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807B1 -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 Google Patents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807B1
KR102369807B1 KR1020170164329A KR20170164329A KR102369807B1 KR 102369807 B1 KR102369807 B1 KR 102369807B1 KR 1020170164329 A KR1020170164329 A KR 1020170164329A KR 20170164329 A KR20170164329 A KR 20170164329A KR 102369807 B1 KR102369807 B1 KR 10236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luid
unit
housing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959A (ko
Inventor
송호남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807B1/ko
Priority to US16/050,918 priority patent/US11110978B2/en
Publication of KR2019006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16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 B60G17/042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regulated by varying the resiliency of hydropneumatic suspensions by varying the air pressure of the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16Attitude or position control of chassis by action on suspension, e.g. to compensate for a sl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12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with fluid springs, e.g. hydraulic pneum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4Fluid spring with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2Accumulators for hydropneumat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28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32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6Angular position of a suspens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60G2500/11Damp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3Distributor valve unit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e.g. valves, pump or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20Manual control or se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Suspension apparatus and special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에 관한 것이다.
무한궤도를 포함한 특수차량은 전차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특수차량은 입무 수행을 위하여 지상 또는 수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특수차량은 무한궤도와 연결되는 현수장치를 통하여 지상에서 운행 시 댐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수상을 이동 시 현수장치를 특수차량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수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수장치는 댐핑을 위한 구조물과 차체와 연결되어 현수장치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현수장치는 댐핑을 위한 구조물과 이러한 구조물과 지면반력을 이용하여 현수장치를 특수차량 내부로 수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수장치는 댐핑을 위한 구조물과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이 필요하며 모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모터를 구비하지 않는 현수장치는 지면반력이 작용하지 않는 수상에서는 현수장치를 별도로 수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현수장치와 관련된 한국등록특허 제7106212호(발명의 명칭: 차량의 현수장치, 특허권자: 한화테크윈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710621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을 제공하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는 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축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상기 축압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상기 제2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댐핑유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회전력제공부 또는 상기 펌프와 상기 유체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댐핑부 및 상기 펌프와 상기 제2 댐핑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펌프와 상기 유체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스풀밸브 또는 상기 펌프와 유체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와, 상기 제1 댐핑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는 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축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상기 제2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댐핑유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차체와, 상기 차체에 연결되며,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로드휠과 상기 로드휠을 감사도록 배치되는 트랙을 포함하는 무한궤도와, 상기 로드휠과 연결되어 상기 로드휠을 상기 차체에 수납하거나 전개하는 현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를 포함하는 특수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축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상기 제2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댐핑유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펌프,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상반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현수장치를 수납하거나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현수장치를 수납하거나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량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특수차량의 현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특수차량의 현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특수차량은 무한궤도를 구비하여 이동하는 차량일 수 있다. 이때, 특수차량은 군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수차량이 수륙양용장갑차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량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특수차량의 현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특수차량(1)은 차체(10), 무한궤도(20) 및 현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포신, 자동소총 등 다양한 중화기 무기가 배치될 수 있다.
무한궤도(20)는 복수개의 로드휠(21)과 복수개의 로드휠(2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트랙(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한궤도(20)는 트랙(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현수장치(100)는 차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현수장치(100)는 차체(10)와 각 로드휠(21)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현수장치(100)는 각 로드휠(21)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댐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현수장치(100)는 각 로드휠(21)의 전개 및 수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수장치(100)는 크랭크축(111), 하우징(120), 제1 댐핑부(130), 제2 댐핑부(140), 회전력제공부(150), 축압기(161), 스플밸브(162), 펌프(163), 유체저장부(164), 방향전환밸브(180), 각도센서부(191) 및 바이패스밸브(192)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축(111)은 차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크랭크축(111)에는 별도의 피벗부재(112)가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크랭크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유체 및 가스 등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메인하우징(121)과 메인하우징(121)과 연결되는 유체매니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하우징(121) 내부에는 제1 공간(121a), 제2 공간(121b) 및 제3 공간(12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하우징(121)은 유체매니폴드(122)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유체매니폴드(122)는 메인하우징(121)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유체가 유출입 가능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메인하우징(121)에 연결되며, 로드휠(2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핑부(130)는 메인하우징(1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댐핑부(130)는 제1 공간(121a)에 배치되어 제1 공간(121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피스톤(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피스톤(131)은 제1 공간(121a)을 두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공간(121a)의 두개의 영역 중 한 영역에 댐핑유체(D)가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댐핑유체(D)는 제1 공간(121a)으로부터 제2 공간(121b)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유체매니폴드(12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제1 댐핑부(130)는 제1 피스톤(131) 및 피벗부재(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콘로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콘로드(132)는 메인하우징(121)의 회전에 따라 피벗부재(11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댐핑부(140)는 제2 공간(121b)에 배치되는 제2 피스톤(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피스톤은 제2 공간(121b)을 두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피스톤이 구분하는 제2 공간(121b)의 두개의 영역 중 하나에는 댐핑유체(D)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2 공간(121b)의 두개의 영역 중 다른 하나에는 질소 가스(N)가 수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댐핑유체(D)가 제2 공간(121b)과 제1 공간(121a)을 연통하는 연결유로(175)를 통하여 제1 공간(121a)과 제2 공간(121b)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유로(175)는 스플밸브(16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제1 이동유로(176)에 연결되어 외부로 댐핑유체(D)를 안내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댐핑유체(D)를 연결유로(175)로 안내할 수 있다.
회전력제공부(150)는 제3 공간(121c)에 배치되어 작동유체(F)의 공급에 따라 메인하우징(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력제공부(150)는 제3 공간(121c)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피스톤(151)과, 제3 피스톤(151)과 피벗부재(112)를 연결하며, 제3 피스톤(151) 및 피벗부재(11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콘로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피스톤(151)은 제3 공간(121c)을 두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3 공간(121c)의 두개의 영역 중 하나에는 메인하우징(121)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생성하는 작동유체(F)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3 공간(121c)은 제2 이동유로(177)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축압기(161)는 제2 이동유로(177)를 통하여 제3 공간(121c)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축압기(161)는 제3 피스톤(151)의 운동에 따라 작동유체(F)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축압기(161)는 메인하우징(121)의 회전이 아닌 댐핑 운동을 하는 경우 작동유체(F)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축압기(161)와 제2 이동유로(177)는 제1 유로(171)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스플밸브(162)는 유체매니폴드(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플밸브(162)는 제1 이동유로(176)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체매니폴드(122)에는 스플밸브(162)를 작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이동하는 공급유로(178)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플밸브(162)는 공급유로(178)에서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제1 이동유로(176)를 개방할 수 있으며, 공급유로(178)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차단되는 경우 제1 이동유로(176)를 폐쇄할 수 있다.
펌프(163)는 유체저장부(164)와 연결되어 유체저장부(164)의 유체를 제1 댐핑부(130), 제2 댐핑부(140), 회전력제공부(150)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펌프(163)는 제2 유로(179e)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로(179e)에는 바이패스유로(179d)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이패스유로(179d)에는 펌프(163)의 작동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바이패스밸브(19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유로(179e)는 3개의 분지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지유로는 제2 유로(179e)와 연결되며, 제2 이동유로(177)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 분지유로(1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지유로는 제2 유로(179e)와 연결되며, 제1 이동유로(176)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분지유로(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는 공급유로(178)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제2 유로(179e)와 연결되는 제3 분지유로(174)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80)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다양한 제어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전환밸브(180)는 제1 댐핑부(130), 제2 댐핑부(140) 및 회전력제공부(150)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하거나 이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향전환밸브(18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80)는 축압기(161)와 제2 이동유로(177)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제1 분지유로(172)와 제2 이동유로(177)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80)는 제1 분지유로(172)에 배치되어 제1 분지유로(1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방향전환밸브(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전환밸브(182)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 사이는 제1 분지유로(172)의 일부에 의해 연결도리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80)는 제1 이동유로(176)와 제2 분지유로(17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이동유로(176)와 제2 분지유로(17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방향전환밸브(183)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80)는 공급유로(178)와 제3 분지유로(17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 방향전환밸브(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방향전환밸브(182)는 유체저장부(164)와 제1 회귀유로(179a)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전환밸브(182)는 경우에 따라 제2 이동유로(177)와 제1 회귀유로(179a)로 연결시키거나 제1 분지유로(172)를 제1 회귀유로(179a)와 연결시킬 수 있다.
제3 방향전환밸브(183)는 유체저장부(164)와 제2 회귀유로(179b)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방향전환밸브(183)는 경우에 따라 제1 이동유로(176)와 제2 회귀유로(179b)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분지유로(173)와 제2 회귀유로(179b)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방향전환밸브(184)는 유체저장부(164)와 제3 회귀유로(179c)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방향전환밸브(184)는 경우에 따라 공급유로(178)와 제3 회귀유로(179c)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회귀유로(179a), 제2 회귀유로(179b) 및 제3 회귀유로(179c)는 유체저장부(164)와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회귀유로(179a), 제2 회귀유로(179b) 및 제3 회귀유로(179c)는 유체저장부(164)와 하나의 유로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유로를 통하여 유체저장부(164)와 제1 회귀유로(179a) 내지 제3 회귀유로(179c)가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도센서부(191)는 크랭크축(111)에 배치되어 하우징(120)의 위치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각도센서부(191)는 크랭크축(111)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하우징(120)의 일 지점이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근거로 하우징(120)의 위치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수장치(1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회로기판,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축압기(161), 펌프(163), 방향전환밸브(18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와 축압기(161), 펌프(163), 방향전환밸브(180) 등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현수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지상에서 특수차량(미도시)이 운행하는 경우 현수장치(100)는 상기 특수차량의 이동에 따른 댐핑력을 상기 특수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수차량은 상기 특수차량이 운행되는 곳이 지상인지 수상인지에 따라 육상모드 또는 수상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육상모드는 상기 특수차량이 지상(또는 육상)에서 운행하는 모드이며, 수상모드는 상기 특수차량이 수상(또는 수면)에서 운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특수차량의 주행모드 중 선택하여 입력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S110단계)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각도센서부(191)에서 측정된 하우징(120)의 위치각도와 기 설정된 각도를 비교할 수 있다.(S120단계) 상기 제어부는 위치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인 수납 각도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납 각도는 현수장치(100)가 상기 특수차량 내부에 수납되어 수상모드로 진행할 수 있는 각도일 수 있다.
위치각도가 수납 각도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위치각도가 수납 각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모드가 육상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알림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S120단계) 이때, 상기 알림부는 소리, 이미지, 불빛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모드가 현재모드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140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드가 현재모드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모드가 수상모드인지 판단하고 별도의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모드가 현재모드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모드가 육상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50단계)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입력모드가 육상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 내지 제4 방향전환밸브(184)를 제어할 수 있다.(S160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를 통하여 제2 이동유로(177)와 제1 유로(171)가 연결하도록 제1 방향전환밸브(181)의 전원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축압기(161)는 회전력제공부(150)와 연결되어 회전력제공부(150)의 상태에 따라 회전력제공부(150) 내부의 유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축압기(161)는 제3 피스톤(151)에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닌 제3 피스톤(151)과 메인하우징(121)의 상대 운동에 따라 필요한 유체를 공급하거나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분지유로(172)와 제1 회귀유로(179a)를 연결하도록 제2 방향전환밸브(18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방향전환밸브(182)에서 제1 방향전환밸브(181)로 유체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 분지유로(173)와 제2 회귀유로(179b)를 연결하도록 제3 방향전환밸브(183)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급유로(178)와 제3 회귀유로(179c)를 연결하도록 제4 방향전환밸브(18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풀밸브(162)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스풀밸브(162)는 연결유로(175)와 제1 이동유로(175)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체매니폴드(122)에 배치된 연결유로(175)는 외부와 차단되어 제1 공간(121a) 및 제2 공간(121b)을 연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 내지 제4 방향전환밸브(184)의 전원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방향전환밸브(181) 내지 제4 방향전환밸브(184)가 제어되면, 회전력제공부(150)는 축압기(16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댐핑부(130)와 제2 댐핑부(14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수차량의 운행 시 지면이 굴곡져 있거나 지면에 이물질이 있는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지면반력을 받는 경우 현수장치(100)는 상기 특수차량에 댐핑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지면반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유로(175)를 통하여 제1 공간(121a) 내부의 댐핑유체(D)가 제2 공간(121b)으로 이동하거나 제2 공간(121b) 내부의 댐핑유체(D)가 제1 공간(121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공간(121b)에 배치된 질소 가스는 압축되거나 팽창됨으로써 댐핑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댐핑유체(D)는 압축되거나 제1 피스톤(131) 및 제2 피스톤(140)을 운동시킴으로써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댐핑력이 제공됨으로써 메인하우징(121)은 약간의 회전을 통하여 지면반력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하우징(121)이 회전하는 경우 제3 공간(121c)을 따라 제3 피스톤(151)이 선형 운동하는 것과 같이 메인하우징(121)과 제3 피스톤(151)은 서로 상대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콘로드(152)는 제3 피스톤(15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3 피스톤(151)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피스톤(151)의 일면과 제3 공간(121c)이 형성하는 부피는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피스톤(151)의 일면과 제3 공간(121c)이 형성하는 부피는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공간(121c)에 수납된 작동유체(F)는 줄어든 부피만큼 외부로 유출되거나 늘어난 부피만큼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축압기(161)를 통하여 제3 공간(121c)에 작동유체(F)를 공급하거나 제3 공간(121c)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체(F)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상기 특수차량이 육상을 운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모드가 변경되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현수장치(100)는 상기 특수차량이 육상모드로 주행하는 동안 상기 특수차량에 댐핑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특수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현수장치(100)는 상기 특수차량이 육상모드로 주행 시 지면반력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상기 특수차량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특수차량(미도시)가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현수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수상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S110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각도센서부(191)에서 측정된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수납각도와 동일하거나 수납각도를 초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수납각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모드가 육상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육상모드임을 알릴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모드가 현재모드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140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는 입력모드와 현재모드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모드가 육상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입력모드가 육상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현수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모드가 수상모드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현재모드와 입력모드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현재모드와 입력모드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모드가 수상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S210단계) 입력모드가 수상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 내지 제4 방향전환밸브(184)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220단계)
구체적으로 제1 방향전환밸브(18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방향전환밸브(181)은 제2 이동유로(177)와 제1 분지유로(17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전환밸브(182)는 제1 분지유로(172)를 개방할 수 있다. 제3 방향전환밸브(183)는 제1 이동유로(176)와 제2 회귀유로(179b)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방향전환밸브(184)는 공급유로(178)와 제3 분지유로(17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방향전환밸브(181) 내지 제4 방향전환밸브(184)가 제어된 후 상기 제어부는 펌프(163)를 작동시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유체는 제1 분지유로(172)를 따라 제2 이동유로(177)로 공급되어 제3 공간(121c)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된 유체는 제3 분지유로(174)를 통하여 공급유로(178)로 공급되어 스플밸브(16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121a)과 제2 공간(121b)에 수납된 댐핑유체(D)는 연결유로(175)를 따라 제1 이동유로(176) 및 제2 회귀유로(179b)를 통하여 유체저장부(164)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콘로드(1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피스톤(131)은 메인하우징(121)의 회전에 따라 제1 콘로드(132)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댐핑유체(D)가 수납된 제1 공간(121a) 부분이 줄어들 수 있다. 제2 피스톤(140)는 댐피유체(D)가 제2 공간(121b)로부터 유출되는 경우 자유롭게 제2 공간(121b)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플밸브(162)가 작동하는 경우 스플밸브(162)는 연결유로(175)와 제1 이동유로(176)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공간(121a) 및 제2 공간(121b)에 수납된 댐핑유체(D)는 연결유로(175) 및 제1 이동유로(176)를 따라 제2 회귀유로(179b)로 이동하여 유체저장부(164)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펌프(163)의 작동에 따라 제3 공간(121c)을 공급된 유체는 메인하우징(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공간(121c)에 공급된 유체는 제3 피스톤(151)과 제3 공간(121c)에 포함되는 유체를 증가시킴으로써 메인하우징(121)을 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피스톤(151)는 제2 콘로드(1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하우징(121)은 크랭크축(111) 및 피벗부재(1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특수차량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크랭크축(111)및 피벗부재(112)는 차체(미도시)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한 후 상기 제어부는 다시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수납각도 미만인지 확인하고 위치각도가 수납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와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위치각도가 수납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수상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현수장치(100)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수장치(1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특수차량 내부로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현수장치(100)는 별도의 모터 등이 불필요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치 장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현수장치(100)는 지면반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상기 특수차량에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현수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진입후 특수차량(미도시)이 수상에서 운행할 수 있다. 이때, 현수장치(100)는 수상모드로 진입 후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모드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0단계) 제어부(미도시)는 각도센서부(191)에서 측정된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수납각도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0단계) 위치각도가 수납각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모드가 수상모드인 정보를 알림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알릴 수 있다.(S310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모드와 현재모드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모드와 현재모드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입력모드가 현재모드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모드가 육상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50단계)
상기 제어부는 입력모드가 육상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도록 현수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입력모드가 육상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를 제어하여 제2 이동유로(177)와 제1 분지유로(172)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분지유로(172)와 제1 회귀유로(179a)가 연결되도록 제2 방향전환밸브(182)를 제어하며, 제2 분지유로(173)와 제2 회귀유로(179b)가 연결되도록 제3 방향전환밸브(18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공급유로(178)와 제3 회귀유로(179c)를 연결하도록 제4 방향전환밸브(184)를 제어할 수 있다.(S320단계)
상기와 같은 경우 제2 이동유로(177)는 외부와 단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유로(176)도 외부와 단절되므로 제1 공간(121a) 및 제2 공간(121b)에 있는 댐핑유체(D)가 더 이상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급유로(178)의 유체는 스플밸브(162)가 다시 복귀함으로써 공급유로(178) 및 제3 회귀유로(179c)를 통하여 유체저장부(164)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현수장치(100)는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현수장치(100)는 상기 특수차량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수장치(100)는 별도의 기구 없이도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현수장치(100)는 구비된 구성을 통하여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현수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현수장치(100)는 특수차량(미도시)의 주행에 따라 수상모드를 진행하다가 육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육상모드를 입력모드로 입력할 수 있다.(S110단계) 이러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각도센서부(191)에서 측정된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와 수납각도를 비교할 수 있다.(S120단계) 이러한 경우 위치각도가 수납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알림부(미도시)를 통하여 현재모드가 수상모드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S310단계)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미도시)에서 입력된 입력모드와 현재모드가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140단계)
상기 제어부는 현재모드와 입력모드가 상이하므로 입력모드가 수상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S210단계) 이때, 입력모드는 수상모드가 아니므로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 내지 제4 방향전환밸브(184)를 제어할 수 있다.(S410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제2 이동유로(177)와 제1 분지유로(172)가 연결되도록 제1 방향전환밸브(18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방향전환밸브(181)와 제2 방향전환밸브(182)를 연결하는 제1 분지유로(172)와 제1 회귀유로(179a)가 연결되도록 제2 방향전환밸브(18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이동유로(176)와 제2 분지유로(173)가 연결되도록 제3 방향전환밸브(18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공급유로(178)와 제3 분지유로(174)가 연결되도록 제4 방향전환밸브(18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펌프(16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펌프(163)의 작동에 따라 유체저장부(164)의 유체는 제2 분지유로(173) 및 제3 분지유로(174)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지유로(172)는 제2 방향전환밸브(18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유체는 제3 분지유로(174)를 통하여 공급유로(178)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178)로 공급된 유체는 스플밸브(162)를 작동시키고 스플밸브(162)의 작동에 따라 연결유로(175)와 제1 이동유로(176)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지유로(173)로 공급된 유체는 제1 이동유로(176)를 통하여 연결유로(175)로 공급되어 제1 공간(121a) 및 제2 공간(121b)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피스톤(131)과 제2 피스톤(140)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하우징(121)은 도 1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하우징(121)이 회전하는 경우 제3 공간(121c)과 제3 피스톤(151)이 형성하는 공간의 부피는 줄어들 수 있으며, 부피가 줄어든 만큼 유체가 제2 이동유로(17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유로(177)를 이동하는 유체는 제1 회귀유로(179a)를 통하여 유체저장부(164)로 수납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리바운드각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리바운드각도는 현수장치(100)의 댐핑에 따라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가변하는 범위일 수 있다.(S420단계)
상기와 같이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라바운드각도 내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와 같은 제어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메인하우징(121)의 위치각도가 리바운드각도 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림부를 통하여 현재모드가 육상모드인 정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축압기(161)와 제2 이동유로(177)를 연결하도록 제1 방향전환밸브(181)의 전원을 해제할 수 있으며, 제1 분지유로(172)와 제1 회귀유로(179a)를 연결하도록 제2 방향전환밸브(182)의 전원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 분지유로(173)와 제2 회귀유로(179b)를 연결하도록 제3 방향전환밸브(183)의 전원을 해제할 수 있으며, 공급유로(178)와 제3 회귀유로(179c)를 연결하도록 제4 방향전환밸브(184)의 전원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스플밸브(162)의 복귀로 인하여 공급유로(178)의 유체는 제3 회귀유로(179c)를 통하여 유체저장부(16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로(175)와 제1 이동유로(176)는 차단될 수 있으며, 제1 이동유로(176)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현수장치(100)는 육상모드와 수상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수장치(100)는 현수장치(100)를 수납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를 가지지 않음으로써 현수장치(100)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특수차량의 현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현수장치(200)는 크랭크축(211), 피벗부재(212) 하우징(220), 제1 댐핑부(230), 제2 댐핑부(240), 회전력제공부(250), 축압기(261), 스플밸브(262), 펌프(263), 유체저장부(264), 방향전환밸브(280), 각도센서부(291) 및 바이패스밸브(2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크랭크축(211), 피벗부재(212) 하우징(220), 제1 댐핑부(230), 회전력제공부(250), 축압기(261), 스플밸브(262), 펌프(263), 유체저장부(264), 방향전환밸브(280), 각도센서부(291) 및 바이패스밸브(292)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방향전환밸브(280)는 제1방향전환밸브(281), 제2방향전환밸브(282), 제3방향전환밸브(283) 및 제4방향전환밸브(28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유로(276), 제2 이동유로(277), 공급유로(278), 제1 분지유로(272), 제2 분지유로(273), 제3 분지유로(274), 제1 회귀유로(279a), 제2 회귀유로(279b), 제3 회귀유로(279c) 및 바이패스유로(279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댐핑부(240)는 제1 댐핑부(2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댐핑부(230)와 제2 댐핑부(240)를 연결하는 연결유로(275)는 일직선으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유로(275)는 제1 이동유로(27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연결유로(275)에는 스플밸브(262)가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이동유로(276)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수장치(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육상모드로 진행할 때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다. 현수장치(200)는 육상모드에서 수상모드로 전환할 때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현수장치(200)는 수상모드를 유지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현수장치(200)는 수상모드에서 육상모드로 전환할 때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현수장치(200)는 육상모드와 수상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수장치(200)는 현수장치(200)를 수납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를 가지지 않음으로써 현수장치(200)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200: 현수장치
111,211: 크랭크축
112,212: 피벗부재
120,220: 하우징
130,230: 제1댐핑부
140,240: 제2댐핑부
150,250: 회전력제공부
161,261: 축압기
162,262: 스플밸브
163,263: 펌프
164,264: 유체저장부
180,280: 방향전환밸브
191,291: 각도센서부
192,292: 바이패스밸브

Claims (19)

  1.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축압기; 및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상기 축압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는 현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상기 제2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댐핑유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회전력제공부 또는 상기 펌프와 상기 유체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댐핑부 및 상기 펌프와 상기 제2 댐핑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펌프와 상기 유체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스풀밸브 또는 상기 펌프와 유체저장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10.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
    상기 제1 댐핑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축압기; 및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상기 축압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는 현수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상기 제2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댐핑유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현수장치.
  15. 차체;
    상기 차체에 연결되며,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로드휠과 상기 로드휠을 감사도록 배치되는 트랙을 포함하는 무한궤도;
    상기 로드휠과 연결되어 상기 로드휠을 상기 차체에 수납하거나 전개하는 현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댐핑유체가 수납되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댐핑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제1 댐핑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상기 제1 댐핑부와 공유하고, 상기 댐핑유체가 수납되는 공간과 구별되는 상이한 공간에 상기 댐핑유체에 대향하도록 압축기체를 수납하는 제2 댐핑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부;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축압기; 및
    상기 회전력제공부와 상기 축압기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핑부와 상기 제2 댐핑부와 연결되어 상기 댐핑유체를 외부로 배출 및 외부로부터 상기 댐핑유체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를 더 포함하는 특수차량.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특수차량.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는,
    상기 펌프, 상기 제1 댐핑부, 상기 제2 댐핑부, 상기 회전력제공부 및 상기 스풀밸브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특수차량.
KR1020170164329A 2017-12-01 2017-12-01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KR10236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29A KR102369807B1 (ko) 2017-12-01 2017-12-01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US16/050,918 US11110978B2 (en) 2017-12-01 2018-07-31 Suspension apparatus and specialize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329A KR102369807B1 (ko) 2017-12-01 2017-12-01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59A KR20190064959A (ko) 2019-06-11
KR102369807B1 true KR102369807B1 (ko) 2022-03-04

Family

ID=6665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329A KR102369807B1 (ko) 2017-12-01 2017-12-01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10978B2 (ko)
KR (1) KR1023698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665A (ja) 2005-07-26 2007-02-08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5071343A (ja) 2013-10-02 2015-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用懸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963A (en) * 1976-09-07 1978-03-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Vehicle suspension height control
KR100192559B1 (ko) 1996-10-09 1999-06-15 유철진 탱크용 암 실린더 일체형 유기압 현수장치
US5957218A (en) 1997-11-18 1999-09-28 Deere & Company Electrohydraulic control of implement lift cylinders
KR100369390B1 (ko) 2000-03-04 2003-01-29 주식회사 로템 무한궤도 전차용 유기압 현수장치의 가변형 댐퍼기구
JP3698004B2 (ja) 2000-03-15 2005-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移動体無線通信装置
GB0007625D0 (en) * 2000-03-30 2000-05-17 Gibbs Tech Ltd Improved suspension strut
GB0311962D0 (en) 2003-05-24 2003-06-25 Gibbs Tech Ltd Amphibious vehicle retractable suspension
US7954583B2 (en) 2009-05-11 2011-06-07 Deere & Company Agricultural harvester rear axle arrangement for narrow transport
US9556925B2 (en) * 2009-01-07 2017-01-31 Fox Factory, Inc. Suspension damper with by-pass valves
US7963537B2 (en) * 2009-03-17 2011-06-21 Horstman Defence Systems Limited Suspension unit
US9796232B2 (en) * 2014-04-11 2017-10-24 Fox Factory, Inc. Twin tube damper with remote gas reservoir
KR101706212B1 (ko) 2015-12-11 2017-02-2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차량의 현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665A (ja) 2005-07-26 2007-02-08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5071343A (ja) 2013-10-02 2015-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用懸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0978B2 (en) 2021-09-07
KR20190064959A (ko) 2019-06-11
US20190168830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7686B2 (ja) 自動ライドコントロールを有する油圧システム
JP6006714B2 (ja) 揺動車両の揺動制御システム
US8657301B2 (en) Vehicle body tilting apparatus
US7761205B2 (en) Height controlling apparatus
CN103359278B (zh) 运输工具,以及飞行器的操控装置
NO20035435D0 (no) Panservogn
EP2103471B8 (en) Attitude control device
KR20120095998A (ko) 조작 장치
KR102369807B1 (ko) 현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특수차량
US10315483B2 (en) Vehicle damping system and vehicle
US10837157B2 (en) Work machine and hydraulic system for work machine
CN112706608B (zh) 具有悬架和转向装置的车轮
JP2003252297A (ja) 操舵制御のための油圧システム装置
JP2008246412A (ja) 高圧洗浄車
JPS59153694A (ja) 船舶推進機のチルト装置
US20080119985A1 (en) Controller sense inverter for powered vehicles having a rotating turret
JPH09254887A (ja) パワーチルトシリンダ装置
CN101495762A (zh) 多功能液压系统
KR20180051114A (ko) 자율주행 차량
JP6063861B2 (ja) 揺動車両の揺動制御システム
KR102391951B1 (ko) 포탄형 정보수집장치
JPH09254886A (ja) パワーチルトシリンダ装置
JP3966937B2 (ja) ダンパ装置
JP200705541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1281541B1 (fr) Système de débrayage d'une barre antiroulis de véhicule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