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660B1 -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660B1
KR102370660B1 KR1020190152599A KR20190152599A KR102370660B1 KR 102370660 B1 KR102370660 B1 KR 102370660B1 KR 1020190152599 A KR1020190152599 A KR 1020190152599A KR 20190152599 A KR20190152599 A KR 20190152599A KR 102370660 B1 KR102370660 B1 KR 10237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time
user
atten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920A (ko
Inventor
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커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커빌
Priority to KR102019015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6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Abstract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식대 관리 협력 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SERVER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AND SYSTEM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근태, 식대 및 고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서버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들은 근태 및 식대를 관리하기 위해 피고용자가 출근장부나 식대장부에 수기로 기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비용을 들여 지문인식, 홍체인식 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수기로 기재하는 경우, 고용주 및 피고용자에게 모두 번거롭고, 관리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홍체인식 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관리 시스템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용주 및 피고용자에게 모두 번거롭지 않으면서, 관리도 쉽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는 근태 및 식대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영업사원이 영업활동을 할 때, 주변 기업의 정보 또는 계약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영업 대상 기업 및 거래처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지만, 다양한 정보를 별도로 수기로 적어 들고다녀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영업사원이 영업활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영업 대상 기업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는 방법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고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근태 및 식대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관리 시스템 구축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고용주 및 피고용자에게 모두 번거롭지 않으면서, 근태 및 식대를 효율적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주변 기업 정보, 거래처 계약 관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업 대상 기업 및 거래처의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영업사원)가 영업활동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특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특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근태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근태 이벤트 타입 및 이벤트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대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식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출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출근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외근 또는 퇴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외근 또는 퇴근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업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업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기업 추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기업 추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업 방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거래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거래처 방문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거래처 방문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거래처 방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처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처의 계약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식대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식대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로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실시간 급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급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로 급여 이체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급여 이체 신청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급여 이체 신청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는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은,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한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급여 이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급여 이체 신청을 기초로 급여를 상기 사용자의 소정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급여 이체 신청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에서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이 직장에 접근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출근 또는 외근복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이 직장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퇴근 또는 외근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이 식당에 접근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하여 거래처에 방문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거래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하여 영업활동 장소 근처에 방문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주변 기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에 실시간 급여 확인을 요청하여 급여 정보를 수신하고, 급여 이체를 신청하여 급여 이체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능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된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AI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AI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이란 대량의 정형 또는 심지어 데이터베이스 형태가 아닌 비정형의 데이터 집합조차 포함한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특성 또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도 1 은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할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근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근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근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근태 정보를 기초로 근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근태 관리를 기초로 임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근무 시간에 기초하여 임금이 산출되기 때문에 서버는 근태 관리를 통해 산출된 근무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임금을 산출함으로써 임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식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이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식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식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식대 정보를 기초로 식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임금 관리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임금과, 식대 관리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식대를 기초로 비용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임금 관리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임금과, 식대 관리를 통해 산출된 사용자의 식대를 기초로 사용자의 급여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비용 관리를 통해 산출된 비용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AI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AI 모델을 기초로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AI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AI 모델을 기초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예상할 수 있다.
서버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의 기업 위치정보 기반 기업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모바일 단말 주변의 기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정보는 서버에 등록된 기업의 위치정보뿐 아니라, 서버에 등록된 기업의 계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업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영업활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할수 있다.
또한, 서버는 고객 관리를 통해 고객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AI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AI 모델을 기초로 전사적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AI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AI 모델을 기초로 고객 후보를 결정하고, 앞으로의 고객과의 계약 내용, 예를 들어, 계약 물품 인도 기한, 계약 금액 지급 기한 등을 예상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가 구현될 수도 잇고, 더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가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밖에 제어부(21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또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또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근태, 식대 및 고객 정보 관리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서버에 등록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 예를 들어,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직장 위치, 식당 위치, 기업 위치 및 거래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미리 서버에 등록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서버에 등록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저장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벗어나는지 또는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부터 서버에 등록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에 등록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 주변의 다양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버에 등록된 다양한 소정의 위치들 중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의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특정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또는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는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근태 이벤트 타입 및 이벤트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대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식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정보 관리부(215)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 식대 및 고객 정보 관리부(215)는 근태 또는 식대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정보 관리부(215)는 저장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정보 관리부(215)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에 저장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 식대 및 고객 정보 관리부(215)는 구축된 근태 또는 식대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급여 정보는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엑셀이나 PDF 파일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생성된 실시간 급여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급여 이체 신청을 기초로 급여를 사용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이체 후에 급여 이체 신청 결과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는 상기 제어부(210) 및 통신부(220) 외 다양한 구성요소의 동작 또는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의 주변의 기업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주변의 기업에 대한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단말로 주변의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일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고, 나머지 정보는 외부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가 필요한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외부 장치로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제공 요청을 전송하고,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300)는 제어부(310), 통신부(325),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30), 사용자 입력부(335), 디스플레이부(340) 및 GPS 센서(345)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모바일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잇고, 더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모바일 단말(300)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부(325),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30), 사용자 입력부(335), 디스플레이부(340) 및 GPS 센서(345)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그밖에 제어부(31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또는 모바일 단말(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또는 모바일 단말(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300)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위치정보 획득부(315)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GPS 센서(345)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GPS 센서(345)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밖에,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GPS 센서(345)가 아닌 다른 센서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통신부(325)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통신부(325)를 구성하는 Wi-Fi 모듈(미도시)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위치정보 획득부(315)는 통신부(325)를 구성하는 블루투스 모듈(미도시)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연속적으로 GPS 정보를 획득하고, 연속적으로 획득한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들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10)는 연속적으로 소정의 개수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GPS 정보를 기초로 GPS 정보가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때, 이용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연속적으로 소정의 개수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연속적으로 획득된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들 간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내인 경우, 해당 GPS 정보가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때 이용가능한 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연속적으로 3개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들을 이어서 만들어진 삼각형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또는 삼각형의 변들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인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의 길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해당 GPS 정보가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때 이용가능한 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모바일 단말(300)의 GPS 정보에 조작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 조작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는 GPS 조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고용주는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GPS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GPS 조작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 (320)는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서버로 모바일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 및/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는 모바일 단말(300)이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에 미리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직장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는 모바일 단말(300)이 현재 모바일 단말의 위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직장의 위치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직장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30)에 저장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300)이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특정범위 내에 위치하는 직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직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직장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직장에 대한 위치정보가 존재한다면, 모바일 단말(300)이 해당 직장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300)의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직장에 대한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출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5)는 출근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부(33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출근 신청함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로 모바일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근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출근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된 경우, 외근 또는 퇴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외근 또는 퇴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현재 시간이 소정의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퇴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범위는 일반적인 퇴근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부터 퇴근 시간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이외의 범위의 경우, 외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범위는 사용자 입력부(335)으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업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업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적어도 하나의 기업에 대한 추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5)는 기업 추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부(33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기업을 방문함을 나타낼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로 모바일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업 방문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거래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거래처 방문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5)는 거래처 방문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거래처를 방문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부(33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로 모바일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거래처 방문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거래처 방문 정보를 기초로 서버로부터 거래처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335)는 거래처 방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부(33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서버로 거래처 계약 관련 정보를 요청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거래처 계약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서버로부터 거래처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모바일 단말(300)이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식대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5)는 식대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부(33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서버로 모바일 단말(30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대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전송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실시간 급여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실시간 급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고, 급여 이체 신청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부(33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실시간 급여 정보를 기초로 서버로 급여 이체 신청을 전송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서버로부터 급여 이체 신청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25)를 제어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부(320)는 급여 이체 신청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S4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4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서버로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S430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435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저장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에서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S450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S45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6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이 서버에 등록된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46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이 직장에 접근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출근 또는 외근복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직장(500)에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GPS 위성(515)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가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10)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출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출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근 정보는 모바일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출근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범위(51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통해 설정하거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근무 도중에 담배를 피우러 가거나 편의점에 가는 등의 범위(510)를 벗어나는 행위를 수행하였다가, 다시 직장(500)에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그날 출근 정보를 그 전에 입력한 경우라면, 모바일 단말(300)은 현재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10) 내에 위치하는지를 더 이상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외근 신청을 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300)은 현재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10)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외근복귀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외근복귀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300)은 회사차에 달린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어 통신을 하다가 회사차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되거나,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세기보다 작아지는 경우, 회사차로부터 멀어졌다고 판단하고, 이때, 모바일 단말(300)이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 신호를 기초로 판단한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가 범위(510) 내인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외근복귀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외근복귀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300)은 와이파이 모듈을 이용하여 직장(500) 내 소정의 AP와 연결되고, 현재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10)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출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출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300)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예를 들어, NFC 모듈)을 이용하여 연결되거나,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현재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직장(500) 근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은 GPS 신호와 협력하여, 모바일 단말의 현재 위치가 직장(500) 근처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이 직장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퇴근 또는 외근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직장(500)을 벗어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GPS 위성(515)로부터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현재 모바일 단말(300)이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20)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퇴근하시겠습니까?"또는 "외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퇴근 또는 외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퇴근 또는 외근 정보는 모바일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퇴근 시간 또는 외근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근 정보는 외근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범위(520)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통해 설정하거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도 5a의 범위(510)과 상이할 수 있다. 범위(510)는 범위(520)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범위(510)는 범위(520)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근무 도중에 담배를 피우러 가거나, 점심을 먹으러 가거나, 편의점에 가는 등의 범위(510)를 벗어나는 행위를 수행하였다가, 다시 직장(500)에 들어올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범위(520)의 크기를 넓게 설정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의 위치가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20)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300)은 현재 시간이 점심 시간인 경우,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가 직장(5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520)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외근을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직장(500) 근처에 주차된 회사차에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은 회사차에 달린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고, 모바일 단말(300)이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 신호를 기초로 판단한 현재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범위(520)를 벗어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외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외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300)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예를 들어, NFC 모듈)을 이용하여 연결되거나,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사용자가 회사차에 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은 GPS 신호와 협력하여, 직장(500)을 벗어나, 외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통상적인 퇴근 시간 전후로 범위(520)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한다고 판단하고, "퇴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300)은 퇴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통상적인 퇴근 시간이 아닌 시간에 범위(520)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외근한다고 판단하고,"외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300)은 외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300)을 이용하여 외근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모바일 단말(300)은 외근 위치에 관한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단말이 식당에 접근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식당(600)에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GPS 위성(615)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가 식당(6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610)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식사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300)은 식대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대 정보는 모바일 단말(300)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식사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대 정보는 사용자가 어떤 음식을 먹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떤 음식을 먹는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기기의 정보 또는 통신 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 모듈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통상적인 점심 시간 또는 저녁 시간 전후로 범위(6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점심 또는 저녁을 먹는다고 판단하고, "식사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300)은 식대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하여 거래처에 방문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거래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거래처(700) 근처에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GPS 위성(715)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가 거래처(700)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범위(710)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판단한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거래처에 방문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300)은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300)은 외근 신청한 경우, 외근 신청에 의해 등록된 정보에 포함된 외근지의 위치정보가 현재 거래처(700)의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300)에 "거래처에 방문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모바일 단말(300)은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전에 등록된 거래처와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사용자에게 거래처와의 계약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300)은 회사차에 달린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어 통신을 하다가 회사차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되거나,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세기보다 작아지는 경우, 회사차로부터 멀어졌다고 판단하고, 이때, 모바일 단말(300)이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 신호를 기초로 판단한 현재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범위(710) 내인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거래처 방문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거래처(700)의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GPS 신호를 기초로 판단한 현재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가 범위(710)를 벗어나는 경우, "퇴근하시겠니까?"또는 "거래처를 떠나, 회사로 복귀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여, 퇴근 정보 또는 거래처 방문 종료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통상적인 퇴근 시간 전후로 범위(710)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한다고 판단하고, "퇴근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300)은 퇴근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여 통상적인 퇴근 시간이 아닌 시간에 범위(710)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거래처를 떠나 회사로 복귀한다고 판단하고, "거래처를 떠나, 회사로 복귀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300)은 거래처 방문 종료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휴대하여 영업활동 장소 근처에 방문하는 경우,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로부터 주변 기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휴대하고 영업 장소에 접근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주기적으로 GPS 위성(715)로부터 모바일 단말에 대한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를 기초로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모바일 단말(300)의 현재 위치가 영업 장소 근처에 위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GPS 신호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외근 신청한 경우, 외근 신청에 의해 등록된 정보에 포함된 외근지의 위치정보가 현재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300)은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주변 기업에 대한 정보 요청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서버에 등록된 기업(755, 760) 중 모바일 단말(3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750) 내에 위치하는 주변 기업(755)의 정보를 생성하고, 주변 기업(755)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주변 기업(755)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주변 기업(755) 중 하나의 기업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300)은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거래처 방문 신청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된 주변 기업(755)의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에 실시간 급여 확인을 요청하여 급여 정보를 수신하고, 급여 이체를 신청하여 급여 이체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80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기초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실시간 급여 정보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S81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300)은 실시간 급여 정보를 기초로 급여 이체 신청을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급여 이체 신청을 기초로급여 이체를 수행하고, 이체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S825 단계에서,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200)는 급여 이체 결과를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고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버가 근태 및 식대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관리 시스템 구축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고용주 및 피고용자에게 모두 번거롭지 않으면서, 근태 및 식대를 효율적이고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서버에 저장된 주변 기업 정보, 거래처 계약 관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업 대상 기업 및 거래처의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영업사원)가 영업활동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13)

  1.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가 이용가능한 위치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를 이어서 만들어진 삼각형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인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의 길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는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라고 판단되고,
    상기 소정의 범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근무 도중의 범위는 출근 전 범위보다 넓게 설정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1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외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2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태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근태 이벤트 타입 및 이벤트 발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대 정보는 모바일 단말 또는 사용자의 식별자 및 식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출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출근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직장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외근 또는 퇴근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외근 또는 퇴근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출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업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업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기업 추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기업 추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기업 방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거래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거래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거래처 방문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거래처 방문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거래처 방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처의 계약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처의 계약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서버에 등록된 식당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식대 신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식대 신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실시간 급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급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로 급여 이체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급여 이체 신청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급여 이체 신청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
  9.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한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를 이어서 만들어진 삼각형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인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의 길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는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라고 판단되고,
    상기 소정의 범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근무 도중의 범위는 출근 전 범위보다 넓게 설정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1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외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2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실시간 급여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실시간 급여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급여 이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급여 이체 신청을 기초로 급여를 상기 사용자의 소정의 계좌로 이체하고, 상기 급여 이체 신청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11.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가 이용가능한 위치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를 이어서 만들어진 삼각형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인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의 길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는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라고 판단되고,
    상기 소정의 범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근무 도중의 범위는 출근 전 범위보다 넓게 설정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1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외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2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1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등록된 소정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는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를 이어서 만들어진 삼각형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인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의 길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는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라고 판단되고,
    상기 소정의 범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근무 도중의 범위는 출근 전 범위보다 넓게 설정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1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외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2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서버.
  13. 모바일 단말의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협력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가 이용가능한 위치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거나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서버가 사용자의 근태 또는 식대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근태 정보 또는 식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는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모바일 단말에 대한 3개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위치를 이어서 만들어진 삼각형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인 경우, 및/또는, 삼각형의 변들의 길이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획득된 3개의 GPS 정보는 이용가능한 위치정보라고 판단되고,
    상기 소정의 범위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근무 도중의 범위는 출근 전 범위보다 넓게 설정되고,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1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외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현재 시간이 소정의 제 2 시간 범위 내이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퇴근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52599A 2019-11-25 2019-11-25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KR10237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99A KR102370660B1 (ko) 2019-11-25 2019-11-25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99A KR102370660B1 (ko) 2019-11-25 2019-11-25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20A KR20210063920A (ko) 2021-06-02
KR102370660B1 true KR102370660B1 (ko) 2022-03-07

Family

ID=7637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599A KR102370660B1 (ko) 2019-11-25 2019-11-25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155B1 (ko) * 2022-04-20 2024-03-07 서성현 비대면 연대 사내 식당 운영 방법
KR102647408B1 (ko) * 2023-10-27 2024-03-13 주식회사 잡위드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5102A (ja) * 2000-06-30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業務管理システム
JP2013077289A (ja) * 2011-09-16 2013-04-25 Fanatic Computers Inc 電子食券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204A (ko) * 2009-12-14 2011-06-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출장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30039197A (ko) * 2011-10-11 2013-04-19 (주)살구넷 위치기반 외근 관리 시스템
KR101897966B1 (ko) * 2016-10-28 2018-09-12 주식회사 디지텔라 비콘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KR20180110685A (ko) * 2017-01-25 2018-10-11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5102A (ja) * 2000-06-30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業務管理システム
JP2013077289A (ja) * 2011-09-16 2013-04-25 Fanatic Computers Inc 電子食券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20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2708A1 (en) Integrated multi-location scheduling, routing, and task management
US20220165104A1 (en) Securitized and encrypted data for vehicle service concierge (sc) devices and systems that provide and predict improved operations and outcomes
US116256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user behavior based on location data
US8706656B1 (en) Multi-label modeling using a plurality of classifiers
US201202595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orkforce management
US11543250B2 (en) Securitized and encrypted data for vehicle service scheduling and dispatch devices (SSDD) and systems that provide improved operations and outcomes
KR102370660B1 (ko)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US20150142489A1 (en) Optimizing onsite vendor business
US10902445B2 (en) Location evaluation
KR101856478B1 (ko) 인사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특정행위 발생 예측방법 및 예측프로그램
KR101914620B1 (ko) 빅데이터 및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동 분개 수행 방법 및 이를 실현하는 서버
KR102344383B1 (ko) 인공지능 기반 매장 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
US20170220957A1 (en) Restaurant reservation and tab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3300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vel Recommendations
KR20200011109A (ko) 인공지능 기반 자동매칭을 통하여 당사자의 정보 쌍방교환 및 매칭거부를 제로화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30028A (ko) 시간 급여 구인 구직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US11816742B2 (en) Intelligent data gathering
US94120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ily task optimization
KR102067782B1 (ko) 예약부도 및 예약이행의 확률통계 기반 예약부도 가능성 예측을 이용한 예약부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1536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aggregation and predictive modeling
US20210065220A1 (en) Exchange platform activity prediction
US20180146330A1 (en) Context-aware checklists
KR20170132375A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업체 추천 방법 및 장치
Mohammedali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Graph Database Techniques “
US20230101734A1 (en) Machine learning model to fill gaps in adaptive rate shif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