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156B1 - 에어인테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인테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156B1
KR102367156B1 KR1020200073471A KR20200073471A KR102367156B1 KR 102367156 B1 KR102367156 B1 KR 102367156B1 KR 1020200073471 A KR1020200073471 A KR 1020200073471A KR 20200073471 A KR20200073471 A KR 20200073471A KR 102367156 B1 KR102367156 B1 KR 10236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take
intake body
vehicl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939A (ko
Inventor
강선행
Original Assignee
강선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행 filed Critical 강선행
Priority to KR102020007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1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83Cylindrical, conical, oval, spherical or the like filter elements; wounded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인테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공기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차량의 진행방향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공기도입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도입부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도입부는 차량의 진행방향측으로부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및 상기 공기도입부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멍을 포함하여, 유입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벌레 등 비교적 비중이 큰 물질은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외기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의 상기 필터부를 통해 차량의 공기흡입구로 유입되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차량의 공기흡입구를 폐쇄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인테이크 장치{AIR INTAKE DEVICE FOR CAR}
본 발명은 에어인테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속부를 갖추어 흡입구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에어인테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 보내지는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차체에 공기흡입구인 에어인테이크를 설치하게 되고, 많은 양의 공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닛에 에어 인테이크를 설치하고 있고, 엔진의 열을 식히기 위해 라이디에터 그릴이나 범퍼에 에어인테이크를 설치하게 된다.
에어 인테이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에어인테이크 파이프를 통해 엔진룸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차량의 공조장치 또는 실내 공기정화기는, 외기 또는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 또는 정화하여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실내를 냉, 난방 또는 정화하는 장치로서,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송풍장치의 원심팬이 회전하면서 일으키는 원심방향의 공기 유동으로 외기 도는 내기를 도입한 후, 이 공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실내로 송풍해줌으로써 냉,난방 또는 정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에어 인테이크는 내기 도입구를 갖는 덕트와, 외기도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한쌍의 도어로 이루어져를 포함하며, 외기 모드 선택시 에어 인테이크의 도어는 내기 도입구를 막게 되고, 이때에 외기도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기 모드 선택시 에어 인테이크의 도어는 외기 도입구를 막게 되고, 이때에는 내기 도입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에어인테이크에서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때에 벌레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에어인테이크의 입구측에 있는 메쉬나 그릴, 필터에 걸러지게 되는데, 많은 양의 이물질에 의해 에어인테이크의 입구가 폐쇄되거나 막히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002911호(자동차 흡기량 증가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인테이크 장치에 감속부를 구비하여 외기흡입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에어 인테이크 외부로 배출하고 외기만을 흡입할 수 있는 에어 인테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 장치는, 차량 또는 공기정화기의 공기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공기도입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도입부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도입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및 상기 공기도입부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도입부의 전방측 개구의 직경은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와,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에어인테이크 장치에 의하면, 상기 공기도입부의 상기 감속부에 의해 상기 에어인테이크 장치로 유입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벌레 등 비교적 비중이 큰 물질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까지도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외기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의 상기 여과부를 통해 공기흡입구로 유입되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공기흡입구를 폐쇄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기존의 차량의 공기흡입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흡입되는 외기의 양이나 필터링되는 수준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흡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 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 장치(1)는, 차량의 제작시에 차량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기존의 차량에 추가적으로 차량의 공기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에어인테이크 장치를 예로 설명하지만, 외기를 흡기하는 별도의 송풍장치로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기청정기의 에어인테이크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실내공기청정기의 에어인테이크장치로 구성할 경우, 상기 에어인테이크 장치(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외부유속을 만들기 위해 상기 에어인테이크 장치(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송풍기나 팬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인테이크 장치(1)는,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와, 공기도입부(20)와, 공기배출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중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차량의 공기흡입구(2)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의 내측에는 여과부(11)가 배치된다. 상기 여과부(11)는, 예를 들면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타공판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거나, 시트 형태의 프리필터를 원통형으로 말아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의 고정부(12)에 체결하여 내측에 배치한다.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에는 공기도입부(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도입부(20)는 차량의 진행방향측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21)를 갖는다. 상기 공기도입부(20)는 감속부(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속부(22)는, 차량의 진행방향측으로부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도입부(20)에 반대측에는 상기 공기배출부(30)가 마련된다. 상기 공기배출부(30)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도입부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및 상기 공기도입부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멍(31)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도입부의 전방측 개구의 직경(Ai)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의 중공부의 내경 또는 상기 공기배출구(30)의공기배출구멍(31)의 직경(Ao)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인테이크 장치는, 외부로부터 V1의 속도로 흡입되는 외기는, 직경이 점차 커지는 상기 감속부(22)를 지나면서 속도가 점차 감소하게 되어,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10)의 중공부를 지나 상기 공기배출구(30)의 상기 공기배출구멍(31)을 지날 때 V2의 속도로 지나게 되는데, 상기 감속부에 의해 V1 > V2가 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 중에서 공기만 흡입되고, 먼지, 이물질, 벌레 등의 일정량의 입자가 큰 먼지나 벌레 등 일정량의 운동에너지를 가지는 입자는 상기 감속부를 통과하면서 관성의 법칙에 따라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기중의 공기와 먼지, 이물질, 벌레 등이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흡입되는 외기는 상기 감속부에 의해 감속되어 흡입력이 작용하고 있는 차량의 공기흡입구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먼지, 벌레, 나뭇가지 등 비중이 큰 이물질은 차량의 공기흡입구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기배출구(30)의 상기 공기배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인테이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에어인테이크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에어인테이크 본체부(3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30')는 차량의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대향하는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향하여 연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는 연결부(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40)는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차량의 상기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40)의 내부에는 필터부(41)가 마련된다. 상기 필터부(41)는, 예를 들면 헤파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30')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필터부(41)에 의해 더욱 필터링된 후, 차량의 공기흡입구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본 발명의 에어인테이크 장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차량의 공기흡입구를 폐쇄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외기를 흡입할 수 있고, 하나 또는 한 쌍의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흡입되는 외기의 양이나 필터링되는 수준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 에어인테이크 장치
10 : 공기도입부
20 :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30 : 공기배출부
40 : 연결부

Claims (3)

  1. 차량 또는 공기정화기의 공기흡입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공기도입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도입부에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도입부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증가하는 전협후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및 상기 공기도입부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도입부의 전방측 개구의 직경은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와,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를 연결하고 차량의 상기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에어인테이크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인테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73471A 2020-06-17 2020-06-17 에어인테이크 장치 KR10236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71A KR102367156B1 (ko) 2020-06-17 2020-06-17 에어인테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71A KR102367156B1 (ko) 2020-06-17 2020-06-17 에어인테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39A KR20210155939A (ko) 2021-12-24
KR102367156B1 true KR102367156B1 (ko) 2022-02-23

Family

ID=7917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71A KR102367156B1 (ko) 2020-06-17 2020-06-17 에어인테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1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8452A (ja) * 2016-01-18 2017-07-27 株式会社タイワ精機 空気分離減速システム
CN107461286A (zh) * 2017-07-03 2017-12-12 安徽气动无疆科技有限公司 一种两栖船用的发动机集中式进气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313B2 (ja) * 1993-07-21 2001-11-26 日立金属株式会社 パルス減衰特性に優れたナノ結晶合金の製造方法
KR100541236B1 (ko) * 2004-05-21 2006-01-10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의 에어 인테이크부 공기여과장치
KR102024029B1 (ko) 2017-06-30 2019-11-04 강현웅 자동차 흡기량 증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8452A (ja) * 2016-01-18 2017-07-27 株式会社タイワ精機 空気分離減速システム
CN107461286A (zh) * 2017-07-03 2017-12-12 安徽气动无疆科技有限公司 一种两栖船用的发动机集中式进气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39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771B2 (en) Ventilating system
KR101517906B1 (ko)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KR102565654B1 (ko) 환기 공기 유입구를 위한 공기 처리 장치
CN201872760U (zh) 动车组拖车空调防风沙通风系统
KR102367156B1 (ko) 에어인테이크 장치
US200200202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ir purification
WO2014207891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07655070A (zh) 一种集空调器与净化器于一体的风管机
CN211364218U (zh) 一种汽车空调过滤系统及汽车
CN107618338A (zh) 空气循环器
JP2998332B2 (ja) 天井設置型車両用クーリングユニット
KR20220063547A (ko)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순환장치
CN112009208A (zh) 车辆空气过滤系统
CN205009930U (zh) 一种客车车厢内空气质量管理系统
WO19970059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filtration of air for vehicle cabins
CN210832325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0832324U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KR100353058B1 (ko) 자동차 공기조화용 에어필터 교체시기 알림장치
KR102211714B1 (ko) 광촉매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589208B1 (ko)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N212253103U (zh) 壳体和空气处理设备
CN216714450U (zh) 一种隧道通风除雾系统
CN212252891U (zh) 空调器
CN212253105U (zh) 过滤组件、壳体和空气处理设备
CN208936299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