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353B1 -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353B1
KR102372353B1 KR1020190111387A KR20190111387A KR102372353B1 KR 102372353 B1 KR102372353 B1 KR 102372353B1 KR 1020190111387 A KR1020190111387 A KR 1020190111387A KR 20190111387 A KR20190111387 A KR 20190111387A KR 102372353 B1 KR102372353 B1 KR 102372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gel
bottle cap
unit
cov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004A (ko
Inventor
김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와이솔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와이솔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와이솔브
Priority to KR102019011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3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카겔공급장치 및 병마개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실리카겔을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부와, 상기 실리카겔이 수납되는 실리카겔수납부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을 병마개 내부로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노즐부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에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여 상기 실리카겔수납부 내부의 상기 실리카겔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실리카겔균일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a silica ge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ttle ca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마개는 다양한 물건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병마개는 음료수 병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병마개는 약병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병마개는 사용되는 물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병마개는 사용되는 물건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수납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병마개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리카겔을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부와, 상기 실리카겔이 수납되는 실리카겔수납부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을 병마개 내부로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노즐부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에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여 상기 실리카겔수납부 내부의 상기 실리카겔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실리카겔균일화부를 포함하는 실리카겔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겔균일화부는,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 운동하는 운동부와, 상기 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의 저면과 접촉는 부러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병마개를 공급하는 병마개공급장치와, 상기 병마개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상기 병마개에 실리카겔을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장치와, 상기 실리카겔공급장치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실리카겔이 공급되는 상기 병마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를 공급하는 실링장치와, 상기 실링장치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병마개의 일부를 절곡시켜 상기 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병마개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겔공급장치는, 상기 실리카겔을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부와, 상기 실리카겔이 수납되는 실리카겔수납부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을 병마개 내부로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노즐부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에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여 상기 실리카겔수납부 내부의 상기 실리카겔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실리카겔균일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겔균일화부는,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는 운동부와, 상기 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의 저면과 접촉하는 제1부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장치는, 상기 커버가 수납되는 커버수납부와, 상기 커버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흩어지도록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는 커버균일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균일화부는 상기 커버수납부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2브러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병마개 내부에 실라카겔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을 병마개 내부에 실리카겔을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 성능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마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병마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리카겔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링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의해 제조된 병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병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마개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병마개 제조장치(10)는 병마개 공급장치(100), 실리카겔공급장치(200), 실링장치(300), 고정장치(400) 및 이송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병마개 공급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병마개(C)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병마개 공급장치(100)는 복수개의 병마개(C) 중 일부를 이송장치(500)로 공급할 수 있다.
실리카겔공급장치(200)는 병마개(C) 내부의 공간에 실리카겔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실리카겔은 분말 형태나 작은 입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장치(300)는 실리카겔이 공급된 병마개(C)에 커버(B)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커버(B)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이, 천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링장치(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실링장치(30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실링장치(300)는 하나의 커버(B)를 병마개(C)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링장치(300)를 통과한 병마개(C) 내부에는 복수개의 커버(B)가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링장치(300)가 두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장치(400)는 병마개(C)의 일부를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장치(400)는 병마개(C)에 열을 가하거나 압력, 힘 등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400)는 각 병마개(C)를 개별적으로 절곡시키거나 동시에 복수개의 병마개(C)를 절곡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장치(500)는 병마개(C)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장치(500)는 컨베이어 밸트, 공기식 컨베이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병마개 제조장치(1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이송장치(500)에 배치되어 병마개(C)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부(600)는 레이저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병마개 공급장치(100), 실리카겔공급장치(200), 실링장치(300), 고정장치(400) 및 이송장치(50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마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병마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병마개 공급장치(100)는 병마개 수납부(110), 병마개 호퍼부(120), 병마개 가이드부(130), 병마개 이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병마개 수납부(110)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공급하는 병마개(C)가 수납된 후 병마개 호퍼부(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병마개 수납부(110)는 자동 차단 장치가 구비되어 병마개(C)를 병마개 호퍼부(120)로 적당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병마개 호퍼부(120)는 공급된 병마개(C)를 정렬하여 병마개 가이드부(130)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병마개 호퍼부(120)는 진동 등을 통하여 병마개(C)를 정렬할 수 있다.
병마개 가이드부(130)는 병마개 호퍼부(120)에서 공급되는 병마개(C)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병마개 가이드부(130)에는 병마개가이드핀(131)이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병마개가이드핀(131)은 끝단이 절곡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병마개가이드핀(131)은 병마개 호퍼부(120)에서 일렬로 병마개 가이드부(130)로 이동할 때, 병마개(C)의 일부와 병마개(C)의 다른 일부의 이동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병마개(C) 중 병마개가이드핀(131)과 접촉하는 병마개(C)는 병마개가이드핀(131)과 접촉하지 않는 병마개(C)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병마개 가이드부(130) 상의 병마개(C)는 병마개 호퍼부(120)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병마개(C)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병마개 이송부(140)는 병마개 가이드부(130) 상의 병마개(C)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이송장치(5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장치(500)는 병마개(C)가 수납되는 이송블록(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블록(520)은 이송컨베이어(510)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이송블록(520)의 상면에는 병마개(C)가 안착하도록 홈(5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블록(520)의 홈(521)은 이송컨베이어(510)와 연통되는 홀(52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510)는 이송블록(5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컨베이어(510)는 리니어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510)는 이송블록(520)과 연통하여 이송블록(520)의 홈에 안착된 병마개(C)를 이송블록(520)의 홈에 완전히 밀착시키도록 이송블록(520)의 홈과 연결된 홀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병마개 이송부(140)는 병마개 이송블록(520)과 연결되어 병마개(C)를 흡착하는 병마개 고정노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병마개 이송블록(520)은 제1방향으로 병마개 고정노즐(141)을 선형 운동시키는 제1구동부(142) 및 병마개 고정노즐(141)을 제2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키는 제2구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부(142) 또는 제2구동부(143) 중 하나는 제1구동부(142) 또는 제2구동부(143)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병마개 이송부(140)는 제1구동부(142) 또는 제2구동부(143) 중 하나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병마개 공급장치(100)는 병마개(C) 중 일부를 이송블록(5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510)는 이송블록(520)을 실리카겔공급장치(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감지부(600)는 이송블록(520) 상의 병마개(C)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결과를 근거로 이송블록(520)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여 이송컨베이어(510)를 작동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리카겔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실리카겔공급장치(200)는 실리카겔공급부(210), 실리카겔수납부(220), 실리카겔공급노즐부(230) 및 실리카겔균일화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카겔공급부(210)는 실리카겔(S)이 수납된 상태에서 실리카겔수납부(220)로 실리카겔(S)을 일정량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리카겔수납부(2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실리카겔공급노즐부(230)와 연통되도록 관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카겔공급노즐부(230)는 선형운동하는 선형운동블록(231), 선형운동블록(231)과 연결되며, 선형운동블록(231)을 선형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232) 및 선형운동블록(231)과 연결되는 공급노즐(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블록(231)과 실리카겔수납부(220)는 별도의 배관(234)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1)과 실리카겔공급노즐부(230)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공급노즐(233)의 끝단에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이 배치되어 관통홀(221)로부터 실리카겔공급노즐부(230)로 이동하는 실리카겔(S)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실리카겔균일화부(240)는 실리카겔수납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리카겔균일화부(240)는 선형 운동이나 회전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실리카겔수납부(220)의 내부에 배치된 실리카겔(S)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리카겔균일화부(240)는 선형 운동하여 실리카겔(S)이 실리카겔수납부(220)의 한쪽에 치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리카겔균일화부(240)는 제1선형가이드부(241), 제1운동부(242), 제1브러쉬부(243) 및 제1균일화구동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선형가이드부(241)는 실리카겔수납부(220) 내부 또는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선형가이드부(241)는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선형가이드부(241)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운동부(242)는 제1선형가이드부(24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선형가이드부(241)로부터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저면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운동부(242)는 실리카겔수납부(220) 내부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제1브러쉬부(243)는 제1운동부(242)의 끝단으로부터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브러쉬부(243)는 복수개의 털이 모여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1브러쉬부(243)의 길이는 제1선형가이드부(241)로부터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저면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저면과 접촉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아 마모로 인한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1균일화구동부(244)는 제1선형가이드부(241)와 제1운동부(2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균일화구동부(244)는 제1선형가이드부(241)와 일체로 형성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균일화구동부(244)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운동부(242)는 볼스크류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균일화구동부(244)는 제1운동부(242)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실리카겔균일화부(240)은 후술할 커버균일화부(미도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리카겔공급장치(200)는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실리카겔(S)을 병마개(C)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실리카겔(S)은 실리카겔공급노즐부(230)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노즐(233)이 하강하면서 공급노즐(233)의 하면이 병마개(C) 상부에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공급노즐(233)로 실리카겔(S)을 병마개(C)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공급노즐(233)이 다시 상승할 수 있으며, 공급노즐(233)에서 공급되는 실리카겔(S)은 더 이상 공급노즐(233)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균일화구동부(244)가 작동하여 제1운동부(242)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브러쉬부(243)는 실리카겔수납부(220)의 저면을 쓸고 지나가면서 관통홀(221)의 상면에 실리카겔(S)을 치울 뿐만 아니라 실리카겔수납부(220)의 내부의 실리카겔을 움직임으로써 실리카겔수납부(220) 내부의 실리카겔의 치우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1)의 상면에 실리카겔이 순간적으로 많음으로써 실리카겔이 관통홀(221)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거나 너무 많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브러쉬부(243)를 통하여 실리카겔을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링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실링장치(300)는 커버공급부(310), 커버수납부(320), 커버균일화부(330), 커버이송부(340), 커버공급노즐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공급부(310)는 내부에서 사용자가 공급하는 커버(B)가 수납되며, 복수개의 커버(B) 중 일부를 커버수납부(320)로 공급할 수 있다.
커버수납부(3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커버(B)를 커버이송부(34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커버수납부(320)의 저면에는 커버공급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커버(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공성의 종이, 천 등과 같은 재질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B)가 종이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B)는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B)는 커버공급홀(321)에 수납된 상태에서 실링장치(300)의 작동에 따라 병마개(C)로 공급될 수 있다.
커버균일화부(330)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리카겔균일화부(2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 운동하여 커버(B)를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균일화부(330)가 회전 운동을 통하여 커버수납부(320) 내부의 커버(B)를 균일화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균일화부(330)는 제2운동부(331), 제2브러쉬부(332) 및 제2균일화구동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운동부(331)는 커버수납부(320)의 내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운동부(331)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수납부(320)의 중심에 회전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제2브러쉬부(332)는 제2운동부(331)의 하면에 배치되어 제2운동부(331)로부터 커버수납부(320)의 저면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브러쉬부(332)는 복수개의 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균일화구동부(333)는 제2운동부(331)와 연결되어 제2운동부(331)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균일화구동부(333)는 제2운동부(3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커버이송부(340)는 커버수납부(3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커버공급홀(321)을 통하여 공급되는 커버(B)를 전개함으로써 커버공급노즐부(35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이송부(340)는 도 5의 Y축 방향으로 전개되는 다단의 스테이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이송부(340)는 하나의 스테이지가 고정된 스테이지에 연결되어 선형 운동함으로써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스테이지 사이, 스테이지를 지지하는 별도의 브라켓과 움직이는 스테이지 사이에는 각각 리니어 모션 가이드 등과 같은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개되는 스테이지에는 스테이지를 선형 운동시키는 별도의 구동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버이송부(340)의 끝단에 배치되는 스테이지는 커버(B)가 안착하며 커버(B)를 진공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공급노즐부(350)는 커버이송부(340)에서 이송된 커버(B)를 흡착하여 병마개(C)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공급노즐부(350)는 선형운동하는 커버공급노즐(351)과 커버공급노즐(351)과 연결되어 커버공급노즐(351)을 선형 운동시키는 커버공급노즐구동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링장치(300)는 병마개(C)가 실링장치(30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커버(B)를 병마개(C)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커버공급부(310)는 커버(B)를 일정 시간에 일정량으로 커버수납부(3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균일화구동부(333)가 작동하여 제2운동부(3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브러쉬부(332)는 제1브러쉬부(243)와 유사하게 커버수납부(320)의 저면을 쓸면서 커버(B)를 이동시키거나 커버(B)와 접촉하여 커버수납부(320)의 저면에 대해서 서 있는 커버(B) 등의 자세를 커버수납부(320)의 저면에 커버(B)의 일면이 접촉하도록 커버(B)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균일화구동부(333)는 제2운동부(331)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B)가 커버공급홀(321)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공급홀(321)로 공급된 커버(B)는 커버공급홀(321)에서 커버이송부(3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커버공급홀(321)에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이 배치되어 커버이송부(340)로 커버(B)를 하나씩 공급할 있다. 또한, 커버공급홀(321)은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개의 커버공급홀(321)은 복수개의 커버(B)를 커버이송부(340)로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커버이송부(34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도 5의 Y축 방향으로 전개되어 커버(B)를 커버공급노즐부(35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공급노즐부(350)는 커버이송부(340)의 커버(B)를 흡착하여 커버이송부(3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커버이송부(340)는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커버공급노즐(351)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공급노즐구동부(352)가 작동하면 커버이송부(340)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 커버공급노즐(351)이 하강하여 커버(B)를 병마개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커버공급노즐(351)은 커버(B)를 흡착하지 않음으로써 커버(B)를 병마개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복수개의 실링장치(300)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병마개는 각 실링장치(300)로 이동하면서 복수개의 커버(B)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고정장치(400)는 커버(B)가 수납된 병마개(C)의 일부에 열, 압력 또는 힘 등을 가하여 커버(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장치(400)는 열, 압력 또는 힘 등을 가하는 가압부(410)와 가압부(410)를 선형운동시키는 가압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410)가 열을 가하는 경우 히터, 열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고정장치(400)는 열, 압력 또는 힘 등을 가하여 실리카겔이 수납된 병마개(C) 부분을 절곡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정장치(400)는 병마개(C)의 일부를 커버(B)의 상면 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병마개 제조장치(10)는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이 간소화해질 수 있다.
또한, 병마개 제조장치(10)는 실리카겔을 일정량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커버(B)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활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의해 제조된 병마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병마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병마개(C)는 병마개바디부(C1), 격벽(C2), 실리카겔(S) 및 커버(B)를 포함할 수 있다.
병마개바디부(C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은 평평하고 옆면은 평평한 면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옆면에는 돌기 등이 구비됨으로써 병과 결합할 때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격벽(C2)은 병마개바디부(C1)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격벽(C2)은 걸림돌기(C2-1)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C2-1)는 격벽(C2)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C2-1)는 격벽(C2)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걸림돌기(C2-1)는 격벽(C2)의 상면으로부터 병마개바디부(C1)의 평평한 일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걸림돌기(C2-1)의 일부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되며, 걸림돌기(C2-1)의 다른 일부는 격벽(C2)과 병마개바디부(C1)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걸림돌기(C2-1)는 격벽(C2)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격벽(C2)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는 실리카겔(S)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B)는 실리카겔(S)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B)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B) 중 최상단에 배치된 커버(B)는 걸림돌기(C2-1)에 의하여 눌려질 수 있으며, 병마개(C)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걸림돌기(C2-1)의 하단으로부터 병마개바디부(C1)의 저면까지의 거리는 커버(B)의 총두께와 실리카겔(S)의 두께의 합보다 작음으로써 걸림돌기(C2-1)가 커버(B)를 완전히 구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돌기(C2-1)의 상단은 병마개바디부(C1)의 측면의 상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B)가 병 내부의 구조물이나 병 내부의 물질과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실리카겔이 병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병마개 제조장치 243: 제1브러쉬부
100: 병마개 공급장치 244: 제1균일화구동부
110: 병마개 수납부 300: 실링장치
120: 병마개 호퍼부 310: 커버공급부
130: 병마개 가이드부 320: 커버수납부
131: 병마개가이드핀 321: 커버공급홀
140: 병마개 이송부 330: 커버균일화부
141: 병마개 고정노즐 331: 제2운동부
142: 제1구동부 332: 제2브러쉬부
143: 제2구동부 333: 제2균일화구동부
144: 고정브라켓 340: 커버이송부
200: 실리카겔공급장치 350: 커버공급노즐부
210: 실리카겔공급부 351: 커버공급노즐
220: 실리카겔수납부 352: 커버공급노즐구동부
230: 실리카겔공급노즐부 400: 고정장치
231: 선형운동블록 410: 가압부
232: 선형구동부 420: 가압구동부
233: 공급노즐 500: 이송장치
240: 실리카겔균일화부 510: 이송컨베이어
241: 제1선형가이드부 520: 이송블록
242: 제1운동부 600: 위치감지부

Claims (7)

  1. 병마개를 공급하는 병마개공급장치;
    상기 병마개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상기 병마개에 입자 형태의 실리카겔을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장치;
    상기 실리카겔공급장치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실리카겔이 공급되는 상기 병마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를 공급하는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병마개의 일부를 절곡시켜 상기 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겔공급장치는,
    상기 실리카겔을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부;
    상기 실리카겔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실리카겔을 수납하는 실리카겔수납부;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을 병마개 내부로 공급하는 실리카겔공급노즐부; 및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에 배치되어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여 상기 실리카겔수납부 내부의 상기 실리카겔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실리카겔균일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리카겔공급부는 바닥면에 상기 실리카겔공급노즐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카겔공급노즐부는,
    선형운동하는 선형운동블록;
    상기 선형운동블록을 선형운동시키는 선형구동부;
    상기 선형운동블록과 연결되는 공급노즐;
    상기 선형운동블록과 상기 실리카겔수납부를 연결하는 배관; 및
    상기 공급노즐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로부터 상기 실리카겔공급노즐부로 이동하는 상기 실리카겔의 양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실리카겔균일화부는,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는 운동부; 및
    상기 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실리카겔의 치우침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실리카겔수납부의 저면을 쓸고 지나가고, 상기 관통홀 상면의 실리카겔을 치우는 제1부러쉬부;를 구비하는 병마개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다공성의 종이 및 천 중 어느 한 재질로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장치는,
    상기 커버를 수납하며, 저면에 커버공급홀이 형성되는 커버수납부;
    상기 커버수납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흩어지도록 선형 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여, 상기 커버의 자세를 변경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커버공급홀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커버균일화부;
    상기 커버수납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커버공급홀을 통하여 공급되는 커버를 전개하는 커버이송부; 및
    상기 커버이송부에서 전개된 상기 커버를 흡착하여 상기 병마개로 이송시키는 커버공급노즐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공급홀에 수납되어, 상기 실링장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병마개로 공급되고,
    상기 커버균일화부는 상기 커버수납부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2브러쉬부;를 포함하는 병마개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 공급장치는,
    병마개 수납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병마개를 진동을 통해 정렬하는 병마개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공급된 병마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병마개 가이드부;
    상기 병마개 가이드부의 병마개를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하는 병마개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병마개 가이드부는 끝단이 절곡되도록 배치되는 병마개가이드핀을 구비하고,
    상기 병마개가이드핀은 상기 병마개가 상기 병마개 호퍼부에서 일렬로 상기 병마개 가이드부로 이동할 때, 상기 병마개의 일부와 상기 병마개의 다른 일부의 이동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는, 병마개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병마개가 수납되는 이송블록; 및
    상기 이송블록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블록은 이송컨베이어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고, 상면에 병마개가 안착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의 상기 홈은 이송컨베이어와 연통되는 홀과 연결되는, 병마개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11387A 2019-09-09 2019-09-09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KR102372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87A KR102372353B1 (ko) 2019-09-09 2019-09-09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87A KR102372353B1 (ko) 2019-09-09 2019-09-09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04A KR20210030004A (ko) 2021-03-17
KR102372353B1 true KR102372353B1 (ko) 2022-03-08

Family

ID=7524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87A KR102372353B1 (ko) 2019-09-09 2019-09-09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3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884A (ja) * 1993-04-06 1994-10-11 Bridgestone Corp 粉粒体自動計量装置の粉粒供給ホッパー
KR19980049963U (ko) * 1996-12-30 1998-10-07 김창호 제습용 밀폐용기
KR19980056700U (ko) * 1997-01-21 1998-10-15 김창중 컵형용기내에 약품을 포장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004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4823B (zh) 阀门组装流水线
JP3981121B2 (ja) ライン式充填機
AU1757400A (en) Contact lens transfer and material removal system
TWI548027B (zh) A method of transferring a monolithic article,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CN107533989B (zh) 毛细管输送装置、安装装置及更换装置
CN105293021B (zh) 零件输送系统和姿势调整器具
KR102176836B1 (ko) 캡 조립장치
KR101951347B1 (ko) 자동 포대 공급장치
JP2003104324A (ja) 容器への薬液充填施栓システム
KR101547773B1 (ko) 진단 키트 제조 장치
KR102372353B1 (ko) 실리카겔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한 병마개 제조장치
KR101860311B1 (ko) 화장품 용기의 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JP5688714B2 (ja) 選果システムの載置台
JP5688710B2 (ja) 選果システム
US200702670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 container positioned about a filling spout
JP2010165891A (ja) 半導体ウエハ搬送装置
KR20170023649A (ko) 진단키트용 포장장치
KR200467365Y1 (ko) 화장품 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JP5688712B2 (ja) 選果システム
JP4610779B2 (ja) マイクロアレイ作製用ヘッド及びマイクロアレイ作製装置
KR101510224B1 (ko) 얼라이너와 이것을 이용한 웨이퍼 분류장치
KR101397545B1 (ko) 신발창의 3차원 형상 표면 세척장치
KR100555361B1 (ko) 화장품용기의 피스톤 조립장치
KR20170139194A (ko) 매니큐어 제조 설비
CN220716482U (zh) 一种便于调整的打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