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719B1 -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 Google Patents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719B1
KR102368719B1 KR1020210113692A KR20210113692A KR102368719B1 KR 102368719 B1 KR102368719 B1 KR 102368719B1 KR 1020210113692 A KR1020210113692 A KR 1020210113692A KR 20210113692 A KR20210113692 A KR 20210113692A KR 102368719 B1 KR102368719 B1 KR 10236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dy
cover
pontoon
ai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엽
Original Assignee
손용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엽 filed Critical 손용엽
Priority to KR102021011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8Means for reducing the vapour space or for reducing the formation of vapour with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8Mean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scape of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빈공간 형성한 6각형 또는 8각형의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의 양 끝단부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연속하며 연결 및 체결되어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플로팅 폰툰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가장자리가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플랜지 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서 일정 거리 들어가 상기 파이프 본체 안쪽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까지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단부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 절곡부와; 상기 밀착 절곡부에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 밀착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부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 용접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POLYGON PONTOON FOR FLOATING COVER ON VOLATILE OIL IN STORAGE TANK}
본 발명은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각형의 폰툰의 양 끝단부에 용접되는 엔드 플레이트의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엔드 플레이트에 공기주입수단을 채용하여 폰툰에 공기가 누설되는 경우에도 다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개선된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에 관한 것이다.
원유 저장기지 또는 석유 저장기지에 설치되는 유류(油類) 저장탱크는 그 직경이 수십 미터에 이르는 대형의 저장탱크이다.
그리고 석유와 같은 유류는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저장탱크 내에 저장되고 있는 동안에 기화에 의한 증발이 일어나게 되는데, 특히 대형의 유류 저장탱크에서는 평면적이 크기 때문에 증발현상이 더욱 심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유류 저장탱크에 여러 가지 유류 증발 억제수단을 구비해 두고 있다.
이러한 유류 증발 억제수단은, 일반적으로 유류의 상면을 덮고 있는 커버(또는 지붕(roof))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유류를 인출하거나 증발되는 등의 유면(油面)의 높이 변화에 따라 커버가 자동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유면과 커버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함으로써, 유류의 증발을 최대한으로 막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의 설치 형태에 따라 통상 플로팅 루프 탱크(floating roof tank) 타입과, 인터널 루프 탱크(internal roof tank) 타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플로팅 루프 탱크 타입은 부유식 커버 탱크로써, 탱크 커버가 저장하고 있는 유류의 수위에 따라 움직이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플로팅 루프 탱크는, 주로 휘발성이 강한 유류(예컨대, 휘발유, 납사 및 원유)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유류의 증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의미는, 그만큼 휘발성이 큰 유류를 저장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지만, 커버가 유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커버와 탱크의 내면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널 루프 탱크의 타입은, 고정식 커버 아래 부상식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이중 커버를 가진 탱크로서, 밀폐 효과가 크고 빗물의 유입을 막아 줄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널 루프 탱크는 휘발성이고 수분에 민감한 항공유와 같은 제품 또는 유독 물질을 저장하는 용도로 이용하며, 폭우나 폭설이 많은 지역의 경질유 제품 오염방지에 유용하고, 고정 커버가 추가되어 있다는 점만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플로팅 루프 탱크와 거의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커버가 저장 유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커버가 저장 유류 위에서 뜰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플로팅 루프 탱크에 사용되는 플로팅 루프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유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미국 등록특허공보 US4,244,487(1981. 01. 13, 등록)(이하, '미국등록특허'라 한다.)의 FIG.3D의 플로팅 루프 또는 플로팅 커버의 요부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미국등록특허의 FIG.3C의 폰툰의 요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수 개의 메탈 시트(metal sheets)(32)가 연결되고, 이 메탈 시트(32)의 하부로 메탈 시트(32)에 연결된 클램핑 장치(34)와, 이 클램핑 장치(34)의 일정 간격마다 그 하부에 연결된 클램핑 스트랩(clamping strap)(52)과, 이 클램핑 스트랩(52)에 의해 지지된 데크 지지 폰툰(44,44L,44R, 이하 폰툰(44)이라 함)과, 이 폰툰(44)의 양 측단부에 고정된 플랜지(84,84L,84R, 이하 도면번호는 84로 함)와, 폰툰(44)들의 플랜지(84)를 체결하여 상기 폰툰(44)들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피봇 볼트(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폰툰(44)은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으로, 유류 상부에 부유(floating)하기 위해 공기(air)가 채워진 후, 폰툰(44)의 양 끝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80,80L,80R, 이하, 도면번호는 80으로 함)로 커버한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80)는 폰툰(44)의 지름 크기로 커팅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툰(44)의 양 끝단부에 엔드 플레이트(80)를 용접(W)으로 고정함으로써, 폰툰(44)의 양 끝단부가 밀폐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84)는 엔드 플레이트(80)의 평면부(82)에 용접하여 고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완성된 폰툰 조립체가 유류 저장탱크 내부의 유류 상부를 커버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류가 안정되게 저장되게 하면서 유류의 손실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폰툰(44)의 내부의 빈공간에 공기가 채워져 있으므로 유류의 부력을 받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국등록특허의 플로팅 커버는, 상기 폰툰(44)은 원통형 파이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 유류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폰툰(44)과 유류의 균일하지 않은 마찰력 때문에 폰툰(44)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회전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클램핑 스트랩(52)을 메탈시트(32)에 고정 체결하는 체결나사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폰툰(44)과 메탈시트(32) 사이의 체결력이 떨어지며, 이에 따라 폰툰(44)이 메탈시트(32)에서 풀리게 된다.
이렇게 폰툰(44)이 풀리면 커다란 전체 메탈시트(32)에 고르게 부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과 더불어 경우에 따라서는 폰툰(44)이 메탈시트(32)에서 분리되어 부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폰툰(44)을 원통형으로 만들면 보관 또는 이송할 때 적재하기가 곤란하고 취급이 어려워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미국등록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8각형 또는 6각형으로 이루어진 금속튜브의 외주면에 체결밴드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밴드의 양쪽 선단은 고정수단에 의해 플로팅 패널에 고정 체결되어 유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금속튜브가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7632호(2019. 11. 13, 공개)(이하, '공개특허'라 한다.)에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개특허의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는, 부력을 발생하게 하는 금속튜브가 6각형 또는 8각형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플로팅 루프 패널이 유류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할 때 밴드에 묶여 있는 금속튜브가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가 부딪혀 발생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금속튜브가 밴드 속에서 회전하거나 움직이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의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는, 금속튜브가 회전모멘트 등의 외력이 작용하면 금속튜브의 찌그러지는 등의 이유로 변형되거나, 금속튜브 양 끝단부의 엔드 플레이트의 용접 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금속튜브 내부의 공기가 새어나가 금속튜브의 부력 기능이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금속튜브에서 공기가 새어나가는 경우, 다시 공기를 금속튜브 내부에 주입하는 수단이 없었다.
그리고 특히,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국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80)와 폰툰(40)의 두께 부분 측면에만 용접(W)되어 고정됨으로써, 큰 외력이 작용하는 폰툰(40)에서 엔드 플레이트(80)가 지속적으로 고정되기 어렵다.
특히, 상기 폰툰(40)이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더욱 외력에 취약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속시킨다.
더욱이 상기 플랜지(84)가 엔드 플레이트(80)의 평면부(82)의 표면에 완전히 노출되며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엔드 플레이트(80) 및 플랜지(84)가 외력에 취약하여 망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엔드 플레이트(80)와 폰툰(40)의 연결부의 용접(W) 부분이 망실되어 공기가 누출되어 부력 기능이 상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84)가 변형되거나 탈락되어 폰툰(40)의 전체적인 조립체가 풀려 플로팅 커버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각형의 폰툰의 양 끝단부에 용접되는 엔드 플레이트의 용접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엔드 플레이트에 공기주입수단을 채용하여 폰툰에 공기가 누설되는 경우에도 다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은,
내부가 빈공간 형성한 6각형 또는 8각형의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의 양 끝단부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연속하며 연결 및 체결되어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플로팅 폰툰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가장자리가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상기 플랜지 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서 일정 거리 들어가 상기 파이프 본체 안쪽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까지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단부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 절곡부와;
상기 밀착 절곡부에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 밀착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부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 용접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는 상기 폰툰 내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출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공기입출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삽입 고정되고, 중앙 전면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 일측에 공기가 입출되는 공기입출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을 폐쇄하며, 상기 공기입출 홀을 커버하여 공기의 입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출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6각형 또는 8각형의 파이프 본체의 양 단부 개방부 안쪽에 엔드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용접을 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를 구조적으로 보강하고, 외력에 견딜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공기입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입출부재가 외력에 견딜 수 있으며, 공기의 누출이 있더라도 다시 채울 수 있게 하여, 폰툰의 부력 기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플랜지 브라켓이 설치됨으로써, 플랜지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도 1은 종래의 플로팅 커버의 요부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폰툰의 요부 구성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요부 구성도.
도 8은 도 7에서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4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 4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4의 요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도 7에서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100)은, 내부가 빈공간 형성한 6각형 또는 8각형의 파이프 본체(110)와, 이 파이프 본체(110)의 양 끝단부의 개방부(110a)를 폐쇄하는 엔드 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연속하며 연결 및 체결 고정되어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본체(1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8각형만을 도시하여 실시예로 하였지만, 6각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는,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부(131)와, 밀착 절곡부(132)와 돌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버부(131)는, 가장자리가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플랜지 브라켓(120)이 고정되며, 파이프 본체(110)의 끝단부에서 일정 거리 들어가 상기 파이프 본체(110) 내부 안쪽을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 절곡부(132)는, 상기 커버부(13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되, 파이프 본체(110)의 끝단부까지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 본체(110)의 단부 내벽(111)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3)는, 상기 밀착 절곡부(132)에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파이프 본체(110)의 끝단부에 밀착되되, 파이프 본체(110)의 외부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 본체(110)의 끝단부 측벽(113)에 용접(W)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31)의 일측에는 폰툰(100) 내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출부재(140)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입출부재(140)는,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a)와 차단부재(140b)로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140a)는, 엔드 플레이트(130)의 커버부(131)에 삽입 고정되고, 중앙 전면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3)의 바닥(또는 측벽) 일측에 공기가 입출되는 공기입출 홀(144)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40a)는, 엔드 플레이트(130)의 커버부(131)에 미리 형성된 삽입공(135)에 삽입되는 삽입부(141)와, 이 삽입부(141)의 전면에 연장 형성되고, 커버부(131)의 삽입공(135)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커버부(131) 전면에 밀착되며 고정되되, 커버부(131)에 용접(W)되며 고정된 밀착 고정부(1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입출 홀(144)은 삽입부(141)의 바닥(또는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43)은 삽입부(141)와 밀착 고정부(142)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40b)는, 고정부재(140a)의 삽입홈(143)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143)을 폐쇄하며, 고정부재(140a)의 공기입출 홀(144)을 커버하여 공기의 입출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부재(140b)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제1차단부(145)와, 이 제1차단부(145)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제1차단부(145)에 비해 급격하게 단면적이 줄어들어 소정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 제2차단부(14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145)는 삽입홈(143)의 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제2차단부(147)는 공기입출 홀(144) 직접 커버하여 공기입출 홀(144)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40a)의 삽입홈(143)은 차단부재(140b)가 억지끼워맞춤으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140)에 공기입출 홀(144)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사용 중에 공기입출 홀(144)을 통해 폰툰(10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140a)의 삽입홈(143)과 차단부재(140b)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재(140a)의 외관은 가공성이나 커버부(131)의 삽입공(135)에 삽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나, 차단부재(140b)와 고정부재(140a)의 삽입홈(143)은 차단부재(140b)가 삽입홈(143)에 끼워져 사용 중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회전되지 않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관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40a)는 커버부(131)에 용접(w)이 되므로, 커버부(131)의 삽입공(135)에서 빠지거나 외력이 작용하여도 회전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공기입출부재(14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엔드 플레이트(130)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100)에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의 표면에 돌출 설치되어 다수 개의 상기 폰툰(100)을 연속하며 연결 및 체결하는 플랜지 브라켓(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 브라켓(120)이 엔드 플레이트(130)의 커버부(131)에 용접되고, 이 용접 부위가 폰툰(100)의 끝단부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기존에 비해 외력에 의한 충격을 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와 플랜지 브라켓(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100)은,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본체(110)의 양 단부의 개방부(110a)를 폐쇄하는 엔드 플레이트(130)도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제조하되, 파이프 본체(110)의 개방부(110a)를 커버하는 커버부(131)와, 이 커버부(131)의 가장자리에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절곡 형성한 밀착 절곡부(132)와, 이 밀착 절곡부(132)에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하되 수직으로 연장하여 돌출되게 돌출부(133)를 각각 형성하여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한 엔드 플레이트(130)의 커버부(131)는 파이프 본체(110)의 양 끝단부에서 일정 거리 개방부(110a) 안쪽으로 들어가 커버하고, 상기 밀착 절곡부(132)는 파이프 본체(110)의 단부 내벽(111)에 밀착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133)는 파이프 본체(110)의 끝단부 측벽(113)에 밀착되며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한 엔드 플레이트(130)의 돌출부(133) 안쪽과 파이프 본체(110)의 단부를 용접(W)한다.
이에 따라, 용접(W) 부위가 종래(도 3 참조)에 비해 넓은 면적에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돌출부(133)에 의해 용접 작업이 수월하며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견고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폰툰(100)이 구조적으로 보강도 되며, 폰툰(100)의 사용 중 외력이 작용해도 엔드 플레이트(130)가 파이프 본체(110)에서 이탈될 염려가 없다.
이에 따라 폰툰(100) 내부에 주입된 공기가 샐 염려가 없어, 지속적으로 부력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의 일측 가장자리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출부재(140)가 설치됨으로써, 사용 초기에는 적정하게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사용 중에 공기가 누출되어도 다시 공기를 채울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입출부재(140)가 고정부재(140a)와 차단부재(140b)로 이루어지고, 고정부재(140a) 바닥에는 작은 홀로 이루어진 공기입출 홀(144)이 형성되고, 이 공기입출 홀(144)을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큰 단차로 이루어진 차단부재(140b)로 차단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여도 차단부재(140b)가 고정부재(140a)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입출 홀(144)을 통해 상용 중에 공기가 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폰툰(100)이 항시 일정한 부력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다각형 폰툰
110. 파이프 본체
110a. 개방부
113. 측벽
120. 플랜지 브라켓
130. 엔드 플레이트
131. 커버부
132. 밀착 절곡부
135. 삽입공
140. 공기입출부재
140a. 고정부재
140b. 차단부재
141. 삽입부
142. 밀착 고정부
143. 삽입홈
144. 공기입출 홀
145. 제1차단부
147. 제2차단부

Claims (7)

  1. 내부가 빈공간 형성한 6각형 또는 8각형의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의 양 끝단부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엔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가 연속하며 연결 및 체결되어 유류 저장탱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플로팅 폰툰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가장자리가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면에 플랜지 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서 일정 거리 들어가 상기 파이프 본체 안쪽을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까지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단부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 절곡부와;
    상기 밀착 절곡부에 연장 형성되어 6각형 또는 8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 밀착되되,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부면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본체의 끝단부에 용접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는 상기 폰툰 내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출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공기입출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삽입 고정되고, 중앙 전면에 소정 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 일측에 공기가 입출되는 공기입출 홀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을 폐쇄하며, 상기 공기입출 홀을 커버하여 공기의 입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출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7. 삭제
KR1020210113692A 2021-08-27 2021-08-27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KR10236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92A KR102368719B1 (ko) 2021-08-27 2021-08-27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692A KR102368719B1 (ko) 2021-08-27 2021-08-27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19B1 true KR102368719B1 (ko) 2022-02-25

Family

ID=8049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692A KR102368719B1 (ko) 2021-08-27 2021-08-27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7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487A (en) * 1979-04-02 1981-01-13 Ultraflote Corporation Floating cover having pivotally connected flotation pontoons
JPH10316193A (ja) * 1997-05-15 1998-12-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屋根式貯蔵タンクのデッキ補修方法
US20130284741A1 (en) * 2011-01-14 2013-10-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Floating body
KR20190127632A (ko) * 2019-11-04 2019-11-13 손용엽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487A (en) * 1979-04-02 1981-01-13 Ultraflote Corporation Floating cover having pivotally connected flotation pontoons
JPH10316193A (ja) * 1997-05-15 1998-12-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屋根式貯蔵タンクのデッキ補修方法
US20130284741A1 (en) * 2011-01-14 2013-10-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Floating body
KR20190127632A (ko) * 2019-11-04 2019-11-13 손용엽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0222A (en) Secondary liquid containment system
US5621924A (en) Vacuum tank construction for a vacuum toilet assembly
US4998571A (en) Overfill valve apparatus
CA2650296A1 (en) Storage tank with self-draining full-contact floating roof
KR102368719B1 (ko) 유류 저장 탱크의 플로팅 커버용 다각형 폰툰
JP2010525998A (ja) 燃料ディスペンサのサンプ
KR102571614B1 (ko) 플로트 밸브
AU714773B2 (en) Dispenser sump
SU1308190A3 (ru) Резервуа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и,газа ил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с разгрузкой под действием силы т жести
US3690502A (en) Pipe pontoon floating roof
US4273250A (en) Sealing system for liquid storage tanks
JP2017137071A (ja) 浮屋根式タンクの自動空気抜き
CA2206498C (en) Sump seal and extender
US5570805A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for combustible liquids
US4191303A (en) Liquid storage tank sealing system
JP5123716B2 (ja) 雨水浸入防止構造
JP2001048293A (ja) 地下タンクの設置におけるプロテクターの構造
KR20190127632A (ko) 유류 저장용 탱크의 플로팅 루프
EP0761487B1 (en) Filling device for a fuel tank
KR102040839B1 (ko) 플로팅 루프형 유류저장탱크
KR102597939B1 (ko) 내구성과 안정성을 강화한 이동식 급유 탱크
KR200473227Y1 (ko) 씨체스트 에어벤트의 역류방지 기구
JP5881351B2 (ja) エンジン作業機
US20230415566A1 (en) Device for filling a fuel tank with fuel
JPS61520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