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465B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465B1
KR102369465B1 KR1020200019694A KR20200019694A KR102369465B1 KR 102369465 B1 KR102369465 B1 KR 102369465B1 KR 1020200019694 A KR1020200019694 A KR 1020200019694A KR 20200019694 A KR20200019694 A KR 20200019694A KR 102369465 B1 KR102369465 B1 KR 10236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load device
switching frequency
frequenc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131A (ko
Inventor
박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465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 회로가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전압 출력 회로가 제어 회로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제어 회로가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제어 회로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 냉장고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이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스위칭 회로에 의하여 적절한 크기의 전력으로 변환되어 전자 장치 내부의 부하 장치 또는 회로에 공급된다.
이때 공기 조화기, 냉장고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동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사용자는 전기 요금의 감소를 위해, 전자 장치가 보다 적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것을 희망한다. 이와 같이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가 등록특허 KR 10-1582564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전자 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만 개시하고 있을 뿐,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소비하는 전력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 회로가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 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스위칭 회로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가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상기 제어 회로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상기 제어 회로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광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회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가 사용자로부터 제1 부하 장치 목록 설정 입력 및 제2 부하 장치 목록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상기 제어 회로로 전압을 재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재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재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재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상기 절전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상태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스위칭 회로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회로 및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출력 회로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광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회로로 출력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하 장치 목록 및 상기 제2 부하 장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전압을 재수신하고, 재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재연산하고, 상기 재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상기 절전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상태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소비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다 상세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위칭 회로(110), 전압 출력 회로(120) 및 제어 회로(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부하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1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 회로(11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동작에 따라 입력 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위칭 회로(110)가 인버터 회로이면, 스위칭 회로(110)는 입력 받은 직류 전력을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는 구동 회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스위칭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될 수 있다. 구동 회로는 스위칭 회로(1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와 같은 구동 회로는 스위칭 회로(110)가 목표하는 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값, 주파수 및 듀티비(Duty Ratio)를 가지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회로(110)에 인가한다.
전압 출력 회로(120)는 스위칭 회로(110)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 출력 회로(120)는 스위칭 회로(110)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듀티비를 가지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압값을 가지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전압 출력 회로(120)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출력 회로(120)는 발광 소자(121) 및 수광 소자(122)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압 출력 회로(120)는 발광 소자(121) 및 수광 소자(122)를 포함하는 포토 커플러 일 수 있다.
발광 소자(121)는 스위칭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발광 소자(121)는 구동 회로를 통해 스위칭 회로(110)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고, 스위칭 신호의 전압값에 따라 광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21)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수광 소자(122)는 광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압을 제어 회로(13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광 소자(122)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이때 광신호의 원활한 전달을 위해서 발광 소자(121)와 수광 소자(122)의 사이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신호가 스위칭 회로(110)를 턴-온 시키기 위한 신호이면, 발광 소자(121)는 광신호를 출력하고, 수광 소자(122)는 광신호에 따라 턴-온 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압값을 제어 회로(130)로 출력한다. 또한, 스위칭 신호가 스위칭 회로(110)를 턴-오프 시키기 위한 신호이면, 발광 소자(121)는 광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수광 소자(122)는 광신호에 따라 턴-오프 되어 전압값이 0V인 전압을 제어 회로(13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수광 소자(122)가 턴-온 또는 턴-오프 됨에 따라, 전압 출력 회로(120)는 스위칭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제어 회로(130)는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하면,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 회로(13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제어 회로(130)는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절전 입력은 부하 장치(14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입력으로, 제어 회로(130)는 절전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부하 장치(14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제어 회로(130)는 절전 입력을 수신하면,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한다. 이때 스위칭 주파수는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이 가지는 주파수로, 구동 회로에 의해 스위칭 회로(110)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30)는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제어 회로(130)에 의해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감소하면 전자 장치(100)가 소비하는 전력은 증가하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히, 제어 회로(130)는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때 제1 기준 주파수는 전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황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켜야 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1 기준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는 부하 장치(140)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적기 때문이다.
만약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한다. 이때 제1 부하 장치 목록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작을 중단시킬 부하 장치(140)들이 포함되는 목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부하 장치 목록은 제어 회로(130)가 사용자로부터 제1 부하 장치 목록 설정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부하 장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13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일 먼저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때 제2 기준 주파수는 제1 기준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전자 장치(100)가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한다. 이때 제2 부하 장치 목록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동작을 중단시킬 부하 장치(140)들이 포함되는 목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부하 장치 목록은 제어 회로(130)가 사용자로부터 제2 부하 장치 목록 설정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부하 장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130)는 절전 모드로 동작할 때,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일 먼저 중단시키고, 그 다음으로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기준 주파수, 제2 기준 주파수, 제1 부하 장치 목록 및 제2 부하 장치 목록을 이용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기준 주파수 및 제3 부하 장치 목록 등과 같이 추가적인 기준을 가지고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 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130)가 절전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나서, 제어 회로(13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이때 기준 시간은 제어 회로(130)가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나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적절한 값을 가지고 있는지 다시 판단하는 주기이다.
따라서 제어 회로(130)가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전압을 재수신하고, 재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재연산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30)는 재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 회로(130)가 재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어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기준 시간마다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소비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30)는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나서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면,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절전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 회로(130)는 절전 해제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절전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중단시킨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다시 가동시킬 수 있다.
부하 장치(140)는 제어 회로(13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수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장치로, 유선 컨트롤러, 와이파이 통신 장치 등 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절전 입력에 따라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기본적인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 장치(100)가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 회로(130)는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한다(S310).
그리고 나서 전압 출력 회로(120)는 제어 회로(130)로 전압을 출력한다(S320). 보다 상세히, 전압 출력 회로(120)는 발광 소자(121)를 이용하여 스위칭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나서 전압 출력 회로(120)는 수광 소자(122)를 이용하여 광신호에 대응디는 전압을 생성하여 제어 회로(130)로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30)는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한다(S330). 이때 스위칭 주파수는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수신한 전압이 가지는 주파수로, 구동 회로에 의해 스위칭 회로(110)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된다.
그 다음 제어 회로(130)는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한다(S340). 제어 회로(130)가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다 상세한 방법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다 상세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회로(130)는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한다(S410). 이때 제1 기준 주파수는 전자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상황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켜야 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1 기준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부하 장치(140)의 동작 제어를 종료한다.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한다(S420). 이때 제1 부하 장치 목록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작을 중단시킬 부하 장치(140)들이 포함되는 목록이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30)는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한다(S430). 이때 제2 기준 주파수는 제1 기준 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로, 전자 장치(100)가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일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2 기준 주파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더 이상 제어하지 않고, 부하 장치(140)의 동작 제어를 종료한다.
만일 제어 회로(130)가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 회로(130)는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한다(S440). 이때 제2 부하 장치 목록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동작을 중단시킬 부하 장치(140)들이 포함되는 목록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중단 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제어 회로(130)가 절전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나서, 제어 회로(13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350).
이때 제어 회로(130)가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전압 출력 회로(120)로부터 전압을 재수신하고, 재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재연산한다. 즉, S320 단계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만일 제어 회로(130)가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S360).
이때 제어 회로(130)가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제어 회로(130)는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절전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상태로 조절하고 종료한다.
만일 제어 회로(130)가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제어 회로(130)는 다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S350 단계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기준 시간마다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소비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전자 장치 110: 스위칭 회로
120: 전압 출력 회로 130: 제어 회로
140: 부하 장치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스위칭 회로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가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상기 제어 회로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상기 제어 회로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광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회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가 사용자로부터 제1 부하 장치 목록 설정 입력 및 제2 부하 장치 목록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압 출력 회로가 상기 제어 회로로 전압을 재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재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재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재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상기 절전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상태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하나 이상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스위칭 회로에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 회로; 및
    사용자로부터 절전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제1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1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가 상기 제2 기준 주파수 이하이면, 제2 부하 장치 목록에 포함된 부하 장치의 동작을 중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출력 회로는
    상기 스위칭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광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회로로 출력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 장치 목록 및 상기 제2 부하 장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압 출력 회로로부터 전압을 재수신하고, 재수신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주파수를 재연산하고,
    상기 재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연산된 스위칭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 후 사용자로부터 절전 해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부하 장치의 동작을 상기 절전 입력을 수신하기 전의 상태로 조절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19694A 2020-02-18 2020-02-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694A KR102369465B1 (ko) 2020-02-18 2020-02-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694A KR102369465B1 (ko) 2020-02-18 2020-02-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131A KR20210105131A (ko) 2021-08-26
KR102369465B1 true KR102369465B1 (ko) 2022-03-02

Family

ID=7746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694A KR102369465B1 (ko) 2020-02-18 2020-02-1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4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742A (ja) 1999-09-29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128167A (ja) 2012-12-27 2014-07-07 Toshiba Corp 電力融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95B1 (ko) * 2000-07-12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장치의 제어회로
US7986136B2 (en) * 2007-08-09 2011-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EP2652859B1 (en) * 2010-12-16 2019-02-20 LG Electronics Inc.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2423064B1 (ko) * 2017-05-0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와 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742A (ja) 1999-09-29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4128167A (ja) 2012-12-27 2014-07-07 Toshiba Corp 電力融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131A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234B1 (ko) 고효율 고정확도 히터 드라이버
TW201301952A (zh) 調光系統及其控制系統與控制方法
US2020024418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709629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369465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8201B1 (ko) 역률 보정 회로, 이를 갖는 전원 장치 및 모터 구동 장치
WO2020052296A1 (zh) 一种基于混合供电的电子开关调节电路及供电电源
JP2017513447A5 (ko)
WO2013038775A1 (ja) 電力用半導体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および電力用半導体素子の駆動方法
US10892741B2 (en) Power device driving apparatus
US10609799B2 (en) Multi-output dimmable class-2 power supply in accord with american standard
JP2011087451A (ja) ダイナミック電流供給ポンプ
TW201411989A (zh) 電源電路及其控制方法
US8569968B2 (en) Method for adjusting light brightness using a toggle switch and related illuminant system
EP3926808A1 (en) A synchronous flyback converter
KR102352516B1 (ko) 절전형 스마트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049793A1 (en) High speed charge control for power switching devices
CN110972356A (zh) 驱动控制电路以及发光二极管的照明驱动电路
KR101828157B1 (ko)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TW202101890A (zh) 功率轉換器及用於控制其之方法與控制器
JPH11308858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電源回路
TWI501064B (zh) 混成供電架構
TW202046823A (zh) 積體電路設備及其操作方法
JP5632587B2 (ja) 調光用点灯装置
KR10241178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