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54B1 -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54B1
KR102369754B1 KR1020210057463A KR20210057463A KR102369754B1 KR 102369754 B1 KR102369754 B1 KR 102369754B1 KR 1020210057463 A KR1020210057463 A KR 1020210057463A KR 20210057463 A KR20210057463 A KR 20210057463A KR 102369754 B1 KR102369754 B1 KR 10236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ltrasonic
ultrasonic generator
particulat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수
Original Assignee
장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수 filed Critical 장민수
Priority to KR102021005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54B1/ko
Priority to PCT/KR2021/006054 priority patent/WO20222348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영상 프로젝터를 위한 스크린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 , 대상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공연 효과도 높일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측면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초음파부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 초음파 발생기와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의 음파를 송출하는 제2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초음파부와, 상기 상단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립자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미립자 분사부와, 상기 미립자 분사부 연결되어 있는 미립자 공급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프로젝터와, 상기 영상 프로젝터 및 미립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using ultrasonic waves}
이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영상 프로젝터를 위한 스크린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 대상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공연 효과도 높일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을 필요로 한다. 상기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섬유 재질, PVC, 유리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근래에는 공연을 위한 목적으로 야외에서 영상을 디스플레하는 경우에 호수 공원, 수변 공원, 분수 공원 등과 같이 섬유 재질, PVC, 유리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설치하기가 적당하지 않은 곳에서 공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수막)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형성하는 워터 스크린도 개발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한 워터 스크린에 관한 기술의 일예로서, 수관의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수공을 형성하여 물줄기가 분출되도록 하되 각 수공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물줄기의 분출 여부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줄기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워터 스크린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사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01745호(공고일자 2017년 11월 27일)의 "워터 스크린"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워터 스크린은 물(수막)로써만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능한 공간이나, 표현할 수 있는 공연 효과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017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프로젝터를 위한 스크린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 대상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공연 효과도 높일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측면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초음파부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 초음파 발생기와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송출하는 제2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초음파부와, 상기 상단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립자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미립자 분사부와, 상기 미립자 분사부 연결되어 있는 미립자 공급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프로젝터와, 상기 영상 프로젝터 및 미립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제2 초음파 발생기의 측면에는 간섭방지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미립자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미립자중 일부는 정상파의 마디점에 안착되어 파동 에너지에 의해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2 초음파부의 제2 초음파 발생기는 초음파 반사체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미립자 공급부는, 미립자를 종류별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부와, 상기 미립자부와 미립자 분사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와, 상기 미립자부와 미립자 분사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미립자는 물방울, 미세크기의 가루, 거품, 연기, 안개, 스티로폼 조각, 합성수지 조각, 종이 조각, 천조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동 펌프를 작동시키는 펌프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영상 프로젝터를 작동시키는 영상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영상 프로젝터를 위한 스크린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 , 대상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공연 효과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연결 또는 접속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연결 또는 접속을 포함한다. 또한, "~부"라는 표현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등을 포함하며, 1개의 유닛은 1개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측면 지지대(10a, 10b)와, 상기 측면 지지대(10a, 10b)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 지지대(10c)와, 상기 측면 지지대(10a, 10b)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초음파부(20)와, 상기 측면 지지대(10a, 10b)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송출하는 제2 초음파 발생기(31)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초음파부(30)와, 상기 상단 지지대(10c)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립자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41)이 장착되어 있는 미립자 분사부(40)와, 상기 미립자 분사부(40)에 연결되어 있는 미립자 공급부(50)와, 상기 지지대(10a, 10b, 10c)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프로젝터(60)와, 상기 영상 프로젝터(60) 및 미립자 공급부(5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초음파부(20)의 제2 초음파 발생기(31)는 초음파 반사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미립자 공급부(50)는, 미립자가 발생 또는 저장되어 있는 미립자부(51)와, 상기 미립자부(51)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52)와, 상기 밸브(52)와 미립자 분사부(40)를 연결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펌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립자는 물방울, 소정(미세)크기의 가루, 거품, 연기, 안개, 미세 스티로폼 조각, 미세 플라스틱 조각, 미세 종이 조각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립자의 크기는 초음파에 의해 형성되는 정상파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른 파동 에너지와 미립자 재료의 무게에 의해서 결정된다. 참고로, 상기 소정 크기의 가루는 미세 크기(ex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가루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71)와, 상기 입력부(71)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72)와, 상기 컨트롤러(72)의 제어에 의해 밸브(52)를 개폐시키는 밸브 구동부(74)와, 상기 컨트롤러(72)의 제어에 의해 전동 펌프(53)를 작동시키는 펌프 구동부(75)와, 상기 컨트롤러(72)의 제어에 의해 영상 프로젝터(60)를 작동시키는 영상 구동부(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은, 측면 지지대(10a, 10b)와, 상기 측면 지지대(10a, 10b)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 지지대(10c)와, 상기 측면 지지대(10a, 10b)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 및 간섭방지 플레이트(22)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초음파부(20)와, 상기 측면 지지대(10a, 10b)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21) 및 간섭방지 플레이트(22)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2 초음파 발생기(31) 및 간섭방지 플레이트(32)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초음파부(30)와, 상기 상단 지지대(10c)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립자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41)이 장착되어 있는 미립자 분사부(40)와, 상기 미립자 분사부(40)에 연결되어 있는 미립자 공급부(50)와, 상기 지지대(10a, 10b, 10c)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프로젝터(60)와, 상기 영상 프로젝터(6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립자 공급부(50)는, 미립자가 종류별로 구분되어 발생 또는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미립자부(51a, 51b, 51c)와, 상기 미립자부(51a, 51b, 51c)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밸브(52a, 52b, 52c)와, 상기 다수개의 밸브(52a, 52b, 52c)와 미립자 분사부(40)를 연결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펌프(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립자는 물방울, 거품, 연기, 안개, 스티로폼 조각, 합성수지 조각, 종이 조각, 천조각 등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미립자의 크기는 초음파에 의해 형성되는 정상파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른 파동 에너지와 미립자 재료의 무게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참조로 할 때, 제1 초음파부(20)와 제2 초음파부(3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참조로 할 때, 미립자 분사부(40)가 상단 지지대(10c)가 아니라 측면 지지대(10a, 10b)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어부(70)의 입력부(71)를 이용하여 동작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컨트롤러(72)가 초음파 구동부(73)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 초음파부(20)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로부터 초음파가 생성되도록 한다.
상기 초음파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인 가청 주파수(20 ~ 20,000 Hz)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소리로서,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초음파는 공기나 물과 같은 매질의 압축과 팽창, 즉 소밀파(疏密波)의 형태로 전파되는 역학적 파동으로서. 매질의 진동 방향과 파동의 전파 방향이 나란하므로 종파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로부터 발생된 초음파는 제2 초음파부(30)를 향하여 파동이 진행되다가, 상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각각 대응되는 제2 초음파 발생기(31)에 의해서 발생되어 송출되는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와 겹치게 됨에 따라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제2 초음파 발생기(31)의 사이에는 정상파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초음파부(30)의 제2 초음파 발생기(31)가 초음파 반사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로부터 발생된 초음파가 제2 초음파부(30)를 향하여 파동이 진행되다가 상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각각 대응되는 제2 초음파 발생기(31)에 의해서 반사된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와 겹치게 됨에 따라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제2 초음파 발생기(31)의 사이에는 정상파가 형성된다.
상기 정상파는 진폭과 주파수가 같은 파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때 파동의 합성에 의해 발생되는데, 진동의 마디점과 마루, 골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제2 초음파 발생기(31)의 사이에 정상파가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제2 초음파 발생기(3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정상파의 마디점(80)이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제어부(70)의 컨트롤러(72)가 초음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게 되면 파동의 회절에 의한 간섭의 영향으로 인하여 매트릭스 형태가 아닌 특정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공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이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제2 실시예서와 같이 제1 초음파부(20)의 간섭방지 플레이트(22)와 제2 초음파부(30)의 간섭방지 플레이트(32)를 사용하여 파동의 회절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는,상기 간섭의 영향이 일정 수준보다 낮도록 다수의 제1초음파 발생기(21) 사이의 거리를 소정 거리 이상을 두고 설치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제2 초음파 발생기(31)의 사이에 정상파가 형성되면, 제어부(70)의 컨트롤러(72)는 밸브 구동부(74)를 동작시켜서 밸브(52)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펌프 구동부(75)를 동작시켜서 미립자부(51)로부터 제공되는 미립자가 전동 펌프(53)에 의해 미립자 분사부(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미립자는 물방울, 거품, 연기, 안개, 스티로폼 조각, 합성수지 조각, 종이 조각, 천조각 등 다양한 재료중의 하나로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서와 같이, 미립자가 종류별로 구분되어 발생 또는 저장되어 있는 다수개의 미립자부(51a, 51b, 51c)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어부(70)의 컨트롤러(72)는 밸브 구동부(74)를 동작시켜서 다수개의 밸브(52a, 52b, 52c)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펌프 구동부(75)를 동작시켜서 다수개의 미립자부(51a, 51b, 51c)중에서 선택된 미립자가 전동 펌프(53)에 의해 미립자 분사부(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미립자 분사부(40)로 공급된 미립자는,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21)와 제2 초음파 반사체(31)의 사이의 정상파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 영역을 향하여 노즐(41)을 통해 분사된다.도 1에서 볼 수 있듯이,복수 개(ex 5개)의 노즐(41)이 제1초음파 발생기(21)와 제2초음파 발생기(31) 사이에 미립자를 분사하는데,경우에 따라서는 가장자리에 있는 노즐(ex 좌측 끝의 1개,우측 끝의 1개)은 기설정양보다 적은 양의 미립자를 분사하고,가운데에 있는 노즐(ex 중간의 3개)은 기설정 양보다 많은 양의 미립자를 분사하여 보다 극적인 효과를 드러낼 수 있다.즉,가장자리에서부터 가운데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영상이 선명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가장자리에 있는 노즐과 가운데에 있는 노즐 각각이 서로 다른 미립자를 분사하여 색다른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초음파에 의한 정상파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 영역으로 분사된 미립자중 일부는 매트릭스(또는 특정 무늬) 형태의 정상파의 마디점(80)에 안착됨으로써 파동 에너지에 의해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초음파에 의한 정상파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 영역에서 미립자가 공중 부양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측면 지지대(10a, 10b)와 상단 지지대(10c)의 사이의 공간 영역에는 스크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면 지지대(10a, 10b)와 상단 지지대(10c)의 사이의 공간 영역에 스크린이 형성되면, 제어부(70)의 컨트롤러(72)는 영상 구동부(76)를 동작시켜서 영상 프로젝터(6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물방울, 연기, 안개, 스티로폼 조각, 합성수지 조각, 종이조각, 천조각 등 다양한 재료의 미립자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로 된 스크린을 자신이 원하는 바대로 형성함으로써 공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10a, 10b : 측면 지지대 10c : 상단 지지대
20 : 초음파 발사대 30 : 초음파 반사대
40 : 미립자 분사부 50 : 미립자 공급부
60 : 영상 프로젝터 70 : 제어부
71 :입력부 72 : 컨트롤러
73 : 초음파 구동부 74 : 밸브 구동부
75 : 펌프 구동부 76 : 영상 구동부

Claims (7)

  1. 한 쌍의 측면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1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초음파부와,
    상기 측면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 초음파 발생기와 동일한 진폭,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송출하는 제2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초음파부와,
    상기 상단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립자를 제1 초음파 발생기와 제2 초음파 발생기 사이에서 정상파가 형성되는 공간 영역에 분사하기 위해 복수 개의 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미립자 분사부와,
    상기 미립자 분사부에 연결되어 있는 미립자 공급부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프로젝터와,
    상기 영상 프로젝터 및 미립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제2 초음파 발생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파동의 회절에 의한 간섭을 줄여 주는 간섭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초음파부의 제2 초음파 발생기는 초음파 반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노즐이 제1 초음파 발생기와 제2 초음파 발생기 사이에 미립자를 분사할 때, 가장자리에 있는 노즐은 기설정양보다 적은 양의 미립자를 분사하고, 가운데에 있는 노즐들은 기설정 양보다 많은 양의 미립자를 분사하여 가장자리에서부터 가운데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영상이 선명하게 하고,
    상기 미립자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미립자중 일부는 매트릭스 또는 특정 무늬 형태를 갖는 정상파의 마디점에 안착되어 파동 에너지에 의해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여 측면 지지대와 상단 지지대 사이의 공간 영역에 스크린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미립자 공급부는,
    미립자를 종류별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부와,
    상기 미립자부와 미립자 분사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와,
    상기 미립자부와 미립자 분사부를 연결하는 이송관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동 펌프를 작동시키는 펌프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영상 프로젝터를 작동시키는 영상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밸브 구동부를 동작시켜서 다수개의 밸브 중에서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 구동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부 중에서 선택된 미립자가 상기 전동 펌프에 의해 대응하는 미립자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물방울, 연기, 안개, 스티로폼 조각, 합성수지 조각, 종이 조각, 천조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립자가 존재하며, 상기 가장자리에 있는 노즐은 상기 복수의 미립자 중에서 제1 미립자를 분사하고, 상기 가운데에 있는 노즐은 상기 복수의 미립자 중에서 제2 미립자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57463A 2021-05-03 2021-05-03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63A KR102369754B1 (ko) 2021-05-03 2021-05-03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1/006054 WO2022234879A1 (ko) 2021-05-03 2021-05-14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63A KR102369754B1 (ko) 2021-05-03 2021-05-03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754B1 true KR102369754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463A KR102369754B1 (ko) 2021-05-03 2021-05-03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9754B1 (ko)
WO (1) WO202223487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779A (ja) * 2007-10-22 2009-05-14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形成装置
KR101801745B1 (ko) 2017-02-27 2017-11-27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워터스크린
KR20190089572A (ko) * 2018-01-23 2019-07-3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포그 스크린 시스템용 포그 가이드 장치
JP2020173382A (ja) * 2019-04-12 2020-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7490A (ja) * 1999-11-18 2001-05-29 Apollon Kobo:Kk 映像スクリーン
JP2015121655A (ja) * 2013-12-24 2015-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形成装置、投影システム及びスクリ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779A (ja) * 2007-10-22 2009-05-14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形成装置
KR101801745B1 (ko) 2017-02-27 2017-11-27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워터스크린
KR20190089572A (ko) * 2018-01-23 2019-07-3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포그 스크린 시스템용 포그 가이드 장치
JP2020173382A (ja) * 2019-04-12 2020-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4879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47B2 (en) Theater seat providing multi-dimensional sense
KR200383828Y1 (ko) 입체영상 체감형 그리드 시스템
US101979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fast vanishing light scattering volume/surface
KR19990044276A (ko) 탑승형 게임 장치
CO4480764A1 (es) Conjunto de boquilla espumadora para roceadores con disparador
RU2011123123A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е объекта по поверхности
JP3639023B2 (ja) 噴水装置
WO201718947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fields
KR10236975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82343Y1 (ko) 입체적 체감이 가능한 의자시스템
JP4841351B2 (ja) 映像表示装置
US10933203B2 (en) Adjustable misting arrays
US2215895A (en) Fluid velocity motor operated generator
CN102282377B (zh) 气流喷出装置及使用该气流喷出装置的手干燥装置
US9492758B2 (en) Body and gesture recognition for water play structure
CN209401212U (zh) 一种幼儿地震演示教学用具
US4132067A (en) Accoustic propulsion system
JP2002524220A5 (ko)
CN211368982U (zh) 一种能在水里制造涟漪效果的设备
JP2007527964A (ja) 透明構造体用の発泡体断熱/遮光システム
US1110913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hape a medium
KR101501274B1 (ko) 다중 입체향 분사장치
JP2009103779A (ja) スクリーン形成装置
KR20220002387U (ko) 초음파 정상파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안
JP2006047450A (ja) 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