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891B1 - 스노우보드 데크 - Google Patents

스노우보드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891B1
KR102369891B1 KR1020210126753A KR20210126753A KR102369891B1 KR 102369891 B1 KR102369891 B1 KR 102369891B1 KR 1020210126753 A KR1020210126753 A KR 1020210126753A KR 20210126753 A KR20210126753 A KR 20210126753A KR 102369891 B1 KR102369891 B1 KR 10236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nowboard
boot
magnetic force
b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김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우 filed Critical 김상우
Priority to KR1020210126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91B1/ko
Priority to US17/899,945 priority patent/US11883734B2/en
Priority to JP2022139819A priority patent/JP2023047304A/ja
Priority to CN202211100103.6A priority patent/CN115845351A/zh
Priority to CA3174205A priority patent/CA3174205A1/en
Priority to EP22196399.4A priority patent/EP41549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05Snowboard bindings of the baseless type, i.e. without structural part under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A63C10/10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e.g. means to facilitate ste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12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28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on the bin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3Mono skis; Snow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17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with fins or longitudinal protrusions on the running 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22Longitudinal guiding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8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of the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9/00Ski bindings
    • A63C9/08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 A63C9/0802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other than mechanically controlled, e.g. electric, electronic, hydraulic, pneumatic, magnetic, pyrotechnic devices; Remot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9/00Ski bindings
    • A63C9/08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 A63C9/086Ski bindings yieldable or self-releasing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e. safety bindings using parts which are fixed on the shoe of the user and are releasable from the ski b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노우보드 데크로서,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 상기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 및 상기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노우보드 데크에 따르면,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와,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과,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더불어 방향 전환과 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양날의 에지 구조를 가진 데크 몸체의 바인더 홀에 네오디움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가 연결되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 몸체와 부츠의 분리로 부상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노우보드 데크에 따르면, 바인더 홀의 자기력으로 부츠와 데크의 탈부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바인딩과 달리 정밀한 조절 없이 부츠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나 여성들도 쉽게 부츠를 장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스노우보드 데크에 따르면, 기존의 스노우보드에 비해 데크 판재의 길이가 짧고, 자기력의 바인딩 체결 구조와 데크의 베이스와 이격된 형태로 에지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기존 하드한 형태의 부츠가 소프트하게 바뀔 수 있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도 쉽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으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가 안 되어서 부상의 위험이 많았던 기존 스노우보드의 단점을 보완하며, 익스트림한 활강의 기능과 함께 방향 전환이나 제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노우보드 데크{SNOWBOARD DECK}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더불어 방향 전환과 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양날의 에지 구조를 가진 데크 몸체의 바인더 홀에 네오디움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스노우보드 데크에 관한 것이다.
스노우보드는 스키에 비해 라이딩이 역동적이고, 고도의 테크닉을 구사할 수 있어 최근 젊은 층에서 각광받는 스포츠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인기 있는 스노우보드를 즐기기 위해서는 데크, 바인딩, 부츠 등의 장비가 필요한데, 데크는 측면에서 볼 때 크게 상부와 하부로 나뉘고, 특히 노면과 접촉되는 하부를 베이스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스노우보드의 몸체는 나무, 합성수지, 또는 나무와 합성수지를 병합하여 제작되며, 소재에 따라서 장단점이 있으나, 어떤 소재를 사용하든지 몸체의 베이스에 왁스를 발라서 수분에 대한 반발력을 증가시켜 스피드를 향상시킨다.
그런데 데크는 편평 형상이고, 방향 전환이나 라이딩을 정지하고자 할 때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에지(edge)가 형성되었다. 더불어, 기존 스노우보드는 베이스와 에지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동력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많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튜닝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라이더는 일반적으로 그의 발을 스노우보드의 길이 방향 축에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올라타는바, 스키와 마찬가지로 라이더는 특수한 부츠를 신는데, 이 부츠는 바인딩 메커니즘에 의하여 스노우보드에 고정됨이 일반적이다. 즉, 바인딩은 데크와 부츠를 고정시켜 활강 시 자유로운 발놀림을 방해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데크와 부츠의 체결 구조는 부상방지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바인딩이 설치된 스노우보드 데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례의 바인딩이 설치된 스노우보드 데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노우보드 데크(10)에는 알파인과 프리스타일 등의 스노우보딩의 종류에 따라 부츠를 고정하기 위한 하드 바인딩 혹은 소프트 바인딩과 같은 바인딩(20)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스노우보딩에 있어서 부츠와 바인딩(20) 간의 견고한 체결은 그 어느 것보다 중요하며, 부츠와 바인딩(20) 간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바인딩(20)들은 부츠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의 길이 조절이 필요하므로, 초보자 또는 어린아이나 여성들과 같은 라이더들이 쉽게 부츠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와,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과,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더불어 방향 전환과 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양날의 에지 구조를 가진 데크 몸체의 바인더 홀에 네오디움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가 연결되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 몸체와 부츠의 분리로 부상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인더 홀의 자기력으로 부츠와 데크의 탈부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바인딩과 달리 정밀한 조절 없이 부츠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나 여성들도 쉽게 부츠를 장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존의 스노우보드에 비해 데크 판재의 길이가 짧고, 자기력의 바인딩 체결 구조와 데크의 베이스와 이격된 형태로 에지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기존 하드한 형태의 부츠가 소프트하게 바뀔 수 있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도 쉽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으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가 안 되어서 부상의 위험이 많았던 기존 스노우보드의 단점을 보완하며, 익스트림한 활강의 기능과 함께 방향 전환이나 제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는,
스노우보드 데크로서,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
상기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 및
상기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크 몸체는,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 및
눈에 바로 닿는 면인 상기 라운딩 하부 베이스의 양 날에 형성되는 에지를 포함하되,
상기 에지는,
상기 라운딩 하부 베이스가 형성되는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지는,
상기 라운딩 하부 베이스의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 몸체의 방향 전환과 제동이 용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 홀은,
상기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하되,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철 돌기에 대응하여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 홀은,
상기 부츠의 철 돌기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여 부츠 당 5개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데크 몸체에 설치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석은,
상기 부츠에 형성되는 철 돌기와 자기력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츠는,
상기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철 돌기는 부츠에 스파이크처럼 개별 장착하거나, 또는 부츠의 밑창에 일체형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노우보드 데크는,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가 데크 몸체에 설치한 바인더 홀과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된 상태로 라이딩 중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되지 않아 발생하는 부상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스노우보드 데크에 따르면,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와,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과,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더불어 방향 전환과 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양날의 에지 구조를 가진 데크 몸체의 바인더 홀에 네오디움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가 연결되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 몸체와 부츠의 분리로 부상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노우보드 데크에 따르면, 바인더 홀의 자기력으로 부츠와 데크의 탈부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바인딩과 달리 정밀한 조절 없이 부츠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나 여성들도 쉽게 부츠를 장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스노우보드 데크에 따르면, 기존의 스노우보드에 비해 데크 판재의 길이가 짧고, 자기력의 바인딩 체결 구조와 데크의 베이스와 이격된 형태로 에지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기존 하드한 형태의 부츠가 소프트하게 바뀔 수 있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도 쉽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으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가 안 되어서 부상의 위험이 많았던 기존 스노우보드의 단점을 보완하며, 익스트림한 활강의 기능과 함께 방향 전환이나 제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인딩이 설치된 스노우보드 데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례의 바인딩이 설치된 스노우보드 데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개략적인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저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저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바인더 홀에 삽입되어 자기력으로 체결되는 부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바인더 홀에 삽입되어 자기력으로 체결되는 부츠의 저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데크 몸체와 바인더 홀 및 부츠의 전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개략적인 정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개략적인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100)는,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110)와, 데크 몸체(110)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121)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120)와, 바인더 홀(120)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121)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131)를 형성하는 부츠(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평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개략적인 저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다른 일례의 저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바인더 홀에 삽입되어 자기력으로 체결되는 부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바인더 홀에 삽입되어 자기력으로 체결되는 부츠의 저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의 데크 몸체와 바인더 홀 및 부츠의 전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데크 몸체(110)는,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구성이다. 이러한 데크 몸체(110)는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의 양 날에 형성되는 에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지(112)는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가 형성되는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에지(112)는 데크의 길이 방향으로 데크 양쪽에 길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에지(122)는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의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데크 몸체(110)의 방향 전환과 제동이 용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데크 몸체(110)에는 후술하게 될 바인딩 홀(120)이 설치될 수 있는 관통된 홀을 복수로 형성한다. 여기서, 데크 몸체(110)에 형성되는 관통된 홀들은 부츠(130)에 형성되는 철 돌기(131)에 대응하여 바인딩 홀(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바인더 홀(120)은, 데크 몸체(110)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와 자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121)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바인더 홀(120)은 데크 몸체(110)에 홀 형태로 형성하되,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의 철 돌기(131)에 대응하여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홀(120)은 후술하게 될 부츠(130)의 철 돌기(131)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여 부츠(130) 당 5개가 배치될 수 있도록 데크 몸체(110)에 설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123)은 부츠(130)에 형성되는 철 돌기(131)와 자기력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 홀(120)은 데크 자체에 형성된 홀(hole)로서, 데크 몸체(110)에 형성한 홀에 네오디움 자석(121)을 나사 체결하고 우레탄 소재로 마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부츠(130)는, 바인더 홀(120)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121)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131)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츠(130)는 바인더 홀(120)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121)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131)를 형성하되, 철 돌기(131)는 부츠(130)에 스파이크처럼 개별 장착하거나, 또는 부츠(130)의 밑창에 일체형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츠(130)에 돌기를 형성하는 방식은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일례로는 돌기판을 부착하거나, 골프화 스파이크처럼 개별 장착할 수도 있고, 신발 밑창에 일체형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츠(130)는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신발로서, 데크 몸체(110)에 설치된 바인더 홀(120)과 자기력으로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며, 이러한 부츠(130)에는 데크 몸체(110)에 설치된 바인더 홀(120)에 자기력으로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철 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츠(130)에는 바닥에 돌출되게 형성된 5개의 철 돌기(131)를 형성하되, 5개의 철 돌기(131)들은 부츠(1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 중간에 1개의 철 돌기(131)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110)와, 데크 몸체(110)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121)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120)과, 바인더 홀(120)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121)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131)를 형성하는 부츠(130)를 포함하는 스노우보드 데크(100)는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가 데크 몸체(110)에 설치한 바인더 홀(120)과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된 상태로 라이딩 중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되지 않아 발생하는 부상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스노우보드 데크(100)는 데크 구조와 자력을 이용한 바인딩 기능이 적용되는 웨이크보드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100)는 기존 스노우보드와 달리 데크 판재의 길이가 짧고, 데크 판재의 역할보다는 부츠와 바인딩의 연결 구조와 데크 에지의 R값 및 탄성이 중요하므로 사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사출 제작은 RIM(Resin Injection Moulding) 방식으로 제작되는 기존 판형 스노우보드 보다 제작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금속 금형을 통한 양산체제로 소재를 다양화하고, 높은 강도의 제품을 저렴하게 대량 생산하여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존 스노우보드는 초기 학습 기간이 길어 타 스포츠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에지 끝단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방향 전환이나 제동이 용이한 보드 형태는 과거 판재 형태의 데크와 고정식 바인딩 구조에서 탈피, 초보자도 타기 쉽도록 고안되고, 이는 신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인구를 유입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통해 과거 하드한 형태의 부츠가 소프트하게 바뀔 수 있고(심미성), 초보자 또는 어린이도 쉽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으며(편의성),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쉽게 분리되어 부상의 위험을 줄임(안전성)과 동시에, 익스트림한 활강(기능성)을 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스키 이외에 주목할 만한 라이딩 기구가 없었을 때, 스노우보드가 새로운 스키장 문화를 만들었듯이, 초보자를 위한 새로운 라이딩 기구의 등장은 새로운 시장 저변 확대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스노우보드의 구성은 데크, 부츠, 바인딩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부츠에 관한 출원이 전체 48%를 차지하고, 바인딩이 38%, 데크가 14%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츠와 바인딩에 비해 데크의 출원 건수가 현저히 적은 것은 스노우보드가 ‘일체 판형’이라는 고정관념에서 기인하고 있다. 더불어 기존 스노우보드는 베이스와 에지가 평면 구조이기 때문에 제동력을 향상시키기에 한계가 있었고, 사용자가 직접 튜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데크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에지 끝단이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방향 전환이나 제동이 용이한 보드 형태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바인딩은 데크와 부츠를 고정시켜 활강 시 자유로운 발놀림을 방해하는 구조이고, 데크와 부츠의 견고한 체결은 부상방지와 고속활강이 주요 목적인데, 이는 역설적이게도 재미와 자유로운 활강을 방해하는 요소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크에 홀을 구성하여 네오디움 자석을 삽입하고, 부츠에는 스파이크 돌기를 형성하여 자기력에 의해 자동 장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기존 바인딩과 달리 정밀한 조절 없이도 데크와 부츠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며, 데크의 원거리 이탈 방지를 위해 서프보드와 같이 리시(Leash)를 부착, 트렌디한 감성 요소를 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는,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와, 데크 몸체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과, 바인더 홀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라운딩 하부 베이스 구조와 더불어 방향 전환과 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양날의 에지 구조를 가진 데크 몸체의 바인더 홀에 네오디움 자석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철 돌기를 형성하는 부츠가 연결되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 몸체와 부츠의 분리로 부상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바인더 홀의 자기력으로 부츠와 데크의 탈부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바인딩과 달리 정밀한 조절 없이 부츠의 체결이 쉽게 이루어지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나 여성들도 쉽게 부츠를 장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이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스노우보드에 비해 데크 판재의 길이가 짧고, 자기력의 바인딩 체결 구조와 데크의 베이스와 이격된 형태로 에지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기존 하드한 형태의 부츠가 소프트하게 바뀔 수 있고, 초보자 또는 어린이도 쉽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으며, 라이딩 시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가 안 되어서 부상의 위험이 많았던 기존 스노우보드의 단점을 보완하며, 익스트림한 활강의 기능과 함께 방향 전환이나 제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 데크
110: 데크 몸체
111: 라운딩 하부베이스
112: 에지
120: 바인더 홀
121: 자석
130: 부츠
131: 철 돌기

Claims (8)

  1. 스노우보드 데크(100)로서,
    설원에서의 라이딩을 즐기기 위한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의 양발이 위치하여 고정되는 보드(board) 형태의 데크 몸체(110);
    상기 데크 몸체(110)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와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자석(121)을 구비하는 바인더 홀(120); 및
    상기 바인더 홀(120)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121)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131)를 형성하는 부츠(130)를 포함하되,
    상기 데크 몸체(110)는,
    얇은 판재 형태가 아닌 일정한 두께를 가진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와, 눈에 바로 닿는 면인 상기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의 양 날에 형성되는 에지(112)를 포함하되, 상기 에지(112)는, 상기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가 형성되는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에지(112)는,
    상기 라운딩 하부 베이스(111)의 몸체와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 몸체(110)의 방향 전환과 제동이 용이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바인더 홀(120)은,
    상기 데크 몸체(110)에 홀 형태로 형성하되,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의 철 돌기(131)에 대응하여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홀(120)은,
    상기 부츠(130)의 철 돌기(131)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여 부츠(130) 당 5개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데크 몸체(110)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121)은,
    상기 부츠(130)에 형성되는 철 돌기(131)와 자기력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130)는,
    상기 바인더 홀(120)에 삽입 체결되어 구비되는 자석(121)을 통한 자기력을 통해 연결되는 철 돌기(131)를 형성하되, 상기 철 돌기(131)는 부츠(130)에 스파이크처럼 개별 장착하거나, 또는 부츠(130)의 밑창에 일체형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노우보드 데크(100)는,
    스노우보드 탑승자가 신은 부츠(130)가 데크 몸체(110)에 설치한 바인더 홀(120)과 자기력으로 체결 고정된 상태로 라이딩 중 넘어졌을 때 데크와 부츠가 분리되지 않아 발생하는 부상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데크.
KR1020210126753A 2021-09-24 2021-09-24 스노우보드 데크 KR10236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753A KR102369891B1 (ko) 2021-09-24 2021-09-24 스노우보드 데크
US17/899,945 US11883734B2 (en) 2021-09-24 2022-08-31 Snowboard deck
JP2022139819A JP2023047304A (ja) 2021-09-24 2022-09-02 スノーボードデッキ
CN202211100103.6A CN115845351A (zh) 2021-09-24 2022-09-09 单板滑雪板板身
CA3174205A CA3174205A1 (en) 2021-09-24 2022-09-15 Snowboard deck
EP22196399.4A EP4154952A1 (en) 2021-09-24 2022-09-19 Snowboard d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753A KR102369891B1 (ko) 2021-09-24 2021-09-24 스노우보드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891B1 true KR102369891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753A KR102369891B1 (ko) 2021-09-24 2021-09-24 스노우보드 데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83734B2 (ko)
EP (1) EP4154952A1 (ko)
JP (1) JP2023047304A (ko)
KR (1) KR102369891B1 (ko)
CN (1) CN115845351A (ko)
CA (1) CA317420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988A (ko) * 2004-11-04 2005-06-30 이지하 활주면에 요조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JP2013503699A (ja) * 2009-09-04 2013-02-04 ウォーカー,ブレンダン スノーボード及び他のボードスポーツ用のバインディング
KR20150012637A (ko) * 2013-07-25 2015-02-04 김상우 데크와 부츠의 바인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2393A1 (de) * 1976-11-17 1978-05-18 Harald Dester Schneegleitgeraet
WO1985003916A1 (en) * 1984-03-02 1985-09-12 Peter Florjancic Board for sliding on snow
JPH09192284A (ja) * 1996-01-19 1997-07-29 Aomori Sukii Seisakusho:Kk スノーボードセット
US6224086B1 (en) * 1998-04-09 2001-05-01 Eugene J. Golling Apparatus for gliding over snow
CA2264363C (fr) * 1999-03-02 2001-08-14 Jean-Hugues Servant Coupole a neige
US6866273B2 (en) * 2000-12-08 2005-03-15 The Burton Corporation Sliding device
WO2003008051A2 (en) * 2001-07-17 2003-01-30 Scientific Generics Limited Carving toboggan
US20030042693A1 (en) * 2001-08-28 2003-03-06 Christiansen Lyle J. Walking snowboard
EP1338312A1 (de) * 2002-02-21 2003-08-27 Michael Reuter Schneegleitelement
FR2854081A1 (fr) * 2003-04-23 2004-10-29 Maxime Joyez Planche de glisse courbe multisurface
US20100025967A1 (en) * 2005-03-07 2010-02-04 Flaig Theodore J Magneti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foot traction on sports boards
ES2341825B1 (es) * 2008-03-12 2011-05-09 Freemagnet Technologies Limited Tabla de esqui, snowboard o similar con unos medios de fijacion ferromagneticos y sistema correspondiente.
US20090256334A1 (en) * 2008-04-14 2009-10-15 Lynn Handel Temporary snowboard fastener
AT11462U1 (de) 2009-02-06 2010-11-15 Stefan Gruber Schneegleiter zum befahren von tiefschnee
GB0916479D0 (en) * 2009-09-18 2009-10-28 Bromley Technologies Ltd A sled
ITMI20140080U1 (it) * 2014-02-28 2015-08-28 Pozzi Alessandro Teresio Attrezzatura sportiva migliorata
US10569155B2 (en) * 2017-03-14 2020-02-25 Stop River Development LLC Processor-controlled snow sport boot binding
DE102017004555A1 (de) * 2017-05-11 2018-11-15 Daniel Bamberger Bindung für ein Sportgerät, Sportgerät, sowie Schuh dafür
US10729968B2 (en) * 2018-05-25 2020-08-04 Rossland Binding Company Remote release snowboard binding
US20220134227A1 (en) 2019-02-25 2022-05-05 Google Llc Variable end-point user interface rende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988A (ko) * 2004-11-04 2005-06-30 이지하 활주면에 요조부가 형성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JP2013503699A (ja) * 2009-09-04 2013-02-04 ウォーカー,ブレンダン スノーボード及び他のボードスポーツ用のバインディング
KR20150012637A (ko) * 2013-07-25 2015-02-04 김상우 데크와 부츠의 바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6671A1 (en) 2023-03-30
EP4154952A1 (en) 2023-03-29
US11883734B2 (en) 2024-01-30
CN115845351A (zh) 2023-03-28
JP2023047304A (ja) 2023-04-05
CA3174205A1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062B2 (en) Highback formed of multiple materials
US8511704B2 (en) Snowboard
US5909894A (en) Snowboard binding
US5971419A (en) Rotational binding for a free style snowboard
US6789806B2 (en) Acessesory devic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snowboard
US20030094788A1 (en) Magnetic snow equipment attachment system
US5984343A (en) Slid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flexion and torsion characteristics
US6113113A (en) Slid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flexion and torsion characteristics
US4531309A (en) Cross-country ski, ski boot, and binding combination and boot and binding components thereof
US6543793B1 (en) Highback formed of multiple materials
KR102369891B1 (ko) 스노우보드 데크
US6193245B1 (en) Snowboard releasable and reattachable binding system
US6412793B2 (en) Interface element used in snowboarding
CN210278204U (zh) 一种新手滑雪板
KR101514758B1 (ko) 데크와 부츠의 바인딩 장치
KR200342338Y1 (ko) 스노우보드 바인딩
US10421004B2 (en) Ski binding equipment
US5897408A (en) Slalom water ski boots and releasable binding
WO1996023557A1 (en) Snowboard binding turntable
WO1989006996A1 (en) Snowboard binding
SK284182B6 (sk) Skibord
SK285396B6 (sk) Skib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