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606B1 -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606B1
KR102372606B1 KR1020200109165A KR20200109165A KR102372606B1 KR 102372606 B1 KR102372606 B1 KR 102372606B1 KR 1020200109165 A KR1020200109165 A KR 1020200109165A KR 20200109165 A KR20200109165 A KR 20200109165A KR 102372606 B1 KR102372606 B1 KR 102372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hole
body casing
current collect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휘
조수민
윤영철
심재한
이동한
조성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2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whole rotor, i.e. form features of the rot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05B2280/102Light metals
    • F05B2280/1021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60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given to material by treatment or manufacturing
    • F05B2280/6015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전달되면 내부로 바람이 통과하도록 바람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람 통공을 통해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싱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로우터; 상기 본체 케이싱의 바람 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 로우터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다수의 집전 전극;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바람 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 로우터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상기 회전 로우터가 회전되기 전까지의 약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공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집전 전극과 수직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고, 상기 회전 로우터를 회전시킬 만큼 강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공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집전 전극을 쓸어가며 상기 집전 전극과 수평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력을 일으키는 강한 바람(대략 풍속 5 m/s 이상)에서뿐만 아니라 회전력이 발생 되지 않는 약한 바람(대략 풍속 4m/s 이하)에 의해서도 전기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풍속이 일정하지 않게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광범위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wind}
본 발명은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력을 일으키는 강한 바람(대략 풍속 5 m/s 이상)에서뿐만 아니라 회전력이 발생 되지 않는 약한 바람(대략 풍속 4m/s 이하)에 의해서도 전기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얻어지도록 하여 풍속이 일정하지 않게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광범위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에너지 수확 기술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하여 외부 전원의 연결 없이 에너지를 생산해내는 기술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마찰에 따른 표면 대전과 이에 수반되는 유도 전하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접촉대전 나노발전기(triboelectric nano generator, TENG) 시스템이 새롭게 제안되었다.
접촉대전 발전기는 다른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높은 효율과 유용성 및 뛰어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12년에 처음으로 소개된 이후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을 개발하려는 시대적 요구에 맞춘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모바일 전자기기, 생체 역학적 에너지 수확 장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는 접촉대전 나노발전기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접촉대전 나노발전기술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질이 접촉 후 분리되며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마찰전기 혹은 정전기와 이에 수반되는 유도 전하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접촉대전 나노발전기는 두 표면 사이의 마찰 및 이에 수반되는 대전현상에 의하여 구동된다. 특히, 접촉대전 나노발전기의 에너지 생산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접촉대전 나노발전기의 에너지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접촉대전 나노발전기의 표면에 마이크로 혹은 나노 구조를 도입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나노발전기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전자 주입 방식으로 전하량을 늘리는 방법, 나노발전기를 구성하는 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외부 전기장을 인가하여 재료 내부의 쌍극자 모멘트 배열을 형성하여 나노발전기의 표면에 전하량을 늘리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접촉대전 발전기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74888호(2018년07월04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접촉대전 발전기는 상하 수직방향의 진동에 의해서만 전기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으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풍력 발전기의 형태는 대부분 대형의 대용량 크기로 마련되어 팬이나 블레이드, 프로펠러와 같은 구성이 바람에 의해 회전될 때에만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실효성이 크지 못하고 소형의 형태로 마련되어 소용량의 전기에너지를 얻기에도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74888호(2018년07월04일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력을 일으키는 강한 바람(대략 풍속 5 m/s 이상)에서뿐만 아니라 회전력이 발생 되지 않는 약한 바람(대략 풍속 4m/s 이하)에 의해서도 전기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얻어지도록 하여 풍속이 일정하지 않게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광범위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전달되면 내부로 바람이 통과하도록 바람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람 통공을 통해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싱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로우터; 상기 본체 케이싱의 바람 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 로우터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다수의 집전 전극;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바람 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 로우터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상기 회전 로우터가 회전되기 전까지의 약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공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집전 전극과 수직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고, 상기 회전 로우터를 회전시킬 만큼 강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공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집전 전극을 쓸어가며 상기 집전 전극과 수평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집전 전극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바람 통공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고,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기 회전 로우터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는 상기 회전 로우터의 전방에 회전 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싱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케이싱은, 전방에 구비된 전방부와, 후방에 구비된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의 사이에 조립되며 바람 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집전 전극이 구비된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부의 바람 통공의 중심부에는 바람 통공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전방 지지 살들로 지지 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전방 회전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후방부의 바람 통공의 중심부에는 바람 통공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후방 지지 살들로 지지 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후방 회전 지지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로우터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축이 관통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축은 상기 회전 로우터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중간 지지 살들의 교차 지점에 고정 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전 전극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이미드 수지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싱, 회전 로우터, 집전 전극 및 고분자 필름은 나노 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력을 일으키는 강한 바람(대략 풍속 5 m/s 이상)에서뿐만 아니라 회전력이 발생 되지 않는 약한 바람(대략 풍속 4m/s 이하)에 의해서도 전기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풍속이 일정하지 않게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광범위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측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본체 케이싱과 회전 로우터에 각각 구비된 집전 전극과 고분자 필름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전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후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회전 로우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의 집전 전극과 고분자 필름이 바람 풍속에 따라 상호 마찰 대전 되는 상태의 변화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전달되면 내부로 바람이 통과하도록 바람 통공(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본체 케이싱(110)과,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바람 통공(111)을 통해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본체 케이싱(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로우터(150)와, 본체 케이싱(110)의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과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다수의 집전 전극(160)과, 본체 케이싱(110)의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과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회전 로우터(150)가 회전되기 전까지의 약한 바람이 바람 통공(111)을 통과할 때에는 집전 전극(160)과 수직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고 회전 로우터(150)를 회전시킬 만큼 강한 바람이 바람 통공(111)을 통과할 때에는 집전 전극(160)을 쓸어가며 집전 전극(160)과 수평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고분자 필름(17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회전력을 일으키는 강한 바람(대략 풍속 5 m/s 이상)에서뿐만 아니라 회전력이 발생 되지 않는 약한 바람(대략 풍속 4m/s 이하)에 의해서도 전기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얻어지도록 함으로써, 풍속이 일정하지 않게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광범위하게 이용되도록 할 수 있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 전극(160)은 본체 케이싱(110)의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고, 고분자 필름(170)은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집전 전극(160)이 본체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고 고분자 필름(170)이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에 펄럭일 수 있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이 바람 통공(111)을 가볍게 지날 때에는 펄럭임에 의해 고분자 필름(170)이 집전 전극(160)과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위 아래로 펄럭이며 수직으로 접촉 및 분리가 반복되며 마찰 대전 되다가 회전 로우터(150)가 바람에 의해 회전될 때에는 고분자 필름(170)이 집전 전극(160)을 쓸면서 수평으로 접촉 및 분리가 반복되며 마찰 대전이 연속적으로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는 회전 로우터(150)의 전방에 회전 축(181)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람 통공(111)을 향해 불어오는 바람이 임계 풍속(대략 풍속 5 m/s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블레이드(180)에 의해 회전 로우터(150)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고분자 필름(170)과 집전 전극(160) 상호 간의 마찰 대전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에너지의 수확 출력이 더욱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본체 케이싱(11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의 조립 및 제작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고, 일부 부품의 고장이나 훼손시에도 본체 케이싱(110)을 간편하게 분해하여 일부 부품의 수리나 교체도 손쉽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체 케이싱(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구비된 전방부(120)와, 후방에 구비된 후방부(130)와, 전방부(120) 및 후방부(130)의 사이에 조립되며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는 집전 전극(160)이 구비된 중간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체 케이싱(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부(120), 중간부(140) 및 후방부(130)로 용이하게 조립 또는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120)의 바람 통공(111)의 중심부에는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전방 지지 살(121)들로 지지 되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전방 회전 지지부(123)가 구비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130)의 바람 통공(111)의 중심부에는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후방 지지 살(131)들로 지지 되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후방 회전 지지부(13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케이싱(110)에 의해 블레이드(180)의 회전이 안정되게 지지 되며 회전 로우터(150)가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회전 지지부(123)와 회전 축(181)의 사이에는 전방 베어링(125)이 구비되고, 후방 회전 지지부(133)와 회전 축(181)의 사이에는 후방 베어링(135)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180)의 회전시 회전 축(181)이 전방 회전 지지부(123)와 후방 회전 지지부(133)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 되며 전방 베어링(125)과 후방 베어링(135)에 의해 회전 축(181)의 마찰 손실이 최소화되며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120)의 전면 하부에는 만곡 형태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으로 오목하게 바람 유도 가이드부(127)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람 통공(111)의 전방 근처에 있던 바람이 바람 유도 가이드부(127)에 의해 바람 통공(111)으로 불어 들어가도록 유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에너지의 수확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로우터(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심부에는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이 관통되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은 회전 로우터(150)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중간 지지 살(151)들의 교차 지점에 고정 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로우터(150)의 전방에 블레이드(180)가 회전 축(181)으로 연결되어 블레이드(180)가 바람에 의해 회전될 때에 회전 로우터(150)가 블레이드(180)와 함께 원활히 회전되며 블레이드(180) 및 회전 축(181)이 구조적으로 견고해지게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로우터(150)는 측면 상 대략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축소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람이 바람 통공(111)과 회전 로우터(150)의 내주를 통과할 때에 점차 풍속이 증가 되도록 하여 풍속 대비 높은 전기에너지의 수확 효율이 얻어지도록 할 수 있고, 회전 로우터(150)의 회전도 바람 통공(111)의 내부에서 보다 안정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전 전극(16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기 전도도가 비교적 높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집전 전극(160)이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고분자 필름(170)과 쉽게 마찰 대전이 일어나며 전기에너지가 손쉽게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필름(17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재질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분자 필름(170)의 내열성이 향상되고, 온도 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아 사용 온도의 범위가 확장되며, 전기적 특성이 우수해져 집전 전극(160)과의 마찰 대전시 전기에너지의 수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는 초기 상태(i. initial state)에서는 고분자 필름(170)들이 약간 휘어지게 구비되어 집전 전극(160)들과는 모두 일부분씩 접촉되어 있다가 바람 통공(111)의 내부로 약간의 바람이 불게 되면 회전 로우터(150)는 회전되지는 않지만 펄럭임 상태(ii. fluctuating)가 되어 접촉과 분리가 반복되며 마찰 대전 되는 단독 모드(single mode)에서 전기에너지를 수확할 수 있게 되고, 바람 통공(111)의 내부로 불어오게 되는 바람의 속도가 임계 풍속인 5 m/s에 이르게 되면 회전 로우터(150)가 블레이드(180)에 의해 회전되며 고분자 필름(170)들이 집전 전극(160)들에 부착되는 접촉 상태(iii. adhesion)에서 집전 전극(160)을 쓸면서 회전되는 회전 상태(iv. rotating)로 되어 회전 모드(rotational mode)에서 연속적인 회전식 마찰 대전에 의해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를 수확하도록 모드가 자동으로 변화되며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로우터(150)가 회전을 시작하게 되는 임계 풍속은 블레이드(180)의 크기와 모양 또는 고분자 필름(170) 등의 형상 등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싱(110), 회전 로우터(150), 집전 전극(160) 및 고분자 필름(170)은 나노 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100)가 회전 모드를 갖는 나노 발전기로 사용될 수 있게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화물운송수단과 같이 전력공급이 어려운 곳뿐만 아니라, 온습도에 민감한 제품의 운송시 별도 외부 전력의 공급이 없이도 미세한 바람의 움직임으로부터 전기에너지가 수확되어 센서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운송 제품의 온습도 정보를 통해 운송 제품의 상태를 추적하는데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110 : 본체 케이싱
111 : 바람 통공 120 : 전방부
121 : 전방 지지 살 123 : 전방 회전 지지부
125 : 전방 베어링 127 : 바람 유도 가이드부
130 : 후방부 131 : 후방 지지 살
133 : 후방 회전 지지부 135 : 후방 베어링
140 : 중간부 150 : 회전 로우터
151 : 중간 지지 살 160 : 집전 전극
170 : 고분자 필름 180 : 블레이드
181 : 회전 축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바람이 전달되면 내부로 바람이 통과하도록 바람 통공(1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본체 케이싱(110);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바람 통공(111)을 통해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싱(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 로우터(150);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된 다수의 집전 전극(160); 및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상기 회전 로우터(150)가 회전되기 전까지의 약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공(111)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집전 전극(160)과 수직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고, 상기 회전 로우터(150)를 회전시킬 만큼 강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공(111)을 통과할 때에는 상기 집전 전극(160)을 쓸어가며 상기 집전 전극(160)과 수평으로 마찰 대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고분자 필름(170);
    을 포함하며,
    상기 집전 전극(160)은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고, 상기 고분자 필름(170)은 상기 회전 로우터(15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며,
    상기 회전 로우터(150)의 전방에 회전 축(181)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싱(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110)은, 전방에 구비된 전방부(120)와, 후방에 구비된 후방부(130)와, 상기 전방부(120) 및 상기 후방부(130)의 사이에 조립되며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집전 전극(160)이 구비된 중간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120)의 바람 통공(111)의 중심부에는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전방 지지 살(121)들로 지지 되며 상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전방 회전 지지부(123)가 구비되며, 상기 후방부(130)의 바람 통공(111)의 중심부에는 바람 통공(111)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후방 지지 살(131)들로 지지 되며 상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후방 회전 지지부(133)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 회전 지지부(123)와 상기 회전 축(181)의 사이에는 전방 베어링(125)이 구비되며, 상기 후방 회전 지지부(133)와 상기 회전 축(181)의 사이에는 후방 베어링(135)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로우터(150)는 측면 상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축소되게 마련되며,
    상기 고분자 필름(170)들은 초기 상태에서는 약간 휘어지게 구비되어 상기 집전 전극(160)들과는 모두 일부분씩 접촉되어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전방부(120)의 전면 하부에는 만곡 형태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으로 오목하게 바람 유도 가이드부(1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우터(15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이 관통되며,
    상기 블레이드(180)의 회전 축(181)은 상기 회전 로우터(150)의 내주면에 방사상 구비된 다수의 중간 지지 살(151)들의 교차 지점에 고정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 전극(16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170)은 폴리이미드 수지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110), 회전 로우터(150), 집전 전극(160) 및 고분자 필름(170)은 나노 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KR1020200109165A 2020-08-28 2020-08-28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KR10237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65A KR102372606B1 (ko) 2020-08-28 2020-08-28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165A KR102372606B1 (ko) 2020-08-28 2020-08-28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606B1 true KR102372606B1 (ko) 2022-03-08

Family

ID=8081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165A KR102372606B1 (ko) 2020-08-28 2020-08-28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6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580A (ko) * 2009-03-04 2010-09-15 이준호 마찰 발전기
KR101073897B1 (ko) * 2011-02-28 2011-10-17 주식회사 키미 다단계 풍력 발전기
KR20160099347A (ko) * 2015-02-12 2016-08-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찰전기 발생장치
KR20180031261A (ko) * 2016-09-19 2018-03-28 (주)비에이에너지랩 풍력발전장치
KR20180074888A (ko) 2016-12-23 2018-07-04 한국과학기술원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580A (ko) * 2009-03-04 2010-09-15 이준호 마찰 발전기
KR101073897B1 (ko) * 2011-02-28 2011-10-17 주식회사 키미 다단계 풍력 발전기
KR20160099347A (ko) * 2015-02-12 2016-08-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찰전기 발생장치
KR20180031261A (ko) * 2016-09-19 2018-03-28 (주)비에이에너지랩 풍력발전장치
KR20180074888A (ko) 2016-12-23 2018-07-04 한국과학기술원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2955B2 (en) Collapsible horizontal axis wind generator
US7726934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US4086023A (en) Windmill
JP2011530664A (ja) 浮揚体を利用した空中風力発電システム
US9309863B2 (en) Maximally efficient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1720913B1 (ko) 마찰전기 발생장치
US90389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hydrodynamic wind energy conversion
US20110171025A1 (en) Wind Turbine Blade and Turbine Rotor
Didane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Savonius-Darrius Counter-Rotating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2372606B1 (ko) 바람 에너지 수확장치
KR101106205B1 (ko) 풍력 발전기
KR20160099347A (ko) 마찰전기 발생장치
KR20180031261A (ko) 풍력발전장치
Fu et al. A miniature radial-flow wind turbine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s and magnetic excitation
KR101585027B1 (ko) 듀얼 로터 방식의 덕트형 풍력발전장치
US8148841B1 (en) Modular wind turbine system
WO2011131966A1 (en) Power generator
CN213043606U (zh) 一种基于摩擦纳米发电的多波形信号发生器
Kwon et al. Self-powered wind sensor based on triboelectric generator with curved flap array for multi-directional wind speed detection
CN112134488A (zh) 一种基于摩擦纳米发电的多波形信号发生器及方法
KR101942464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102549234B1 (ko) 불규칙적이고 넓은 범위의 에너지 수확능력을 갖는 적응형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및 그 작동방법
JPH07123639A (ja) 風力静電発電装置
JP2016070085A (ja) ウィンドファーム
CN113503223A (zh) 一种聚风装置和聚风装置驱动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