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77B1 -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77B1
KR102372877B1 KR1020210191240A KR20210191240A KR102372877B1 KR 102372877 B1 KR102372877 B1 KR 102372877B1 KR 1020210191240 A KR1020210191240 A KR 1020210191240A KR 20210191240 A KR20210191240 A KR 20210191240A KR 102372877 B1 KR102372877 B1 KR 10237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s
rotating
spring
pedesta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철
Original Assignee
김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철 filed Critical 김두철
Priority to KR102021019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과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대와 연결대가 직접 연결되어서 탄성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대에는 원통형의 회동부에 판스프링을 직접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원통형의 회동부가 놓이는 원통형의 회동자리부에 상기 판스프링이 단계적으로 걸리는 요부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대가 결합되어 각도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 밑면에 양측으로 한쌍의 받침대가 서로 떨어져 구비되고, 각 받침대에는 상기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각 받침대는 연결대를 통하여 결합되어서 상판을 지탱하도록 한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연결대 양단에는 원통형의 회동부가 구비되고; 각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회동부가 제자리 회전되게 안내하는 원통형의 회동자리부가 구비되며; 각 상기 회동부 중앙에는 상기 회동자리부에 체결되는 볼트부에 스프링와셔가 구비되어서 풀림이 억제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table frame fasteners}
본 발명은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테이블 상판과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대와 연결대가 직접 연결되어서 탄성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대에는 원통형의 회동부에 판스프링을 직접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원통형의 회동부가 놓이는 원통형의 회동자리부에 상기 판스프링이 단계적으로 걸리는 요부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대가 결합되어 각도조절되도록 한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 위에 넓은 면적의 상판이 얹히는 형태인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류는 사용 과정에서 상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서 아래로 휘어져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의 밑면에 보강프레임을 부착 고정하는 수단이 흔히 이용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은 분할된 상태로 상판 모양을 따라 배열된 후 용접이나 별도의 연결구를 통해 상호 연결된 형태로 상판에 설치된다. 이러한 용접방식은 작업이 너무 번거롭고 연결부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구는 상판 밑면 중 각 보강프레임의 끝부분이 위치되는 지점마다 설치되어 각 보강프레임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각 보강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연결구는 고정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 보강프레임과의 연결시 각도가 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판의 형상이 단순 사각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므로, 이렇게 다양한 형상의 상판을 따라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각도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연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렇게 다양한 연결구를 제작을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므로 제조 단가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의 연결구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어느 각도든 제한 없이 연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결국 상판의 형상 디자인에 제약을 받게 되는 등 품질향상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종래 특허 제2106741호 테이블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판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복수의 다리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와 복수의 다리 각도 조절부가 마련되는 연결부 바디 및 일측부는 상기 연결부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연결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특허는 상기 다리각도 조절부가 고정기어와 회전기어의 맞물림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어에는 탄성체가 구비되어서 복수의 다리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상판과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대와 연결대가 직접 연결되어서 탄성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대에는 원통형의 회동부에 판스프링을 직접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원통형의 회동부가 놓이는 원통형의 회동자리부에 상기 판스프링이 단계적으로 걸리는 요부를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대가 결합되어 각도조절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 밑면에 양측으로 한쌍의 받침대가 서로 떨어져 구비되고, 각 받침대에는 상기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각 받침대는 연결대를 통하여 결합되어서 상판을 지탱하도록 한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연결대 양단에는 원통형의 회동부가 구비되고; 각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회동부가 제자리 회전되게 안내하는 원통형의 회동자리부가 구비되며; 각 상기 회동부 중앙에는 상기 회동자리부에 체결되는 볼트부에 스프링와셔가 구비되어서 풀림이 억제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 상판과 다리는 받침대를 통하여 결합되는데, 이들 받침대는 상판 밑면에 양쪽으로 떨어져 설치되므로 이들 받침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연결대와 받침대는 직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연결대에 구비된 원통형의 회동부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된 원통형의 회동자리부에 놓여서 회동되므로 연결대와 받침대의 체결위치가 조절되어서 상판의 모양에 맞게 연결대를 자유롭게 받침대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에는 판스프링이 구비되어서 상기 회동자리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부에 단계적으로 걸리므로 테이블 마다 연결대의 회동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체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체결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체결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체결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체결장치는 테이블 상판(1)의 밑면 양측에 나사못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받침대(2)가 구비된다. 상기 각 받침대(2)는 양쪽으로 다리(3)가 결합되어서 상판(1)을 지탱한다. 또한 서로 떨어진 각 받침대(2)는 한쌍의 연결대(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각 상기 연결대(4)는 양단에 원통형의 회동부(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3) 하단에는 다리를 보호하는 보호캡(5)이 구비된다.
각 상기 회동부(10)는 중앙에 볼트부(14)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구멍(13)이 천공되며, 내주연에는 원호형의 판스프링(20)이 끼워지는 스프링자리(11)가 원호형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자리(11)의 중간지점에는 회동부(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절개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판스프링(20)의 중간지점에는 볼록한 형태의 철부(21)가 형성되어서 상기 절개부(12)를 통하여 회동부(10)의 외주연으로 돌출된다.
상기 받침대(2)에는 상기 회동부(10)가 끼워져 놓이도록 원통형의 회동자리부(30)가 구비되어서 상기 회동부(10)가 회동자리부(30)에서 제자리 회전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14)는 상기 볼트관통구멍(13)을 통하여 상기 회동자리부(30) 중앙에 체결되어서 상기 회동부(10)가 회동자리부(30)에 고정되도록 해준다. 이때 상기 볼트부(14)에는 스프링와셔(15)가 끼워져서 체결과정에서 압축되어 볼트의 풀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자리부(30)의 내주면에는 상기 판스프링(20)의 철부(21)가 단계적으로 걸리는 요부(31)가 오목한 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10)가 회동자리부(30)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동안 상기 철부(21)가 요부(31)에 단계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상기 회동부(10)의 회동각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체결장치는 상판과 다리를 연결하는 받침대(2)에 회동자리부(3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서로 떨어진 받침대(2)를 연결하는 연결대(4)에는 상기 회동자리부(30)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원통형의 회동부(10)가 형성되므로 연결대(4)와 받침대(2)의 결합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1)의 모양에 따라 받침대(2)와 연결대(4)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들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의 밑면 양측에 한쌍의 받침대(2)를 서로 떨어지게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4) 양단에는 원통형의 회동부(10)를 결합한 뒤 각 회동부(10)가 해당 받침대(2)의 원통형 회동자리부(30)에 놓이도록 한다. 이후 스프링와셔(15)를 갖는 볼트부(14)를 볼트관통구멍(13)으로 끼운 뒤 회동자리부(30)에 체결하여서 회동부(10)가 회동자리부(3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회동부(10)는 회동자리부(30)에서 제자리회전되기 때문에 양쪽의 받침대(2)가 나란하지 않고 외향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진 상태이더라도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회동부(10)에는 스프링자리(11)에 판스프링(20)이 끼워지고 상기 판스프링(20)은 절개부(12)를 통하여 돌출되는 철부(21)가 상기 받침대(2)의 회동자리부(30) 내주면에 형성된 요부(31)에 단계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연결대(4)의 체결각도를 테이블마다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단지 다리(3) 하단에 보호캡이 구비되지 않은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보호캡을 사용하는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디자인 측면에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1 : 상판 2 : 받침대
3 : 연결대 4 : 다리
10 : 회동부 11 : 스프링자리
12 : 절개부 13 : 볼트관통구멍
14 : 볼트부 15 : 스프링와셔
20 : 판스프링 21 : 철부
30 : 회동자리부 31 : 요부

Claims (2)

  1. 테이블의 상판 밑면에 양측으로 한쌍의 받침대가 서로 떨어져 구비되고, 각 받침대에는 상기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각 받침대는 연결대를 통하여 결합되어서 상판을 지탱하도록 한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연결대 양단에는 원통형의 회동부가 구비되고;
    각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회동부가 제자리 회전되게 안내하는 원통형의 회동자리부가 구비되며;
    각 상기 회동부 중앙에는 상기 회동자리부에 체결되는 볼트부에 스프링와셔가 구비되어서 풀림이 억제되고;
    각 상기 연결대의 회동부는 내부에 원호형의 스프링자리가 구비되어서 원호형의 판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자리 중간에는 상기 회동부 외주연으로 노출되는 절개부가 구비되어서 상기 판스프링에 형성된 볼록한 철부가 노출되고;
    각 상기 받침대의 회동자리부 내주연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철부가 단계적으로 걸리는 요부가 다수 형성되어서 각 상기 연결대의 체결각도가 일정하게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2. 삭제
KR1020210191240A 2021-12-29 2021-12-29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KR10237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40A KR102372877B1 (ko) 2021-12-29 2021-12-29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240A KR102372877B1 (ko) 2021-12-29 2021-12-29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877B1 true KR102372877B1 (ko) 2022-03-08

Family

ID=8081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240A KR102372877B1 (ko) 2021-12-29 2021-12-29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8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45B1 (ko) * 2020-08-20 2021-05-26 (주) 투템디자인 프레임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45B1 (ko) * 2020-08-20 2021-05-26 (주) 투템디자인 프레임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7815B2 (en) Universal RRU mounting assembly
US7694363B2 (en) Foundation headboard bracket system for bed
US10976776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monitors having adjustable distance to a viewer
DE202006004049U1 (de) Einstellbares Dreibein für ein Lasernivelliergerät
US4456212A (en) Height adjustable furniture support
KR102372877B1 (ko) 테이블 프레임 체결장치
CN208951632U (zh) 一种可旋转式计算机led显示屏
US56738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table legs
KR102453407B1 (ko) 각도 조정형 고정 장치
CN210462365U (zh) 一种监视器用可自由旋转斜角支架
CN113322590A (zh) 车缝辅助装置、车缝设备及车缝橡筋带的方法
JPH0525461Y2 (ko)
KR102367070B1 (ko)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CN219249476U (zh) 一种组合型办公桌支架
CN215376893U (zh) 一种用于调节鼓腔的万向调节装置
JPH04166104A (ja) 天板付家具
CN209397669U (zh) 一种新型快速固定座
JPH06136965A (ja) 仮囲い板の支持枠取付金具
CN209730707U (zh) 一种自动化继电保护屏电缆固定装置
US2638607A (en) Adjustable leg for beds and the like
JPH0387460A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CN214336104U (zh) 一种骨头复位展示用固定装置
CN209749068U (zh) 田园管理机之侧板调节固定装置
CN210266489U (zh) 调节底座
CN216923758U (zh) 一种可紧贴墙面的显示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