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685A -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685A
KR20180110685A KR1020170011984A KR20170011984A KR20180110685A KR 20180110685 A KR20180110685 A KR 20180110685A KR 1020170011984 A KR1020170011984 A KR 1020170011984A KR 20170011984 A KR20170011984 A KR 20170011984A KR 20180110685 A KR20180110685 A KR 2018011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ignal
jamming
antennas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성호
허창목
최의선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1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685A/ko
Publication of KR2018011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3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 H04K2203/3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includ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of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에 전달하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 발생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제한 구역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하고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제한에 위배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공공장소, 예컨대, 극장, 공연장, 교통수단, 기내 등에서 휴대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은 타인에게 불편을 초래하므로 그 사용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기내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은 전자장비에 예기치 못한 오동작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서 운행안전상의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엄격이 제한되는 보안이 필요한 장소 예컨대, 시험장, 군사시설 진입, 비밀유지가 필요한 견학 혹은 회의 등에서도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으나, 개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무단사용을 완전히 근절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기술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강제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일정구역에 들어서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사용을 제한하는 특정코드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특허도 존재한다.
한편, VIP 경호시 등과 같이 안전 및 보안을 위하여 주변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이 필요한 경우 전파를 차단하는 재밍(Jamming)신호를 발생하여 일정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 사용을 원천적으로 제한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하지만, 재밍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필요한 상황이 존재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장소에서 모든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Off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온(On)되어 있는 단말기가 있다면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94926호, 2004년 11월 12일 공개(명칭: 자동차의 휴대폰 사용 금지 제어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6022호, 2011년 10월 24일 공개(명칭: 무선 통신 또는 방송 시스템에서의 간섭 검출, 특성 평가 및 위치 확인) 한국등록특허 제0-1404454호, 2014년 5월 30일 공개(명칭: 잡음 신호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 교란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가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고, 재밍상태 후 상기 휴대단말기가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에 전달하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 발생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방법에 있어서, 제어서버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복수개의 안테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가 상기 재밍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휴대단말기에 재밍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밍신호를 수신한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 기지국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여 기지국을 서치하고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의 수신부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에서 상기 안테나의 수신부에서 감지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밍상태 후의 신호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중인 휴대단말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중인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가 발생하는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지국 접속시도를 위하여 발생하는 신호 혹은 기지국 접속시도를 위하여 발생하는 발열이다.
그리고 상기 측위단계는, 상기 제어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에서 측정된 신호세기를 통한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제한 구역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가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 중계기 등을 통하여 음성 혹은 데이터 형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정보통신 기기로서, 주로 휴대폰, 스마트폰일 것이나, 그 외 무선통신기능이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멀티미디어 단말기,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등의 정보통신 기기일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 중계기 등에 연결되어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데, 네트워크는 대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일 것이나,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공공 통신 네트워크(Global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인트라넷 또는 그 명칭 여부에 불구하고 향후 구현될 어떠한 형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안테나(200, 200a, 200b, 200c)는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고, 아울러 휴대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해당 휴대단말기(100)가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안테나(200a, 200b, 200c)가 발생하는 재밍(Jamming)신호는 라디오교신, 무선항법 등을 방해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간섭을 일컬으며, '전파방해'를 의미한다.
도 1에서는 안테나(200)를 200a, 200b, 200c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세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안테나(200)를 통한 삼각측량법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해서는 최소 세 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세개 이상인 경우 측위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잇다.
제어서버(30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복수 개의 안테나(200)에 전달하며, 복수 개의 안테나(200)에서 측정한 휴대단말기(100)의 신호를 전달받으면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제어서버(3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재밍신호송신부(210)는 휴대단말기(100)의 수신기를 특정 주파수의 잡음으로 포화시켜 수신을 방해하는데, 가변 빔폭을 가진 진폭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의 불규칙적인 신호를 송신하며, 송신출력은 재밍대상 구역의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재밍신호송신부(210)로부터 재밍신호를 받은 휴대단말기(100)는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해지며, 기지국 등의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해진 통신루틴에 따라서 휴대단말기(100)의 송신부(Tx)에서는 지속적으로 통신을 시도하게 된다.
신호감지부(220)는 재밍의 영향을 받은 휴대단말기(100)의 송신부(Tx)에서 시도하는 통신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재밍상태 후, 휴대단말기(100)가 지속적으로 송신을 시도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열감지부(230)에서는 이러한 열의 발생 및 변화를 감지하여 전원이 켜져있는 휴대단말기(100)를 확인할 수 있다.
재밍신호송신부(210)는 안테나(200)의 송신부(Tx)를 구성하며, 신호감지부(220) 및 열감지부(230)는 안테나(200)의 수신부(Rx)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재밍신호송신부(210), 신호감지부(220) 및 열감지부(230)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안테나(200)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독자적인 안테나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재밍신호발생부(310)는 휴대단말기(100)의 주파수에 따른 연속파(Continuous ware) 혹은 펄스형태의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교란한다.
위치측위부(320)는 복수의 안테나(200)의 신호감지부(220)나 열감지부(230)에서 측정된 전파 신호 세기 혹은 열을 조합 및 계산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위한다. 위치측위는 GPS측위, 네트워크기반(Network Based) 방식, 혼합(Hybrid) 방식, 실내측위 기술 등의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의 위치가 GPS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의 특정 구역인 경우나 측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에 의한 측위가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위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삼각측량기법을 예시하였다.
삼각측량 혹은 삼변측량은 삼각형 기하학을 사용하여 물체의 상대 위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삼각측량은 하나의 변의 길이와, 양 끝의 두 각을 이용하고, 삼변측량은 목표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기준점과, 물체와 각 기준점과의 거리를 이용한다. 삼변측량만으로 2차원 면에서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고 유일하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기준점이 필요하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준점 P1, P2, P3(즉, 안테나(200a, 200b, 200c))의 위치는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D까지의 거리를 알면 삼각형 3개의 3변의 길이로 D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에러를 줄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어서버(300)에서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제한하는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안테나(200)에 전달하면(S501), 복수의 안테나(200)의 송신부에서는 주변의 휴대단말기(100)에 통신을 방해하는 재밍신호를 송신한다(S503).
재밍신호를 수신한 휴대단말기(100)는 통신방해 상태에서 정상적인 기지국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여 재밍상태 후, 지속적으로 기지국을 서치하고 통신을 시도한다(S505). 이 과정에서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을 서치하여 접속시도하는 송신신호를 발생하고 또한 지속적인 접속시도로 인하여 열이 발행한다(S507).
안테나(200)의 수신부에서는 휴대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송신신호 혹은 열을 감지하여 제어서버(300)에 전달한다(S511).
제어서버(300)에서는 안테나(200)의 수신부에서 감지한 휴대단말기(100)의 송신신호 혹은 열의 값을 근거로 재밍반경에서 전원이 켜져있는 휴대단말기(100) 존재를 확인하고 사용중인 휴대단말기(100)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 등으로 사용중인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위한다(S513).
도 5에서는 단계 S501 내지 단계 S513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501 내지 단계 S513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제한 구역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하고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휴대단말기 200a, 200b, 200c: 안테나
210: 재밍신호송신부 220: 신호감지부
230: 열감지부 300: 제어서버
310: 재밍신호발생부 320: 위치측위부

Claims (10)

  1.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고, 재밍상태 후 발생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에 전달하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에 발생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재밍상태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세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는,
    상기 제어서버가 발생하는 재밍신호를 받아서 상기 휴대단말기로 송신하는 재밍신호 송신부; 및
    재밍상태 후, 상기 휴대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을 시도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는,
    상기 재밍상태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지국 접속시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에 전달하는 재밍신호발생부;
    재밍상태 후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측위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부는,
    3개 이상의 복수 개의 안테나에서 측정된 신호세기를 통한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8.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방법에 있어서,
    제어서버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복수 개의 안테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가 상기 재밍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의 휴대단말기에 재밍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밍신호를 수신한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 기지국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여 기지국을 서치하고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의 수신부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 후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에서 상기 안테나의 수신부에서 감지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밍상태 후의 신호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사용중인 휴대단말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중인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발생하는 신호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지국 접속시도를 위하여 발생하는 신호 혹은 기지국 접속시도를 위하여 발생하는 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방법.
KR1020170011984A 2017-01-25 2017-01-25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0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84A KR20180110685A (ko) 2017-01-25 2017-01-25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84A KR20180110685A (ko) 2017-01-25 2017-01-25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685A true KR20180110685A (ko) 2018-10-11

Family

ID=638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984A KR20180110685A (ko) 2017-01-25 2017-01-25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06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920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메이커빌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920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메이커빌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방법,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서버 및 근태, 식대 및 고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7963B (zh) 基于无线节点的网络进行的定位
US9699618B2 (en) Determining location based on both a detected location and a predicted location
KR101561370B1 (ko) 안티-스푸핑 검출 시스템
EP35561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contraband devices in a secure environment
US20070288995A1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authenticating based on measured distance and exchanged identifier
US20200228924A1 (en) Localization of a mobile device
KR101121907B1 (ko)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380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wlan terminal
WO2012007151A1 (en) Method for location
CN104507082A (zh) 一种基于哈希双向认证的无线传感网络定位安全方法
Perazzo et al. Secure position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hrough enlargement miscontrol detection
CN104981012A (zh) 一种基于多个现有通信网络的室内定位系统
US9696421B2 (en) Through wall sensing system using WiFi/cellular radar
Pelechrinis et al. Jammer localization in wireless networks: An experimentation-driven approach
KR20180110685A (ko)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H0480353B2 (ko)
US20170094460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2249544B1 (ko)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KR20130001593A (ko)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JP2018061157A (ja) 携帯機照合システム
Tang et al. Study of portable infrastructure-free cell phone detector for disaster relief
Hancke Security of embedded location systems
CN107612879B (zh) 基于WiFi安全通信的穿墙雷达远程协助系统及方法
Zhu et al. A location-determination application in wirelesshart
JP2016134885A (ja) 使用制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