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019B1 -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드릴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019B1
KR102368019B1 KR1020210115174A KR20210115174A KR102368019B1 KR 102368019 B1 KR102368019 B1 KR 102368019B1 KR 1020210115174 A KR1020210115174 A KR 1020210115174A KR 20210115174 A KR20210115174 A KR 20210115174A KR 102368019 B1 KR102368019 B1 KR 10236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utting tip
drill bit
dril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국
Original Assignee
임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국 filed Critical 임형국
Priority to KR102021011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4Fixation screws, bolts or pins of particul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Abstract

본 발명은 피삭재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천공 드릴에 장착되는 드릴장착부(22)가 형성된 덮개부(20);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형성되고, 피삭재와 맞닿는 부분에 부착된 절삭팁(3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부(20)는 각각 나사산(15, 25)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으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릴 비트 {DRILL BIT}
본 발명은 피삭재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와 덮개부를 분리형으로 형성된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 비트는 석재, 철근콘크리트, 아스팔트, 금속재 등의 난삭재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한다. 도면 1을 참고하면, 이러한, 드릴 비트(1)는 회전하는 원형 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다이아몬드 세그먼트인 절삭팁(4)을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2)는 드릴장착부(3)를 통해 코어드릴에 연결한 뒤 이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을 통해 절삭팁(4)이 피삭재에 마찰되면서 천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드릴 비트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본체(2) 내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을 부순 후에 제거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물질에 철근과 같은 단단한 재질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KR10-1431196 B1, “천공 드릴 비트의 절삭팁”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단에 덮개부를 분리형으로 형성한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체 또는 덮개부가 파손되었을 경우, 해당되는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드릴 비트 전체를 교체하는 것에 비해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삭재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천공 드릴에 장착되는 드릴장착부(22)가 형성된 덮개부(20);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형성되고, 피삭재와 맞닿는 부분에 부착된 절삭팁(3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부(20)는 각각 나사산(15, 25)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으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배출구(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20)는, 드릴 장착부(22)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배출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절삭팁(30)이 형성된 타단의 내면에 단차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팁(30)은 상기 본체(10)와 맞닿는 면에 상기 단차부(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부(31)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13)와 상기 볼록부(31)를 용접하여 상기 본체(10)와 상기 절삭팁(30)을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팁(30)은, 상기 볼록부(31)의 두께와 상기 단차부(13)의 두께가 동일하고, 상기 절삭팁(30)의 두께가 상기 본체(1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면 및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의 나사산(15)과 상기 덮개부(20)의 나사산(25)에 각각 체결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16, 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공(16, 26)은, 상기 본체(10)의 제1 배출구(11)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삭재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천공 드릴에 장착되는 드릴장착부(22)가 형성된 덮개부(20);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나사결합하는 절삭팁 몸체(32);
절삭팁 몸체(32)의 타단에 형성되고, 피삭재와 맞닿는 부분에 부착된 절삭팁(3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부(20)는 각각 나사산(15, 25)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으로 서로 체결되며,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절삭팁 몸체(32)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와 절삭팁 몸체(32)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결합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로 본체(10)의 타단과 절삭팁 몸체(32)의 일단을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의 항에 기재된 드릴 비트를 보관하는 케이스(500)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직경은 가장 크기가 큰 드릴 비트(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몸체(510); 상기 몸체(510)의 상부를 덮으며, 내부에 상기 크기가 서로 상이한 드릴 비트(100)의 직경에 맞추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520); 상기 몸체(510)의 하부를 덮으며, 각각의 층이 상기 크기가 서로 상이한 드릴 비트의 내부 직경에 맞추어 형성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계단 형태의 바닥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510)는 양단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520)는 하단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530)는 최하층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510)는 상기 캡부(520) 및 바닥부(530)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단에 덮개부를 분리형으로 형성한 드릴 비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 또는 덮개부가 파손되었을 경우, 해당되는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드릴 비트 전체를 교체하는 것에 비해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릴 비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본체와 절삭팁이 용접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드릴 비트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드릴 비트의 본체를 보관하는 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드릴 비트의 본체를 보관하는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만, 이하의 도 2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되는 드릴 비트 및 도 10 및 도 11을 통하여 설명되는 드릴 비트를 보관하는 케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적인 기능을 소개함에 있어서, 필요한 구성요소만이 도시된 것으로서, 그 외 다양한 구성요소가 드릴 비트에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100)는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에 구멍을 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구멍을 통해 에어컨 배관 등 각종 배관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건물의 벽체의 소재에 따라 드릴 비트(100)의 절삭팁(30)의 재질이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100)를 도시한 입체도, 분해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100)의 덮개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10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천공 드릴에 장착되는 드릴장착부(22)가 형성된 덮개부(20) 및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형성되고, 피삭재와 맞닿는 부분에 부착된 절삭팁(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제1 배출구(11), 요철부(12), 단차부(13), 나사산(15)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피삭재의 천공 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제1 배출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배출구(11)는 이물질을 배출시켜 피삭재의 천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제1 배출구(11)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즉, 천공이 완료된 후 본체(10) 내부에 들어 있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1 배출구(11)을 통해 이물질에 힘을 가하여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출구(11)는 이물질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의 모양은 타원형, 일자형, 또는 원호형 등의 형상으로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요철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1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의 외주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위치하게 된다. 요철부(12)는 이물질이 피삭재 외부로 배출할 때, 이물질은 요철부(12)의 궤적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여 이물질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2)는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덮개부(20)가 장착되는 일단에 나사산(15)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15)을 통해 나중에 후술한 덮개부(20)의 나사산(25)과 결합되어 본체(10)와 덮개부(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피삭재와 맞닿는 면에는 피삭재를 천공하기 위한 절삭팁(30)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팁(30)의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본체(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 덮개부(20)는 제2 배출구(21), 드릴 장착부(22), 나사산(25)을 포함한다.
도 5에서 (a)는 상기 덮개부(20)에 다수의 제2 배출구(21)가 형성된다. (b)는 기존 발명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는 본 발명의 덮개부(3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0)는 외곽부분에 피삭재의 천공 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제2 배출구(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배출구(21)는 앞서 설명한 제1 배출구(11)와 함께 이물질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배출구(21)의 모양은 사각형, 원형, 원호형, 일자형, 또는 삼각형 등의 형상으로 다수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b)는 기존 발명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것인데, 기존 발명의 덮개부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아 본체에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 5의 (c)에 보는 바와 같이, 제2 배출구(21)는 타원형으로 타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 배출구(21)는 타원형뿐만 아니라 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20)의 중심부분에는 상기 덮개부(20)를 천공 드릴에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드릴 장착부(22)를 포함한다. 천공 드릴은 드릴 장착부(22)와 나사결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덮개부(20)의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나사산(25)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25)은 본체(10)의 나사산(15)과 결합되어 본체(10)와 덮개부(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드릴 비트(100)는 본체(10)와 덮개부(20)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0)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덮개부(20)를 분리한 후 제거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10) 또는 덮개부(20)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해당 부품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피삭재를 천공하기 위해 절삭팁(30)이 부착될 수 있다. 절삭팁(30)은 최초 피삭재와 정면이 맞닿으면서 가공이 이루어지다가 어느 정도 천공이 형성되면, 정면 및 측면 모두가 천공작업을 하게 된다. 절삭팁(30)의 모양은 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과 같은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절삭팁(30)의 두께는 본체(1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물질의 직경이 본체(10)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생성되어 나중에 이물질을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절삭팁(30)은 본체(10)의 내면과 외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면서 절삭팁(30)이 마모가 되거나 탈락이 되는 경우, 절삭팁(30)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절삭팁(30)은 많을수록 절삭력이 좋으나 내구성이 안 좋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절삭팁(30)의 개수는 5개 내지 15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삭팁(30)이 11개로 형성되는 경우, 천공 작업 시 드릴로 진동이 약하게 전달되며, 내구성도 좋은 수준의 드릴 비트(100)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절삭팁(30)은 각각의 절삭팁(30)간 간격이 넓을수록 절삭력은 좋으나, 내구성이 안 좋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도 6은 본체(10)와 절삭팁(30)이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의 피삭재와 맞닿는 면에는 단차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3)는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3)의 두께는 나중에 후술할 절삭팁(30)의 볼록부(31)의 두께 및 높이와 작거나 같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단차부(13)는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절삭팁(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절삭팁(30)은 단차부(13)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차부(13)로 인하여 절삭팁(30)과 본체(10)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절삭팁(30)에 걸리는 절삭력이 분산되어 절삭팁(30)의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 때, 단차부(13)와 절삭팁(30)은 용접(W)을 통하여 부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체(10)와 절삭팁(30)은 단차부(13)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차부(13)은 상기 본체(1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가 회전할 때, 경사진 단차부(13)에 의해 본체(10)와 절삭팁(30)이 더욱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사진 단차부(13)로 인하여 절삭팁(30)과 본체(10)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절삭팁(30)에 걸리는 회전 절삭력이 분산되어 절삭팁(30)의 탈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200)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 비트(200)는 일 실시 예와 같이 본체(10), 덮개부(20) 및 절삭팁(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드릴 비트(200)의 본체(10) 및 덮개부(20)에 형성된 나사산(15, 25)에 각각 체결공(16, 26)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체결공(16, 26)은 제1 배출구(11)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체결공(16, 26)은 체결부재(40)를 통해 본체(10)와 덮개부(2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공 드릴의 회전에 의해 작업 중에 덮개부(20)와 본체(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에 형성된 체결공(26)의 깊이는 체결부재(40)의 길이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6)의 깊이를 길게 형성하는 경우, 체결부재(40)를 분실하였을 때 길이가 상이하더라도 직경만 같다면 다른 체결부재(40)를 이용하여 본체(10)와 덮개부(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c)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절삭팁 몸체(32)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절삭팁 몸체(32)의 타단에 절삭팁(3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와 절삭팁 몸체(32)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와 절삭팁 몸체(32)의 나사산 체결방식은 절삭팁(30)의 파손이나 마모시 절삭팁(30)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c)와 같이 본체(10)와 절삭팁 몸체(32)가 나사산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로 본체(10)의 타단과 절삭팁 몸체(32)의 일단을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결합시켜 절삭작업시에 절삭팁 몸체(32)가 본체(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c)에서 절삭팁 몸체(32)에 부착되는 절삭팁(30)은 도 6과 같은 단차부(13)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수의 드릴 비트(100)가 쌓여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와 같이, 다수의 드릴 비트(100)는 필요한 구멍의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드릴 비트(100)의 본체(10)를 보관하기 위하여 가장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드릴 비트(100)의 본체(10)를 가장 안쪽으로 놓고,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된 드릴 비트(100)의 본체(10)를 가장 바깥쪽으로 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드릴 비트(100)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드릴 비트(100)의 본체(10)를 보관하는 케이스(500)의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케이스(500)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드릴 비트(100)의 본체(10)를 보관할 수 있다. 케이스(500)는 몸체(510), 캡부(520) 및 바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0)의 몸체(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510)의 내부 직경은 복수의 드릴 비트 중 크기가 가장 큰 드릴 비트(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드릴 비트(100)를 케이스(500) 내부로 넣거나 꺼낼 때 편리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몸체(510)의 양단에는 캡부(520) 및 바닥부(530)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0)의 캡부(520)는 몸체(51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캡부(520)는 내부의 각각의 드릴 비트의 직경에 맞추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캡부(520)의 바깥쪽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510)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0)의 바닥부(530)는 몸체(510)의 하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530)는 각각의 층이 각각의 드릴 비트(100)의 내부 직경의 맞추어 형성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계단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단차의 개수는 케이스(500)에 넣을 수 있는 본체(10)의 개수와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바닥부(530)의 최하층에는 상기 몸체(510)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0)의 캡부(520) 및 바닥부(530)의 단차 및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본체(10)는 케이스(500)를 이동할 때 본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케이스의 파손 및 본체(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10)끼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200: 드릴 비트
10: 본체
11: 제1 배출구
12: 요철부
13: 단차부
15: 나사산
16: 체결공
20: 덮개부
21: 제2 배출구
22: 드릴 장착부
25: 나사산
26: 체결공
30: 절삭팁
31: 볼록부
40: 체결부재
500: 케이스
510: 몸체
520: 캡부
530: 바닥부

Claims (11)

  1. 피삭재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천공 드릴에 장착되는 드릴장착부(22)가 형성된 덮개부(20);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나사결합하는 절삭팁 몸체(32);
    상기 절삭팁 몸체(32)의 타단에 형성되고, 피삭재와 맞닿는 부분에 부착된 절삭팁(30);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부(20)는 각각 나사산(15, 25)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으로 서로 체결되고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팁 몸체(32)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와 절삭팁 몸체(32)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로 본체(10)의 타단과 절삭팁 몸체(32)의 일단을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10)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배출구(11);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출구(11)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서 상부까지 통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는 드릴 장착부(22)의 외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배출구(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배출구(21)는 상기 드릴 장착부(22)의 최외곽까지 통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구(11) 및 제2 배출구(21)는 서로 통공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절삭팁(30)이 형성된 타단의 내면에 단차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팁(30)은 상기 본체(10)와 맞닿는 면에 상기 단차부(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부(31)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31)의 높이는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3)는 상기 볼록부(31)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3)와 상기 볼록부(31)를 용접하여 상기 본체(10)와 상기 절삭팁(30)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팁(30)은,
    상기 볼록부(31)의 두께와 상기 단차부(13)의 두께가 동일하고,
    상기 절삭팁(30)의 두께가 상기 본체(1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면 및 외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나사산(15)과 상기 덮개부(20)의 나사산(25)에 각각 체결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16, 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16, 26)은,
    상기 본체(10)의 제1 배출구(11)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9. 삭제
  10.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드릴 비트를 보관하는 케이스(500)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직경은 가장 크기가 큰 드릴 비트(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몸체(510);
    상기 몸체(510)의 상부를 덮으며, 내부에 상기 크기가 서로 상이한 드릴 비트(100)의 직경에 맞추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520);
    상기 몸체(510)의 하부를 덮으며, 각각의 층이 상기 크기가 서로 상이한 드릴 비트의 내부 직경에 맞추어 형성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계단 형태의 바닥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드릴 비트를 내부에 보관하는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10)는 양단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520)는 하단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530)는 최하층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510)는 상기 캡부(520) 및 바닥부(530)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드릴 비트를 내부에 보관하는 케이스.
KR1020210115174A 2021-08-31 2021-08-31 드릴 비트 KR10236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74A KR102368019B1 (ko) 2021-08-31 2021-08-31 드릴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174A KR102368019B1 (ko) 2021-08-31 2021-08-31 드릴 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019B1 true KR102368019B1 (ko) 2022-02-24

Family

ID=8047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74A KR102368019B1 (ko) 2021-08-31 2021-08-31 드릴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0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468B1 (ko) * 2005-05-24 2006-10-18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팁부가 분리 가능한 절삭공구와 팁부 접합방법
JP2013223729A (ja) * 2012-04-23 2013-10-31 Irwin Industrial Tool Co 冠鋸キット
KR101431196B1 (ko) 2014-02-07 2014-08-18 임형국 천공 드릴 비트의 절삭팁
JP6092083B2 (ja) * 2005-09-28 2017-03-0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無線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パラメータを配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22028B1 (ko) * 2017-03-29 2018-01-25 박미숙 단열재 천공장치
KR101898989B1 (ko) * 2018-04-03 2018-09-14 코리아에프에이(주) 복합소재단열재 패널용 롱홀쏘
KR20210009781A (ko) * 2019-07-18 2021-01-27 박도준 홀 커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468B1 (ko) * 2005-05-24 2006-10-18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팁부가 분리 가능한 절삭공구와 팁부 접합방법
JP6092083B2 (ja) * 2005-09-28 2017-03-0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無線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パラメータを配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223729A (ja) * 2012-04-23 2013-10-31 Irwin Industrial Tool Co 冠鋸キット
KR101431196B1 (ko) 2014-02-07 2014-08-18 임형국 천공 드릴 비트의 절삭팁
KR101822028B1 (ko) * 2017-03-29 2018-01-25 박미숙 단열재 천공장치
KR101898989B1 (ko) * 2018-04-03 2018-09-14 코리아에프에이(주) 복합소재단열재 패널용 롱홀쏘
KR20210009781A (ko) * 2019-07-18 2021-01-27 박도준 홀 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887B2 (en) Core drill
JP4654031B2 (ja) 工作機械用ソリッドドリル
JP5078731B2 (ja) 深穴切削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及び深穴切削用ドリルヘッド
US4610316A (en) Free flow stabilizer
EP0117241B1 (en) Drill bit and improved cutting element
JP6526987B2 (ja) スロットミーリングディスク及びこのようなスロットミーリングディスク用の回転可能な取付けシャフト
JP5374502B2 (ja) ドリルおよび切削インサート並びに被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H11291236A (ja) ドリル工具
JP2002120220A (ja) 削岩ドリル
KR102368019B1 (ko) 드릴 비트
US2794623A (en) Bit
WO2018052118A1 (ja) コアドリル
US4697654A (en) Rotary drill bits
KR102419674B1 (ko) 코어 드릴
JPH07124809A (ja) 切削屑排出孔を備えたコアドリル
JPS6090611A (ja) 環状ホールカツタ
KR20120039417A (ko) 홀 커터
WO2014136727A1 (ja) 掘削ビット
US6450273B1 (en) Drilling tool including drilling head with multiple cutting members separated drilled material grooves
JP4117493B2 (ja) コアドリル
JP2004268434A (ja) コンクリートコアドリル
US20210060664A1 (en) Drill insert
US7341120B2 (en) Blade edge structure for core drill
JP2552135Y2 (ja) リングビット
US10005136B2 (en) Drill or drill head with burnishing marg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