에는 결합홀(610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고리(612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후술하는 제1 도어(21)의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에 대응하도록 메인 고리(6120)의 아래에 메인 고리(6120)의 양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한 쌍의 지지돌기(6232)를 가압하여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몸체(61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한 쌍의 지지돌기(6232)에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가압부재(6130)의 선단, 즉 제1 도어(21)를 마주하는 일단은 경사부(6131a)(도 20 참조)가 마련되어 있어, 제1 도어(21)를 닫을 때, 제1 도어(21)의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경사면(6131a)을 따라 한 쌍의 가압부재(613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제1 도어(21)의 조립시 발생하는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의 위치 오차를 흡수하여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가압부재(613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와 접촉하는 부분은 한 쌍의 지지돌기(623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6의 잠금 장치(6000)의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를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몸체(6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가압부(6131), 제1 및 제2 가압부(6131)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부(6132),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부(6132)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부(6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6131)는 제1 토션 스프링부(6132)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제1 가압부(6131)의 선단에는 경사부(6131a)가 마련된다. 제2 가압부(6131)는 제1 가압부(613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2 가압부(6131)는 제2 토션 스프링부(6132)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제2 가압부(6131)의 선단에는 경사부(6131a)가 마련된다. 경사부(6131a)는 제1 및 제2 가압부(6131)의 선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접촉할 때, 한 쌍의 가압부재(6130)의 제 1 및 제2 가압부(6131)는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부(6132)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한 쌍의 지지돌기(6232)에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6131)와 제2 가압부(6131)는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와 대응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 토션 스프링부(6132)와 제2 토션 스프링부(6132)도 제1 가압부(6131) 및 제2 가압부(6131)와 동일하게 이격된다.
몸체(6110)의 후면에는 한 쌍의 가압부재(6130)가 설치될 수 있는 가압부재 수용부(6111)가 마련되고, 몸체(6110)의 전면에는 메인 고리(6120)의 양측으로 가압부재 수용부(6111)와 연통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 삽입홈(6115)이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압부재(6130)를 몸체(6110)의 가압부재 수용부(6111)에 삽입하면 제1 및 제2가압부(6131)가 한 쌍의 가압부재 삽입홈(6115)을 통해 몸체(6110)의 전면으로 돌출하고,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부(6132)와 연결부(6133)는 가압부재 수용부(6111)에 위치하게 된다.
몸체(6110)의 후면에는 한 쌍의 가압부재(61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614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6140)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요소를 사용하여 몸체(61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호 커버(6140)를 몸체(6110)에 고정하기 위해, 몸체(6110)에 2개의 암나사부(6113)가 마련되며, 보호 커버(6140)에는 2개의 관통공(6141)이 형성된다.
제1 잠금 유닛(6200)은 제1 도어(21)에 설치된 제1 홀더(6210), 제1 홀더(6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후크 부재(6220), 제1 홀더(6210)에 설치되며 제1 후크 부재(62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축(6240) 및 제1 후크 부재(6220)가 메인 고리 유닛(6100)과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제1 후크 부재(6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6250)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625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홀더(6210)는 제1 개구부(6210H)를 포함하며, 제1 개구부(6210H)에 제1 후크 부재(6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회전축(6240)은 제1 개구부(6210H)를 관통하도록 제1 홀더(6210)에 결합되며, 제1 개구부(6210H)에 설치되는 제1 후크 부재(622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후크 부재(6220)는 제1 개구부(6210H)에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1 후크 부재(6220)는 메인 고리 유닛(6100)의 메인 고리(61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hook) 형상의 제1 후크부(6221)와 제1 후크부(6221)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제1 피가압부(6222)를 포함하고, 제1 후크부(6221)와 제1 피가압부(6222) 사이에는 제1 회전축(6240)이 삽입되는 제1 관통홀(62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후크부(6221)의 하측에는 제1 탄성 부재(625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622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홀더(6210)의 내측에는 제1 탄성 부재(625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돌기(621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후크 부재(6220)는 제1 탄성 부재(625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후크 부재(6220)가 회전하여 제1 후크부(6221)가 메인 고리 유닛(6100)의 결합홀(6100H)에 삽입되어 메인 고리(6120)에 걸리게 되면, 제1 후크 부재(6220)와 메인 고리 유닛(6100)은 결합될 수 있다.
제2 잠금 유닛(6300)은, 제2 도어(22)에 설치된 제2 홀더(6310), 제2 홀더(6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후크 부재(6320) 및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제2 후크 부재(6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6340)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634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2 홀더(6310)는 제2 개구부(6310H)를 포함하며, 제2 개구부(6310H)에 제2 후크 부재(63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회전축(6330)은 제2 개구부(6310H)를 관통하도록 제2 홀더(6310)에 결합되며, 제2 개구부(6310H)에 설치되는 제2 후크 부재(632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개구부(6310H)에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1 후크 부재(6220)의 제1 피가압부(6222)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제2 후크부(6321)와 제2 후크부(6321)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제2 피가압부(6322)를 포함하고, 제2 후크부(6321)와 제2 피가압부(6322) 사이에는 제2 회전축(6330)이 삽입되는 제2 관통홀(63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2 후크부(6321)의 하측에는 제2 탄성 부재(634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결합돌기(6324, 도 21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홀더(6310)의 내측에는 제2 탄성 부재(634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4 결합돌기(631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탄성 부재(634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후크 부재(6220)가 메인 고리 유닛(6100)과 분리되도록 제1 후크 부재(62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탄성 부재(6340)의 탄성력은 제1 탄성 부재(6250)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탄성 부재(634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후크부(6321)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제1 후크 부재(6220)의 제1 피가압부(6222)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후크부(6321)는 제1 탄성 부재(6250)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1 후크 부재(6220)를 가압하므로, 제1 후크 부재(6220)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아울러, 제1 후크 부재(6220)는 제2 후크 부재(6320)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제1 회전방향(R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후크 부재(6220)가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후크부(6321)에 의해 가압될 때, 제1 회전방향(R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후크 부재(6220)가 간섭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제1 홀더(6210)에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1 후크 부재(6220)를 탄성 지지한다는 의미는, 제1 탄성 부재(625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제1 후크 부재(622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2 탄성 부재(6340)의 탄성력을 통해 제1 후크 부재(6220)를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탄성 부재(634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후크 부재(6220)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후크 부재(6320) 역시, 제1 회전방향(R1)으로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2 후크 부재(6320)와 간섭되는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제2 홀더(6310)에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이중 열림 방지 부재(6230, 6260)는 제1 홀더(6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고리 부재(6230)와 회전 고리 부재(6230)가 제2 후크 부재(6320)와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고리 부재(623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탄성 부재(6260)를 포함한다.
제3 탄성 부재(626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중 열림 방지 부재(6230, 6260)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6400)가 가압되는 경우 제2 도어(22)가 제1 도어(2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2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1 홀더(6210)의 개구부(6210H)에 설치되며, 제1 회전축(6240)에 결합되어 있어 제1 후크 부재(6220)와 동축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후크부(6321)에 근접한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 고리부(6231)와 회전 고리부(6231)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62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돌기(6232)는 회전 고리부(623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한 쌍의 지지돌기(6232)와 회전 고리부(6231) 사이에는 제1 회전축(6240)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관통홀(623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돌기(6232) 사이에는 제1 후크 부재(622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 고리 부재(6230)는 한 쌍의 지지돌기(623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5 결합돌기(6234)를 포함한다.
제5 결합돌기(6234)는 지지돌기(6232)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5 결합돌기(6234)에는 제3 탄성 부재(6260)의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제1 홀더(6210)의 개구부(6210H)내측에는 제3 탄성 부재(626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6 결합돌기(6213)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3 탄성 부재(626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 고리부(6231)가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후크부(6321)에 걸림으로써, 회전 고리 부재(6230)와 제2 후크 부재(6320)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623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는 회전 고리 부재(623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1 도어(21)가 열림으로써 한 쌍의 가압부재(6130)로부터 이격되면, 제2 후크 부재(632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제2 후크 부재(6320)가 회전 고리 부재(6230)를 탄성 지지한다는 의미는, 제3 탄성 부재(626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회전 고리 부재(623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되도록,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2 탄성 부재(6340)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 고리 부재(6230)를 지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제2 탄성 부재(6340)의 탄성력은 제3 탄성 부재(6260)의 탄성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1 후크 부재(6220)와 회전 고리 부재(6230)를 모두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 부재(6340)의 탄성력은 제1 탄성 부재(6250)의 탄성력과 제3 탄성 부재(6260)의 탄성력의 합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조작 레버(6400)는 도어 핸들(221)에 설치되며, 가압에 의해 동작하여 제2 도어(22)를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2 후크 부재(6320)는 조작 레버(64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 고리 부재(6230)와 분리되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작 레버(6400)는 레버 몸체(6410), 레버 몸체(64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케이스(6420), 레버 몸체(6410)에 삽입되는 레버 축(6430), 및 레버 몸체(64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레버 탄성부재(6440)를 포함한다.
레버 몸체(64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6411)와 파지부(6411)의 일단에서 연장된 가압부(6412)를 포함한다.
가압부(6412)는 제2 후크 부재(6320)를 향해 돌출되며,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피가압부(6322)와 접촉한다.
파지부(6411)와 가압부(6412) 사이에는 레버 축(6430)이 삽입되는 레버 축 홀(6413)이 형성된다.
레버 축 홀(6413)은 수직방향으로 레버 몸체(64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레버 축 홀(6413)에 레버 축(6430)을 삽입하면, 레버 몸체(6410)는 레버 축(6430)을 중심으로 수평면 상에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부(6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6410)는 레버 축(64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압부(6412)가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피가압부(6322)를 가압한다.
레버 케이스(6420)는 제1 케이스(6421) 및 제1 케이스(6421)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 케이스(642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6421)는 레버 몸체(6410)의 가압부(6412)가 수용되는 관통부(6421H)를 구비하며, 제2 케이스(6422)에는 레버 축(6430)이 결합된다.
아울러, 레버 탄성부재(6440)는 레버 몸체(6410)가 제2 피가압부(6322)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레버 몸체(641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레버 탄성부재(644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 탄성부재(64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파지부(6411)를 가압함으로써, 가압부(6412)가 제2 후크부재(6320)를 가압하도록 레버 몸체(6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 몸체(6410)의 가압부(6412)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피가압부(6322)는 가압부(6412)와 접촉하는 슬라이딩면(6322S)을 포함한다.
파지부(6411)가 가압됨으로써 레버 몸체(6410)가 회전하면, 슬라이딩면(6322S)이 가압부(641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6411)가 가압되면,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여 회전 고리 부재(63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조작 레버(6400)의 조작을 통해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는 구조는 전술한 구조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400)는 도어 핸들(2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6411)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당겨줌으로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 레버(6400)는 제2 도어(22)의 전면과 마주하도록, 제2 도어(22)의 전면과 마주하는 도어 핸들(22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6411)를 가압함과 동시에 도어 핸들(221)을 사용하여 제2 도어(22)를 여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 레버(6400)는 도어 핸들(221)에 설치하지 않고 컨트롤 패널(30)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1411)를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을 당겨 제2 도어(22)를 열 수 있다.
도 21은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6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6230)는,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그 위치가 유지된다.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1 후크 부재(6220)가 메인 고리 유닛(6100)의 메인 고리(6120)에 결합되지 않도록 제2 후크부(6321)를 통해 제1 후크 부재(6220)의 제1 피가압부(6222)를 가압한다.
아울러,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후크부(6321)는 회전 고리 부재(6230)의 회전 고리부(6231)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2 도어(22)에 설치된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1 도어(22)에 설치된 회전 고리 부재(6230)와 결합됨으로써 제1 도어(21)에 대한 제2 도어(22)의 회동이 방지되며, 제1 도어(21)는 본체(10)로부터 회동이 가능하다.
도 22a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의 잠금 장치(6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후크 부재(6220)는 메인 고리 유닛(6100)과 결합되지 않으며, 제2 후크 부재(6320)는 회전 고리 부재(62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 핸들(221)을 당기는 경우, 제2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21)는 제1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제1 도어(21)가 열리면, 회전 고리 부재(623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는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2 후크 부재(6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탄성 부재(63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 22b는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6400)가 가압 되었을 때 잠금 장치(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6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6410)가 회전하여 가압부(6412)는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피가압부(6322)를 가압한다.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피가압부(6322)의 슬라이딩면(6322S)이 레버 몸체(6410)의 가압부(6412)에 의해 가압되면,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2 후크 부재(6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탄성 부재(63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면, 회전 고리 부재(6230)는 제2 후크 부재(6320)와 결합된 상태로 제3 탄성 부재(626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1 도어(21)에 설치된 회전 고리 부재(6230)와 제2 도어(22)에 설치된 제2 후크 부재(632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21)가 열린 상태에서 조작 레버(6400)가 가압되더라도, 제2 도어(22)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제2 도어(22)가 열리는 과정에서의 잠금 장치(6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6411)가 가압되면, 레버 몸체(6410)가 회전하여 가압부(6412)는 제2 후크 부재(6320)의 제2 피가압부(6322)를 가압한다.
제2 피가압부(6322)의 슬라이딩면(6322S)이 레버 몸체(6410)의 가압부(6412)에 의해 가압되면,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한다.
제1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 고리 부재(6230)는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에 가압됨으로써 그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면, 제2 후크 부재(6320)는 회전 고리 부재(6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후크 부재(6320)가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후크 부재(63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후크 부재(6220)는 제1 탄성 부재(6250)에 의해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다.
제1 후크 부재(6220)가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제1 후크 부재(6220)의 제1 후크부(6221)가 메인 고리 유닛(6100)의 메인 고리(6120)에 걸리게 되므로, 제1 후크 부재(6220)는 메인 고리 유닛(6100)과 결합된다.
이후,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400)의 파지부(6411)가 가압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면,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1)로부터 분리되어 제2 힌지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게 된다.
아울러, 제1 도어(21)는 제1 후크 부재(6220)가 메인 고리 유닛(6100)에 결합됨으로써 본체(10)에 고정되므로, 제2 도어(22)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1 도어(21)가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조작 레버(6400)는 파지부(6411)가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후크 부재(6320)를 회전 고리 부재(6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에 의해 파지부(6411)의 선단이 레버 케이스(6420)를 향해 이동하는 거리를 기준으로, 파지부(6411)가 0mm 내지 2.5mm 가압되는 경우 제2 후크 부재(6320)는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 고리 부재(633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면 제1 도어(21)가 열린다.
아울러, 파지부(6411)가 2.5mm 내지 4.0mm 가압되는 경우, 제2 후크 부재(6320)와 회전 고리 부재(623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후크 부재(6220)는 메인 고리 유닛(6100)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도어(21, 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도어(21)는 본체(10)에 고정되고, 제2 도어(22)는 제1 도어(22)에 고정됨으로써 도어 핸들(221)이 당겨지더라도 제1 및 제2 도어(21, 22)는 열리지 않는다.
또한, 파지부(6411)가 4.0mm 내지 8.0mm 가압되는 경우에 제2 후크 부재(6320)는 회전 고리 부재(623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제2 도어(22)가 열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잠금 유닛(6200)의 회전 고리 부재(623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접촉하는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를 몸체(6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며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제1 도어(21)에 설치되는 제1 잠금 유닛(6200)과 본체(10)에 설치되는 메인 고리 유닛(6100)에 조립 오차가 발생하여도, 제1 잠금 유닛(6200)의 회전 고리 부재(6230)가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에 의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21)와 제2 도어(22)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고리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30)를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가압부재(613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가압부재(6130)는 회전 고리 부재(6230)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6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 고리 부재(6230)에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조의 한 쌍의 가압부재를 갖는 메인 고리 유닛의 예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메인 고리 유닛(6100')은 본체(10)의 전면 패널(11)에 설치되는 몸체(6110'), 몸체(6110')에 설치되며 전방을 향해 돌출된 메인 고리(6120), 및 메인 고리(6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61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24에서는 한 쌍의 가압부재(6150) 중 한 개만 도시되어 있다.
몸체(6110')와 메인 고리(612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 쌍의 가압부재(6150)는 상술한 제1 도어(21)의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압부재(6150)는 회전 고리 부재(623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를 가압하여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압부재(6150)는 가압부(6151)와 탄성부재(615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6151)는 몸체(6110')에 형성된 가압부 안내홈(61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돌기(6232)와 접촉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힘을 인가하도록 강체로 형성된다. 가압부(6151)의 선단, 즉 제1 도어(21)를 마주하는 일단은 경사부(6151a)가 마련되어 있으며, 바닥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6152)는 가압부 안내홈(6111')에 가압부(6151)의 상측에 설치되어, 가압부(6151)를 아래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가압부(6151)는 탄성부재(6152)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몸체(611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돌기(6232)에 일정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6152)는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어(21)를 닫을 때, 제1 도어(21)의 제1 잠금 유닛(6200)의 한 쌍의 지지돌기(6232)가 메인 고정 유닛(6100)의 한 쌍의 가압부재(6150)의 가압부(6151)의 경사면(6151a)을 따라 이동하여 가압부(615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 6000)가 적용된 식기세척기(30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 6000)는 이중 도어로서 제1 및 제2 도어(3021, 3022)를 구비한 식기세척기(3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3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10)와 본체(3010)에 결합된 제1 및 제2 도어(3021, 3022)를 포함한다.
본체(3010)의 내부에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인 세척실(3010S)이 마련된다.
세척실(3010S)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바스켓(3041, 3042)이 배치된다.
복수의 바스켓(3041, 3042)은 제1 바스켓(3041)과 제2 바스켓(30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바스켓(3041)은 세척실(3010S)의 내부에서 제2 바스켓(3042)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 바스켓(3041)의 상측에는 제1 분사노즐(3031)이 배치되며, 제2 바스켓(3042)의 하측에는 제2 분사노즐(3032)이 배치되고, 제1 바스켓(3041)과 제2 바스켓(3042) 사이에는 제3 분사노즐(30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3031)은 제1 바스켓(3041)의 상측에서 제1 바스켓(3041)을 향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제1 바스켓(3041)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으며, 제2 분사노즐(3032)은 제1 바스켓(3041)의 하측에서 제1 바스켓(3041)을 향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제2 바스켓(3042)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분사노즐(3033)은 제1 바스켓(3041)의 하부 및 제2 바스켓(3042)의 상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식기세척기(3000)의 대부분의 구조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실(3010S)은 중앙에 배치된 제3 분사노즐(3033)을 기준으로 제3 분사노즐(3033)의 상측에는 제1 바스켓(3041)이 배치되고 제3 분사노즐(3033)의 하측에는 제2 바스켓(3042)이 배치된다.
세척실(3010S)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30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도어(30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도어(3021)는 세척실(3010S)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척실(3010S)의 전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되며, 세척실(3021)과 연결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아울러, 제2 도어(3022)는 제1 도어(3021)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도어(30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도어 핸들(30221)이 상측에 결합된다.
제1 도어(3021)가 열림으로써 세척실(3010S)의 전 영역이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바스켓(3041, 3042)에 식기를 투입하거나, 제1 및 제2 바스켓(3041, 3042)으로부터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
아울러,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의 양이 적은 경우, 제2 도어(3022) 만을 열어 세척실(3010S)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바스켓(3041)에 식기를 배치하고, 제1 및 제3 분사노즐(3031, 3033) 만을 작동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식기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도어(3021, 3022)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오븐(1)의 제1 및 제2 도어(21, 22)와 그 구조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기세척기(3000)는 제1 및 제2 도어(3021, 3022)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제1 및 제2 도어(3021, 3022)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 장치(1000, 6000)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1000, 6000)는 본체(3010)에 설치된 메인 고리 유닛(1100, 6100), 제1 도어(3021)에 설치되어 메인 고리 유닛(1100, 61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잠금 유닛(1200, 6200), 제2 도어(3022)에 설치되어 제1 잠금 유닛(1200, 62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잠금 유닛(1300, 6300) 및 도어 핸들(30221)에 설치되어 가압에 의해 제2 도어(3022)를 제1 도어(3021)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1400, 6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제1 도어(3021) 및 제2 도어(3022)는 선택적으로 열 수 있다.
아울러,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제1 도어(30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3022)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제2 도어(3022)가 열린 상태에서 제1 도어(3021)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3021, 3022)가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이중 열림이 방지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도 3a 내지 도 9b 및 도 16 내지 도 23b를 통해 설명한 잠금 장치(1000, 6000)의 동작과정과 유사하다.
또한, 식기세척기(3000)에 적용된 잠금 장치(1000, 6000)는 도 10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4000)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냉장고(4000)의 제1 도어(4110)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냉장고(4000)의 제2 도어(4120)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 6000)는 이중 도어로서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를 구비한 냉장고(4000)에 적용될 수 있다.
냉장고(4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4010)의 내부에 마련된 저장실(4010S)을 구비하며, 저온의 저장실(4010S)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다.
본체(40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저장실이 마련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저장실은 각각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4000)는 본체(4010)의 일측에 마련된 제1 힌지축(4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와 본체(4010)의 타측에 마련된 제2 힌지축(42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도어(4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4010)는 복수의 저장실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은 각각,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와 제3 도어(4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저장실 중 어느 하나의 저장실(4010S)이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에 의해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저장실(4010S)의 내부에는 식품들이 올려질 수 있는 다수의 선반(4011)이 배치된다.
아울러, 저장실(4010S)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40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도어(4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4110)는 저장실(4010S)과 연결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1 도어(4110)의 개구부의 내측에는 다수의 보조선반(40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4120)는 제1 도어(4110)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도어(4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도어 핸들(4121)이 일측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는 제1 힌지축(4101)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가 선택적으로 열림으로써, 사용자는 선반(4011)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거나 보조 선반(4012)에 저장된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고(4000)의 냉기가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냉장고(4000)는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 장치(1000, 6000)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1000, 6000)는 본체(4010)에 설치된 메인 고리 유닛(1100, 6100), 제1 도어(4110)에 설치되어 메인 고리 유닛(1100, 61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잠금 유닛(1200, 6200), 제2 도어(4120)에 설치되어 제1 잠금 유닛(1200, 62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잠금 유닛(1300, 6300) 및 도어 핸들(4121)에 설치되어 가압에 의해 제2 도어(4120)를 제1 도어(4110)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1400, 6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제1 도어(4110) 및 제2 도어(4120)는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다.
아울러,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제1 도어(4110)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4120)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제2 도어(4120)가 열린 상태에서 제1 도어(4110)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가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이중 열림이 방지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도 3a 내지 도 9b 및 도 16 내지 도 23b를 통해 설명한 잠금 장치(1000, 6000)의 동작과정과 유사하다.
아울러, 냉장고(4000)에 적용된 잠금 장치(1000, 6000)는 도 10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3 도어(4200) 역시 이중 도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도어(4110, 412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 6000)가 적용된 세탁기(5000)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세탁기(5000)의 제1 도어(5021)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세탁기(5000)의 제2 도어(5022)가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 6000)는 이중 도어로서 제1 및 제2 도어(5021, 5022)를 구비한 세탁기(5000)에 적용될 수 있다.
세탁기(5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5010), 본체(5010)의 내부에 마련된 수조(미도시) 및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조(5040)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체(5010)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5030)이 배치된다.
세탁기(5000)는 세탁조(5040)가 회전함으로써, 세탁조(5040) 내부의 세탁실(5040S)에 수용된 세탁물을 세탁수와의 마찰을 통해 세탁할 수 있다.
세탁실(5040S)은 본체(50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세탁실(5040S)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50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도어(50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도어(5021)는 세탁실(5040S)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탁실(5040S)의 전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구성되며, 세탁실(5040S)과 연결된 개구부를 구비한다.
제1 도어(5021)의 개구부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실(5040S)의 전면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성된다.
제1 도어(5021)는 본체(5010)에 결합된 제1 힌지축(502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세탁실(5040S) 전체를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도어(5022)는 제1 도어(5021)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1 도어(50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 힌지축(502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도어(5011)를 열어 세탁실(5040S) 전체를 개방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실(5040S)에 투입하거나 세탁을 마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5000)가 세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2 도어(5022)를 열어 세탁물을 추가로 세탁실(5040S)에 투입할 수 있다.
도어 핸들(50221)은 제2 도어(522)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세탁기(5000)는 제1 및 제2 도어(5021, 5022)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제1 및 제2 도어(5021, 5022)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 장치(1000, 6000)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1000, 6000)는 본체(5010)에 설치된 메인 고리 유닛(1100, 6100), 제1 도어(5021)에 설치되어 메인 고리 유닛(1100, 61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 잠금 유닛(1200, 6200), 제2 도어(5022)에 설치되어 제1 잠금 유닛(1200, 62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2 잠금 유닛(1300, 6300) 및 도어 핸들(50221)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제2 도어(5022)를 제1 도어(5021)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1400, 6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제1 도어(5021) 및 제2 도어(5022)는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다.
아울러,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제1 도어(50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도어(5022)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제2 도어(5022)가 열린 상태에서 제1 도어(5021)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어(5021, 5022)가 잠금 장치(1000, 6000)를 통해 이중 열림이 방지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도 3a 내지 도 9b 및 도 16 내지 도 23b를 통해 설명한 잠금 장치(1000, 6000)의 동작과정과 유사하다.
아울러, 세탁기(5000)에 적용된 잠금 장치(1000, 6000)는 도 10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로 대체될 수 있다.
이처럼,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 장치(1000, 2000, 6000)는 이중 도어를 구비한 오븐(1), 식기세척기(3000), 냉장고(4000) 및 세탁기(5000)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중 도어가 이중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오븐(1)의 조리실(101), 식기세척기(3000)의 세척실(3010S), 냉장고(4000)의 저장실(4010S) 및 세탁기(5000)의 세탁실(5040S)은 본 개시의 잠금 장치(1000, 2000, 6000)가 적용 가능한 가전기기의 수용공간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오븐(1), 식기세척기(3000), 냉장고(4000), 및 세탁기(5000)의 제1 및 제2 도어가 힌지축을 통해 회동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1000, 6000)는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250, 1340, 1260)(6250, 6340, 6260)를 통해 제1 후크 부재(1220)(6220), 제2 후크 부재(1320)(6320), 회전 고리 부재(1230)(623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고, 조작 레버(1400)(6400)를 통해 탄성 부재의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 후크 부재(1320)(6320)를 가압하는 구조를 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탄성 부재는 조작 레버(1400)(6400)에 의해 동작하여 제1 후크 부재(1220)(6220), 제2 후크 부재(1320)(6320), 회전 고리 부재(1230)(6230)를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장치(2000)의 다수의 탄성부재(T1 내지 T6) 역시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오븐
10; 본체
101a, 101b; 제1 및 제2 조리실
21; 제1 도어
22; 제2 도어
30; 컨트롤 패널
40a, 40b; 제1 및 제2 랙
50: 히터
60a, 60b: 제1 및 제2 순환 유닛
70: 흡입 유닛
80; 냉각 유닛
90; 단열부재
1000, 2000, 6000; 잠금 장치
3000; 식기세척기
4000; 냉장고
5000; 세탁기

Claims (20)

  1. 일측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본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된 개구부를 구비한 제1 도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선택적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메인 고리 유닛;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도어를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를 고정시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 고리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잠금 유닛; 및
    상기 제2 도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잠금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잠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잠금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잠금 유닛을 상기 제1 잠금 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가전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고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몸체;
    상기 제1 잠금 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메인 고리; 및
    상기 메인 고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잠금 유닛과 접촉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경사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된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후크 부재; 및
    상기 제1 후크 부재가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후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유닛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제2 홀더;
    상기 제2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후크 부재; 및
    상기 제2 후크 부재가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후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후크 부재가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후크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가전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고리 부재; 및
    상기 회전 고리 부재가 상기 제2 후크 부재와 결합하는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고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고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2 후크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고리 유닛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1 도어가 열리면, 상기 메인 고리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후크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전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회전 고리 부재와 분리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전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 고리 부재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제1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결합하는, 가전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열리고 상기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회전 고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2 후크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전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3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합보다 큰, 가전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된 가압부를 구비한 레버 몸체; 및
    상기 레버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파지부가 가압되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2 후크 부재를 가압하도록 회전하는, 가전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도어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도어 핸들에 설치된, 가전기기.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며, 내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홀과 상기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홀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걸림 돌기를 구비한 제1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고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결합하는 제1 회전방향 및 상기 제1 걸림 돌기와 분리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고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잠금 유닛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제2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걸림 돌기와 결합하는 제3 회전방향 및 상기 제2 걸림 돌기와 분리되는 제4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고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고리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2 고리 부재가 상기 제4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가전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2 고리 부재와의 간섭이 해제되고 상기 제1 고리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1 고리 부재가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가전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열림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도어가 열리면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을 차단하는, 가전기기.
  17.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잠금 유닛;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잠금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 잠금 유닛;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잠금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잠금 유닛이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제1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를 고정시켜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조작 레버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 열림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유닛은,
    상기 제1 도어에 설치된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후크 부재; 및
    상기 제1 후크 부재가 상기 본체의 메인 고리 유닛과 결합되는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후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잠금 유닛은,
    상기 제2 도어에 설치된 제2 홀더;
    상기 제2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후크 부재; 및
    상기 제2 후크 부재가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후크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후크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후크 부재가 상기 메인 고리 유닛과 분리되도록 상기 제1 후크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
  19.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도어,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상기 본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에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도어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메인 고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고리 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몸체;
    상기 제1 도어에 마련된 제1 잠금 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메인 고리; 및
    상기 메인 고리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어의 상기 제1 잠금 유닛과 접촉을 시작하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은 경사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잠금 장치.

KR1020180057923A 2017-08-28 2018-05-21 가전기기 KR10252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58,320 US11078697B2 (en) 2017-08-28 2018-08-08 Home appliance
EP18852287.4A EP3619384B1 (en) 2017-08-28 2018-08-13 Home appliance
CN201880053935.2A CN111032983B (zh) 2017-08-28 2018-08-13 家用电器
PCT/KR2018/009260 WO2019045318A1 (en) 2017-08-28 2018-08-13 HOUSEHOL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602 2017-08-28
KR20170108602 201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617A KR20190024617A (ko) 2019-03-08
KR102527312B1 true KR102527312B1 (ko) 2023-05-03

Family

ID=6580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923A KR102527312B1 (ko) 2017-08-28 2018-05-21 가전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19384B1 (ko)
KR (1) KR102527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3112A1 (de) * 2019-08-09 2021-02-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ein oberes, separat aufschwenkbares Türteil aufweisenden Gesamttür
DE102019213113A1 (de) * 2019-08-09 2021-02-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ein oberes, separat aufschwenkbares Türteil aufweisenden Gesamttür
DE102020200415A1 (de) * 2020-01-15 2021-07-1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KR102373683B1 (ko) * 2020-05-22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2237A1 (en) 2009-05-06 2010-11-11 Whirlpool Corporation Front controls for gas cooking range
KR101767201B1 (ko) 2015-04-20 201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5006A (en) * 1955-02-08 1957-01-02 Radiation Ltd Fastenings for double doors
JP2013053843A (ja) * 2011-08-31 2013-03-21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KR101960820B1 (ko) * 2012-10-08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2218309B1 (ko) * 2013-11-18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80927B1 (ko) * 2014-06-10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2295086B1 (ko) * 2014-12-04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82237A1 (en) 2009-05-06 2010-11-11 Whirlpool Corporation Front controls for gas cooking range
KR101767201B1 (ko) 2015-04-20 201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617A (ko) 2019-03-08
EP3619384C0 (en) 2024-06-05
EP3619384A1 (en) 2020-03-11
EP3619384A4 (en) 2020-10-07
EP3619384B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8697B2 (en) Home appliance
KR102527312B1 (ko) 가전기기
KR102605665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EP3343156B1 (en) Refrigerator
EP2438373B1 (en) Refrigerator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87095B1 (ko) 냉장고
EP2572149B1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KR101844072B1 (ko) 냉장고
KR20230167752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130039436A (ko) 냉장고
KR200459216Y1 (ko) 냉장고
CN113227688B (zh) 冰箱
US20220034577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7011265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US12066238B2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EP4116652A1 (en) Space-customized refrigerator system
KR102024085B1 (ko) 높이조절장치
KR20110040572A (ko) 주방가구용 빌트인 냉장고
KR102488549B1 (ko) 냉장고
US20230106093A1 (en) Refrigerator and household appliance
KR20150074233A (ko) 냉장고
KR20120114610A (ko) 냉장고
KR10251085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