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054B1 -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054B1
KR102368054B1 KR1020170169971A KR20170169971A KR102368054B1 KR 102368054 B1 KR102368054 B1 KR 102368054B1 KR 1020170169971 A KR1020170169971 A KR 1020170169971A KR 20170169971 A KR20170169971 A KR 20170169971A KR 102368054 B1 KR102368054 B1 KR 10236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head unit
bluetooth
mobile devic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749A (ko
Inventor
유혜원
오민혁
허근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054B1/ko
Priority to US15/963,674 priority patent/US20190182331A1/en
Publication of KR20190069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04W72/1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63Vehicle displaying mobile devic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89Wireless data trans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89Wireless data transfers
    • B60K2360/591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헤드 유닛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은,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HEAD UNIT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헤드 유닛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명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최근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는 기존의 단순한 입력 장치(키보드와 마우스, 스피커 등)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들로 확장되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도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헤드 유닛과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연결은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이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 무선 접속을 통해 제어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 블루투스 버전에서는 하나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의 동시 출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음악 감상 도중에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더라도 관련 알림 음 등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헤드 유닛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은,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헤드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먼저 오디오 스트리밍을 생성하는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된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이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중첩될 때 오디오 덕킹을 통해 어느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출력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음 소거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덕킹에서,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음량은 그대로 유지하고 다른 오디오 스트리밍은 음 소거 처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을 통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의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오디오 경로의 제어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헤드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오디오 스트리밍을 생성하는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된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이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중첩될 때 오디오 덕킹을 통해 어느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출력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음 소거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오디오 덕킹은,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음량은 그대로 유지하고 다른 오디오 스트리밍은 음 소거 처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을 통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의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술한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은,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헤드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며,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헤드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헤드 유닛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헤드 유닛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방법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방법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방법의 제 5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에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100)에 마련되는 헤드 유닛(102)은 AVN(Audio/Video/Navigation)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텔레매틱스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헤드 유닛(102)에는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예를 들면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가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는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및 HFP(Hands Free Profile)를 지원하는 버전일 수 있다. 헤드 유닛(102)은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로부터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헤드 유닛(102)에 연결된 스피커(도 2의 264 참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100)의 헤드 유닛(102)은 블루투스 통신부(210)와 CAN 통신부(220), 신호 검출부(230), 저장부(240), 입력부(250), 출력부(260), A/V(Audio/Video) 입력부(270), 제어부(280), 전력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대상으로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CAN 통신부(220)는 자동차(100)에 탑재되는 복수의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들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CAN 통신부(220)는 자동차(100)의 엔진이 시동 온 되면, 자동차(100)의 시동을 감지하는 ECU로부터 ‘ACC ON’ 상태를 알리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9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헤드 유닛(102)에 전력을 공급하고 헤드 유닛(102)과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와의 자동 페어링을 진행할 수 있다.
신호 검출부(230)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또한, 신호 검출부(230)는 검출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페어링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식별하여 제어부(290)에 통보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는 제어부(280) 및 제어부(280)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또 입력/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는 블루투스 통신, 네비게이션, 게임, 채팅, 웹 서핑, 일정관리, 멀티미디어 재생 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폰북 정보, 통화 목록,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에는 미리 할당된 블루투스 프로파일 별 우선 순위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블루투스 프로파일 별 우선 순위 할당 방법과 할당된 우선 순위에 따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입력부(250)는 헤드 유닛(102)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마련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출력부(260)는 시각/청각/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출력부(260)는 디스플레이(262), 스피커(264), 알람 생성부(2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2)는 헤드 유닛(102)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헤드 유닛(102)이 통화 모드일 때 통화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헤드 유닛(102)이 네비게이션 모드일 때 주행 안내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262)가 페어링 모드일 때 페어링 진행 상태 정보 및 페어링 관련 메뉴를 UI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출할 수 있다.
스피커(264)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 등에서 발생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스피커(264)는 헤드 유닛(102)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예를 들면 통화 연결 음, 통화 음, 시스템/메시지 알림 음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 생성부(266)는 헤드 유닛(102)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헤드 유닛(102)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통화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상태 정보 수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제어부(280)가 CAN 통신부(220)로부터 수신하는 자동차(100)의 도어 열림 정보, 엔진 과열 정보, 차선 이탈 정보, 연료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생성부(266)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262) 또는 스피커(264)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A/V 입력부(27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입력(또는 생성)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272)와 마이크로폰(27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90)는 헤드 유닛(102)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자동차(100)가 시동 온 되면, 전력 공급부(290)는 자동으로 헤드 유닛(10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자동차(100)가 시동 오프 되면, 전력 공급부(290)는 자동으로 헤드 유닛(102)으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헤드 유닛(10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이용한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폰북 다운로드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및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80)는 블루투스 프로파일 별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다른 서비스보다 우선하여 실행될 서비스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복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각 프로파일에 분배할 CPU 자원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추가 또는 삭제되는 경우, 동적으로 프로파일 별 CPU 자원을 재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복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의해 동시 점유되는 것이 불가능한 자원의 경우, 프로파일 별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해당 자원을 점유할 프로파일을 선택한 후, 선택된 프로파일에 의해 해당 자원이 점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백그라운드로 음악 재생 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제어부(280)는 재생중인 음악을 중단하고, 걸려 온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스피커 자원이 핸즈프리 프로파일이 점유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N(102)과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302). 제어부(280)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304). 제어부(280)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각각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각각의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30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412).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41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 4.x 이후 버전)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한 다중 연결(Multi Connection)이 지원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 이외에 다른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이 페어링(또는 연결)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432).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2)와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된 채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43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가운데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A2DP 스트리밍을 통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416). 즉,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로서 동작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해당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오디오 싱크(Audio Sink)라 한다.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소스로서 동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서 A2DP 스트리밍을 통해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한다(452). 이 때의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싱크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을 통해 스피커(264)로 출력되는 동안,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도 A2DP 스트리밍을 통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436). 이 때의 모바일 디바이스 2(114)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마찬가지로 A2DP 스트리밍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이다.
BLE(특히 4.x 이후 버전)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두 개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두 출력하지는 못한다. 즉, 헤드 유닛(102)은 하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을 뿐, 나머지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102)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중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 가운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선택하여 해당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우선 순위가 낮은 나머지 오디오 소스들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을 통해 출력하지 않고 리젝트함으로써 해당 오디오 소스가 오디오 싱크가 되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도 4의 경우, 헤드 유닛(102)은 상대적으로 먼저 오디오 스트리밍을 시작한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64)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스트리밍 시점이 늦어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경우에는 오디오 스트리밍 요청을 리젝트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456).
단계 456에서의 헤드 유닛(102)의 리젝트 및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오디오 소스에서 오디오 싱크로 전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자체적으로 출력된다(438).
이와 같은 헤드 유닛(102)의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헤드 유닛(102)에 다중 연결되어 있는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빠짐없이 모두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512).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51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 4.x 이후 버전)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한 다중 연결(Multi Connection)이 지원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 이외에 다른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이 페어링(또는 연결)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532).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2)와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된 채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434). 오디오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HFP 서비스는 연결되지 않는다.았기 때문에 따라서 헤드 유닛(102)은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핸즈 프리 기능을 지원하지는 않는다.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가운데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A2DP 스트리밍을 통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536). 즉, 모바일 디바이스 1(114)가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로서 동작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해당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오디오 싱크(Audio Sink)라 한다.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소스로서 동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A2DP 스트리밍을 통해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한다(552). 이 때의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싱크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을 통해 스피커(264)로 출력되는 동안,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도 A2DP 스트리밍을 통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516). 이 때의 모바일 디바이스 1(112)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마찬가지로 A2DP 스트리밍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이다.
BLE(특히 4.x 이후 버전)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두 개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두 출력하지는 못한다. 즉, 헤드 유닛(102)은 하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을 뿐, 나머지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102)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중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 가운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선택하여 해당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우선 순위가 낮은 나머지 오디오 소스들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을 통해 출력하지 않고 해당 오디오 소스가 오디오 싱크가 되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도 5의 경우, 헤드 유닛(102)은 HFP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던 헤드 유닛(102)은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중단하고 HFP 서비스 연결에 의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스트리밍 요청에 응답한다(556).
이를 위해 헤드 유닛(102)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높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서 오디오 스트리밍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558). 이 때의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주체인 오디오 싱크이다.
헤드 유닛(102)의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더 이상 헤드 유닛(102) 및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다. 다만, 헤드 유닛(102)의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오디오 소스에서 오디오 싱크로 전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자체적으로 출력된다(538).
이와 같은 헤드 유닛(102)의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헤드 유닛(102)에 다중 연결되어 있는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빠짐없이 모두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방법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612).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61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 4.x 이후 버전)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한 다중 연결(Multi Connection)이 지원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 이외에 다른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이 페어링(또는 연결)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632).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2)와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된 채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634). 오디오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가운데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A2DP 스트리밍을 통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616). 즉,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로서 동작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해당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오디오 싱크(Audio Sink)라 한다.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소스로서 동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서 A2DP 스트리밍을 통해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한다(652). 이 때의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싱크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을 통해 스피커(264)로 출력되는 동안,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는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을 생성한다(636). 이 때의 모바일 디바이스 2(114)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이다. 시스템 알림음은 재난 경보음이나 배터리 부족 알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알림음은 메시지(메신저 포함) 수신 알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LE(특히 4.x 이후 버전)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두 개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두 출력하지는 못한다. 즉, 헤드 유닛(102)은 하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을 뿐, 나머지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102)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중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 가운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선택하여 해당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우선 순위가 낮은 나머지 오디오 소스들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을 통해 출력하지 않고 해당 오디오 소스가 오디오 싱크가 되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단, 복수의 오디오 소스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부여하기 어려울 때, 도 6의 656에 나타낸 것처럼, 오디오 덕킹(Audio Ducking)을 통해 복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64)를 통해 함께 출력한다. ‘오디오 덕킹’은 복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가 중첩될 때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하고 나머지 오디오 신호들은 일시적으로 음량을 줄여서 음 소거 처리함으로써(또는 mute) 들리지 않게 하는 오디오 처리 방식이다.
도 6의 경우, 헤드 유닛(102)은 상대적으로 먼저 오디오 스트리밍을 시작한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64)로 출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이 발생하면 오디오 덕킹 방식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일시적으로 줄여서 음 소거 처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 다음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출력이 완료되면 다시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높여서(음 소거 해제)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656).
도 6의 방법에 따르면, 비록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에 의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는 출력되지 않지만,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신호의 출력이 일시적으로 잠시만 중단되는 것이어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헤드 유닛(102)에 다중 연결되어 있는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빠짐없이 모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다중 연결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712).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71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 4.x 이후 버전)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한 다중 연결(Multi Connection)이 지원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 이외에 다른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이 페어링(또는 연결)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732).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2)와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된 채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734). 오디오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2)(114) 가운데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을 생성한다(716). 즉,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로서 동작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해당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오디오 싱크(Audio Sink)라 한다. 시스템 알림음은 재난 경보음이나 배터리 부족 알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알림음은 메시지(메신저 포함) 수신 알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소스로서 동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서 생성되는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한다(752). 이 때의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싱크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을 통해 스피커(264)로 출력되는 동안,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도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을 생성한다(736). 이 때의 모바일 디바이스 2(114)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마찬가지로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이다. 시스템 알림음은 재난 경보음이나 배터리 부족 알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알림음은 메시지(메신저 포함) 수신 알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LE(특히 4.x 이후 버전)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두 개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두 출력하지는 못한다. 즉, 헤드 유닛(102)은 하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을 뿐, 나머지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102)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중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 가운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선택하여 해당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우선 순위가 낮은 나머지 오디오 소스들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을 통해 출력하지 않고 리젝트함으로써 해당 오디오 소스가 오디오 싱크가 되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도 7의 경우, 헤드 유닛(102)은 HFP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서 생성되는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64)로 출력한다. 제어부(280)는, HFP 서비스를 통해 연결되지 않고 또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발생 시점이 늦어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스트리밍 요청은 리젝트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자체적으로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756).
단계 756에서의 헤드 유닛(102)의 리젝트 및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오디오 소스에서 오디오 싱크로 전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생성되는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오디오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자체적으로 출력된다(738).
이와 같은 헤드 유닛(102)의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헤드 유닛(102)에 다중 연결되어 있는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빠짐없이 모두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다중 연결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812).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81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BLE(Bluetooth Low Energy, 4.x 이후 버전)에서는 블루투스를 통한 다중 연결(Multi Connection)이 지원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 이외에 다른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이 페어링(또는 연결)될 수 있다.
즉,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832).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은 상호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2)와 헤드 유닛(102)의 페어링은 1회로 충분하다. 페어링 이후 연결 시에는 인증 과정이 생략된 채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연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의 블루투스 페어링(또는 연결)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와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이루어진다(834). HFP는 Hands-Free Profile을 의미한다.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오디오 기능 및 HFP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헤드 유닛(102) 사이에 오디오/HFP 서비스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전화 연결이 발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은 헤드 유닛(102)으로 통화 연결 음 및 통화 음을 전송한다(816). 즉,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이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로서 동작한다. 참고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경우 해당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오디오 싱크(Audio Sink)라 한다.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소스로서 동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서 생성되는 통화 연결 음 및 통화 음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한다(852). 이 때의 헤드 유닛(102)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싱크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헤드 유닛(102)을 통해 스피커(264)로 출력되는 동안, 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 2(114)도 A2DP 스트리밍을 통한 시스템/메시지 알림 음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836). 이 때의 모바일 디바이스 2(114)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 1(112)과 마찬가지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주체인 오디오 소스이다.
BLE(특히 4.x 이후 버전)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두 개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모두 출력하지는 못한다. 즉, 헤드 유닛(102)은 하나의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만을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을 뿐, 나머지 오디오 소스로부터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유닛(102)은, 헤드 유닛(102)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중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소스 가운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오디오 소스를 선택하여 해당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264)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우선 순위가 낮은 나머지 오디오 소스들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264)을 통해 출력하지 않고 리젝트함으로써 해당 오디오 소스가 오디오 싱크가 되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
도 8의 경우, 헤드 유닛(102)은 HFP 서비스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된 상태인 모바일 디바이스 1(112)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따라서 헤드 유닛(102)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모바일 디바이스 1(112)의 통화 연결 음 및 통화 음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264)로 출력한다. 또한 우선 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경우에는 오디오 스트리밍 요청을 리젝트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의 스피커 또는 오디오 단자를 통해 자체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한다(856).
단계 856에서의 헤드 유닛(102)의 리젝트 및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 2(114)가 오디오 소스에서 오디오 싱크로 전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생성되는 시스템/메시지 알림 음의 오디오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 2(114)에서 자체적으로 출력된다(838).
이와 같은 헤드 유닛(102)의 오디오 경로 제어에 의해 헤드 유닛(102)에 다중 연결되어 있는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빠짐없이 모두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동차
102 : 헤드 유닛(AVN)
110(112, 114) : 모바일 디바이스
210 : 블루투스 통신부
220 : CAN 통신부
230 : 신호 검출부
240 : 저장부
250 : 입력부
260 : 출력부
262 : 디스플레이
264 : 스피커
266 : 알람 생성부
270 : A/V 입력부
272 : 카메라
274 ; 마이크로폰
280 : 제어부
290 : 전력 공급부

Claims (20)

  1.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헤드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먼저 오디오 스트리밍을 생성하는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된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인 자동차의 헤드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중첩될 때 오디오 덕킹을 통해 어느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출력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음 소거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덕킹에서,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음량은 그대로 유지하고 다른 오디오 스트리밍은 음 소거 처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을 통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의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인 자동차의 헤드 유닛.
  10.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마다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른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모든 오디오 스트림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경로의 제어는,
    상기 우선 순위가 높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헤드 유닛을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오디오 스트리밍은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먼저 오디오 스트리밍을 생성하는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된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스트리밍이 중첩될 때 오디오 덕킹을 통해 어느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이 출력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음 소거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덕킹에서, 시스템/메시지 알림음의 음량은 그대로 유지하고 다른 오디오 스트리밍은 음 소거 처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통화 관련 프로파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을 통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의 상기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관련 프로파일은 핸즈 프리 프로파일(Hands-Free Profile)인 자동차의 헤드 유닛의 제어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169971A 2017-12-12 2017-12-12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71A KR102368054B1 (ko) 2017-12-12 2017-12-12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US15/963,674 US20190182331A1 (en) 2017-12-12 2018-04-26 Head Unit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71A KR102368054B1 (ko) 2017-12-12 2017-12-12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49A KR20190069749A (ko) 2019-06-20
KR102368054B1 true KR102368054B1 (ko) 2022-02-28

Family

ID=6669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971A KR102368054B1 (ko) 2017-12-12 2017-12-12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82331A1 (ko)
KR (1) KR102368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6111B2 (en) * 2018-11-15 2021-07-06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contact ingestion
CN111918258B (zh) * 2020-07-29 2024-05-03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蓝牙服务连接的方法、装置及设备
CN114257965B (zh) * 2021-12-27 2023-09-12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基于多蓝牙设备连接的车载终端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835419B (zh) * 2023-02-14 2023-04-25 深圳市友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无线设备状态监测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4110A1 (en) * 2007-12-10 2009-06-25 Basir Otma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ith destination selection for navigation
KR101428092B1 (ko) * 2008-09-02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통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43702A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용 오디오 장치의 동작 조건자동 설정 시스템
US9523585B2 (en) * 2013-03-15 2016-12-2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pplication notifications
US20140277642A1 (en) * 2013-03-15 2014-09-18 Logitech Europe S.A. Technique for augmenting the acoustic output of a portable audi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49A (ko) 2019-06-20
US20190182331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054B1 (ko) 자동차의 헤드 유닛 및 그 제어 방법
US10182138B2 (en) Smart way of controlling car audio system
CN107690796B (zh) 多个用户设备之间的呼叫管理
US20100048133A1 (en) Audio data flow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US83917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d-hoc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headsets
CN113411793A (zh) 一种蓝牙通信的方法及终端
WO2011145314A1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JP5988900B2 (ja) 車載電子装置、車載システム、ハンズフリー通話プログラムおよび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
CN102932549A (zh) 通过耳机快速进入应用程序的移动终端及方法
US10827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CN114040373A (zh) 音频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3012823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140094951A (ko) 통화호 수신 거절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4639722A (zh) 语音通话的建立方法和装置
CN110602683B (zh) 蓝牙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20120021729A1 (en) Application Audio Announcements Using Wireless Protocols
US10824389B2 (en) Acoustic system
JP6062293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132117A (zh) 一种蓝牙连接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N109274827A (zh) 自动接听手机通话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5890289B2 (ja) 携帯端末、音声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制御方法
JP6760700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5637918B2 (ja) 携帯型情報端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JP2015138538A (ja) 電子機器、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581414A (zh) 一种电子设备及应用于电子设备的通信事件提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