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721B1 - 구강세정기 - Google Patents

구강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721B1
KR102371721B1 KR1020200164332A KR20200164332A KR102371721B1 KR 102371721 B1 KR102371721 B1 KR 102371721B1 KR 1020200164332 A KR1020200164332 A KR 1020200164332A KR 20200164332 A KR20200164332 A KR 20200164332A KR 102371721 B1 KR102371721 B1 KR 10237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suction
washing water
chann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721B9 (ko
Inventor
고성권
김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6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721B1/ko
Priority to PCT/KR2021/014574 priority patent/WO2022092669A1/ko
Priority to US17/512,728 priority patent/US2022013345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721B1/ko
Publication of KR10237172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72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1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rinsing the teeth of at least one jaw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석션부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 전방에 배치되어 흡입한 오염수를 분할하는 스플리터(spliter)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구강세정기{Oral irrigator}
본 발명은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내에 분사된 오염수의 회수를 원활하게 할수 있는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법랑질은 산과 접촉시 칼슘을 조금씩 상실하지만 구강 내의 산도가 염기성으로 돌아오면 타액속의 칼슘이온이 다시 법랑질에 결정화되면서 조금씩 수복된다. 법랑질 표면은 치조직 자체를 상실하지 않는 한 매일 매순간 칼슘의 손실과 수복을 반복하며 유지된다.
그런데 세균은 식사후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먹고 증식하며 치태(플라그)를 형성한다. 뮤탄스 균은 치태를 구성하는 세균중 하나이고, 뮤탄스균은 치아의 산도를 높여 치아를 부식시키고,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등 악영향을 일으킨다. 또한 치태는 손상된 치아를 수복시켜야 할 침에 섞여 있는 칼슘 이온이 치아로 가는 것을 방해한다. 치아로 가지 못한 칼슘이온은 플라그에 흡수되어 결정화되어버린다. 칼슘의 흡수와 결정화를 거친 플라그는 딱딱해지면서 치아에 용착되어버리는데 이것이 치석이다.
치석은 법랑질 외부를 막지만, 산은 통과시키면서 칼슘이온은 붙들기 때문에 법랑질 표면의 화학적 수복을 방해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치석은 치태 제거를 더 어렵게하고, 상기와 같은 악순환은 반복된다. 즉 이가 한번 약해지면 아무리 이를 닦아도 튼튼해지지 못한다. 또한 치석은 유해세균, 특히 풍치균(진지발리스균)의 좋은 번식처가 되기 때문에 잇몸의 염증반응과 괴사의 원인이 된다.
기본적인 예방법은 올바른 양치질로 치아 사이의 플라그와 노폐물을 제거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치아의 배열이 다르므로, 아무리 열심히 칫솔질을 해도 관리하기 어려운 부분이 생길 수밖에 없으며, 특히 치아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그만큼 양치의 난이도도 상승한다.
따라서, 치아의 배열에 구애받지 않고 구강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구강세청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염수의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것이다.
둘째, 오염수의 합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석션부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 전방에 배치되어 흡입한 오염수를 분할하는 스플리터(spliter)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세척수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뎀퍼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분할하여 상기 배출유로로 공급하는 워터디퓨저가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염수의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할 수 있다.
둘째, 오염수의 합류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은 치아를 위치별로 구분하기 위해 번호를 표기한 도면이다.
도2 는 치아의 부위별 명칭을 표기한 도면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의 하측 부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측 부의 평면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측 부의 평면도이다.
도8 은 도3 에 의한 구강세정기의 마우스피스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9 는 도8 부분을 하측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12 는 도4 의 하측 부에 석션파이프가 결합된 형상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13 은 도6 의 하측 부에 석션파이프가 결합된 형상을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14 는 도7 의 상측 부에 석션파이프가 결합된 형상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15 는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가 치아에 물려진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16 은 도15 에 의한 사용시 세척수와 오염수의 유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하측부의 사시도이다.
도2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상측부의 사시도이다.
도2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상측부에 석션파이프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22 는 도17 의 22-22단면도이다.
도23 은 도22 에 세척수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2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하측부의 평면도이다.
도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상측부의 평면도이다.
도26 은 도17 의 마우스피스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27 은 도26 의 마우스피스를 하측방향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2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석션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29 는 도28 의 석션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30 은 도28 의 석션파이프의 저면도이다.
도31 은 석션파이프와 워터디퓨저로 인한 오염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32 는 도24 의 일부분에 오염수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33 은 도25 의 일부분에 오염수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의 사시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를 공급하고 흡입한 오염수(53)를 저장하는 본체(미도시), 본체와 연결된 핸들(110), 핸들(110)과 연결되어 세척수(51)를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마우스피스(130)와 연결되고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는 복수의 워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워터펌프는 세척수(51)를 핸들(110)로 배출하거나, 코어석션부(150)에서 오염수(53)를 흡입하는 동력을 생성한다. 워터펌프는 정압을 생성하여 세척수(51)를 배출하고, 부압을 생성하여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워터펌프는 복수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는 정압만 생성하고, 다른 하나는 부압만 생성할 수 있다.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와 코어석션부(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와 코어석션부(150)는 상측부(100b)와 하측부(100a)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 상측부(100b)는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와 코어석션부(150)의 상측을 형성하고, 하측부(100a)는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와 코어석션부(150)의 하측을 형성할 수 있다. 석션파이프(170)는 상측부(100b)와 하측부(10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의 하측부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측부의 평면도이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측부의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를 구강 내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세척수(51)와 타액이 혼합된 오염수(53)를 구강 내에서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 및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 유입유로(101)와 마우스피스(130)를 연결하는 확산유로(103)가 형성된 핸들(110)(handle)을 포함하고, 확산유로(103)의 횡방향 폭(103d)의 크기는, 유입유로(101)의 횡방향 폭(101d) 또는 배출유로(107)의 횡방향 폭(107d) 보다 크게 형성된다.
마우스피스(130)는 세척수(51)를 구강내로 분사한다. 마우스피스(130)는 잇몸과 치아를 향해 세척수(51)를 분사한다. 오염수(53)는 세척수(51), 타액, 플라그, 노폐물의 혼합물이다. 코어석션부(150)는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코어석션부(150)는 오염수(53)를 흡입하고 핸들(110)로 배출한다. 본체에서 공급된 세척수(51)는 핸들(110)에 형성된 유입유로(101)를 유동한다. 핸들(110)의 일측은 유입유로(101)가 형성되고 타측은 배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코어석션부(150)에서 흡입된 오염수(53)는 배출유로(107)를 유동한다.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의 연결지점((유입유로의 하류(101b), 배출유로의 상류(107a))에는 유입유로(101)의 폭이 확장된 확산유로(103)가 형성된다.
핸들(110)의 일측을 유동하는 세척수(51)는 확산유로(103)를 통하여 마우스피스(130)의 좌측과 우측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확산유로(103)의 폭은 유입유로의(101) 하류(101b) 폭 보다 크다. 확산유로(103)의 횡방향 폭(103d)은, 유입유로(101)의 횡방향 폭(101d)과 배출유로(107)의 횡방향 폭(107d)을 합한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확산유로(103)의 폭은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 폭보다 크다.
확산유로(103)의 폭은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 폭과 유입유로의(101) 하류(101b) 폭을 합한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배출유로(107)는 후술할 석션파이프(170)와 연결된다. 확산유로(103)는 유입유로(101)의 하류(101b) 뿐 아니라 석션파이프(17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형성된다. 확산유로(103)는 석션파이프(170)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입유로(101)는 핸들(110)의 좌측에 형성되고, 확산유로(103)는 핸들(110)의 좌측에서 시작되어 석션파이프(170)를 지나 핸들(110)의 우측까지 형성된다.
배출유로(107)는 후단(배출유로(107)의 상류(107a))에서 전단(배출유로(107)의 하류(107b))으로 갈수록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이다.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는 석션파이프(170)와 연결된다.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 폭은 하류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핸들(110)의 내부에는,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가 연결되는 지점에 유입유로(101)에서 배출된 세척수(51)를 분할하여 세척수(51)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유로가이드(179)가 배치된다. 유입유로의(101) 하류(101b) 후방에는 유로가이드(179)가 배치된다. 유로가이드(179)는 유입유로의(101) 하류(101b)에 배치되어 세척수(51)를 분할한다. 유로가이드(179)는 확산유로(103)에 배치된다. 유로가이드(179)는, 앞니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세척수(51)의 유동방향을 앞니의 좌우방향으로 분할한다.
유로가이드(179)는 핸들(110)의 길이방향(전후 방향) 중심선(C-C')상에 배치된다. 유로가이드(179)는 앞니의 전방에 배치된다. 세척수(51)는 앞니의 전방에서 분할 및 확산되어 마우스피스(130)에 전체적으로 분산된다. 마우스피스(1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순면대응부(131) 및 우측 순면대응부(131)와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협면대응부(133a) 및 우측 협면대응부(133b)와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설면대응부(135a) 및 우측 설면대응부(135b)를 포함하고, 유로가이드(179)는 세척수(51)를 좌측 순면대응부(131a)와 우측 순면대응부(131b)를 향해 분할하여 유동하도록 배치된다.
유로가이드(179)는 핸들(110)의 일측에서 공급된 세척수(51)를 분할한다. 유입유로(101)에서 공급된 세척수(51)는 유로가이드(179)를 통과하여 순면대응부(131)를 향한다. 순면대응부(131)를 통과한 세척수(51)는 설면대응부(135)로 향한다. 유로가이드(179)와 핸들(110)의 좌우 내벽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수(51) 중 일부는 틈을 통하여 좌측 순면대응부(131)로 향한다. 세척수(51) 중 일부는 유로가이드(179)의 경사면을 통해 우측 순면대응부(131)로 향한다.
유로가이드(179)는, 마우스피스(130) 및 핸들(110)의 전후 방향 중심선(C-C’)상에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유입유로(101)에서 배출된 세척수(51)는 확산유로(103)에 배치된 유로가이드(179)를 따라 확산된다. 세척수(51)는 유로가이드(179)의 경사면을 따라 마우스피스(130)를 향해 확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오염수(53)가 유동하는 집중유로(105)를 형성하고 코어석션부(150)와 배출유로(107)를 연결하는 석션파이프(170)를 포함하고, 석션파이프(170)는 확산유로(103) 내부에 배치된다.
확산유로(103)와 집중유로(105)는 서로 교차 형성된다. 석션파이프(170)는 코어석션부(150)와 배출유로(107)를 연결한다. 석션파이프(170)는 집중유로(105)를 형성한다. 집중유로(105)는 코어석션부(150)가 흡입한 오염수(53)가 유동한다. 집중유로(105)는 석션파이프(170)와 배출유로(107)를 연결한다. 석션파이프(170)는 확산유로(103) 내에 배치되고, 세척수(51)는 석션파이프(170)의 상단 및/또는 하단을 통해 마우스피스(130) 전체로 확산된다. 마우스피스(130)와 석션파이프(170)는 상단 및/또는 하단이 이격되어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핸들(110)은, 외주면에 형성되고 횡방향 단부가 후방으로 휘어진 마우스가드(119)를 포함한다. 핸들(110)은,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된 타원형의 마우스가드(119)를 포함한다. 마우스가드(119)는 핸들(1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마우스가드(119)는 마우스피스(130) 방향으로 만곡되어 사용자가 핸들(110)을 쥐었을 때 손과 밀착범위를 증가시킨다. 마우스가드(119)는 사용자가 손으로 핸들(110)을 안정적으로 쥘 수 있도록 한다. 마우스가드(119)는 손과 입술의 접촉을 방지한다. 마우 스가드(119)는 입에서 나온 세척수(51)가 전방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세척수(51)를 구강 내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세척수(51)와 타액이 혼합된 오염수(53)를 구강 내에서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 및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 유입유로(101)와 마우스피스(130)를 연결하는 확산유로(103), 코어석션부(150)에서 배출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를 형성하는 핸들(110)을 포함하고, 핸들(110)은, 유입유로(101)를 형성하는 유입격벽(111); 유입격벽(11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배출유로(107)를 형성하는 배출격벽(117); 및 배출격벽(117)의 후방단부와 연결되고 유입격벽(111)의 후방단부와 연결된 연결격벽(113)을 포함한다.
유입격벽(111)은 유입유로의(101) 상류(101a)에서 유입유로의(101) 하류(101b)까지 연장 형성된다. 연결격벽(113)은 유입격벽(111)과 연결된다. 연결격벽(113)은 확산유로(103)의 전방까지 연장형성된다. 연결격벽(113)은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에 배치된다.
연결격벽(113)은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에서 전방으로 연장형성되고, 배출격벽(117)과 연결된다. 연결격벽(113)은, 핸들(110)의 전후방향 중심선(C-C')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연결격벽(113)은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를 넓게 형성한다.
연결격벽(113)은 유입유로의(101) 하류(101b)보다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 폭을 넓게 형성한다. 연결격벽(113)은 기울어져 배치된다. 연결격벽(113)은 석션파이프(170)로부터 유입된 오염수(53)의 수충격현상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배출유로(107)와 연결된 전방채널(171); 코어석션부(150)와 연결되는 후방채널(173); 및 핸들(110)의 전후방향 중심선(C-C')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후방채널(173) 및 전방채널(171)을 연결하는 벤딩(bending)채널을 포함하는 석션파이프(170)를 포함한다. 연결격벽(113)의 기울어진 방향은 벤딩채널(175)의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오염수(53)는 벤딩채널(175)의 경사면에 부딪혀 횡방향 일측으로 집중될 수 있다. 흡입펌프의 기동, 정지시 오염수(53)의 흐름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면 압력과 유속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고 수충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펌프는 구강 내에 존재하는 공기와 오염수(53)를 동시에 흡입하게 되므로 배출유로(107)와 석션파이프(170) 내에는 공기와 오염수(53)가 혼합된 상태로 유동한다.
공기와 오염수(53)가 함께 유동하는 환경은 핸들(110) 내부에 수충격현상을 발생시킨다. 연결격벽(113)은 배출유로(107)상에 진공발생 부분을 줄이고, 오염수(53)의 유로 폭을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수충격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는, 세척수(51)를 구강 내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세척수(51)와 타액이 혼합된 오염수(53)를 구강 내에서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 및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 코어석션부(150)에서 배출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를 형성하는 핸들(110)을 포함하고, 핸들(110)은, 외주면에 형성되고 단부가 후방으로 휘어진 마우스가드(119)를 포함한다.
마우스가드(119)는, 횡방향 단부가 각각 후방으로 휘어진 타원형상이다. 코어석션부(150)가 흡입하지 못한 오염수(53)는 입 밖으로 분사될 수 있다. 마우스가드(119)는 사용자의 입과 손 사이에 배치되어 오염수(53)의 비산을 막는다. 마우스 가드(119)는 입과 손의 접촉을 방지한다. 마우스가드(119)는 사용자가 핸들(110)을 파지할 경우, 주먹의 측면과 접촉면적을 넓힌다. 마우스가드(119)는 사용자가 핸들(1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8 은 도3 에 의한 구강세정기(100)의 마우스피스(130) 부분을 확대한 것이 다. 도9 는 도8 부분을 하측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8 내지 도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핸들(110)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및 마우스피스(1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고, 가장자리가 마우스피스(130)에 의해 감싸진 코어석션부(150)를 포함한다. 코어석션부(150)는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석션파이프(170)는 코어석션부(150)와 연결되어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석션파이프(170)는 핸들(110)과 연결된다. 배출유로(107)는 석션파이프(170)와 연결된다.
코어석션부(150)는 마우스피스(130)에 고정된다. 코어석션부(150)는 마우스피스(130)의 중심선(C-C')상에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는 마우스피스(130)의 중앙에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와 마우스피스(130)가 결합된 면은 'U'형태로 만곡된 형상이 다. 마우스피스(130)의 내측은 'U'형태로 형성된다. 코어석션부(150)는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마우스피스(130)의 내측과 결합된다.
마우스피스(1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131)와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133)와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135)를 포함하고, 코어석션부(150)는, 설면대응부(135)에 의해 감싸져 사용자의 혀 위에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는 사용자의 혀 위에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는 혀의 중앙에 배치된다. 마우스피스(130)의 외측은 순면대응부(131)와 협면대응부(133)를 형성하고, 마우스피스(130)의 내측은 설면대응부(135)를 형성한다. 후술할 매개부(137)는 설면대응부(135)와 순면대응부(131)를 연결한다. 코어석션부(150)는, 혀와 마주하는 위치에 하측흡입공(159)이 형성된다. 하측흡입공(159)은 혀를 향해 형성된다. 하측흡입공(159)은 코어석션부(150)의 하측에 형성된다. 코어석션부(150)는, 하측흡입공(159)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오염수(53)를 하측흡입공(159)으로 유도하는 흡입유도부(153)가 형성된다.
흡입유도부(153)는 하측흡입공(159)이 혀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흡입유도부(153)는 하측흡입공(159)과 혀를 이격시킨다. 흡입유도부(153)는 혀 위에 존재하는 오염수(53)를 빨아들이는 빨대 역할을 한다. 흡입유도부(153)는 세척수(51)에 잠기거나 세척수(51)와 근접한 거리에서 부압을 형성한다.
하측흡입공(159)은, 제1 하측흡입공(159a) 및 제1 하측흡입공(159a)의 후방에 형성된 제2 하측흡입공(159b)을 포함하고, 제1 하측흡입공(159a)에 형성된 제1 흡입유도부(153a)는 제2 하측흡입공(159b)에 형성된 제2 흡입유도부(153b)보다 높게 돌출된다. 제1 하측흡입공(159a)에 형성된 제1 흡입유도부(153a)는 설면대응부(135)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 흡입유도부(153)는 사용자의 혀가 설면대응부(135)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흡입유도부(153)는 사용자의 혀와 설면대응부(135)를 이격시킨다.
오염수(53)는 사용자의 혀와 설면대응부(135)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유도부(153)는, 전방을 향하여 오염수(53)가 유동하는 골(151)(trough)이 형성된다. 골(151)은 흡입유도부(153)가 혀와 밀착하더라도 오염수(53)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틈이다. 골(151)은 전방, 즉 입술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코어석션부(150)는, 하측흡입공(159)의 가장자리에 'U' 형상이며 하측으로 돌출된 흡입유도부(153)를 포함한다. 흡입유도부(153)는, 돌출된 면은 전방을 향하고, 함몰된 면은 후방, 즉 목젖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흡입유도부(153)는 전방에서 후방, 즉 입에서 목젖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혀의 형태를 고려하면 통상적으로 혀끝에서 혀뿌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하므로 흡입유도부(153)의 높이는 최대한 혀와 근접하게 된다.
코어석션부(15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후방을 향해 함몰된 형상이며 하측흡입공(159)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흡입유도부(153)를 포함한다. 코어석션부(150)는, 목젖과 마주하는 위치에 후방흡입공(157)이 형성된다. 후방흡입공(157)은 코어석션부(150)의 후방에 형성된다. 후방흡입공(157)은 목젖 부근의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코어석션부(150)는, 입천장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측흡입공(155)이 형성된다. 상측흡입공(155)은 코어석션부(15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측흡입공(155)은 위턱을 향해 분사된 후 낙하하는 오염수(53)를 흡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핸들(110)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및 마우스피스(1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고, 마우스피스(130)와 연결된 코어석션부(150)를 포함한다. 코어석션부(150)는 오염수(53)가 유동하고 마우스피스(130)는 세척수(51)가 유동한다.
마우스피스(130)와 코어석션부(150)는 세척수(51)와 오염수(53)가 혼합되지 않도록 격리된다. 코어석션부(150)는, 중심이 사용자의 혀정중고랑(median sulcus of tongue) 위에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는, 사용자의 혀등(dorsum of tongue)위에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의 하단은 마우스피스(130)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코어석션부(150)의 상단은 마우스피스(13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코어석션부(150)는 혀 위에 배치되고, 마우스피스(130)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사용자는 혀나 입천장이 코어석션부(150)와 접촉할 확률이 줄어든다. 코어석션부(150)의 측방향 둘레는 마우스피스(130)와 연결된다. 코어석션부(150)의 가장자리는 설면대응부(135)와 연결되고, 설면대응부(135)는 코어석션부(150)보다 높이가 높다. 코어석션부(150)의 상측에는 상측흡입공(155)이 형성된다. 마우스피스(130)는 코어석션부(150)의 가장자리를 감싼다. 마우스피스(130)는 코어석션부(150)가 사용자의 뺨(buccal)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연약한 사용자의 구강점막(oral mucosa)을 보호한다.
코어석션부(150)는, 혀와 마주하는 위치에 하측흡입공(159), 입천장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측흡입공(155), 목젖과 마주하는 위치에 후방흡입공(157)이 형성되고, 하측흡입공(159), 상측흡입공(155) 및 후방흡입공(157)은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다. 하측흡입공(159), 상측흡입공(155) 및 후방흡입공(157)은 사용자의 구강 중심에 집중 배치되고, 이런 구멍들은 마우스피스(130)로 인해 구강점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구강점막이 이런 구멍들로 빨려들어 구멍을 막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오염수(53)의 흡입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마우스피스(130)는, 앞니의 씹는 면과 마주하는 부분에 전방흡입공(139)이 형성되고, 코어석션부(150)는, 혀와 마주하는 위치에 하측흡입공(159), 입천장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측흡입공(155), 목젖과 마주하는 위치에 후방흡입공(157)이 형성되고, 전방흡입공(139), 하측흡입공(159), 상측흡입공(155), 후방흡입공(157)은 전후 방향 중심선(C-C')상에 일렬로 형성된다.
전방흡입공(139)은 입술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전방흡입공(139)은 입술 근처에 있는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전방흡입공(139)은 후술할 매개부(137)에 형성된다. 매개부(137)는 앞니의 씹는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전방흡입공(139)은 마우스피스(130)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핸들(110)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고,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131)와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133)와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설면대응부(135a) 및 우측 설면대응부(135b)를 형성하는 마우스피스(130); 및 마우스피스(1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고, 좌측은 좌측 설면대응부(135a)와 결합하고 우측은 우측 설면대응부(135b)와 결합하는 코어석션부(150)를 포함한다.
코어석션부(150)는 설면대응부(135)에 의해 감싸진다. 코어석션부(150)는 사용자의 구강 점막과 이격된다. 코어석션부(150)의 후단은, 협면대응부(133)의 후단보다 전방 배치된다. 코어석션부(150)의 후단은, 설면대응부(135)의 후단보다 전방 배치된다. 코어셕션부의 후단은 마우스피스(130)에 비하여 돌출된 정도가 낮기 때문에 목젖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파이프(170)의 사시도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파이프(170)의 평면도이다. 도12 는 도4 의 하측부에 석션파이프(170)가 결합된 형상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13 은 도6 의 하측부에 석션파이프(170)가 결합된 형상을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14 는 도7 의 상측부에 석션파이프(170)가 결합된 형상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10 내지 도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 는 배출유로(107)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유입유로(1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마우스피스(1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 및 오염수(53)가 유동하며, 마우스피스(130)를 관통하여 코어석션부(150)와 핸들(110)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170)를 포함한다.
석션파이프(170)는 마우스피스(130)를 관통한다. 오염수(53)는 코어석션부(150)에서 석션파이프(170)로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는 배출유로(107)와 연결된다. 석션파이프(170)는 마우스피스(130)를 관통하여 핸들(110)과 연결된다. 마우스피스(130) 내부에는 세척수(51)가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는 세척수(51)와 오염수(53)를 격리한다.
마우스피스(1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순면대응부(131) 및 우측 순면대응부(131)와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좌측 협면대응부(133a) 및 우측 협면대응부(133b)와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135)를 포함하고, 석션파이프(170)는, 순면대응부(131)와 설면대응부(135)를 관통하여 코어석션부(150)와 연결된다. 코어석션부(150)는 설면대응부(135)에 의해 감싸진다. 핸들(110)은 순면대응부(131)와 연결된다. 석션파이프(170)는 마우스피스(130)를 관통하여 핸들(110)과 연결된다. 석션파이프(170)는,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우스피스(130)와 종방향으로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채널(177)을 포함한다. 수직채널(177)은 석션파이프(170)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형성된다.
마우스피스(130)는, 사용자의 앞니의 씹는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전방흡입공(139)을 형성하고, 수직채널(177)은, 전방흡입공(139)과 연통하여 수직방향 유로를 형성한다. 앞니 방향으로 모인 오염수(53)는 전방흡입공(139)을 통하여 수직채널(177)로 이동한다. 수직채널(177)을 통하여 석션파이프(170)로 유입된 오염수(53)는 핸들(110)로 유동한다. 마우스피스(130)는, 수직채널(177)과 체결되어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돌기(137a)를 포함한다.
유동간격은, 세척수(51)가 석션파이프(170)를 가로질러 유동하는 확산유로(103)를 형성한다. 마우스피스(130)는, 내부에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석션파이프(170)와 종방향으로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돌기(137a)를 포함한다. 수직돌기(137a)와 수직채널(177)은 체결된다. 수직채널(177)과 수직돌기(137a)는 마우스피스(130)와 석션파이프(17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은 유동간격이다. 유동간격을 통하여 세척수(51)은 석션파이프(170)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유동한다. 세척수(51)는 유동간격을 통하여 석션파이프(170)의 반대방향으로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는, 핸들(110)의 배출유로(107)와 연결된 전방채널(171); 및 마우스피스(130)의 후방을 관통하여 코어석션부(150)와 연결되는 후방채널(173)을 포함한다. 석션파이프(170)는, 후방채널(173)의 중심선(173)과 전방채널(171)의 중심선(17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후방채널(173) 및 전방채널(171)을 연결하는 벤딩채널(175)을 포함한다. 벤딩채널(175)은, 마우스피스(130)의 전방을 관통하여 전방채널(171)과 연결된다.
후방채널(173)과 전방채널(171)은, 중심선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유입유로(101)는 핸들(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배출유로(107)는 핸들(1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코어석션부(150)는 핸들(110)의 중심선(C-C')상에 배치되고, 석션파이프(170)는, 코어석션부(150)와 연결된 후방채널(173); 및 배출유로(107)와 연결된 전방채널(171)을 포함한다. 석션파이프(170)는 핸들(110)의 중심선(C-C')에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후방채널(173)과 전방채널(171) 사이를 연결하는 벤딩채널(175)을 포함한다. 벤딩채널(175)은 오염수(53)의 경로를 휘어지도록 한다.
코어석션부(150)는 핸들(110)의 중심선(C-C')상에 배치되고, 배출유로(107)는 핸들(110)의 일측에 배치되므로 오염수(53)의 경로가 휘어질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전방채널(171)은 배출유로(107)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석션파이프(170)의 내부에는 오염수(53)가 유동하고, 석션파이프(170)의 외부에는 세척수(51)가 유동하며, 석션파이프(170)의 외주면에는 세척수(51)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할하는 유로가이드(179)가 배치된다.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의 연결지점에는 확산유로(103)가 형성된다.
확산유로(103)에는 전방채널(171)과 벤딩채널(175)이 배치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179)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유동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유로가이드(179)는 석션파이프(170)를 마우스피스(130)와 이격시킨다. 유동간격은 마우스피스(130)와 석션파이프(170) 사이의 공간이다. 유로가이 드(179)는 확산유로(103)에 배치된다. 도면은 유로가이드(179)와 석션파이프(17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표현하고 있으나, 유로가이드(179)는 핸들(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석션파이프(170)는, 유입유로(101)를 분할하여 세척수(51)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유로가이드(179)를 포함한다.
핸들(110)의 일측에서 유입된 세척수(51)는 유로가이드(179)를 따라 핸들(110)의 타측을 향해 유동한다. 핸들(110)의 좌측에 유입유로(101)가 형성된 경우, 핸들(110)의 좌측에서 배출된 세척수(51)는 좌측 협면대응부(133a)와 좌측 설면대응부(135a)를 향한다. 유로가이드(179)는 유입유로(101)의 후방에 비스듬히 배치되어 세척수(51)의 일부가 우측 순면대응부(131)로 향하도록 한다. 유로가이드(179)는 유입유로(101)의 후방에 비스듬히 배치되어 세척수(51)의 일부가 우측 협면대응부(133b)로 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107)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유입유로(1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130); 마우스피스(1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 및 내부에는 오염수(53)가 유동하는 집중유로(105)를 형성하고, 외부에는 마우스피스(130)와의 사이에서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동간격을 형성하며, 코어석션부(150)와 핸들(110)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170)를 포함한다.
석션파이프(170)는,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우스피스(130)와 종방향으로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채널(177)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130)는, 수직채널(177)과 체결되어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돌기(137a)를 포함한다. 유동간격은, 세척수(51)가 석션파이프(170)를 가로질러 유동하는 확산유 로(103)를 형성한다. 마우스피스(130)는, 내부에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석션파이프(170)와 종방향으로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돌기(137a)를 포함한다.
석션파이프(170)는 확산유로(103)에 배치된다. 석션파이프(170) 내부에는 오염수(53)가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 외부에는 세척수(51)가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와 마우스피스(130)의 상단 및/또는 하단 사이에는 유동간격이 형성된다. 세척수(51)는 유동간격을 통하여 석션파이프(170)의 반대방향으로 유동한다.
수직돌기(137a)와 수직채널(177)은 유동간격을 형성한다. 수직돌기(137a)와 수직채널(177)은 서로 결합하여 유동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돌기(137a)는 전방흡입공(139)의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전 방흡입공(139)과 수직채널(177)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도8 및 도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및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공(1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130)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1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131); 순면대응부(131)와 연결되고,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133);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135); 및 양단이 순면대응부(131)와 설면대응부(135)의 연결지점에서 시작되어 순면대응부(131) 및 설면대응부(135)를 연결하는 매개부(137)(intermediation)를 포함한다.
매개부(137)는, 순면대응부(131)의 후면과 설면대응부(135)의 전면을 연결한다. 매개부(137)의 전방은 순면대응부(131)와 연결된다. 매개부(137)의 후방은 설면대응부(135)와 연결된다. 매개부(137)의 좌측단은 좌측 순면대응부(131)와 좌측 협면대응부(133a)의 경계와 연결된다. 매개부(137)의 우측단은 우측 순면대응부(131)와 우측 협면대응부(133b)의 경계와 연결된다. 매개부(137)의 전방에는 설면대응부(135)가 형성되고, 매개부(137)의 후방에는 순면대응부(131)가 형성된다.
매개부(137)는 앞니 주변에 분포하는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순면대응부(131) 및 협면대응부(133)에는 외측분사유로(134a)가 형성되고, 설면대응부(135)에는 내측분사유로(134b)가 형성되며, 매개부(137)에는 외측분사유로(134a)와 내측분사유로(134b)를 연결하는 확산유로(103)가 형성된다. 확산유로(103)는 핸들(110)과 마우스피스(130)의 연결지점 및 매개부(137)에 형성된다. 확산유로(103)로 유입된 세척수(51)는 마우스피스(130)의 모든 지점으로 분산된다. 확산유로(103)는 핸들(110) 과 순면대응부(131)와 설면대응부(135)와 협면대응부(133)를 연결한다.
협면대응부(133)는, 일단은 순면대응부(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매개부(137)의 측단부(137b)는, 협면대응부(133)가 순면대응부(131) 방향으로 탄성운동이 가능하도록 중심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이다. 매개부(137)의 측단부(137b)는, 협면대응부(133)가 순면대응부(131) 방향으로 탄성운동이 가능하도록 'C' 형상으로 만곡된다. 협면대응부(133)의 일단은 순면대응부(131)에 의해 고정된다. 협면대응부(133)는 타단은 자유단이다.
매개부(137)는 좌측단과 매개부(137)의 우측단은 핸들(110)을 향해 휘어진 형상이다. 매개부(137)의 좌측단과 매개부(137)의 우측단은 협면대응부(133)의 탄성운동을 용이하게한다. 협면대응부(133)의 타단은 자유롭게 진동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협면대응부(133)는 세척수(51)의 운동에너지로 인하여 진동할 수 있다.
분사공(130a)은, 치아관(crown)과 잇몸(gum) 사이인 치경부(cervix)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분사공(130a)은 세척수(51)를 30도 내지 65도 각도로 분사한다. 분사공(130a)은 45도 각도로 세척수(51)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공(130a)은 치경부에 세척수(51)를 분사한다. 협면대응부(133)는 진동하여 치경부 주변에 세척수(51)를 분사할 수 있다. 세척수(51)는 치경부 주변의 치아관과 잇몸에 세척수(51)를 분사한다. 세척수(51) 잇몸에 상처를 내지 않으면서 잇몸을 마사 지하여 열류를 개선한다. 마우스피스(130)는 치경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치아관과 잇몸 사이를 세척한다.
도15 는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 가 치아에 물려진 예를 표현한 것이다.
도15 및 다시 도4 내지 도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및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공(1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130)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1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131); 순면대응부(131)와 연결되고,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 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133);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 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135); 및 7,8,9,10번 치아가 물려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순면대응부(131) 및 설면대응부(135)를 연결하는 매개부(137)(intermediation)를 포함한다.
매개부(137)는, 앞니의 씹는 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매개부(137)는, 사용자의 앞니의 씹는 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구강 내에 존재하는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전방흡입공(139)을 형성한다. 매개부(137)는 7,8,9,10번 치아 또는 6,7,8,9,10,11번 치아에 의해 물려진다. 세척수(51)는 앞니들 사이로 유동한다. 확산유로(103)는 앞니들 사이에 형성된다. 석션파이프(170)는 앞니들 사이에 배치된다. 오염수(53)는 앞니들 사이로 유동한다. 전방흡입공(139)은 석션파이프(170)와 연결되고, 전방흡입공(139)은 앞니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앞니의 씹는면과 마주하는 전방흡입공(139)은 강한 부압을 형성한다. 전방흡입공(139)은 앞니 주변의 유속을 증가시켜 세척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101)가 형성된 핸들(110)(handle); 및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공(1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130)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1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131); 순면대응부(131)와 연결되고,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133);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135); 및 사용자의 전치(anterior tooth)가 물려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순면대응부(131) 및 설면대응부(135)를 연결하는 매개부(137)(intermediation)를 포함한다.
매개부(137)는, 1,2,3,4,12,13,14,15,16번 치아가 물려지는 위치를 벗어나서 형성되고, 협면대응부(133)는 자유단을 형성한다. 매개부(137)는 7,8,9,10번 치아에 의해 물려진다. 협면대응부(133)는 설면대응부(135) 방향으로 탄성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사용자의 혀 위에 배치되고 순면대응부(131)와 연결되며, 구강 내부의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150); 및 매개부(137) 내부에 배치되고, 코어석션부(150)에서 흡입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집중유로(105)를 형성하는 석션파이프(170)를 포함한다.
집중유로(105)는 석션파이프(170) 내부에 형성된다. 집중유로(105)는 코어석션부(150)에서 유입된 오염수(53)와 수직채널(177)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53)가 함께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는,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우스피스(130)와 종방향으로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채널(177)을 포함한다. 유동간격은, 석션파이프(170)와 마우스피스(130) 사이로 세척수(51)가 유동하는 확산유로(103)를 형성한다.
도16 은 도15 에 의한 사용시 세척수(51)와 오염수(53)의 유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16 및 다시 도12 내지 도15 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핸들(110)을 파지한다. 핸들(110)에는 마우스가드(119)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쉽게 파지할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마우스가드(119)는 사용자의 주먹 측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110)의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또한 마우스가드(119)는 사용자의 입술을 향해 완만하게 휘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의 입과 손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마우스가드(119)는 세균이 손을 통해 입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마우스가드(119)는 입의 전방에 배치되며, 미처 흡입하지 못하고 입으로 배출된 오염수(53)의 비산을 방지한다.
본체에서 배출된 세척수(51)는 핸들(110)로 유입된다. 세척수(51)는 유입유로의(101)의 상류(101a)로 유입된다. 세척수(51)는 유입유로의(101)의 하류(101b)로 향한다. 유입유로(101)는 핸들(110)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51)는 마우스피스(130)의 일측(도면상 좌측)을 향해 배출된다. 유입유로의(101)의 하류(101b)에는 확산유로(103)가 형성된다.
세척수(51)는 확산유로(103)로 진입한 후 마우스피스(130)의 모든 유로로 분배된다. 세척수(51)는 일부는 마우스피스(130)의 좌측으로 향한다. 세척수(51)의 다른 일부는 마우스피스(130)의 우측으로 향한다. 확산유로(103)에는 석션파이프(170)가 배치된다. 석션파이프(170)와 마우스피스(130) 사이에는 유동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수(51)는 유동간격을 통하여 마우스피스(130)의 우측으로 유동한다.
핸들(110) 또는 석션파이프(170)에는 유로가이드(179)가 배치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179)는 세척수(51)를 2개 방향으로 분할한다. 따라서 핸들(110)의 좌측에서 유입된 세척수(51)는 마우스피스(130)의 우측 끝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흡입과 배출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유동저항을 감소시켜 세척수(51)의 확산을 원활하게 한다.
세척수(51)는 순면대응부(131)와 설면대응부(135)와 협면대응부(133)로 유동한다. 세척수(51)는 분사공(130a)을 통해 구강내부로 분사된다. 세척수(51)는 치경부를 향해 분사된다. 협면대응부(133)는 외팔보처럼 일측은 순면대응부(131)와 연 결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매개부(137)의 측단부(137b)는 협면대응부(133)가 순면대응부(131) 방향으로 탄성운동이 가능하도록 'C' 형상으로 만곡된다. 세척수(51)의 운동에너지는 협면대응부(133)를 진동시킨다. 따라서 협면대응부(133)는 탄성운동한다. 협면대응부(133)의 진동은 분사방향을 미세하게 변경시킨다. 즉 세척수(51)의 분사대상은 미세하게 변경된다.
세척수(51)는 치경부, 치아관, 잇몸 등을 모두 자극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수(51)의 분사방향 변경은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 제거 뿐 아니라, 잇몸을 마사지하는 효과도 발생시킨다. 잇몸 마사지는 잇몸 조직을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잇몸의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세척수(51)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는 잇몸에 상처를 일으키지 않는다. 즉 칫솔과 같은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의 경우 발생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구강내로 분사된 세척수(51)는 타액, 이물질과 혼합된다. 이것은 오염수(53)이다. 구강세정기(100)는 오염수(53)를 빠르게 흡입하여야 한다. 오염수(53)가 구강내에 과다하게 존재할 경우, 오염수(53)는 세척수(51)의 분사를 방해한다. 또한 오염수(53)가 과다할 경우, 오염수(53)는 기도나 식도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수(53)를 빠르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세정기(100)는 코어석션부(150)와 전방흡입구에서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사용자가 고개를 약간 숙일 경우, 오염수(53)는 전치 부근에 모일 수 있다.
전방흡입공(139)은 전치 부근의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전방흡입공(139)은 매개부(137)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측에 형성할 경우 코어석션부(150)에서 흡입한 오염수(53)가 배출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전방흡입공(139)은 매개부(137)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개부(137)의 형상으로 인해, 협면대응부(133)와 설면대응부(135) 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수(53)가 아래로 쉽게 모일 수 있다. 아래에 모인 오염수(53)는 흡입유도부를 통해 하측흡입공(159)으로 유동한다. 흡입유도부(153)는 제1 흡입유도부(153a)와 제2 흡입유도부(153b)를 포함한다. 제1 흡입유도부(153a)는 설면대응부(135)보다 높이(돌출정도)가 높다. 따라서 혀는 제1 흡입유도부(153a)에 접촉하고, 혀는 설면대응부(135)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혀와 설면대응부(135) 사이의 틈으로 오염수(53)가 유동할 수 있고, 오염수(53)는 제1 흡입유도부(153a)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유도부(153)에는 골(1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혀로 인해 흡입유도부(153)가 막히는 것은 아니다. 제2 흡입유도부(153b)는 제1 흡입유도부(153a)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혀는 제2 흡입유도부(153b)를 막지 않는다. 즉 전방에 형성된 제1흡입유도부(153a)는 혀와 설면대응부(135)의 접촉을 방지 및 혀와 제2 흡입유도부(153b)의 접촉을 방지한다. 또한 흡입유도부(153)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혀의 중앙에 형성된 혀정중고랑을 따라 이동하는 오염수(53)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측흡입공(155)은 입천장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오염수(53)를 흡입한다. 구강 내에는 오염수(53)가 계속 비산하므로, 상측에도 오염수(53)가 존재한다. 코어석션부(150)의 높이는 설면대응부(135)보다 낮다. 또한 코어석션부(150)는 설면대응부(135)에 의해 감싸진다. 설면대응부(135)는 오염수(53)를 가두는 벽으로써 기능한다. 즉 오염수(53)는 설면대응부(135)에 의해 갇혀지고 상측흡입공(155)은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코어석션부(150)의 가장자리는 마우스피스(130)에 의해 감싸진다. 따라서 코어석션부(150)가 구강점막과 직접 접촉하여, 연약한 구강점막에 상처를 내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흡입공(157)은 목젖 부근에 존재하는 오염수(53) 또는 목젖을 통해 기도나 식도로 넘어가려는 오염수(53)를 흡입한다. 코어석션부(150)에서 흡입한 오염수(53)는 석션파이프(170)로 유동한다. 전방흡입공(139)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53)는 석션파이프(170)로 유동한다.
석션파이프(170) 내부에는 집중유로(105)가 형성된다. 집중유로(105)는 배출유로(107)와 연결된다. 석션파이프(170)는 수직채널(177)이 형성되고, 마우스피스(130)는 수직돌기(137a)가 형성된다. 수직채널(177)과 수직돌기(137a)는 서로 결합하여 유동간격을 형성한다. 유동간격은 확산유로(103)를 형성하는 틈이다. 따라서 석션파이프(170)가 중앙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세척수(51)의 유동 방해를 최소화하고, 확산유로(103)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유로(107)는 핸들(110)의 일측(도면상 우측)에 형성되고, 코어석션부(150)는 중앙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석션파이프(170)는 휘어지는 구간이 필요 하다. 벤딩채널(175)은 집중유로(105)의 휘어진 부분을 형성한다. 벤딩채널(175)은 석션파이프(170)의 휘어진 부분에 배치된다. 이렇게 휘어진 부분은 오염수(53)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한다. 유동경로상 휘어진 부분은 진공부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수충격현상과 유동저항을 증가시킨다.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에는 배출유로(107)가 일시적으로 넓어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유입격벽(111)과 배출격벽(117)은 이격되어 배치되지만, 기울어지게 배치된 연결격벽(113)이 유입격벽(111)과 배출격벽(117)을 연결한다. 연결격벽(113)은 배출유로(107)의 폭을 일시적으로 넓게한다.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는 석션파이프(170)에서 배출된 오염수(53)로 인한 수충격 현상을 완화시 키는 공간이다. 배출유로(107)의 상류(107a)는 오염수(53)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간이다. 오염수(53)는 배출유로(107)의 하류(107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오염수(53)는 본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1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하측부(200a)의 사시도이다.
도17 내지 도1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및 유입유로(2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2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230)를 포함한다.
구강세정기(200)는 상측부(200b)와 하측부(200a)를 포함한다. 상측부(200b)와 하측부(200a) 사이에는 석션파이프(270)가 배치된다.
세척수(51)는 유입유로(201)의 상류(201a)로 유입된 후 유입유로(201)의 하류(201b) 및 확산유로(203)를 거쳐 마우스피스(230)로 유동한다. 세척수(51)는 석션파이프(270)의 상측과 하측을 통해 유동한다.
마우스피스(230)의 중심에는 코어석션부(250)가 배치된다. 코어석션부(250)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53)는 석션파이프(270)를 통해 핸들(210)로 배출된다. 오염수(53)는 배출유로(207)의 상류(207a)에서 배출유로(207)의 하류(207b)로 유동한다. 오염수(53)는 본체 또는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진다.
도2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상측부(200b)의 사시도이다. 도2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상측부(200b)에 석션파이프(270)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22 는 도17 의 22-22단면도이다. 도23 은 도22 에 세척수(51)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20 내지 도2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및 유입유로(2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공(2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230)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230) 내부에는 복수의 분사공(230a)들 사이에 워터스토퍼(236)(water stopper)가 형성된다.
세척수(51)는 마우스피스(230)로 유동한다. 세척수(51)는 워터스토퍼(236)에 의해 일부는 역류한다. 워퍼스토퍼는 복수로 형성되어 역류된 세척수(51)의 일부는 분사공(23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워터스토퍼(236) 사이에 갇혀 순환환다. 워터스토퍼(236)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워터스토퍼(236)들 사이에는 분사공(230a) 방향으로 세척수(51)가 유동하는 분사홈(230b)이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워터스토퍼(236)들 사이에는 분사공(230a) 방향으로 세척수(51)가 유동하는 분사홈(230b)이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들 사이에는 분사홈(230b)이 형성된다. 분사홈(230b)은 분사공(230a)마다 별도로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들 사이에 갇힌 세척수(51)는 분사홈(230b)을 통해 분사공(230a)으로 유동한다. 워터스토퍼(236)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워터스토퍼(236)들 사이에는 유동하는 세척수(51)를 저장하는 저장소(236b)가 형성된다.
저장소(236b)(reservior)는 세척수(51)를 저장한다. 저장소(236b)로 유동된 세척수(51)는 일부는 분사공(230a)으로 배출되고, 일부는 저장소(236b) 내부를 순환하며,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어 다른 저장소(236b)로 유동한다. 워터스토퍼(236)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심은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동홀(236a)이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는 세척수(51)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및 유입유로(201)와 연결되어 세척수(51)를 저장하는 저장소(236b)가 형성되고, 저장소(236b)에는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공(2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230)를 포함한다.
저장소(236b)에는, 세척수(51)를 분사공(230a)방향으로 유도하는 분사홈(230b)이 형성된다. 저장소(236b)는 복수로 형성되고, 저장소(236b)들 사이에는 워터스토퍼(236)가 형성된다.
저장소(236b)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홈(230b)과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230a)이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는 저장소(236b)의 저장용량을 초과하는 세척수(51)가 다른 저장소(236b)로 유동하는 유동홀(236a)이 형성된다.
마우스피스(230) 내부에는 복수의 워터스토퍼(236)가 형성되고, 복수의 저장소(236b)와 복수의 유동홀(236a)이 형성된다. 저장소(236b)의 용량을 초과한 세척수(51)는 유동홀(236a)을 통해 다른 저장소(236b)로 유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및 유입유로(201)로 부터 공급된 세척수(51)의 유동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내부에 복수의 저장소(236b)를 형성하는 워터스토퍼(236)가 형성되고, 저장소(236b)에는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공(230a)이 형성된 마우스피스(230)를 포함한다.
저장소(236b)는 세척수(51)의 유동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는 세척수(51)의 유동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워터스토퍼(236)는 유입된 세척수(51)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키도록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2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하측부(200a)의 평면도이다. 도2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척기의 상측부(200b)의 평면도이다. 도26 은 도17 의 마우스피스(230)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27 은 도26 의 마우스피스(230)를 하측방향에서 표현한 것이다.
도24 내지 도2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207)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유입유로(2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230); 마우스피스(2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250); 및 코어석션부(250)와 핸들(210)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270)를 포함하고, 코어석션부(250) 내부에는 석션파이프(270) 전방에 배치되어 흡입한 오염수(53)를 분할하는 워터 스플리터(256a, 256b)(spliter)가 형성된다.
코어석션부(250)는, 목젖과 마주하는 위치에 후방흡입공(257)이 형성되고,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후방흡입공(257)과 석션파이프(270) 사이에 배치된다.
마우스피스(230)는, 위닛중 앞니의 씹는면과 마주하는 부분에 전방흡입공(239)이 형성된다.
마우스피스(230)와 구강 내에서 세척수(51)를 분사한다. 코어석션부(250)는 구강내에서 오염수(53)를 흡입한다.
마우스피스(230)가 분사한 세척수(51)는 구강내의 오염물질 및 타액과 섞여 오염수(53)가 된다. 오염수(53)는 코어석션부(250)를 통해 흡입된다. 오염수(53)는 매개부(237)에 배치된 전방흡입공(239)을 통하여 흡입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상하로 분할형성될 수 있다. 상측 스플리터(256a, 256ba)는 상측부(200b)에 형성되고, 하측 스플리터(256a, 256bb)는 하측부(200a)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207)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유입유로(2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230); 마우스피스(2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250); 및 코어석션부(250)와 핸들(210)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270)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230) 내부에는 석션파이프(270) 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세척수(51)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뎀퍼(238)가 형성된다.
마우스피스(23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231); 순면대응부(231)와 연결되고,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233);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235); 및 양단이 순면대응부(231)와 설면대응부(235)의 연결지점에서 시작되어 순면대응부(231) 및 설면대응부(235)를 연결하는 매개부(237)(intermediation)를 포함하고, 뎀퍼(238)는 매개부(237)에 배치된다.
유입유로(20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51)는 확산유로(203)로 유동한다. 석션파이프(270)는 매개부(237)에 배치된다. 석션파이프(270)는 확산유로(203)에 배치된다. 세척수(51)는 확산유로(203)에 배치된 석션파이프(270)와 충돌한다. 댐퍼는 석션파이프(270)와 세척수(51)의 직접충돌을 방지한다. 댐퍼는 세척수(51)가 석션파이프(270)의 측면과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댐퍼는 석션파이프(270)가 마우스피스(230) 내부에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마우스피스(230)는, 윗니의 씹는면과 마주하는 부분에 전방흡입공(239)이 형성되고, 전방흡입공(239)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석션파이프(270)와 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돌기(237a)가 형성된다.
마우스피스(230)와 석션파이프(270)의 상면과 하면 사이로 확산유로(203)가 형성된다. 수직돌기(237a)는 마우스피스(230)와 석션파이프(270)의 간격을 형성한다.
도2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석션파이프(270)의 사시도이다. 도29 는 도28 의 석션파이프(270)의 평면도이다. 도30 은 도28 의 석션파이프(270)의 저면도이다.
도28 내지 도30 을 참조하면, 석션파이프(270)는, 핸들(210)의 배출유로(207)와 연결된 전방채널(271); 코어석션부(250)와 연결되는 후방채널(273); 및 후방채널의 중심선(273c)과 전방채널의 중심선(271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후방채널(273) 및 전방채널(271)을 연결하는 벤딩(bending)채널(275)을 포함한다.
석션파이프(270)는 후방채널(273)의 상측에 전방흡입공(239)과 연통하는 수직채널이 형성된다. 석션파이프(270)는 후방채널(273)의 하측에는, 마우스피스(230)와의 사이에서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바(288)가 형성된다.
도31 은 석션파이프(270)와 워터디퓨저(216)로 인한 오염수(53)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32 는 도24 의 일부분에 오염수(53)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33 은 도25 의 일부분에 오염수(53)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도31 내지 도33 을 참조하면, 오염수(53)는 하측흡입공(259)과 후방흡입공(257)등 복수의 위치에서 흡입되어 코어석션부(250)로 유동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코어석션부(250)에 배치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후방흡입공(257)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53)를 분할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석션파이프(270)로 유동하는 세척수(51)를 분할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석션파이프(270)를 유동하는 오염수(53)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석션파이프(270) 내부 압력이 코어석션부(250)보다 낮아지도록 한다. 코어석션부(250)는, 혀와 마주하는 위치에 하측흡입공(259)이 형성되고,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하측흡입공(259)을 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하측흡입공(259)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53)를 분할한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오염수(53)의 유동방향을 정렬하여 오염수(53)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상측 스플리터(256a, 256ba)와 하측 스플리터(256a, 256bb)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고, 하측 스플리터(256a, 256bb)는 하측흡입공(259)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세정기(200)는, 세척수(51)가 유동하는 유입유로(201)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53)가 유동하는 배출유로(207)가 형성된 핸들(210)(handle); 유입유로(201)와 연결되고 세척수(51)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230); 마우스피스(230)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53)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250); 및 코어석션부(250)와 핸들(210)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270)를 포함하고, 마우스피스(230) 내부에는 석션파이프(270)에서 배출된 오염수(53)를 분할하여 배출유로(207)로 공급하는 워터디퓨저(216)가 배치된다.
석션파이프(270)는 코어석션부(250)에서 흡입한 오염수(53)와 전방흡입공(239)에서 흡입한 오염수(53)가 유동한다. 서로 다른 방향에서 유입된 오염수(53)는 서로 충돌한다.
워터디퓨저(216)는 석션파이프(270)에서 배출된 오염수(53)를 분할한다. 워터디퓨저(216)는 오염수(53)의 유동방향을 분할한다. 워터디퓨저(216)는 오염수(53)간 충돌을 완화한다. 워터디퓨저(216)는 오염수(53)가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유도한다. 워터디퓨저(216)는 배출유로(207)를 유동하는 오염수(53)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워터디퓨저(216)는 배출유로(207)의 압력이 석션파이프(270)의 압력보다 낮도록 한다.
다시 도28 및 도31 을 참조하면, 오염수(53)는 벤딩채널(275)을 통과하며 방향이 변경된다. 워터디퓨저(216)는, 전방채널의 중심선(271C)상에 배치된다.
벤딩채널(275)은 배출유로(207)의 상류(207a)방향을 향해 직선으로 배치된다. 벤딩채널(275)은 배출유로(207)의 하류(207b)방향을 향해 기울어져 배치된다. 워터디퓨저(216)는, 전방채널(271)을 향하는 일측은 전방채널의 중심선(271C)과 평형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벤딩채널(275)이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이다.
타측이 기울어진 각도는 벤딩채널(275)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석션파이프(270)를 통과한 오염수(53)중 일부는 워터디퓨저(216)를 따라 유동한다. 워터디퓨저(216)의 각도가 과도하게 기울어질 경우 오염수(53)의 유동박리(flow separation)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터디퓨저(216)와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오염수(53)의 합류를 부드럽게 하여 소용돌이형태의 후류(wake) 또는 난류(turbulent flow)를 발생시키는 것을 줄인다. 워터디퓨저(216)와 워터 스플리터(256a, 256b)는 오염수(53)의 합류를 부드럽게 하여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51:세척수
53:오염수
100:구강세정기
100a:하측부
100b:상측부
101:유입유로
101a:유입유로의 상류
101b:유입유로의 하류
101d:유입유로의 횡방향 폭
103:확산유로
103d:확산유로의 횡방향 폭
105:집중유로
107:배출유로
107a:배출유로의 상류
107b:배출유로의 하류
107d:배출유로의 횡방향 폭
110:핸들
111:유입격벽
113:연결격벽
117:배출격벽119:마우스가드
130:마우스피스
130a:분사공131:순면대응부
131a:좌측 순면대응부
131b:우측 순면대응부
133:협면대응부
134a: 외측분사유로
134b: 내측분사유로
133a:좌측 협면대응부
133b:우측 협면대응부135:설면대응부
135a:좌측 설면대응부
135b:우측 설면대응부137:매개부
137a:수직돌기
137b:측단부139:전방흡입공150:코어석션부
151:골
153:흡입유도부
153a:제1 흡입유도부
153b:제2 흡입유도부
155:상측흡입공
157:후방흡입공
159:하측흡입공
159a:제1 하측흡입공
159b:제2 하측흡입공
170:석션파이프
171:전방채널
171c:전방채널의 중심선
173:후방채널
173c:후방채널의 중심선
175:벤딩채널
177:수직채널179:유로가이드
200:구강세정기
200a:하측부
200b:상측부
201:유입유로
201a:유입유로의 상류
201b:유입유로의 하류
203:확산유로
207:배출유로
207a:배출유로의 상류
207b:배출유로의 하류
210:핸들
216: 워터디퓨저
230:마우스피스
230a:분사공
230b: 분사홈
231:순면대응부
233:협면대응부
235:설면대응부
236: 워터스토퍼
236a: 유동홀
236b: 저장소
237:매개부
237a:수직돌기
238: 뎀퍼
239:전방흡입공
250:코어석션부
256a:상측 스플리터
256b:하측 스플리터
257:후방흡입공
259:하측흡입공
270:석션파이프
271:전방채널
271c:전방채널의 중심선
273:후방채널
273c:후방채널의 중심선
275:벤딩채널
277:수직채널
288:수직바

Claims (13)

  1.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석션부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 전방에 배치되어 흡입한 오염수를 분할하는 스플리터(spliter)가 형성된 구강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석션부는,
    목젖과 마주하는 위치에 후방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후방흡입공과 상기 석션파이프 사이에 배치된 구강세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석션부는,
    혀와 마주하는 위치에 하측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플리터는,
    상기 하측흡입공을 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된 구강세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터는,
    상측 스플리터와 하측 스플리터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고,
    상기 하측 스플리터는 상기 하측흡입공에 배치된 구강세정기.
  5.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세척수와 상기 석션파이프의 충돌을 방지하는 뎀퍼가 형성된 구강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순면대응부;
    상기 순면대응부와 연결되고, 치아의 협면(bucc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협면대응부;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설면대응부; 및
    양단이 상기 순면대응부와 상기 설면대응부의 연결지점에서 시작되어 상기 순면대응부 및 상기 설면대응부를 연결하는 매개부(intermediation)를 포함하고,
    상기 뎀퍼는 상기 매개부에 배치된 구강세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윗니의 씹는면과 마주하는 부분에 전방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흡입공의 가장자리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석션파이프와 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돌기가 형성된 구강세정기.
  8.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입유로와 구강에서 흡입된 오염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가 형성된 핸들(handle);
    상기 유입유로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구강 내부로 분사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배출되어 치아를 세척한 오염수를 흡입하는 코어석션부; 및
    상기 코어석션부와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내부에는 상기 석션파이프에서 배출된 오염수를 분할하여 상기 배출유로로 공급하는 워터디퓨저가 배치된 구강세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이프는,
    상기 핸들의 배출유로와 연결된 전방채널;
    상기 코어석션부와 연결되는 후방채널; 및
    상기 후방채널의 중심선과 상기 전방채널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후방채널 및 상기 전방채널을 연결하는 벤딩(bending)채널을 포함하는 구강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디퓨저는,
    상기 전방채널의 중심선상에 배치된 구강세정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디퓨저는,
    상기 전방채널을 향하는 일측은 상기 전방채널의 중심선과 평형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벤딩채널이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강세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이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벤딩채널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구강세정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위닛중 앞니의 씹는면과 마주하는 부분에 전방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석션파이프는,
    상기 후방채널의 상측에 상기 전방흡입공과 연통하는 수직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채널의 하측에 상기 마우스피스와의 사이에서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동간격을 형성하는 수직바가 형성된 구강세정기.
KR1020200164332A 2020-10-30 2020-11-30 구강세정기 KR10237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32A KR102371721B1 (ko) 2020-11-30 2020-11-30 구강세정기
PCT/KR2021/014574 WO2022092669A1 (ko) 2020-10-30 2021-10-19 구강세정기의 유동성 개선 구조
US17/512,728 US20220133450A1 (en) 2020-10-30 2021-10-28 Oral cavity cleaner for supplying washing water and discharging contaminate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332A KR102371721B1 (ko) 2020-11-30 2020-11-30 구강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721B1 true KR102371721B1 (ko) 2022-03-08
KR102371721B9 KR102371721B9 (ko) 2023-04-12

Family

ID=8081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332A KR102371721B1 (ko) 2020-10-30 2020-11-30 구강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7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65A (ko) * 1999-10-29 2001-05-15 구자홍 마그네트론용 냉각핀
US6893259B1 (en) * 2004-03-08 2005-05-17 Igor Reizenson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080001544U (ko) * 2008-04-16 2008-06-03 이창용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KR20170064836A (ko) * 2015-12-02 2017-06-1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대향류 열교환기
EP3153131B1 (en) * 2014-06-06 2018-01-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eeth bleaching apparatus
KR102056383B1 (ko) * 2018-08-30 2019-12-16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65A (ko) * 1999-10-29 2001-05-15 구자홍 마그네트론용 냉각핀
US6893259B1 (en) * 2004-03-08 2005-05-17 Igor Reizenson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080001544U (ko) * 2008-04-16 2008-06-03 이창용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EP3153131B1 (en) * 2014-06-06 2018-01-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eeth bleaching apparatus
KR20170064836A (ko) * 2015-12-02 2017-06-1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대향류 열교환기
KR102056383B1 (ko) * 2018-08-30 2019-12-16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721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675B2 (ja) 口腔洗浄器
JP2017506138A (ja) 口腔洗浄装置
US20030053847A1 (en) Oral irrigator and brush assembly
KR200448033Y1 (ko) 급수 및 배수 일체형 구강세척기
JP2023553729A (ja) 口腔内を清掃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2371721B1 (ko) 구강세정기
KR102371725B1 (ko) 샤워타입 구강세정기
KR20070026739A (ko) 구강 세정기
JP2594664Y2 (ja) 洗浄器
KR102371724B1 (ko) 구강세정기의 마우스피스 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3B1 (ko) 구강세정기의 파이프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6B1 (ko) 구강세정기의 석션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2B1 (ko) 구강세정기의 핸들부분과 관련된 장치
US10405954B2 (en) Compact oral hygiene device
KR200437197Y1 (ko) 구강세척기
JP2023546426A (ja) 口腔洗浄器の吸入および噴射構造
US20220133451A1 (en) Oral cavity cleaner including mouthpiece
US20220133450A1 (en) Oral cavity cleaner for supplying washing water and discharging contaminated water
JPH08112143A (ja) 口腔洗浄用ブラシ
US200501363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al hygiene care
CN210228368U (zh) 一种带冲洗功能的电动牙刷
JP4079745B2 (ja) 舌苔除去用チ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舌苔除去用ハンドピース
JP4361473B2 (ja) 歯ブラシ
CN217366155U (zh) 一种用于清洁牙齿的多喷嘴装置
CN217244904U (zh) 一种喷嘴及冲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