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874B1 - 무효전력 보상 장치 - Google Patents

무효전력 보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874B1
KR102371874B1 KR1020170029644A KR20170029644A KR102371874B1 KR 102371874 B1 KR102371874 B1 KR 102371874B1 KR 1020170029644 A KR1020170029644 A KR 1020170029644A KR 20170029644 A KR20170029644 A KR 20170029644A KR 102371874 B1 KR102371874 B1 KR 10237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com
container
containers
reactive power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903A (ko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7002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8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64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the stepless control of reactive power is obtained by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miconductor switc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효전력 보상 장치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보상 지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및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기준 값 미만 인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하고,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효전력 보상 장치{REACTIVE POWER COMPENS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효전력 보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계통에 무효전력을 보상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고전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고압의 교류전력을 전력변환기를 이용해 고압의 직류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 원하는 수전 측에서 다시 전력변환기를 이용해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이, 직류전력을 전송할 때 직류 송전계통과 교류 송전계통 모두 무효전력의 보상을 필요로 한다.
무효전력이란, 실제로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열소비도 하지 않는 전력이다. 무효전력은 오직 전원과 전기 기기를 왕복할 뿐 에너지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용될 수 없다.
계통에서의 무효전력 변동에 따라 계통 전압이 변동되면, 이에 따른 부하의 오동작 및 부동작을 유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고장 야기하고 이를 원인으로한 문제가 소규모 정전, 대규모 광역정전으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계통에서 필요로하는 무효전력을 별도의 장치로 공급하여 주거나 과잉의 무효전력을 흡수하는 등의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송전계통에서는 유연 송전 시스템(Flexible Alternating Current Transmission System, FACTS)을 사용한다.
유연 송전 시스템에는 계통에 직렬로 연결되는 직렬 보상장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병렬 보상장치가 있으며 두가지 장치의 장단점을 융합한 직병렬 보상장치가 있다.
직렬 보상장치로는 TCSC와 같은 보상장치가 있다.
병렬 보상장치로는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한 병렬 리액터, 병렬 커패시터와 전력반도체 소자로 기계적 스위치를 대신하여 과도특성 및 선형적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Thyristor를 사용한 정적 무효전력 보상장치(Static Var Compensator, SVC)와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소자를 사용하는 정적 동기 보상 장치(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STATCOM)가 있다.
이중 STATCOM 시스템은 IGBT를 사용한 Valve와 냉각 시스템, 제어기 등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들 복수의 컨테이너들 각각에 취부하여 계통에 병입하고, 무효전력을 공급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형 STATCOM 시스템은 전력 계통에서 많은 무효전력 보상 값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여서 시스템 구성 컨테이너 중 일부 컨테이너만 동작하는 상황에서도, 모든 STATCOM 컨테이너들이 동작 대기상태로 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STATCOM 컨테이너들의 구성 설비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동작 대기상태로 운용되는데 필요한 소비전력의 낭비가 필수 불가결하게 발생한다. 또한, 정기 점검 시, 모든 STATCOM 컨테이너들을 유지 보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모든 STATCOM 컨테이너들이 유지 보수되어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순위에 따라 일부만을 동작시켜, 컨테이너의 운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STATCOM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를 모두 동작시키는 대신에 일부 컨테이너들만 우선순위에 따라서 동작시켜, 동작 대기 상태로 운용되는데 필요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설비의 피로도를 분산시켜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에 의해 제안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보상 지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및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기준 값 미만 인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하고,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고, 나머지 STATCOM 컨테이너들은 운전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는 STATCOM 컨테이너가 상기전력 계통에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운전한 총 운전 시간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총 운전 시간이 적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는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이고, 상기 제어기는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가 적은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에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의 개수는 3개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2개의 컨테이너를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상관 없이,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모두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준 값은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운전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무효전력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는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보상 지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및 상기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가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기준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 인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상기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할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하고, 상기 목표 전압 값을 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의 개수는 3개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가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압 조정 범위가 상기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이고,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2개의 컨테이너를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압 조정 범위가 상기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상관 없이,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모두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압 조정 범위 비율은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운전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상기 전압 조정 범위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순위에 따라 일부만이 동작됨에 따라 컨테이너의 운전 효율성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순위에 따라 일부만이 동작됨에 따라, 각 컨테이너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에 따라 많은 시간을 운전한 STATCOM 컨테이너만을 유지 보수 하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투입인력과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100)는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 STATCOM 컨테이너 세트(13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는 전력 계통(10)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는 전력 계통(10)의 전압, 전류 및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는 1차측 모선에 연결된 전압 측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10)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측정기는 교류 전압을 이에 비례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Power Transformer, PT)가 사용될 수 있다.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는 1차측 모선에 연결된 전류 측정기(111)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10)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측정기는 교류 전류를 이에 비례하는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전류 변환기(Current Transformer, CT)가 사용될 수 있다.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는 1차측 모선에 연결된 주파수 측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10)의 주파수를 측정하거나, 전력 변환기에 의하여 측정된 전압의 주파수를 제어기 내부의 연산에 의하여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수 있다.
STATCOM 컨테이너 세트(130)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모듈(131a, 132a, 133a)은 4개의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및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브 모듈(131a, 132a, 133a)은 4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풀 브릿지 타입(full bridge type) 또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하프 브릿지 타입(Half bridge type)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서브 모듈들의 동작을 통해 전력 계통(10)으로 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전력 계통(10)으로부터 무효전력 보상을 위한 보상 지령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이 기준 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값이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가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경우,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1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STATCOM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개수,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총 서브 모듈의 개수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우선 순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효전력 보상 장치100)는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갖는 변압기(170) 변압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170)는 전력 계통(10)과 STATCOM 컨테이너 세트(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변압기(170)는 전력계통(10)의 전압을 STATCOM 컨테이너 세트(130)에 맞도록 낮추거나 높여서 조정하고, 조정된 전압이 STATCOM 컨테이너 세트(130)에 유기되도록 한다. STATCOM 컨테이너 세트(1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전력 계통(10)이 요구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이 기준 값 이상인지,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할당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의 운전을 제어하는 실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효전력 보상 장치(100)의 제어기(150)는 전력 계통(10)으로부터 무효전력 보상을 위한 보상 지령을 획득한다(S301).
일 실시 예에서 보상 지령은 전력 계통(10)에 보상해야 할 보상 지령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치령치는 전력 계통에 보상해야 할 무효전력 값 또는 목표 전압 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전력 계통 모니터링부(110)에 포함된 무효전력 측정부(미도시)를 통해 보상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전력 계통(10)으로부터 보상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303).
기준 값은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운전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무효전력 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기준 값은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중 1개의 컨테이너를 운전시키기 위해 기준이 되는 무효전력 값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한다(S305).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에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순서를 나타내는 우선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에는 제1 우선 순위가, 제1 STATCOM 컨테이너(132)에는 제2 우선 순위가,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에는 제3 우선 순위가, 각각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150)는 무효전력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1 우선 순위인 STATCOM 컨테이너(131)만을 운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우선 순위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는 STATCOM 컨테이너가 전력 계통(10)에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운전한 총 시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는 제1 우선 순위로 설정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에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기(150)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의 총 운전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150)는 카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총 운전 시간은 0.3년이고,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총 운전 시간은 0.5년이고,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총 운전 시간은 1년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총 운전 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에 제1 우선 순위,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에 제2 우선 순위,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에 제3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에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는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에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는 1개이고,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는 2개이고,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는 3개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가 적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에 제1 우선 순위,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에 제2 우선 순위,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에 제3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에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는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대응하는 패널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널티 값은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패널티 값은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나지 않은 서브 모듈들 총 운전 시간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의 합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132, 133) 각각에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총 운전 시간과 패널티 값의 합은 A이고,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총 운전 시간과 패널티 값의 합은 B이고,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총 운전 시간과 패널티 값의 합은 C일 수 있다.
여기서, 총 운전 시간과 패널티 값의 단위는 다를 수 있으므로, 단위를 통일하기 위한 변환식이 A, B, C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의 합에 대한 우선 순위도, 변환식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B보다 작고, B는 C보다 작음을 가정한다.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과 패널티 값이 작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에 제1 우선 순위,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에 제2 우선 순위,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에 제3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우선 순위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기(150)는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가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307).
제어기(150)는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고, 나머지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운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 하나가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 차 순위 2개의STATCOM 컨테이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 순위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는 무효전력 보상 값과 제1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가 출력 가능한 최대 보상 값의 차이만큼을 출력할 수 있다.또 다른 실시 예에서, 차 순위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는 무효전력 보상 값과 제1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가 출력 가능한 최대 보상 값의 차이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을 출력한다(S309).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는 제어기(15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무효전력 보상 값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무효전력 값을 전력 계통(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STATCOM 컨테이너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운전되는 경우, 모든 STATCOM 컨테이너들의 운전에 따른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우선 순위가 높은 컨테이너만을 대상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하여, 정기 점검 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 후,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경우(S311),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한다(S313).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 시간 정보,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이 변경된 경우,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가 변경된 경우,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가 변경된 경우,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한편, 무효전력 보상 장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수동 입력을 통해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 각각에 대응하는 우선 순위가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관리자는 정기 점검 시 마다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 S311 및 S313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설명하기 위해, 이전 우선 순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도 4의 내용을 참고한다.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총 운전 시간은 0.3년에서 1년으로, 변경되었고,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총 운전 시간은 0.5년에서 0.7년으로, 변경되었고,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총 운전 시간은 1년에서 1.5년으로, 변경되었다.
제어기(150)는 총 운전 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각 STATCOM 컨테이너에 우선 순위를 다시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기(150)는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우선 순위를 제2 순위에서 제1 순위로,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우선 순위를 제1 순위에서 제2 순위로,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우선 순위를 제2 순위에서 제1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총 운전 시간은 여전히 가장 높으므로, 우선 순위가 제3 순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총 운전 시간의 변경에 따라 우선 순위가 변경되어, 특정 STATCOM 컨테이너에 걸리는 운전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하기 위해, 이전 우선 순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도 5의 내용을 참고한다.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는 1개에서 5개로, 변경되었고,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는 2개에서 4개로, 변경되었고,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는 3개로 변동이 없다.
제어기(150)는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가 적은 순서대로, 각 STATCOM 컨테이너에 우선 순위를 다시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기(150)는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우선 순위를 제3 순위에서 제1 순위로,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우선 순위를 제1 순위에서 제3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우선 순위는 변동이 없다.
이와 같이,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가 변경됨에 따라 우선 순위가 변경되어, 특정 STATCOM 컨테이너에 걸리는 운전의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9는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및 STATCOM 컨테이너의 포함된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따라 선정된 패널티 값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변경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설명하기 위해, 이전 우선 순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도 6의 내용을 참고한다.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의 합은 A에서 D로, 변경되었고,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의 합은 B에서 E로 변경되었고,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의 합은 C에서 F로 변경되었다.
여기서, E는 F보다 크고, D는 E보다 큼을 가정한다.
제어기(150)는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의 합이 작은 순서대로, 각 STATCOM 컨테이너에 우선 순위를 다시 부여할 수 있다.
즉, 제어기(150)는 제3 STATCOM 컨테이너(133)의 우선 순위를 제3 순위에서 제1 순위로, 제1 STATCOM 컨테이너(131)의 우선 순위를 제1 순위에서 제3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STATCOM 컨테이너(132)의 우선 순위는 변동이 없다.
이와 같이, 총 운전 시간 및 패널티 값이 변경됨에 따라 우선 순위가 변경되어, 특정 STATCOM 컨테이너에 걸리는 운전의 피로도가 분배될 수 있다.
추후, 제어기(150)는 변경된 우선 순위에 따라 단계 S305 이하를 수행한다.
즉, 제어기(150)는 전력 계통(10)이 요구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이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변경된 우선 순위에 따라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131, 132, 133)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제2 기준 값 미만인지 판단하고(S315),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한다(S317).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할당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1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 및 제2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가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319).
제어기(150)는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고, 나머지 1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운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값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 2개가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 나머지 1개의 STATCOM 컨테이너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머지 1개의 STATCOM 컨테이너는 무효전력 보상 값과 제1,2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가 출력 가능한 최대 보상 값의 차이를 출력할 수 있다.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을 출력한다(S321).
그 후,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경우(S311),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한다(S313).
한편,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이 제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3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을 제어한다(S323).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이, 제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우선 순위에 상관 없이, 3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 모두가 무효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 기준 값 이상의 보상 지령치가 하달된 경우, 전력 계통(10)에 사고가 발생한 상태이므로, 빠른 시간 내에 보상 지령치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보상 값을 출력한다(S325).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10은 STATCOM 컨테이너의 전압 조정 범위가 일정 전압 조정 범위 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할당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의 운전을 제어하는 실시 예이다.
또한, 도 10의 실시 예에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STATCOM 컨테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예는 도 3 내지 도 9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효전력 보상 장치(100)의 제어기(150)는 전력 계통(10)으로부터, 무효전력 보상을 위한 보상 지령을 획득한다(S1001).
보상 지령은 전력 계통(10)에 보상해야 할 보상 지령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지령치는 전력 계통(10)에 보상해야 할 목표 전압 값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로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003).
전압 조정 범위 비율은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운전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전압 조정 범위의 비율일 수 있다.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은 1개의 STATCOM 컨테이너로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의 50% 내지 70%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기 위해 1개의 STATCOM 컨테이너로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 있는 경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한다(S1005).
즉, 제어기(150)는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 있는 경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목표 전압 값을 보상하기 위해 운전을 수행할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가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007).
선정된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한다(S1009).
한편,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로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이고,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지 판단하고(S1015),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이고,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 경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한다(S1017).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할당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50)는 제1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 및 제2 우선 순위의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가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019).
제어기(150)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도록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고, 나머지 1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운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어기(150)는 목표 전압 값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에 전송할 수 있다.
선정된 2개의 STATCOM 컨테이너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한다(S1021).
그 후, 제어기(150)는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경우(S1011),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우선 순위를 변경한다(S1013).
한편,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1개의 컨테이너가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인 경우,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도록 복수의 3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을 제어한다(S1023).
제어기(150)는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이,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인 경우, 우선 순위에 상관 없이, 복수의 3개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 모두가 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의 보상 지령치가 하달된 경우, 전력 계통(10)에 사고가 발생한 상태이므로, 빠른 시간 내에 보상 지령치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131 내지 133)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한다(S1025).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2)

  1. 무효전력 보상 장치에 있어서,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보상 지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및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기준 값 미만 인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운전을 수행할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하고,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각 STATCOM 컨테이너가 상기 전력 계통에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운전한 총 운전 시간 및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대응하는 패널티 값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총 운전 시간 및 상기 패널티 값의 합이 작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고, 나머지 STATCOM 컨테이너들은 운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각 STATCOM 컨테이너의 총 운전 시간 정보 및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 순위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의 개수는 3개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제1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상기 제1 기준 값 이상이고,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2개의 컨테이너를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효전력 보상 값이 상기 제2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상관 없이,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모두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값은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운전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무효전력 값인
    무효전력 보상 장치.
  12. 무효전력 보상 장치에 있어서,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보상 지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 지령에 대응하는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및
    상기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가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기준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 인 경우,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할 STATCOM 컨테이너를 선정하고, 상기 목표 전압 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각 STATCOM 컨테이너가 상기 전력 계통에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운전한 총 운전 시간 및 각 STATCOM 컨테이너에 포함된 서브 모듈들 중 고장난 서브 모듈의 개수에 대응하는 패널티 값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총 운전 시간 및 상기 패널티 값의 합이 작은 순서대로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상기 선정된 STATCOM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고, 나머지 STATCOM 컨테이너들은 운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의 개수는 3개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목표 전압 값의 출력을 위해 하나의 STATCOM 컨테이너가 운전 가능한 전압 조정 범위가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하나의 컨테이너만을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압 조정 범위가 상기 제1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이고,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미만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3개의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2개의 컨테이너를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압 조정 범위가 상기 제2 전압 조정 범위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 상관 없이,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을 모두 운전시키는
    무효전력 보상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조정 범위 비율은 상기 복수의 STATCOM 컨테이너들 중 운전 대상이 되는 컨테이너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상기 전압 조정 범위의 비율인
    무효전력 보상 장치.
KR1020170029644A 2017-03-08 2017-03-08 무효전력 보상 장치 KR10237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644A KR102371874B1 (ko) 2017-03-08 2017-03-08 무효전력 보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644A KR102371874B1 (ko) 2017-03-08 2017-03-08 무효전력 보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03A KR20180102903A (ko) 2018-09-18
KR102371874B1 true KR102371874B1 (ko) 2022-03-08

Family

ID=6371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644A KR102371874B1 (ko) 2017-03-08 2017-03-08 무효전력 보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349B1 (ko) * 2018-11-30 2020-10-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필요 무효전력 평가방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statcom의 통합적 제어알고리즘
CN113991694A (zh) * 2021-10-26 2022-01-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无功补偿设备运行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823A (ja) 2012-05-01 2013-11-14 Hitachi Ltd 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KR101521105B1 (ko) * 2014-07-31 2015-05-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 다중 레벨 컨버터의 서브 모듈 고장 검출 방법
JP2016189664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系統安定化制御装置および電力系統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789B1 (ko) * 2010-09-30 2012-09-04 한국전력공사 비대칭용량 구조의 순동무효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823A (ja) 2012-05-01 2013-11-14 Hitachi Ltd 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KR101521105B1 (ko) * 2014-07-31 2015-05-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 다중 레벨 컨버터의 서브 모듈 고장 검출 방법
JP2016189664A (ja) * 2015-03-30 2016-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系統安定化制御装置および電力系統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03A (ko)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uai et al. Hierarchical structure and bus voltage control of DC microgrid
CN106549486B (zh) 用于操作不间断电源的系统和方法
Corzine et al. A new Z-source DC circuit breaker
Mo et al.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with active filter function for shipboard MVDC system applications based on isolated modular multilevel DC/DC converter
KR101397026B1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5308826A (zh) 用于多用途多模式ups的系统和方法
KR102371874B1 (ko) 무효전력 보상 장치
KR20180032480A (ko) 전력보상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Zhou et al. Lifetime estimation of electrolytic capacitors in a fuel cell power converter at various confidence levels
US8184412B2 (en) Electric power converter
Xu et al. High-surety microgrid: Super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with multiple renewable energy sources
US10855197B2 (en) Power supply system
CN115940387A (zh) 一种服务器和数据中心的供电系统
KR101297287B1 (ko) 인터넷 데이터 센터의 전력 공급 시스템, 전산 설비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직류 전력을 이용한 전산 설비의 절전 시스템
Karimi et al. A multilayer framework for reliability assessment of shore-to-ship fast charging system design
KR20220126446A (ko) 전압조정기기의 동작 횟수 저감을 위한 협조 전압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ang et al. Reliability analysis of converter valves for VSC-HVDC power transmission system
JP6927840B2 (ja) 電力変換装置
KR102060270B1 (ko) 혼합형 제어전원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전원 공급방법
CN107681649B (zh) 一种控制直流微电网母线电压稳定的方法
US20190052095A1 (en) Power management server,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20180023924A (ko)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 계통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69643B1 (ko) 무효전력 보상 장치 및 그의 운전 시험 제어 방법
US20100265816A1 (en) Monitoring switching networks
Mashayekh et al. A novel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dynamic security assessment approach for isolated microgr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