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383B1 -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383B1
KR102056383B1 KR1020180102495A KR20180102495A KR102056383B1 KR 102056383 B1 KR102056383 B1 KR 102056383B1 KR 1020180102495 A KR1020180102495 A KR 1020180102495A KR 20180102495 A KR20180102495 A KR 20180102495A KR 102056383 B1 KR102056383 B1 KR 10205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uction hole
main body
protrusion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0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383B1/ko
Priority to PCT/KR2018/010150 priority patent/WO20200457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1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specially adapted for rinsing the teeth of at least one jaw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내부에 본체 공간을 정의하고,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는 본체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외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내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외측 돌출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내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외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과 마주보는 내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내측 돌출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고, 종단에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이 연결되는 입수구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 내부에 상기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폐수로부, 상기 폐수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상기 본체부의 제2 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을 가지며,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하는 석션홀부 및 상기 폐수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유닛과 연결되는 폐수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석션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석션홀 및 상기 석션홀부의 종단에 형성되는 메인 석션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MOUTHPIECE FOR WASHING ORAL CAVITY AND ORAL WASH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세정 시 구강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식도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세정기란 수압을 이용하여 치아나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기기로서, 전동 칫솔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거나 칫솔질 후 단독으로 사용되며, 주로 양치 후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보조적인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강 세정기는 호스 형태의 좁은 범위의 세정수 분사 노즐을 사용하며 사용자가 직접 분사 노즐을 세정을 원하는 부위로 이동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노약자, 증증 환자 또는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사람들은 손의 사용이 어려워 스스로 칫솔질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세정수 분사 노즐을 세정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들을 보조하여 양치를 돕는 보조자들은 분사 노즐을 일일이 이동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고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구강 세정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57730호(2015.09.30)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세정 시 구강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식도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세정 시 구강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식도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내부에 본체 공간을 정의하고,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는 본체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외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내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외측 돌출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내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외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과 마주보는 내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내측 돌출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고, 종단에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이 연결되는 입수구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폐수로부, 상기 폐수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상기 본체부의 제2 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을 가지며,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하는 석션홀부 및 상기 폐수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유닛과 연결되는 폐수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석션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석션홀 및 상기 석션홀부의 종단에 형성되는 메인 석션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수구부의 관단면적은 상기 입수구부의 관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석션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 또는 홀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석션홀부들은, 상기 내측 돌출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석션홀부 및 상기 내측 돌출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석션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외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는 보조 돌출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입수구부 및 상기 폐수구부가 배치되는 보조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수로부는 상기 내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수로부는 상측 단면도 상에서 "Y"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강 세정 장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 피스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 및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 피스에서 배출하는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유닛을 포함하고, 내부에 본체 공간을 정의하고,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는 본체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외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내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외측 돌출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내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외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과 마주보는 내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내측 돌출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고, 종단에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이 연결되는 입수구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 내부에 상기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폐수로부, 상기 폐수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을 가지며,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하는 석션홀부 및 상기 폐수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유닛과 연결되는 폐수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석션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석션홀 및 상기 석션홀부의 종단에 형성되는 메인 석션홀을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이 시간당 흡입 가능한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은 상기 세정수 공급유닛이 시간당 상기 마우스피스에 공급 가능한 상기 세정수의 양의 2배 이상 3배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수구부의 관단면적은 상기 입수구부의 관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석션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 또는 홀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석션홀부들은, 상기 내측 돌출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석션홀부 및 상기 내측 돌출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석션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외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는 보조 돌출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입수구부 및 상기 폐수구부가 배치되는 보조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로부는 상기 내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수로부는 상측 단면도 상에서 "Y"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의 세정수 공급양과 상기 석션유닛의 폐수 및 이물질 흡수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은 내부에 흡입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석션유닛이 흡입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폐수구부로부터 흡입하는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는 본체부, 외측 돌출부, 내측 돌출부, 배수부, 입수구부, 폐수로부, 석션홀부 및 폐수구부를 포함하여 손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어려운 사람 또는 스스로 양치질이 어려운 사람들의 구강을 세정하여 구강 위생 관리에 효과적이며,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이 환자의 구강에서 식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구강 세정기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A부분을 나타내는 상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B부분을 나타내는 하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의 석션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A부분을 나타내는 상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B부분을 나타내는 하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본체부(10), 외측 돌출부(20), 내측 돌출부(30), 배수부(40), 입수구부(50), 폐수로부(60), 석션홀부(80) 및 폐수구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0)는 구강 내 치열에 따라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사용자가 입으로 물어서 구강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평면의 형상이거나, 또는 종단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0)는 중앙부가 가장 두껍고, "U"자 형상의 양 끝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되어 경사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내부에 본체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본체 공간에는 구강 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담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공간은 상기 세정수의 입수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정수는 상기 입수구부(50)로 입수되어 상기 본체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 돌출부(20) 및 내측 돌출부(30)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10)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10)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경과 유사하며 평면도 상에서 "U"자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측면도 상에서 상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입수구부(50)에서 상기 석션홀부(8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장착 시 사용자의 치아의 바깥쪽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외측 돌출부(23)와 상기 본체부(10)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외측 돌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 돌출부(23)는 상기 제2 외측 돌출부(24)와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외측 돌출부(23)의 돌출된 끝부분이 이루는 선은 사용자의 치아 바깥쪽면에 인접한 상측 구강의 라인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외측 돌출부(24)의 돌출된 끝부분이 이루는 선은 사용자의 치아 바깥쪽면에 인접한 하측 구강의 라인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의 종단에는 상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본체부(10)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외측 경사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외측 경사부(22)는 상기 "U"자의 종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경사부(22)는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구강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줄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외측 돌출부(20)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에는 상기 세정수가 담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정수는 상기 본체 공간으로부터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돌출부(20)는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는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 내의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는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으로부터 본체부(10)의 내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는 직경이 0.1cm 이상 0.3cm 이하인 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는 복수개이고,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는 복수개이고,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들은 상기 외측 돌출부(20)에 상기 외측 돌출부(20)를 따라 서로 엇갈려서 2열로 형성된 홀들일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10)의 내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10)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경과 유사하며 평면도 상에서 "U"자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상기 돌출되는 부분의 측면의 높이가 입수구부(50)에서 상기 석션홀부(8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장착 시 사용자의 치아의 안쪽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내측 돌출부(33)와 상기 본체부(10)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내측 돌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돌출부(33)는 상기 제2 내측 돌출부(34)와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내측 돌출부(33)의 돌출된 끝부분이 이루는 선은 사용자의 치아 안쪽면에 인접한 상측 구강의 라인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내측 돌출부(34)의 돌출된 끝부분이 이루는 선은 사용자의 치아 안쪽면에 인접한 하측 구강의 라인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의 종단에는 상기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본체부(10)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내측 경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고, 상기 내측 경사부(32)는 상기 "U"자의 종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경사부(32)는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구강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줄이게 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내측 돌출부(30)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에는 상기 세정수가 담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정수는 상기 본체 공간으로부터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 내의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으로부터 본체부(10)의 외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21)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직경이 0.1cm 이상 0.3cm 이하인 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복수개이고,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는 복수개이고,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세정수 분출구(31)들은 상기 내측 돌출부(30)에 상기 내측 돌출부(30)를 따라 서로 엇갈려서 2열로 형성된 홀들일 수 있다.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상기 본체부(1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제2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1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4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본체부(10)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수부(4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라인을 따라 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수부(40)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외측 돌출부(20)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내측 돌출부(30)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배수부(40)는 평면도 또는 배면도 상에서 "U"자 라인을 따라 본체부(10)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외측 돌출부(20) 사이의 모서리 및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내측 돌출부(30)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40)는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도 용이하게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또는 상기 제2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1 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입수구부(50)는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수구부(50)는 관의 형상이고, 상기 관의 내부는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수구부(50)에는 종단에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수구부(50)는 외부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구부(50)에 세정수 공급유닛을 연결 시 연결부분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폐수로부(60)는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수로부(60)는 구강 세정 시 구강 내 폐수 및 이물질이 이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폐수로부(60)는 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폐수로부(60)는 상측 단면도 상에서 "Y"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로부(60)는 상기 내측 돌출부(30)로부터 상기 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 돌출부(30)는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폐수로부(60)는 상기 내측 돌출부(30)의 내경을 둘러싸며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는 상기 폐수로부(60)의 일단에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상기 본체부(10)의 제2 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는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할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에서 유입된 폐수 및 이물질은 상기 폐수로부(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들은 제1 석션홀부(80) 및 제2 석션홀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석션홀부(80)는 상기 내측 돌출부(3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석션홀부(80)는 상기 내측 돌출부(30)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석션홀부(80)와 상기 제2 석션홀부(80)는 혀의 양 측면 하부 및 상기 본체부(10) 종단의 폐수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는 메인 석션홀(81) 및 보조 석션홀(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석션홀(81) 및 보조 석션홀(82)은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구강에 장착 시 구강 뒤쪽에 배치되어 구강 내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하는 개구가 되며, 구강 뒤쪽으로 폐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석션홀(81)은 상기 석션홀부(80)의 종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석션홀(81)은 상기 석션홀부(80)의 내부를 개방하여 구강 내 폐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개구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상기 석션홀부(8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상기 석션홀부(80)의 내부를 개방하여 구강 내 폐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개구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상기 석션홀부(8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 또는 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는 상기 본체부(10)의 종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상기 본체부(10)의 종단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홀부(80)는 상기 본체부(10)를 따라 배출되는 세정수, 폐수 및 이물질이 상기 본체부(10)의 종단 인근에서 흡입되는 입구가 되므로 상기 세정수, 폐수 및 이물질이 기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석션홀부(80)는 상기 폐수로부(60)와 연결되고, 상기 폐수로부(60)는 상기 폐수구부(70)와 연결되며, 상기 폐수구부(70)에는 흡입 기능을 갖는 석션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석션홀부(80)로부터 상기 세정수,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폐수구부(70)는 상기 폐수로부(60)의 타단에 형성되어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폐수로부(60)는 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폐수구부(70)는 외부에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폐수구부(70)에 석션유닛을 연결 시 연결부분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폐수구부(70)의 관단면적은 상기 입수구부(50)의 관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폐수구부(70)를 통과하는 폐수의 유속이 상기 입수구부(50)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속보다 빠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폐수구부(70)를 시간당 통과하는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은 상기 입수구부(50)를 시간당 통과하는 세정수의 양의 2배 이상 3배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보조 돌출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돌출부(90)는 상기 외측 돌출부(20)로부터 상기 본체부(1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돌출부(90)에는 상기 입수구부(50) 및 상기 폐수구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돌출부(90)는 보조 돌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돌출 공간은 상기 보조 돌출부(90)의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20)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30) 공간과 연결되어 정의되는 공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석션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석션홀부(80)의 구체적인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9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9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상기 석션홀부(8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복수개이고, 상기 보조 석션홀(82)들은 상기 석션홀부(8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석션홀(82)은 복수개이고, 상기 보조 석션홀(82)들은 원형의 홀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 석션홀(82)은 상기 석션홀부(80)의 측면을 개방하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석션홀(82)이 상기 본체부(10)와의 사이에서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보조 석션홀(82)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석션홀(82)의 형성 방향은 상기 본체부(10)의 종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를 따라 흐르는 세정수,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석션홀(82)의 형성 방향은 상기 본체부(10)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기도로 넘어가는 세정수,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회전부(83)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2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2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회전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와 상기 폐수로부(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를 상기 페수로부(60)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를 상기 석션홀부(80)의 무게에 따라서 중력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부(83)는 특정 강도 이상의 힘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석션홀부(8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의 방향을 조절하여 구강내 폐수 및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83)는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 또는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상기 석션홀부(80)가 회전되어 구강내 폐수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83)는 힘을 받아 상기 석션홀부(80)의 방향을 조절 및 고정하여 구강내 폐수 및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자의 혀에 의해 상기 석션홀부(8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83)는 사용자에 따라 그 사용자의 구강내 형상에 맞게 상기 석션홀부(80)의 방향을 조절하므로 구강내 폐수 및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하고, 상기 석션홀부(80)로 인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를 상기 페수로부(60)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과 같이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와 상기 폐수로부(6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베어링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를 이차원 평면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이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와 상기 폐수로부(60)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고 내부와 연결되는 입구와 출구를 갖는 인공 관절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와 같이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석션홀부(80)의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고 내부와 연결되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회전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회전부(83)가 상기 석션홀부(80)를 상기 폐수로부(60)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목적이 달성된다면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상기 회전부(83)는 내부가 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83)는 상기 내부와 연결되는 회전부의 입구 및 회전부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의 입구는 상기 석션홀부(80)에, 상기 회전부의 출구는 상기 폐수로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부의 입구는 상기 석션홀부(80)의 하부에, 상기 회전부의 출구는 상기 석션홀부(80)의 상부에, 상기 석션홀부(80)의 상부는 상기 폐수로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션홀부(80)에서 흡입된 폐수 및 이물질이 상기 회전부(8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폐수로부(6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의 석션유닛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15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5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세정수 공급 유닛, 석션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U10)는 도 1 내지 도 15의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U10)와 반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U20)은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U10)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 피스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석션유닛(U30)은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U10)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 피스에서 배출하는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석션유닛(U30)은 상기 세정수 공급유닛에서 공급하는 상기 세정수의 양 대비 상기 석션유닛(U30)이 흡입하는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의 비율에 의해 그 흡입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U40)는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U20)의 세정수 공급양과 상기 석션유닛(U30)의 폐수 및 이물질 흡수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U40)는 상기 세정수 공급유닛에서 공급하는 상기 세정수의 양 대비 상기 석션유닛(U30)이 흡입하는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석션유닛(U30) 또는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U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 장치의 석션유닛(U30)은 모터(U31) 및 흡입부(U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U32)는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U10)의 상기 폐수구부(70)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폐수구에서 배출되는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폐수관 및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을 담은 폐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U32)에는 상기 모터(U3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U31)는 상기 석션유닛(U30)이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U31)는 상기 석션유닛(U30)이 상기 흡입부(U32)에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터(U31)는 상기 석션유닛(U30)의 상기 흡입부(U32)에서 흡입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폐수구부(70)로부터 흡입하는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부
20: 외측 돌출부
30: 내측 돌출부
40: 배수부
50: 입수구부
60: 폐수로부
70: 폐수구부
80: 석션홀부
90: 보조 돌출부

Claims (17)

  1. 내부에 본체 공간을 정의하고,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는 본체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외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내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외측 돌출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내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외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과 마주보는 내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내측 돌출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고, 종단에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이 연결되는 입수구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폐수로부;
    상기 폐수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고, 상기 본체부의 제2 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을 가지며,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하는 석션홀부; 및
    상기 폐수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유닛과 연결되는 폐수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석션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석션홀; 및
    상기 석션홀부의 종단에 형성되는 메인 석션홀을 포함하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구부의 관단면적은 상기 입수구부의 관단면적보다 작은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석션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 또는 홀의 형상인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석션홀부들은,
    상기 내측 돌출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석션홀부; 및
    상기 내측 돌출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석션홀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는 보조 돌출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입수구부 및 상기 폐수구부가 배치되는 보조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수로부는 상기 내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로부는 상측 단면도 상에서 "Y"자 형상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석션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9.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 피스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 및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 피스에서 배출하는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유닛을 포함하고,
    내부에 본체 공간을 정의하고, 평면도 상에서 "U"자 형상을 갖는 본체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외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내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외측 돌출부;
    평면도 상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경을 둘러싸며 상기 본체부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과 연결되는 내측 돌출부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으로부터 본체부의 외경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 세정수 분출구과 마주보는 내측 세정수 분출구를 포함하는 내측 돌출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면상의 액체를 상기 제2 면 상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수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고, 종단에 치아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유닛이 연결되는 입수구부;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 내부에 상기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폐수로부;
    상기 폐수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을 가지며, 구강 세정 시 구강 내의 폐수 및 이물질을 유입하는 석션홀부; 및
    상기 폐수로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 유닛과 연결되는 폐수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석션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보조 석션홀; 및
    상기 석션홀부의 종단에 형성되는 메인 석션홀을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이 시간당 흡입 가능한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은 상기 세정수 공급유닛이 시간당 상기 마우스피스에 공급 가능한 상기 세정수의 양의 2배 이상 3배 이하이고,
    상기 석션홀부는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본체부의 종단보다 외측에 형성되는 구강 세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구부의 관단면적은 상기 입수구부의 관단면적보다 작은 구강 세정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석션홀은 상기 석션홀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형상 또는 홀의 형상인 구강 세정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석션홀부들은,
    상기 내측 돌출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석션홀부; 및
    상기 내측 돌출부의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석션홀부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외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본체 공간, 상기 외측 돌출부 공간 및 상기 내측 돌출부 공간과 연결되는 보조 돌출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입수구부 및 상기 폐수구부가 배치되는 보조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로부는 상기 내측 돌출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의 혀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강 세정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로부는 상측 단면도 상에서 "Y"자 형상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 유닛의 세정수 공급양과 상기 석션유닛의 폐수 및 이물질 흡수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유닛은 내부에 흡입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석션유닛이 흡입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폐수구부로부터 흡입하는 상기 폐수 및 이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구강 세정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홀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석션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KR1020180102495A 2018-08-30 2018-08-30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KR10205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495A KR102056383B1 (ko) 2018-08-30 2018-08-30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PCT/KR2018/010150 WO2020045708A1 (ko) 2018-08-30 2018-08-31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495A KR102056383B1 (ko) 2018-08-30 2018-08-30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383B1 true KR102056383B1 (ko) 2019-12-16

Family

ID=6905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495A KR102056383B1 (ko) 2018-08-30 2018-08-30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6383B1 (ko)
WO (1) WO2020045708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404A (ko) 2020-01-30 2021-08-09 이효동 튜브 마우스피스
CN113730006A (zh) * 2021-08-10 2021-12-03 范细妹 一种口腔医疗用高性能口腔冲洗器
CN113730005A (zh) * 2021-06-23 2021-12-03 珠海云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c型冲牙器
KR102371722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핸들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6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석션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4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마우스피스 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1B1 (ko) * 2020-11-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
KR102371723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파이프부분과 관련된 장치
WO2022092669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유동성 개선 구조
WO2022092668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흡입 및 분사 구조
CN116421348A (zh) * 2023-06-14 2023-07-14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可便捷调节局部水压的牙齿矫正用冲洗器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526B (zh) * 2020-12-28 2022-05-13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便携式冲牙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501A (en) 1977-03-11 1978-08-15 Amber Lola Ozbey Sweeping fluid spray oral hygiene device
US5509801A (en) * 1993-08-02 1996-04-23 Nicholson; James A. Oral therapeutic apparatus for cooling oral tissues
JP2008515575A (ja) * 2004-10-13 2008-05-15 ベルント ヨット ヨーンキ 歯及び/又は歯肉の洗浄及び/又はケアのための機器
KR101449724B1 (ko) * 2014-02-21 2014-10-15 현기봉 구강세정장치
JP2018522705A (ja) 2015-09-01 2018-08-16 欧陽 儀霏OUYANG, Yifei 歯洗浄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941A (ja) * 2004-09-30 2006-04-20 Nidek Co Ltd 口腔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501A (en) 1977-03-11 1978-08-15 Amber Lola Ozbey Sweeping fluid spray oral hygiene device
US5509801A (en) * 1993-08-02 1996-04-23 Nicholson; James A. Oral therapeutic apparatus for cooling oral tissues
JP2008515575A (ja) * 2004-10-13 2008-05-15 ベルント ヨット ヨーンキ 歯及び/又は歯肉の洗浄及び/又はケアのための機器
KR101449724B1 (ko) * 2014-02-21 2014-10-15 현기봉 구강세정장치
JP2018522705A (ja) 2015-09-01 2018-08-16 欧陽 儀霏OUYANG, Yifei 歯洗浄器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404A (ko) 2020-01-30 2021-08-09 이효동 튜브 마우스피스
WO2022092668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흡입 및 분사 구조
KR102371722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핸들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6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석션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4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마우스피스 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3B1 (ko) * 2020-10-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파이프부분과 관련된 장치
WO2022092669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의 유동성 개선 구조
KR102371721B1 (ko) * 2020-11-30 2022-03-08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구강세정기
CN113730005A (zh) * 2021-06-23 2021-12-03 珠海云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c型冲牙器
CN113730005B (zh) * 2021-06-23 2023-06-23 珠海云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c型冲牙器
CN113730006A (zh) * 2021-08-10 2021-12-03 范细妹 一种口腔医疗用高性能口腔冲洗器
CN116421348A (zh) * 2023-06-14 2023-07-14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可便捷调节局部水压的牙齿矫正用冲洗器及使用方法
CN116421348B (zh) * 2023-06-14 2023-08-29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可便捷调节局部水压的牙齿矫正用冲洗器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08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383B1 (ko)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RU26181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щ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полости рта
JP2017506138A (ja) 口腔洗浄装置
ES2644581T3 (es) Dispositivo de limpieza y tratamiento para el cuidado oral
FI104401B (fi) Hammasharjat
US97889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dental biofilm using irrigation
KR101894231B1 (ko)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JP2007330544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102392722B1 (ko) 튜브 마우스피스
KR102371724B1 (ko) 구강세정기의 마우스피스 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6B1 (ko) 구강세정기의 석션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5B1 (ko) 샤워타입 구강세정기
KR102371722B1 (ko) 구강세정기의 핸들부분과 관련된 장치
KR102371723B1 (ko) 구강세정기의 파이프부분과 관련된 장치
JP6963856B1 (ja) ファインバブルによる歯洗浄装置
JP2023546426A (ja) 口腔洗浄器の吸入および噴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