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747B1 -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747B1
KR102367747B1 KR1020170127080A KR20170127080A KR102367747B1 KR 102367747 B1 KR102367747 B1 KR 102367747B1 KR 1020170127080 A KR1020170127080 A KR 1020170127080A KR 20170127080 A KR20170127080 A KR 20170127080A KR 102367747 B1 KR102367747 B1 KR 10236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ensing unit
disposed
actuato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583A (ko
Inventor
강정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747B1/ko
Priority to US16/101,167 priority patent/US10884501B2/en
Priority to DE102018121598.3A priority patent/DE102018121598A1/de
Priority to CN201811057545.0A priority patent/CN109582166B/zh
Priority to JP2018174534A priority patent/JP6912433B2/ja
Priority to GB201815614A priority patent/GB2568592B/en
Publication of KR2019003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하며, 기설정된 진동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복수의 노달포인트(nodal point)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포스감지부, 및 표시패널에 상기 기설정된 진동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나타났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센서 등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위치를 감지하고 그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센서는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 터치된 힘을 감지하는 포스센서를 이용하여 터치된 힘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터치된 힘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필요가 있으며, 힘의 세기를 다양하게 센싱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표시장치는 터치시에 촉각으로 물체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터치의 정확성을 높이는 햅틱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햅틱 기술은 터치시에 표시패널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하지만,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에 햅틱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표시장치가 구비하는 포스센서는 햅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포스센서가 정확하게 동작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포스센서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액츄에이터에 의한 진동 노이즈에 영향을 줄일 수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포스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하며, 기설정된 진동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복수의 노달포인트(nodal point)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포스감지부, 및 표시패널에 상기 기설정된 진동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모드 선택 및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주파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표시패널에 전달하고 표시패널의 복수의 노달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노달포인트에 포스감지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포스센서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액츄에이터에 의한 진동 노이즈에 영향을 줄일 수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간단하게 포스센서를 배치할 수 있는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형성되는 노달라인과 노달포인트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표시패널을 고유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공진주파수와 반송파를 이용한 랜더링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액츄에이터가 턴온된 경우와 턴오프된 경우의 포스센서에서 감지되는 힘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노달포인트가 형성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표시패널(110)에 진동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130), 및 표시패널(110) 상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하며,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노달포인트(Nodal point)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감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하부에 배치되는 백커버(140)와 표시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150)는 표시패널(110), 액츄에이터(130) 포스감지부(120)를 수용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50)는 표시패널(110)의 테두리에 접촉될 수 있고 표시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의 테두리에는 패드(18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180)는 소프트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커버(140)를 터치한 힘에 의해 눌릴 수 있다. 패드(180)이 눌리게 되면 커버(140)가 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눌리게 되고 이로 인해 포스감지부(120)에서 터치 시에 발생된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커버(150)는 테두리가 백커버(160)에 접촉할 수 있다. 커버(150)는 유리와 같은 투명재질을 포함할 수 있어 표시패널(110)에서 방출되는 빛이 투과하게 할 수 있다. 커버(150)는 표시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0)는 표시패널(110)에 기설정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0)는 표시패널(110)의 터치에 대응하여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0)는 표시패널(110)의 노달포인트에 대응하는 제1주파수를 갖는 제1주파수신호와 제1주파수보다 낮은 제2주파수를 갖는 제2주파수에 대응하여 표시패널(110)을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주파수는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주파수이고 제2주파수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일 수 있다. 또한, 제2주파수는 제1주파수에 대한 반송파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주파수가 제2주파수에 의해 전달되게 되면 사용자는 제2주파수에 의해 액츄에이터(130)의 진동을 인식할 수 있다. 포스감지부(120)는 노달포인트에 배치되어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에 진동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130)의 수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스감지부(120)와 액츄에이터(130) 사이에 하부플레이트(17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70)는 포스감지부(120)를 지지하여 표시패널(110)을 터치하는 힘이 포스감지부(12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70)는 백커버(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10)과 액츄에이터(130) 사이에 레이어(1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이어(160)는 표시패널(110)과 하부플레이트(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어(160)는 포스감지부(120)가 대응되는 노달포인트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레이어(160)는 소프트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표시패널(110)의 하중에 의해 레이어(160)가 눌리게 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의 하중에 의해 레이어(160)가 눌리게 되면 표시패널(110)의 하중을 포스감지부(120)가 지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표시패널(110)을 터치할 때 발생한 힘이 포스감지부(120)로 집중될 수 있다.
도 2는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형성되는 노달라인과 노달포인트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은 고유의 진동주파수에 의해 대응하여 진동한다. 이러한 표시패널(110)에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인가하면 표시패널(110)은 두 개의 주파수에 의해 합산된 크기의 진동을 하게 된다. 표시패널(110)의 진동면(110a)은 일정하게 흔들리게 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110)의 고유진동수와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두 파동의 합이 0인 지점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지점을 노달라인(nodal line)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노달라인이 교차하는 지점은 노달포인트(nodal point)라고 칭할 수 있다. 노달라인에 대응되는 영역을 노달영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노달라인에 의해 둘러 쌓여 있는 영역을 비노달영역(110b)이라고 칭할 수 있다. 비노달영역(110b)은 액츄에이터(130)의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노달포인트에 포스감지부(120)를 배치하게 되면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된 진동이 포스감지부(12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포스감지부(120)는 터치 시에 인가되는 힘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0)가 노달영역에 배치되면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표시패널(110)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진동이 발생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30)는 비노달영역(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노달포인트를 찾는 방법은 실험적인 방법과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표시패널(110)에 직접 순간적인 충격을 인가하여 노달포인트를 찾는 임팩트 해머 모달 테스팅(Impact hammer modal testing) 과 표시패널(110)에 진동을 인가하여 노달포인트를 찾는 세이크 모달 테스팅(shake modal testing)이 있다. 그리고,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노달포인트를 찾는 방법으로는 연속체 모델을 사용하여 변형-하중 관계를 나타내는 지배미분방적식의 해를 구하는 해석적인 방법과, 분할 모델을 사용하여 변형-하중 관계의 행렬 방적식을 풀어 각 절점에서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하는 방법인 수치해석적인 방법이 있다. 또한, 수치해석적인 방법에는 유한 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 유한 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경계요소법(boundary element method), 무요소법(mesh free method) 등이 있다. 그리고, 도 3은 표시패널(110)의 고유주파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표 1은 표시패널(110)에 노달 테스트를 수행하여 얻은 실험 결과치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공진점이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모델 타입 1차 2차 3차 4차 5차
주파수(Hz) 34.375 173.4375 306.25 400.78125 425
모델 타입 6차 7차 8차 9차 10차
주파수(Hz) 489.84375 640.625 727.34375 925.78125 1078.90625
상기의 1차에서 10차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진동을 인가하면 표시패널(110)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노달라인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노달라인들이 교차되는 지점을 이용하여 노달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과 표 1은 공진점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34.375에서 1078.90625 Hz 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샹기 범위 밖의 고주파 영역에도 공진점에 대응하는 공진주파수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30)는 진동의 주파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에 대응하여 다양한 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진동 주파수가 1000 Hz 이상이 되면 사람의 인지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사용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를 반송파로 이용하여 랜더링 신호를 생성하고 랜더링 신호에 대응하여 액츄에이터(130)가 진동을 출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공진주파수를 갖는 진동신호와 반송파를 이용한 랜더링신호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a)는 10차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택한 진동신호이고 (b)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이다. 여기서, 반송파는 200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진동신호와 반송파를 연산하여 (c)와 같은 랜더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신호와 반송파의 진폭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송파의 진폭에 대응하여 랜더링신호의 진폭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반송파의 주파수는 200Hz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반송파의 주파수는 180~250Hz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진동신호를 제1주파수 신호라고 칭하고 반송파를 제2주파수신호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액츄에이터가 턴온된 경우와 턴오프된 경우의 포스센서에서 감지되는 힘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130)가 턴온된 상태에서 포스감지부(120)에서 감지하는 힘의 크기와 액츄에이터(130)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포스감지부(120)에서 감지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포스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의 노달포인트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래프의 가로방향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며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포스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힘의 크기를 5번 측정하였다. 또한, 그래프의 세로방향은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다섯번 모두 힘의 크기는 액츄에이터(130)가 턴온된 경우와 턴오프된 경우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노달포인트에 포스감지부(120)를 배치하면 액츄에이터(130)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포스감지부(120)에서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노달포인트가 형성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가 배치된다. 또한, 표시패널(110)의 테두리(150a)에는 표시패널(110)을 지지하는 백커버(150)가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노달라인(NL)은 점선으로 표시되고 노달포인트(NP)는 원으로 표시하였다. 노달라인(NL)이 수와 노달포인트(NP)의 수는 예시적은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달포인트(NP)는 표시패널(110)의 테두리뿐만 아니라 표시패널(110)의 중앙에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스감지부(120)의 위치가 테두리(150a)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패널(110)의 중앙에도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노달포인트(NP)에 대응하는 위치에 포스감지부(120)가 배치되지 않으면 액츄에이터(1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포스감지부(1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포스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의 테두리(150a)에 배치되고 백커버(150)에 의해 고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포스감지부(120)가 노달포인트(NP)에 배치되게 되면 액츄에이터(130)에 의한 진동에 자유롭게 되어 표시패널(110) 내의 다양한 위치에 포스감지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가 자주 발생하는 위치 및/또는 힘을 감지하기 유리한 위치에 포스감지부(120)를 배치할 수 있어 포스감지부(120)의 배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110), 게이트드라이버(111), 데이터드라이버(112), 터치전극(113), 터치드라이버(114) 및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화소(P)가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이 배치될 수 있고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게이트 라인(G1,…,Gn)과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이 교차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화소들(P)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드라이버(111)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과 연결되어 게이트라인(G1,…,Gn)에 게이트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12)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1,…,Dm)과 연결되어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에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으로 게이트신호는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복수의 게이트라인(G1,…,Gn) 중 게이트신호를 전달받은 게이트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P)들이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드라이버(111)와 데이터드라이버(112)는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해상도 및/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11)는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홀수번째 게이트라인과 짝수번째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전극(113)은 표시패널(110)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표시패널(110)을 터치한 위치에 대응하는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113)은 터치구동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터치전극(113)의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당업자에게 터치전극(113)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다. 터치전극(113)은 복수의 구동전극(미도시)과 복수의 센싱전극(미도시)이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113)은 소정 면적을 갖는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은 정정용량 방식으로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에 대응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은 뮤츄얼캡 방식과 셀프캡 방식이 있다.
터치드라이버(114)는 터치구동신호라인(Tx1,…,Txk)를 통해 터치전극(113)에 터치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드라이버(114)는 터치구동신호라인(Tx1,…,Txk)을 통해 터치전극(113)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드라이버(114)는 터치전극(113)과 연결되어 센싱신호를 전달받는 센싱신호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터치드라이버(114)는 터치구동신호라인(Tx1,…,Txk)을 통해 터치구동신호를 터치전극(113)에 전달하고 터치전극(113)으로부터 센싱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드라이버(114)는 센싱신호를 적분하여 정전용량 변화값을 생성하고 제어부(115)로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5)는 게이트드라이버(111), 데이터드라이버(11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5)은 영상신호를 데이터드라이버(11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신호를 데이터드라이버(11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터치드라이버(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액츄에이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5)는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블록으로 구분되며 게이트드라이버(111), 데이터드라이버(112)를 제어하는 블록과 터치드라이버(114)를 제어하는 블록과 액츄에이터(130)를 제어하는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11), 데이터드라이버(112), 터치드라이버(114)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115)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113)과 터치드라이버(114)는 터치좌표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터치전극(113)만을 터치감지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감지부에서 터치를 감지하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액츄에이터(130)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감지부에서 터치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15)에 전달하면 제어부(115)는 액츄에이터(130)를 구동시켜 액츄에이터(130)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스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스센서(121`)는 제1전극(TE1), 제1전극(TE1)과 이격되어 있는 제2전극(TE2), 및,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에 접촉하는 포스전극(F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은 각각 백커버(16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기판(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은 제1기판(121)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어 접촉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제1전극(TE1)은 구동신호가 전달되는 구동신호라인일 수 있고, 제2전극(TE2)은 센싱신호가 전달되는 센싱신호라인일 수 있다. 또한, 제1전극(TE1)은 구동신호라인과 연결되는 배선일 수 있고 제2전극은 센싱신호라인과 연결되는 배선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포스전극(FE)이 배치될 수 있다. 포스전극(FE)은 제2기판(122)에 형성될 수 있다. 포스전극(FE)은 제2기판(122)에서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이 배치되어 있는 제1기판(121)의 면을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121)과 제2기판(122)은 각각 플렉서블한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21)과 제2기판(12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기판(122) 상에 표시패널(11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하면, 즉, 사용자가 표시패널(110) 또는 커버(150)를 터치하면, 터치한 힘이 제2기판(122)에 전달되고 그 힘에 의해 제2기판(122)이 눌려 제2기판(122)에 배치되어 있는 포스전극(FE)이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이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포스전극(FE)이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에 접촉하게 되면 포스전극(FE)에 의해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이 도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전극(TE1)으로 전달되는 구동신호가 제2전극(TE2)으로 전달되고 제2전극(TE2)을 통해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센싱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포스전극(FE)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이 포스전극(FE)과 접촉하는 면적이 결정되고 그로 인해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의 크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포스전극(FE)과 제1전극(TE1) 및 제2전극(TE2)이 접촉되는 면적이 클수록 저항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전극(TE2)으로 전달되는 센싱신호는 저항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호의 세기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신호의 센기를 이용하여 저항의 크기를 판별함으로써 터치시에 인가되는 힘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 도시되어 있는 포스센서(121`)가 도 1에 도시된 포토감지부(120)일 수 있다. 또한, 포스센서(121`)의 제1기판(121)과, 제1기판(121)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이 도 1에 도시된 포토감지부(120)일 수 있다. 제1기판(121)과, 제1전극(TE1)과 제2전극(TE2)이 도 1에 도시된 포스감지부(120)인 경우 제2기판(122)과 포스전극(FE)은 표시패널(110)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기판(121)이 노달포인트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모드 선택 및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S900) 모드 선택과 주파수 선택은 표시장치의 노달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실험적인 방법과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실험 적인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표시패널(110)에 직접 순간적인 충격을 인가하여 노달포인트를 찾는 임팩트 해머 노달 테스팅(iNPact hammer nodal testing) 과 표시패널(110)에 진동을 인가하여 노달포인트를 찾는 세이크 노달 테스팅(shake nodal testing)이 있다. 그리고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노달포인트를 찾는 방법으로는 연속체 모델을 사용하여 변형-하중 관계를 나타내는 지배미분방적식의 해를 구하는 해석적인 방법과 분할 모델을 사용하여 변형-하중 관계의 행렬방정식을 풀어 각 절점에서의 해를 수치적으로 구하는 방법인 수치해석적인 방법이 있다. 또한 수치해석적인 방법에는 유한 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 유한 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경계요소법(boundary element method), 무요소법(mesh free method) 등이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 전체에 고른 진동분포를 나타내는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표시패널에 전달하고 표시패널(110)의 복수의 노달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S910)
그리고, 노달포인트에 포스감지부(120)를 배치할 수 있다.(S920) 포스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의 모든 노달포인트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모든 노달포인트에 배치하지 않고 최적의 노달포인트를 선택하여 포스감지부(120)를 배치할 수 있다. 포스감지부(120)이 노달포인트에 배치됨으로써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되는 힘이 포스감지부(120)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포스감지부(120)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노달포인트는 표시패널(11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포스감지부(120)이 터치되는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터치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노달영역과 비노달 영역에서 포스감지부(120)가 배치되는 노달포인트를 제외한 영역에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이어는 힘이 가해지면 눌릴 수 있는 소프트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감지부(120)는 레이어에 의한 터치 시에 인가되는 힘의 감지를 간섭받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포스감지부(120)의 하부에 하부플레이트(170)를 배치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70)는 포스감지부(120)를 지지하게 되어 포스감지부(120)에 전달되는 힘이 포스감지부(120)에 모두 전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70)가 포스감지부(120)를 지지함으로써 포스감지부(120)가 레이어(160)는 소프트한 물질을 포함하며 표시패널의 하중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레이어(160)는 표시패널(110)의 하중에 의해 눌리게 되지만 포스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의 하중에 의해 눌리지 않아 표시패널(110)의 모든 하중이 포스감지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포스감지부(120)가 더 터치되는 힘에 보다 더 민감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70)는 백커버(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최적의 노달포인트는 터치되는 힘의 감지가 용이한 위치일 수 있고 실험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노달포인트는 표시패널(110)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배치되어 있어 포스감지부(120)를 터치되는 지점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70)의 배면에 표시패널(110)에 진동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130)를 배치하되, 표시패널(110)의 노달영역과 비노달 영역 중 비노달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S930) 액츄에이터(130)가 노달영역에 배치되면 액츄에이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표시패널(110)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액츄에이터(130)가 동작하더라도 표시패널(110)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유기발광표시장치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포스감지부
130: 액츄에이터
140: 커버
150: 백커버
160: 레이어
170: 하부프레이트

Claims (11)

  1. 중앙과 테두리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하며, 기설정된 진동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패널의 복수의 노달포인트(nodal point)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포스감지부;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기설정된 진동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스 감지부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어는 상기 포스감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 싸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노달포인트에 대응하는 제1주파수신호와 상기 제1주파수신호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2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감지부와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스감지부를 지지하는 하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노달영역과 비노달영역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비노달포인트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소프트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감지부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과 제2방향으로 이격되는 포스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터치좌표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터치를 감지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8. 모드 선택 및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표시패널에 전달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복수의 노달포인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노달포인트에 포스감지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포스감지부의 하부에 상기 포스감지부를 지지하는 하부 플레이트를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표시패널에 진동을 인가하는 액츄에이터를 배치하되, 상기 표시패널의 노달영역과 비노달 영역중 비노달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패널은 중앙과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포스감지부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어는 상기 포스 감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 싸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소프트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삭제
KR1020170127080A 2017-09-29 2017-09-29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6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80A KR102367747B1 (ko) 2017-09-29 2017-09-29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6/101,167 US10884501B2 (en) 2017-09-29 2018-08-10 Display device including forc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102018121598.3A DE102018121598A1 (de) 2017-09-29 2018-09-05 Anzeigevorrichtung mit Drucksens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CN201811057545.0A CN109582166B (zh) 2017-09-29 2018-09-11 包括力传感器的显示装置及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JP2018174534A JP6912433B2 (ja) 2017-09-29 2018-09-19 フォースセンサを具備す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GB201815614A GB2568592B (en) 2017-09-29 2018-09-25 Display device including forc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080A KR102367747B1 (ko) 2017-09-29 2017-09-29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83A KR20190037583A (ko) 2019-04-08
KR102367747B1 true KR102367747B1 (ko) 2022-02-25

Family

ID=6402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080A KR102367747B1 (ko) 2017-09-29 2017-09-29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84501B2 (ko)
JP (1) JP6912433B2 (ko)
KR (1) KR102367747B1 (ko)
CN (1) CN109582166B (ko)
DE (1) DE102018121598A1 (ko)
GB (1) GB25685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8151B2 (en) * 2018-09-25 2021-11-30 Apple Inc. Vibration driven housing component for audio reproduction, haptic feedback, and force sensing
CN112148153A (zh) * 2020-10-21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20230008302A (ko) * 2021-07-06 202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장형 영상 기록 장치의 평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475A (ja) * 2012-05-21 2012-10-04 Sony Corp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156677A (ja) * 2012-01-26 2013-08-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タッチパネル装置
WO2014057593A1 (ja) * 2012-10-12 2014-04-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4120170A (ja) * 2012-12-13 2014-06-30 Immersion Corp 増加したlra帯域幅を有するハプティッ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8982B2 (en) * 2002-11-08 2010-09-21 Engineering Acous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brational stimulus
US8780053B2 (en) * 2007-03-21 2014-07-15 Northwestern University Vibrating substrate for haptic interface
JP4968515B2 (ja) * 2006-11-15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基板支持振動構造、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147901A2 (en) * 2007-05-22 2008-12-04 Qsi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al effects on a force-based touch panel
GB2467461B (en) * 2007-09-14 2012-03-07 Nat Inst Of Advanced Ind Scie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generating apparatus and controller apparatus
US8156809B2 (en) 2008-03-27 2012-04-1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nance detection
GB2464117B (en) 2008-10-03 2015-01-28 Hiwave Technologies Uk Ltd Touch sensitive device
US9164584B2 (en) * 2009-04-21 2015-10-2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devices for consistency of the haptic response across a touch sensitive device
JP5704428B2 (ja) * 2009-11-18 2015-04-22 株式会社リコー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
US9057653B2 (en) * 2010-05-11 2015-06-16 Synaptics Incorporated Input device with force sensing
US9235265B2 (en) * 2012-05-17 2016-01-12 Sharp Kabushiki Kaisha Touch-screen device including tactile feedback actuator
US9471169B2 (en) * 2012-05-22 2016-10-18 Synaptics Incorporated Force enhanced input device
JP6291340B2 (ja) 2014-05-07 2018-03-14 富士ソフト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および入力検出方法
CN104063054B (zh) * 2014-06-06 2017-02-15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双向摩擦力控制的触觉再现装置及触觉再现方法
WO2016032806A1 (en) * 2014-08-26 2016-03-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imiting notifications and alerts
JP6386952B2 (ja) * 2015-03-18 2018-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振動制御方法
KR101879931B1 (ko) 2016-05-10 2018-07-20 한국과학기술원 IoT 서비스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56768B2 (en) * 2016-07-12 2020-05-1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display panel with reduced thick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561883A (en) * 2017-04-27 2018-10-31 Cambridge Touch Tech Ltd Touchscreen panel hap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6677A (ja) * 2012-01-26 2013-08-1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2190475A (ja) * 2012-05-21 2012-10-04 Sony Corp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4057593A1 (ja) * 2012-10-12 2014-04-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4120170A (ja) * 2012-12-13 2014-06-30 Immersion Corp 増加したlra帯域幅を有するハプティッ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68592B (en) 2020-01-01
DE102018121598A1 (de) 2019-04-04
CN109582166A (zh) 2019-04-05
KR20190037583A (ko) 2019-04-08
GB2568592A8 (en) 2019-05-29
US10884501B2 (en) 2021-01-05
GB201815614D0 (en) 2018-11-07
JP2019067379A (ja) 2019-04-25
US20190101988A1 (en) 2019-04-04
GB2568592A (en) 2019-05-22
CN109582166B (zh) 2022-10-14
JP6912433B2 (ja)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3562B1 (en) Method of operating a touch panel
JP6387385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動作方法
KR100837738B1 (ko) 전자 장치 및 이 장치의 터치패널 배치 방법
US9069384B2 (en) Electronic device
KR102367747B1 (ko) 포스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160243A (ja) タッチ入力デバイスのセンサー機能及び作動機能を提供するシステム
CN106796475A (zh) 用于手势检测及跟踪的电极布置
GB2561883A (en) Touchscreen panel haptics
CN108227913A (zh) 显示装置
KR20150034861A (ko) 피드백 제공 모듈, 장치 및 방법
JP6715275B2 (ja) 表示装置
KR100475114B1 (ko) 터치 패널의 선형성 측정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선형성 측정 방법
KR20190004679A (ko) 터치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240111365A1 (en) Timing of Haptic Signals
US11681375B1 (en) Non-uniform pressure actuation threshold value
WO2015129287A1 (ja) 入力装置
KR20220117780A (ko) 터치 위치 식별을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터치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081249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448436A (zh) 显示装置及触觉反馈方法
JPWO2019130504A1 (ja) 電子機器
JP2016151985A (ja)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