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64B1 -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64B1
KR101942464B1 KR1020170032521A KR20170032521A KR101942464B1 KR 101942464 B1 KR101942464 B1 KR 101942464B1 KR 1020170032521 A KR1020170032521 A KR 1020170032521A KR 20170032521 A KR20170032521 A KR 20170032521A KR 101942464 B1 KR101942464 B1 KR 10194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electrodes
pair
metal
patter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446A (ko
Inventor
백정민
이진표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3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6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제1 중공을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에 위치하는 마찰 대전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대전 발전부는, 내부에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전극들;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부; 및 상기 제2 중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전볼들;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Blade for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wind power gener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상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중, 풍력발전기는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로써, 친환경적이면서, 구조와 설치가 간단하고,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며,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 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하고, 운행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제1 중공을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에 위치하는 마찰 대전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대전 발전부는, 내부에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전극들;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부; 및 상기 제2 중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전볼들;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패턴들 각각은 금속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도성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스폰지는, 폴리우레탄 스폰지와 상기 폴리우레탄 스폰지 표면에 코팅된 금속 나노 와이어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배선은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실리콘계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타워; 상기 타워와 결합하고 내부에 발전기와 축전지를 포함하는 나셀; 상기 나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허브; 및 상기 허브와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은,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마찰 대전 발전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은 내부에 제1 중공을 구비한 제1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대전 발전부는 상기 제1 중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허브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찰 대전 발전부는, 내부에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전극들;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부; 및 상기 제2 중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전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패턴들 각각은 금속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도성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스폰지는, 폴리우레탄 스폰지와 상기 폴리우레탄 스폰지 표면에 코팅된 금속 나노 와이어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배선은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선은 상기 축전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실리콘계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가 마찰 대전 발전부를 내부에 포함하므로 풍력 발전기의 에너지 발전량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스폰지는 흡음 기능을 수행하므로, 풍력 발전기의 운행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대전볼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2 전극의 재질에 따른 마찰 대전 발전부에서 발생된 전류 값을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2 전극의 재질에 따른 풍력발전기에서 발생된 소음을 측정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도 2의 패턴부의 형상에 따른 마찰 대전 발전부에서 발생된 전류 값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도 2의 도전볼의 형상에 따른 마찰 대전 발전부에서 발생된 전류 값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대전볼의 변형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는, 타워(100), 타워(100) 상단에 결합된 나셀(200), 나셀(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허브(300) 및, 허브(300)와 결합되어 허브(300)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4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워(100)는 풍력 발전기(1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단에 결합된 나셀(20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나셀(200)은 발전기(210), 축전지(220), 요잉 장치(230) 및 기타 제어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며, 이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전기(210)의 내부 중심축은 허브(300)와 연결되며, 허브(300)의 회전시 발전기(210)의 내부 중심축이 함께 회전함에 따라 발전기(210)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축전지(220)는 발전기(210)에서 발생한 전력 및, 블레이드(400) 내부에 배치된 마찰 대전 발전부(500)에서 발생된 전력를 저장할 수 있다.
요잉 장치(230)는 구동 모터 등을 포함하여, 허브(300)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향하도록 나셀(1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는 허브(3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블레이드(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피치 조절부, 풍력발전기(10)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300)는 나셀(13)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허브(300)의 외주부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블레이드(400)들이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400)들은 전방에서 바람이 불어올 때, 공력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가진다. 즉, 바람이 블레이드(400)의 표면을 스쳐 지나갈 때, 양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양력은 블레이드(400)와 허브(300)를 회전시키며, 허브(300)의 회전력은 나셀(200)로 전달되어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한편, 복수의 블레이드(400)들 각각은 내부에 마찰 대전 발전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10)는 풍력에 의한 발전 외에 추가적인 전력을 더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블레이드(400)들 각각은 내부에 제1 중공(412)을 포함하는 제1 몸체(410)와 상기 제1 몸체(410) 내에 위치하는 마찰 대전 발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대전 발전부(500)는 내부에 제2 중공(512)을 포함하는 제2 몸체(510), 제2 몸체(510)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 제1, 2 전극(522, 524), 제1, 2 전극(522, 524) 사이에서 제2 몸체(510)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부(530) 및 제2 중공(512)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전볼(5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510)는 제1 몸체(410)와 이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블레이드(400)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의 대전볼(540)들은 PDMS, HMDSO 실리콘계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2 전극(522, 524)은 배선들에 의해 축전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2 전극(522, 524)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배선은 제2 몸체(5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522)이 허브(300)와 인접하게 배치될 때, 제1 전극(522)과 반대측에 위치한 제2 전극(524)에 연결된 배선은 서로 이격된 제2 몸체(510)의 외측면과 제1 몸체(4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풍력에 의해 허브(300)와 블레이들(400)들의 회전할 때, 복수의 대전볼(540)들은 제2 중공(512) 내에서 반복적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400)가 최고 위치에서 최저 위치로 이동하면, 복수의 대전볼(540)들은 중력의 영향으로 제1 전극(522)에서 제2 전극(52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블레이드(400)가 최저 위치에서 최고 위치로 이동하면, 복수의 대전볼(540)들은 제2 전극(524)에서 제1 전극(5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중공(512) 내에서 복수의 대전볼(540)들의 위치가 변경될 때, 복수의 대전볼(540)들은 금속 패턴부(530)와 접촉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대전볼(540)들과 금속 패턴부(530)와의 마찰시, 금속 패턴부(530) 내의 음의 전하는 대전볼(540)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음의 전하로 대전된 복수의 대전볼(540)들이 제1 전극(522) 또는 제2 전극(524)과 접할 때, 복수의 대전볼(540)들에 대전된 전하가 배선을 통해 축전지(2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금속 패턴부(530)는 한 쌍의 전극들(522, 524)과 이격되어 플로팅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패턴부(53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전볼(540)들은 금속 패턴부(530)와의 효과적인 접촉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대전볼(54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표면(542)에서 복수의 홈(544)들이 인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전볼(54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표면(542)에서 복수의 돌기(546)들이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2 전극(522, 5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도성 스폰지를 포함하여, 풍력발전기(10)의 구동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스폰지는 폴리우레탄 스폰지와 폴리우레탄 스폰지 표면에 코팅된 금속 나노 와이어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금속 패턴부(530)도 전도성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1, 2 전극의 재질에 따른 마찰 대전 발전부에서 발생된 전류 값을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제1, 2 전극의 재질에 따른 풍력발전기에서 발생된 소음을 측정하여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4 및 도 5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I)는 제1, 2 전극(522, 524)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경우이며, (II)는 제1, 2 전극(522, 524)이 폴리우레탄 스폰지 표면에 은 금속 나노 와이어를 코팅한 전도성 스폰지로 형성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I)와 (II)에서 측정된 전류의 크기가 거의 동일한 바, 전도성 스폰지를 사용하더라도 출력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5의 (I)는, 일반 대화 수준의 소음을 가지는 (II)에 비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2 전극(522, 5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도성 스폰지로 형성함으로써, 전류의 출력 저하 없이 풍력발전기(도 1의 10)의 구동시 제2 중공(512) 내부에서 복수의 대전볼(540)들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패턴부의 형상에 따른 마찰 대전 발전부에서 발생된 전류 값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6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는 마찰 대전 발전부(500) 내부에 금속 패턴부(53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고, 도 6의 (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패턴부(53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는 경우이며, 도 6의 (C)는 복수의 금속 패턴들이 서로 연결된 경우이다. 여기서, 도 6의 (B) 및 (C)에 포함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은 Al 금속 필름으로써, 제1, 2 전극(522, 524) 사이에서 서로 이격된 띠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패턴부(5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금속 패턴부(530)는 전도성 스폰지로 형성되어 풍력발전기(도 1의 10)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패턴부(530)가 형성되지 않은 (A)의 경우는 금속 패턴부(530)를 포함하는 (B) 및 (C)에 비하여 마찰 대전 발전부(500)에서 발생하는 전류 값이 매우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금속 패턴부(530)를 형성함에 따라, 대전볼(540)들과의 마찰에 의해 마찰 전기가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금속 패턴부(53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는 (B)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C)의 경우보다 출력 전류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에 의해 복수의 대전볼(540)들이 더 효과적으로 대전될 수 있으므로, 금속 패턴부(53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함으로써, 마찰 대전 발전부(500)의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도전볼의 형상에 따른 마찰 대전 발전부에서 발생된 전류 값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7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D)는 도전볼(540)이 구형인 경우이고, 도 7의 (E)는 도전볼(540)이 도 3a와 같이 표면(도 3의 542)에 복수의 오목부(도 3의 544)가 인입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이며, 도 7의 (F)는 도전볼(540)이 도 3b와 같이 표면(도 3의 542)에 복수의 돌기(도 3의 546)가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이다. 또한, 도 7의 (D) 내지 (F)에서, 마찰 대전 발전부(500)의 금속 패턴부(5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도록 형성하였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전볼(540)이 구형인 (D)보다, 표면(도 3의 542)에 오목부(도 3의 544) 또는 돌기(도 3의 546)가 형성된 (E) 및 (F)의 경우가 측정된 전류 값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전볼(540)이 울퉁불퉁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금속 패턴부(530)와의 접촉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F)의 경우는 (E)에 비해 도전볼(540)의 크기가 커질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대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풍력 발전기
100: 타워
200: 나셀
210: 발전기
220: 축전지
230: 요잉 장치
300: 허브
400: 블레이드
410: 제1 몸체
412: 제1 중공
500: 마찰 대전 발전부
510: 제2 몸체
512: 제2 중공
522: 제1 전극
524: 제2 전극
530: 금속 패턴부
540: 대전볼

Claims (18)

  1. 내부에 제1 중공을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에 위치하는 마찰 대전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대전 발전부는,
    내부에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전극들;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부; 및
    상기 제2 중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전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도성 스폰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패턴들 각각은 금속 필름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스폰지는, 폴리우레탄 스폰지와 상기 폴리우레탄 스폰지 표면에 코팅된 금속 나노 와이어 코팅층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배선은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실리콘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 또는 돌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9. 타워;
    상기 타워와 결합하고 내부에 발전기와 축전지를 포함하는 나셀;
    상기 나셀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허브; 및
    상기 허브와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들 각각은,
    내부에 제1 중공을 구비한 제1 몸체; 및
    상기 제1 중공 내에 위치하며,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마찰 대전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대전 발전부는,
    내부에 제2 중공을 포함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도성 스폰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전극들;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금속 패턴부; 및
    상기 제2 중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대전볼들;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허브와 결합된 풍력 발전기.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패턴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패턴들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속 패턴들 각각은 금속 필름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스폰지는, 폴리우레탄 스폰지와 상기 폴리우레탄 스폰지 표면에 코팅된 금속 나노 와이어 코팅층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전극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배선은 상기 제2 몸체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몸체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배선은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풍력 발전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실리콘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전볼들 각각은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 또는 돌기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KR1020170032521A 2017-03-15 2017-03-15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10194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21A KR101942464B1 (ko) 2017-03-15 2017-03-15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21A KR101942464B1 (ko) 2017-03-15 2017-03-15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46A KR20180105446A (ko) 2018-09-28
KR101942464B1 true KR101942464B1 (ko) 2019-01-25

Family

ID=6372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521A KR101942464B1 (ko) 2017-03-15 2017-03-15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2255A (zh) * 2019-10-14 2020-04-17 西北工业大学 一种集发电送风功能的风机装置
CN112012881B (zh) * 2020-09-14 2021-11-23 安徽方永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摩擦风力发电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858A (ja) * 2013-06-25 2016-08-25 ベイジン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ナノエネルギー アンド ナノシステムズBeijing Institute Of Nanoenergy And Nanosystems スライド摩擦式発電機、発電方法及びベクトル変位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184B1 (ko) * 2014-12-17 2016-12-13 한국과학기술원 실린더형 접촉 대전 발전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5858A (ja) * 2013-06-25 2016-08-25 ベイジン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ナノエネルギー アンド ナノシステムズBeijing Institute Of Nanoenergy And Nanosystems スライド摩擦式発電機、発電方法及びベクトル変位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46A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Wind energy harvesting from a conventional turbine structure with an embedded vibro-impact dielectric elastomer generator
KR101942464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KR101179277B1 (ko) 나셀 펜스를 갖는 풍력발전기
KR101543721B1 (ko) 세차 운동을 이용한 발전장치
WO2008127751A2 (en) High efficiency turbine with variable attack angle foils
US10598152B2 (en) Multi-power source wind turbines
Kanner et al. Hybrid testing of model-scale floating wind turbines using autonomous actuation and control
KR20130085122A (ko) 충격완화유닛이 구비된 풍력발전기
KR20130009583A (ko) 유체의 흐름을 이용한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KR101777175B1 (ko) 풍력 발전 시스템 및 풍력 발전 방법
EP3293392B1 (en) Wind turbine blade comprising an edgewise stabilizer
Olinger et 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1 kw scale kite-powered system
LU102112B1 (en) Ocean wave energy harvesting system and process
KR20220154993A (ko) 불규칙적이고 넓은 범위의 에너지 수확능력을 갖는 적응형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및 그 작동방법
KR101627665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KR101792432B1 (ko) 동력 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Seralathan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a cross axis wind turbine
US20240229759A1 (en) Omnidirectional omni-frequency wave energy converter
Solomin et al.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most effective wind turbines
US7755238B2 (en) Power generator and power generating method
KR102159864B1 (ko) 풍력 발전 장치
KR20230050622A (ko) 타이어 정전 발전장치
KR101559015B1 (ko) 공력하중 상쇄 블레이드 회전장치
US10920751B2 (en) Orthogonal turbine having a speed adjusting member
JP6858581B2 (ja) 風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