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228B1 -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228B1
KR102368228B1 KR1020200044983A KR20200044983A KR102368228B1 KR 102368228 B1 KR102368228 B1 KR 102368228B1 KR 1020200044983 A KR1020200044983 A KR 1020200044983A KR 20200044983 A KR20200044983 A KR 20200044983A KR 102368228 B1 KR102368228 B1 KR 102368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itic
plant
pathogen
lp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325A (ko
Inventor
황성기
Original Assignee
황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기 filed Critical 황성기
Priority to KR102020004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2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체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에 따른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사물기생 병원체 및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식물체에서 현저한 면역증강 및 식물병 방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바, 식물병 방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e response of plant against necrotrophic pathogen or hemibiotrophic pathogen}
본 발명은 식물체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지질은 에너지 저장, 형질 도입 신호 전달, 식물-미생물 상호 작용의 조절 및 세포막의 구조적 성분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생물학적 기능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포스파티딜 에탄올 아민은 세포막 어셈블리에 기여하고 천연 인지질인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의 전구체로서 작용한다.
LPE는 피망, 체리, 딸기 및 토마토와 같은 광범위한 농작물에 투여된다. 외인성으로 적용되는 LPE는 식물의 조기 노화 과정을 지연시키지만, 작물의 반감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LPE는 성숙한 과일에서 숙성을 자극하나, 과일 숙성에서 에틸렌 생산을 방해하여 과일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결과적으로는, 저장 수명을 연장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식물체에 LPE를 처리하는 것은 식물 세포 내에서 ROS 생성을 증가시키며, 이는 LPE가 ROS-매개 방식으로 호르몬 생산을 조절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한편, 식물의 생활사는 병충해, 빛, 중력, 물, 온도와 같은 생물학적·비생물학적 스트레스로 인한 ‘외부요인’과 내생화합물과 같은 ‘내부요인’에 의해 영향 받는다. 이러한 내부요인들 중에서도 식물계 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며 낮은 농도에서 식물의 면역, 생장 및 발달에 특이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내생화합물들을 식물호르몬(plant hormone)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연구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Auxin과 더불어 ethylene(ET), cytokinin(CK), gibberellin (GA), abscisic acid(ABA), brassinosteroids(BRs) 등이 대표적인 식물 호르몬으로서 인정받아 왔으며 최근, jasmonic acid(JA), salicylic acid(SA), strigolactone 등도 식물 호르몬으로서 그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식물호르몬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식물체의 면역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며, LPE와 같은 화합물과 식물 면역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2-7011607호
Laluk, Kristin, and Tesfaye Mengiste. "Necrotroph attacks on plants: wanton destruction or covert extortion." The Arabidopsis Book/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8 (2010). Koeck, Markus, Adrienne R. Hardham, and Peter N. Dodds. "The role of effectors of biotrophic and hemibiotrophic fungi in infection." Cellular microbiology 13.12 (2011): 1849-1857.
이에 본 발명자들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이 식물에서 사물기생 병원체 및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사물기생 병원체 및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식물체에서 현저한 면역증강 및 식물병 방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바, 식물병 방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물기생 병원체인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Alternaria brassicicola) 접종에 따른 질병 증상을 관찰한 결과(A) 및 상기 결과를 병에 걸린 잎 면적(diseased leaf area, DLA)로 평가한 결과(B)를 나타낸 도이다(mock : 대조군; LPE를 포함하지 않는 250 ppm Tween 80 분무한 애기장대, LPE : LPE를 5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한 애기장대).
도 2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인 PstDC3000(Pseudomonas syringae pathovar tomato DC3000) 접종에 따른 질병 증상을 관찰한 결과(A) 및 PstDC3000의 감염 수준을 접종 후 시간(hours post inoculation, hpi)에 따른 세균수로 계산한 결과(B)를 나타낸 도이다(mock : 대조군; LPE를 포함하지 않는 250 ppm Tween 80 분무한 애기장대, LPE : LPE를 5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한 애기장대).
도 3은 LPE가 식물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mock : 대조군; LPE를 포함하지 않는 250 ppm Tween 80 분무한 애기장대, LPE : LPE를 5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한 애기장대).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다. 상기 LPE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부분 가수 분해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LPE는 농업 분야에서 색상 증가, 당도 증가, 저장성 증가 및 식물 성장 조절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38447697-pat00001
R : 가변 지방산 사슬
본 발명에 있어서, 사물기생 병원체(necrotrophic pathogen)는 죽은 식물체나 특정조직의 영양분에 의존해 기생하는 병원체를 의미한다. 사물기생은 주로 식물 병원체에서 나타나는 기생 방식으로, 살아있는 세포를 영양분으로 하는 활물기생(biotrophism)과 대비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사물기생 병원체는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Alternaria brassicicola), 알터나리아 솔라니(Alternaria solani), 알터나리아 알터나타(Alternaria alternata),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Sclerotinia sclerotiorum), 펙토박테리움 카로토보룸(Pectobacterium carotovorum) 및 코칠로볼루스 헤테로스트로퍼스(Cochliobolus heterostroph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활물기생 병원체(hemibiotrophic pathogen)는 일부는 영양을 직접 취하고, 일부는 기생하는 생물체에서 양분을 취하는 기생생활을 하는 병원체; 또는 초기에는 활물기생 방식을 보이다가 사물기생의 특성을 보이는 병원체;를 의미한다. 상기 반활물기생 병원체는 기생하는 생물체의 살아있는 조직을 침해하고, 부생적으로도 발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반활물기생체는 슈도모나스 시링가에(Pseudomonas syringae), 벤투리아 이네퀄리스(Venturia inaequalis), 피리쿨라리아 오리자애(Pyricularia oryzae), 클라도스포리움 풀범(Cladosporium fulvum), 유세틸라고 메이디스(Usatilago maydis), 콜레토트리쿰 그라미니콜라(Colletotrichum graminicola) 및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농도가 1 내지 100 pp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사물기생 병원체 및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 즉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현저한 식물병 방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바, 본 발명의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는 식물병 방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은 검은무늬병, 겹무늬병, 잿빛 곰팡이병, 균핵병, 세균땅속줄기썩음병, 깨씨무늬병, 줄기마름병, 검은별무늬병, 도열병, 토마토잎 곰팡이병, 흑수병, 갈색잎마름병 및 감자역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식재된 흙에 투여하거나 잎에 분무하는 형태로 식물체에 제공할 수 있다. 잎에 분무하는 경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적절한 농도로 첨가된 Tween 80을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 준비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생태형 Col-0 및 돌연변이(eds4-1, eds5-1, eds8, ein2-1, etr1-1, npr1-1, pad2-1, 및 pad4-1)의 종자는 국가농업종자위원회(NASC)에서 얻었다. 구체적으로, 식물 호르몬인 살리실산(SA), 지베렐린(GA), 에틸렌(ET) 및 자스몬산(JA)은 다수의 병원체에 대해 방어 반응을 조정한다고 알려져있다. 돌연변이 npr1-1은 NPR1-매개 SA 인식이 손상된 것으로, NPR1(SA receptor NON-REPRESSOR OF PR1)이 변이된 개체이다. 돌연변이 pad4-1 및 pad2-1은 카말렉신(camalexin) 생합성에 관여하는 PAD4(PHYTOALEXIN DEFICIENT 4) 및 PAD2(PHYTOALEXIN DEFICIENT 2)가 변이된 것으로, 반활물기생에 반응하는 카말렉신 생산 경로에 결함이 있다. 돌연변이 eds4-1(enhanced-disease susceptibility 4-1) 및 eds5-1(enhanced-disease susceptibility 5-1)은 병원체 인식 후 SA 항상성이 손상된 개체이다. 상기 돌연변이 eds4-1 및 eds5-1은 엽록체 외피에서 SA를 세포질로 내보내는 수송체인 EDS4 및 EDS5가 변이된 것으로, 스트레스로 유도된 SA의 방출이 억제된 것이다. 돌연변이 etr1-1(ethylene-receptor mutant ethylene-response 1-1), ein2-1(ethylene-insensitivity 2-1) 및 eds8(enhanced-disease-susceptibility)는 ET/JA 신호전달 경로의 ETR1, EIN2 및 EDS8이 각각 변이된 것이다.
애기장대는 16시간 일조 조건으로, 온도 22℃ 및 상대습도 70%인 성장 챔버에서 재배하였다.
실시예 2. 사물기생 병원체인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 Alternaria brassicicola ) 접종 및 질병 증상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재배된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생태형 Col-0 및 돌연변이(eds4-1, eds5-1, eds8, ein2-1, etr1-1, npr1-1, pad2-1, 및 pad4-1)에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를 접종한 후 질병 증상(즉, 표현형)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원 접종 1일 전, 4 내지 5주령 애기장대에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을 5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하였다. 대조군은 LPE를 포함하지 않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하였다.
사물기생 병원체인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Alternaria brassicicola) 균주는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이용하여, 22℃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250 ppm Tween 80을 사용하여 PDA 배지 상의 진균 배양물로부터 분생포자를 수확한 후, 분생포자 현탁액을 농도가 5x105 conidia/ml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압축기에 연결된 에어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분생포자 현탁액 약 20 ml을 식물에 분무하여 항원을 접종하였다. 접종된 식물은 온도 25℃ 및 상대습도 100% 조건인 챔버에서 16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항원이 접종된 식물의 질병을 유도하기 위해, 식물을 온도 25℃, 상대습도 80% 및 명암의 주기 16시간:8시간 조건인 챔버로 옮겼다.
질병의 증상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병에 걸린 잎 면적(diseased leaf area, DLA)에 따라 점수를 매겼다. 상기 DLA는 0 내지 5 등급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0 등급 : 잎 상에 사물기생 반점 또는 황백화된 반점이 없음
1 등급 : 괴사/황백화된 잎 면적이 1-20%
2 등급 : 괴사/황백화된 잎 면적이 21-40%
3 등급 : 괴사/황백화된 잎 면적이 41-60%
4 등급 : 괴사/황백화된 잎 면적이 61-80%
5 등급 : 괴사/황백화된 잎 면적이 81-100%
애기장대의 질병 증상을 관찰한 결과는 도 1A에 나타내었으며, 관찰 결과를 토대로 DLA를 평가한 결과는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괴사 또는 황백화 현상은 대조군(250 ppm Tween 80 처리)에서 관찰되었으나, LPE를 처리한 애기장대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기장대의 DLA를 평가한 결과, LPE가 전처리된 애기장대 생태형 및 돌연변이는 모두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 균주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과의 돌연변이 애기장대의 결과를 통해 LPE의 작용 경로를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npr1-1, pad4-1, pad2-1, etr1-1, ein2-1 및 eds8의 결과를 통해, NPR1, PAD4, PAD2, ETR1, EIN2 및 EDS8은 표현형 수준에서 LPE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돌연변이 eds4-1 및 eds5-1에서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 균주에 대한 LPE의 효과가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병원체에 대한 LPE의 효과가 EDS4 및 EDS5에 의해 조절된 SA의 축적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LPE가 개체 내 SA의 조절을 통해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 균주에 대한 방어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3. 반활물기생 병원체인 PstDC3000( Pseudomonas syringae pathovar tomato DC3000) 접종 및 질병 증상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재배된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생태형 Col-0 에 반활물기생(hemibiotroph) 세균인 PstDC3000(Pseudomonas syringae pathovar tomato DC3000)을 감염시켰다.
구체적으로, 항원 접종 1일 전, 애기장대에 LPE를 5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하였다. 대조군은 LPE를 포함하지 않는 250 ppm Tween 80을 분무하였다.
LPE를 분무한 애기장대에 PstDC3000을 감염시켰으며, 상기 감염은 Volz et al.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애기장대의 질병 증상을 관찰한 결과는 도 2A에 나타내었다. 또한 PstDC3000의 감염 수준을 접종 후 시간(hours post inoculation, hpi)에 따른 세균수로 계산한 결과는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E 처리군은 질병 증상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으나, 대조군은 질병 증상이 관찰되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PstDC3000 감염 2시간 후 LPE 처리군의 감염 수준은 기공 면역(stomatal immunity)을 나타내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PstDC3000 감염 24시간 후, 대조군은 PstDC3000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감염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LPE 처리군은 PstDC3000 감염 24시간 후 PstDC3000의 수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PstDC3000 감염 48시간 후부터 감염 수준이 점차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LPE가 사물기생 병원체 뿐만 아니라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애기장대의 유전자 발현 분석
LPE가 식물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LPE를 처리한 애기장대의 면역마커인 PR-1(PATHOGENESITY-RELATED GENE-1), PDF1.2(PLANT-DEFENSINE FAMILY 1.2), PDF1.2c, PDF1.1 및 TAT3(TYROSINE AMINOTRANSFERASE 3)의 발현을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LPE를 처리한 애기장대의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상기 전체 RNA는 Davis and Ausubel(1989)에 기재된 염화 리튬-침전법으로 추출하였다. 전체 RNA 5 μg는 SuperScript II 역전사효소(Invitrogen, Carlsbad, CA)를 사용하여 역전사하였다. RT-qPCR 분석은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systemTM(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및 SYBR green PCR master mix(Applied Biosystems, Warrington, UK)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면역마커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는 Primer Express(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를 통해 디자인하였다. 디자인된 프라이머 서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정방향(5‘->3’) 역방향(5‘->3’)
PR-1
(At2G14610)
TTCTTCCCTCGAAAGCTCAA AAGGCCCACCAGAGTGTATG
PDF1.2
(At5G44420)
GTTGCATGATCCATGTTTGG TCACCCTTATCTTCGCTGCT
PDF1.1
(At1G75830)
GGTGGTGGAAGCACAGAAGT GTTGCAAGATCCATGTCGTG
PDF1.2C
(At5G44430)
TGCTCCCTCAAGGTTAATGC CCTTTTCGCTGCTCTTGTTC
TAT3
(At2G24850)
ACCATTGCGACGGTATTCTC CCATCCGCCAACATTCTACT
actin AGTGTGTCTTGTCTTATCTGGTTCG AATAGCTGCATTGTCACCCGATACT
표 1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은 3 회 반복하였다. 유전자 발현은 Ct(threshold cycle) 값을 비교함으로써 mRNA의 상대적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하였다. 애기장대의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자 PR-1, PDF1.2, PDF1.1, PDF1.2c 및 TAT3은 LPE 처리 후 발현이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유전자 PR-1의 발현은 SA의 농도를 의미하며, 유전자 PDF1.2, PDF1.1 및 PDF1.2c의 발현은 사물기생 병원체에 반응하여 생성된 ET 및 JA의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TAT3의 발현은 JA의 생성을 의미한다. 특히 실시예 2의 질병 증상 평가를 통한 표현형 분석 결과와 달리, 본 실험 결과에서는 ET 및 JA 마커의 발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RNA 수준에서의 ET 및 JA의 발현은 LPE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표현형에 대한 영향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LPE에 의해 발현이 증가된 ET 및 JA는 또 다른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사물기생 및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데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LPE가 식물에서 사물기생 병원체 및 반활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LPE가 현저한 식물병 방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바, 본 발명의 LPE는 식물병 방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인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Alternaria brassicicola)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식물 호르몬인 살리실산(SA) 축적을 통해 면역증강을 유도하는 것인,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농도가 1 내지 100 ppm인,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5.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을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인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Alternaria brassicicola)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기생 병원체 또는 반활물기생 병원체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은 검은무늬병인,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기생 병원체인 알터나리아 브라시시콜라(Alternaria brassicicola) 감염으로 인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20200044983A 2020-04-14 2020-04-14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36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83A KR102368228B1 (ko) 2020-04-14 2020-04-14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983A KR102368228B1 (ko) 2020-04-14 2020-04-14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25A KR20210127325A (ko) 2021-10-22
KR102368228B1 true KR102368228B1 (ko) 2022-02-25

Family

ID=78275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983A KR102368228B1 (ko) 2020-04-14 2020-04-14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796B1 (ko) 1993-03-20 2001-01-15 가네노리 아마노 살충 및 생육촉진용 목초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489B2 (ja) * 1992-02-07 1995-06-05 株式会社ビー・エヌ有機農法研究所 天然物からなる農薬組成物
JPH0748218A (ja) * 1993-08-03 1995-02-21 B N Yuki Nouhou Kenkyusho:Kk 植物の病害を防除する方法
US6559099B1 (en) * 2000-03-29 2003-05-06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enhancing plant health, protecting plants from biotic and abiotic stress related injuries and enhancing the recovery of plants injured as a result of such stresses
KR101661706B1 (ko) * 2014-06-24 2016-10-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로부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18:1의 생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796B1 (ko) 1993-03-20 2001-01-15 가네노리 아마노 살충 및 생육촉진용 목초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25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A 2-kb mycovirus converts a pathogenic fungus into a beneficial endophyte for Brassica protection and yield enhancement
Xie et al. The strigolactone story
Poveda Cyanobacteria in plant health: Biological strategy against abiotic and biotic stresses
Gupta et al. The entomopathogenic fungi Metarhizium brunneum and Beauveria bassiana promote systemic immunity and confer resistance to a broad range of pests and pathogens in tomato
US11390844B2 (en) Use of compositions containing Streptomyces melanosporofaciens AGL225 in controlling plant diseases
Qiu et al. Use of Bacillus velezensis SDTB022 against tobacco black shank (TBS) and the biochemical mechanism involved
Park et al. Understanding cross-communication between aboveground and belowground tissues via transcriptome analysis of a sucking insect whitefly-infested pepper plants
Animashaun et al. Induced resistance to Fusarium wilt (Fusarium oxysporum) in tomato using plant growth activator, Acibenzolar-S-methyl
Diby et al. Bacillus vallismortis EXTN-1-mediated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rice
Buensanteai et al. The antagonistic activity of Trichoderma virens strain TvSUT10 against cassava stem rot in Thailand
KR102368228B1 (ko) 사물기생 병원체에 대한 식물체 면역증강용 조성물
Sellal et al. Effect of seeds treatment with Trichoderma harzianum on argan plants growth
Akello et al. Insect antagonistic bio-inoculants for natural control of leaf-mining insect pests of French beans
Won et al. Biological control of anthracnose fruit rot disease (Colletotrichum spp.) and fruit yield improvement of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using Bacillus velezensis CE 100
Khalifa et al. Biochar amendment enhances tomato resistance to some soil borne diseases
WO2010071204A1 (ja)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植物病害防除方法、及び新規微生物
El-Nuby Effect of some Amino Acids and Yeast on Root-knot Disease on Tomato Plants
CN108315268B (zh) 一种淡紫拟青霉菌株及其应用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159058A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Yuldashova et al. ALTERNARIA DISEASE OF POTATO AND ITS CONTROL
Singh et al. Symptomatology, isolation and pathogenicity test of the collar rot of Chickpea (Cicer arietinum L.) Incitant by Sclerotium rolfsii (Sacc.)
KR20030015010A (ko) 신규한 가지검은마름병원균 wt#3(kccm10283)유래 wt#3-1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생물농약
Sanap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essential oils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causing wilt in tomato
Bonini et al. Effectiveness of Trichoderma application through drip-irrigation to reduce Sclerotinia disease incidence and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of greenhouse lettu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