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49B1 -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49B1
KR102370149B1 KR1020200036662A KR20200036662A KR102370149B1 KR 102370149 B1 KR102370149 B1 KR 102370149B1 KR 1020200036662 A KR1020200036662 A KR 1020200036662A KR 20200036662 A KR20200036662 A KR 20200036662A KR 102370149 B1 KR102370149 B1 KR 10237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ensing
smart watch
bio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233A (ko
Inventor
이정진
박승희
박준혁
정단비
안담하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커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커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커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04B47/063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measuring physiological quantities, e.g. pedometers, heart-rate sensors, blood pressure gauges and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ard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에 따르면,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에 연계 저장하고,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M(M≥1)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 중 m(1≤m≤M)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고,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 중 N(1≤N≤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N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N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고,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n(1≤n≤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n'(1≤n'≤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Method for Recommending Goods by Using Smart Watch}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워치를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센싱된 센싱정보(맥박, 체온, 호흡수 등)를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가 현재 조회 중인 상품 중, 신체 반응이 가장 큰 상품을 확인하여 추천하도록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쇼핑몰 등이 많이 등장하였다. 온라인에서의 쇼핑은 오프라인 상의 쇼핑과는 달리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주며, 판매자에게는 오프라인 상의 상점을 열지 않아도, 입지 좋은 상권에 위치하지 않아도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최근 웨어러블 컴퓨터가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워치는 가장 보편화된 웨어러블 컴퓨터의 하나로 사용자의 손목에 시계 형태로 착용하게 된다.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거나 직접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오는 간단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예컨대, 위치, 심박, 운동 상태 등)를 측정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쇼핑과 관련하여 스마트워치에 대한 활용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며, 스마트워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는 센싱정보와 사용자의 쇼핑정보를 매칭 활용하여 스마트워치에 대한 쇼핑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M(M≥1)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 중 m(1≤m≤M)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는 제4 단계와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 중 N(1≤N≤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N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N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n(1≤n≤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와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n'(1≤n'≤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는 제7 단계와 상기 결정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은,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M(M≥1)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 중 m(1≤m≤M)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는 제4 단계와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 중 N(1≤N≤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N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N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n(1≤n≤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와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n'(1≤n'≤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는 제7 단계와 상기 결정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반응한 맥박 센싱정보, 체온 센싱정보, 호흡수 센싱정보, 산소포화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효 동작 상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중인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구동된 센싱 앱이 구동된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자 스마트워치가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 가능한 상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식별정보를 통해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지정된 날씨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기온, 습도, 바람, 구름량, 강수여부, 강수량, 강설여부, 강설량, 태양 자외선세기, 오존지수, 미세먼지량, 초미세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의 날씨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날씨정보를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의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 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날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중 상기 날씨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관련 환경 요소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을 보정하여 상기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는,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유사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연계된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연계된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의 쇼핑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워치의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집중하고 관심있어 하는 상품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과,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 상품이나 관련된 추천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쇼핑몰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식별정보와 고유연동정보를 관리DB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정보를 수집하고 동기화 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쇼핑몰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스마트워치를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센싱된 센싱정보(맥박, 체온, 호흡수 등)를 이용하여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가 현재 조회 중인 상품 중, 신체 반응이 가장 큰 상품을 확인하여 추천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쇼핑몰을 운영(또는 연동)하는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며,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센싱 앱(160)이 설치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를 착용한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165)과,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150)에 연계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확인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저장된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확인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는 기능과, 상기 결정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는 기능과, 상기 확인된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는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연동하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가 착용하며,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반응한 맥박 센싱정보, 체온 센싱정보, 호흡수 센싱정보, 산소포화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센서부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비단 손목에 착용하는 워치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는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기능과, 상기 센싱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기능과,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지정된 코드생성서버(별도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제공받는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65)의 앱을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기능과, 접속한 무선망을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를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과, 지정된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기능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센싱 앱(Application)(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를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설치된 센싱 앱(160)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165)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며, 상기 스마트워치(155)를 착용하거나 소지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을 통해 센싱된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 장치의 총칭으로서, 유선망에 연결된 컴퓨터, 노트북 등의 유선단말과, 무선망에 연결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165)은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통신수단에 대한 통신수단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으로 제공된 인증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과,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운영서버(100)가 연동하는 경로를 경유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와 상기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사운드 입력부나 사용자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기능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앱(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의 구성은 웹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165)을 주체로 하여 설명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165)에 설치된 프로그램(또는 앱)이나 웹 방식을 통해 구현되는 것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식별정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기 위한 고유연동정보, 상품정보 컨텐츠 제공을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식별정보 확인부(110)와,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는 연동정보 확인부(115)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는 연동 처리부(120)와,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동기화 저장부(125)와,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센싱정보 확인부(130)와,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는 센싱정보 결정부(135)와,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1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는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100)를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150)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된 경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경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는 경로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가 접속한 무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수단은 사용자 무선단말,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앱, 사용자 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수단정보는 이동통신망(예컨대, SMS 발송하는 이동통신망(전화망))을 경유하여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전화번호정보,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데이터망)과 무선랜 등의 통칭)을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 알림하기 위한 푸시식별정보, 무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앱(160)으로 푸시 알림하기 위한 푸시식별정보, 사용자 메일로 메일을 발송하기 위하 메일주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했는데,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계된 스마트워치(155)에 표시된다면, 이것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 알림'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 알림'은 스마트워치에 LTE모듈이 탑재되어 스마트워치(155)가 직접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망을 경유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앱(160)으로 직접 푸시 알림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지문이나 홍채 같은 생체정보와 다르게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센싱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반응한 맥박 센싱정보, 체온 센싱정보, 호흡수 센싱정보, 산소포화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등록받아 관리DB(150)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를 등록받은 후, 상기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 시도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 성공한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고유연동정보를 관리DB(150)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web) 방식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유선단말, 사용자 무선단말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앱(app)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를 등록받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통신수단에 대한 통신수단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시켜 관리DB(1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수단정보는 사용자식별정보를 등록받는 중 또는 후의 어느 과정에서든 등록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고유연동정보를 등록받은 경우,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코드생성서버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으로 상기 인증코드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아 수신하여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10)는 상기 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가 관리DB(150)에 연계 저장된 이후,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M(M≥1)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동정보 확인부(115)는 상기 식별정보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 중 m(1≤m≤M)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동 처리부(120)는 상기 연동정보 확인부(115)를 통해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효 동작 상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중인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동된 센싱 앱(160)이 구동된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자 스마트워치(155)가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 가능한 상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저장부(125)는 상기 연동 처리부(120)를 통해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 중 N(1≤N≤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N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N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 저장부(125)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식별정보를 통해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저장부(125)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위치측위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근거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확인된 접속 지역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기화 저장부(125)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날씨서버(별도 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155)치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기온, 습도, 바람, 구름량, 강수여부, 강수량, 강설여부, 강설량, 태양 자외선세기, 오존지수, 미세먼지량, 초미세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의 날씨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날씨정보를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기화 저장부(125)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사운드 입력부나 사용자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사운드정보를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정보는 소음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음악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대화 상태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텔레비전 출력 사운드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동기화 저장부(125)를 통해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한 이후, 상기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n(1≤n≤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의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 결정부(135)는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를 통해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확인된 이후,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n'(1≤n'≤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정보 결정부(135)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 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날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중 상기 날씨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관련 환경 요소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을 보정하여 상기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정보 결정부(135)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 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사운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중 상기 사운드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관련 환경 요소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을 보정하여 상기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부(140)는 상기 센싱정보 결정부(135)를 통해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결정된 이후, 상기 결정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는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유사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연계된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연계된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식별정보와 고유연동정보를 관리DB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등록받아 관리DB(150)에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를 등록받고(205), 상기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 시도한다(210).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고유연동정보를 등록받은 경우,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코드생성서버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으로 상기 인증코드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아 수신하여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된 경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경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는 경로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가 접속한 무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지문이나 홍채 같은 생체정보와 다르게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센싱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반응한 맥박 센싱정보, 체온 센싱정보, 호흡수 센싱정보, 산소포화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에 성공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고유연동정보를 관리DB(150)에 연계 저장한다(215).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web) 방식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유선단말, 사용자 무선단말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앱(app)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통신수단에 대한 통신수단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시켜 관리DB(150)에 저장한다(220). 여기서 상기 통신수단정보는 사용자식별정보를 등록받는 중 또는 후의 어느 과정에서든 등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수단은 사용자 무선단말,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앱, 사용자 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정보는 이동통신망(예컨대, SMS 발송하는 이동통신망(전화망))을 경유하여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전화번호정보, 무선망(예컨대, 이동통신망(데이터망)과 무선랜 등의 통칭)을 경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 알림하기 위한 푸시식별정보, 무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앱(160)으로 푸시 알림하기 위한 푸시식별정보, 사용자 메일로 메일을 발송하기 위하 메일주소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했는데,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계된 스마트워치(155)에 표시된다면, 이것은 '사용자 무선단말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 알림'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앱으로 푸시 알림'은 스마트워치에 LTE모듈이 탑재되어 스마트워치(155)가 직접 무선망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망을 경유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지정된 앱(160)으로 직접 푸시 알림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정보를 수집하고 동기화 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식별정보와 고유연동정보를 관리DB에 저장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가 관리DB(150)에 연계 저장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M(M≥1)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상기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 중 m(1≤m≤M)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한다(305).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을 시도한다(310).
여기서, 상기 유효 동작 상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중인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에 구동된 센싱 앱(160)이 구동된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자 스마트워치(155)가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 가능한 상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 중 N(1≤N≤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쇼핑몰을 통해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한다(31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N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N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고(320), 상기 수집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한다(3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식별정보를 통해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위치측위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근거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확인된 접속 지역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과 연결된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날씨서버(별도 도시하지 않음)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155)치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기온, 습도, 바람, 구름량, 강수여부, 강수량, 강설여부, 강설량, 태양 자외선세기, 오존지수, 미세먼지량, 초미세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의 날씨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날씨정보를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160)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사운드 입력부나 사용자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사운드정보를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정보는 소음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음악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대화 상태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텔레비전 출력 사운드에 대응하는 사운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155)의 센싱 앱으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정보를 수집하고 동기화 하여 저장된 이후, 기 저장된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n(1≤n≤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한다(405).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의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확인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한다(41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n'(1≤n'≤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한다(415).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 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날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중 상기 날씨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관련 환경 요소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을 보정하여 상기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 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사운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중 상기 사운드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관련 환경 요소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을 보정하여 상기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결정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한다(42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425), 상기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한다(430).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는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유사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연계된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연계된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식별정보 확인부 115 : 연동정보 확인부
120 : 연동 처리부 125 : 동기화 저장부
130 : 센싱정보 확인부 135 : 센싱정보 결정부
140 : 컨텐츠 제공부 145 : 저장매체
150 : 관리DB 155 : 사용자 스마트워치
160 : 센싱 앱 165 : 사용자 단말

Claims (9)

  1.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지정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하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연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연동정보와,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지정된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정보를 관리DB에 연계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쇼핑몰에 접속 중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M(M≥1)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M개의 사용자식별정보 중 m(1≤m≤M)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m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지 연동 시도하는 제4 단계;
    상기 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 중 N(1≤N≤m)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쇼핑몰을 통해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N개의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N개의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N개의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제5 단계;
    상기 쇼핑몰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가 수집 저장된 후 접속 종료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접속 종료한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 중 상기 쇼핑몰의 상품정보 노출 이력을 포함하는 n(1≤n≤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n명의 사용자 별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확인하는 제6 단계;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도가 기 설정된 생체 반응 범위에 포함되거나 상기 생성된 생체 반응 패턴이 기 설정된 반응 패턴과 허용 범위 내 매칭된 n'(1≤n'≤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결정하는 제7 단계;
    상기 결정된 n'명의 사용자 별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확인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확인된 n'명의 사용자 별 유효 반응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 컨텐츠를 추출(또는 생성)하고, 상기 n'개의 통신수단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는,
    신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 외부 자극에 반응한 맥박 센싱정보, 체온 센싱정보, 호흡수 센싱정보, 산소포화도 센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동작 상태는,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 중인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에 구동된 센싱 앱이 구동된 상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사용자의 신체에 사용자 스마트워치가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사용자의 생체 반응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센싱 가능한 상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식별정보를 통해 쇼핑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가 허용 범위 내 매칭된 경우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쇼핑몰 이용 이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와 연계된 고유연동정보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센싱한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이 유효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센싱 앱과 연동하거나 상기 유효 동작 상태인 사용자 스마트워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지정된 날씨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스마트워치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의 기온, 습도, 바람, 구름량, 강수여부, 강수량, 강설여부, 강설량, 태양 자외선세기, 오존지수, 미세먼지량, 초미세먼지량 중 적어도 하나의 날씨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날씨정보를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지정된 시간 구간 별로 동기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 시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와 동기화 저장된 날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생체 반응 센싱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반응 중 상기 날씨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관련 환경 요소에 대응하는 생체 반응을 보정하여 상기 생체 반응도 또는 생체 반응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컨텐츠는,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유사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의 카테고리와 연계된 카테고리에 속한 다른 상품정보,
    사용자의 유효 반응 상품정보와 연계된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KR1020200036662A 2020-03-26 2020-03-26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KR10237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62A KR102370149B1 (ko) 2020-03-26 2020-03-26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62A KR102370149B1 (ko) 2020-03-26 2020-03-26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33A KR20210120233A (ko) 2021-10-07
KR102370149B1 true KR102370149B1 (ko) 2022-03-07

Family

ID=7860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62A KR102370149B1 (ko) 2020-03-26 2020-03-26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916B1 (ko) 2022-04-06 2023-01-31 주식회사 퍼플코퍼레이션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쇼핑 선호도 측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6463B1 (ko) 2022-12-15 2023-04-28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추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44248A1 (en) * 2012-01-05 2019-08-0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Wearable Intelligent Vision Devic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791A (ko) * 2010-01-27 2011-08-03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반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
US20180012283A1 (en) * 2016-07-06 2018-01-11 Ebay Inc. Sensor 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44248A1 (en) * 2012-01-05 2019-08-08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Wearable Intelligent Vision Devic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916B1 (ko) 2022-04-06 2023-01-31 주식회사 퍼플코퍼레이션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쇼핑 선호도 측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6463B1 (ko) 2022-12-15 2023-04-28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추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33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3964B2 (en) Liveness detection
CN106030598B (zh) 用于移动装置的信任代理认证方法
US11323430B2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3994361A (zh) 利用智能移动设备的智能设备和机器人的个性化服务运营系统及方法
CN103415858B (zh) 移动应用条形码识别方法和系统
CN108696631A (zh) 用于提供与附件设备相对应的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20150035644A1 (en) Event management system
CN107077551A (zh) 基于传感器输入的可缩放验证过程选择
US20150222630A1 (en) Third application login metho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and terminal
KR102370149B1 (ko)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US9154573B2 (en) Information exchange apparatus, method and managing system applied thereto
CN104156651A (zh) 用于终端的访问控制方法和装置
EP40092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interoperability through the use of interconnected voice verification system
Choi et al.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scheme using BLE for high performance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CN112870703B (zh) 一种活动页面的显示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634990A (zh) 信息处理方法和系统、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119203A (ko) Nfc카드를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시스템의 로그인 방법
CA3121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creation and assertion
WO2019067585A1 (en) SECURE SERVICE PROVIDER TRANSACTION DETAILS
Chen et al. Touch-driven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space and cyberspace with NFC
US202001346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vice for payment in multiple electronic devices
KR20210100242A (ko) 웨어러블장치를 이용한 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KR20070033202A (ko) 가상 아이템을 이용한 판매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과가상 아이템 등록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 및 그 방법
WO2021097828A1 (zh) 数值转移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652760B1 (ko) 터치를 이용한 골프 스코어 카드의 디지털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