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839B1 -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839B1
KR102366839B1 KR1020177011577A KR20177011577A KR102366839B1 KR 102366839 B1 KR102366839 B1 KR 102366839B1 KR 1020177011577 A KR1020177011577 A KR 1020177011577A KR 20177011577 A KR20177011577 A KR 20177011577A KR 102366839 B1 KR102366839 B1 KR 10236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case
upper case
vehic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786A (ko
Inventor
로버트 함로디
카이 메츨러
츠요시 나가시마
코헤이 쿠로세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일레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일레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16C17/107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with at least one surface for radial load and at least one surface for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5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the flexible wall being of the rolling diaphragm type
    • F16F9/05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the flexible wall being of the rolling diaphragm type characterised by the bu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6Bicycle steering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에어 스프링의 조립 부품수를 삭감하여 조립 작업을 간략화하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한다.
에어 스프링(AS)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보디측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110)와, 이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는 하부 케이스(120)를 구비한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100)이고, 하부 케이스(120)가, 하부 케이스(120)의 저부 영역(BA)에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를 장착하는 튜브 상방 장착부(123)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100).

Description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륜 자동차에 있어서의 에어 서스펜션의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4륜 자동차의 전륜이나 후륜에 사용되는 에어 서스펜션은, 일반적으로, 고무 튜브에 의해 형성된 에어실을 구비한 에어 스프링과 유압식 쇼크 업소버를 조합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실의 기압을 바꾸는 것에 의해, 차량 등이 조정 자유롭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 스트럿형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보디측에 장착되는 외측 케이스와, 이 외측 케이스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는 내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개재하여 레이디얼 하중을 받는 볼로 이루어지는 볼 베어링을 구비하고, 유압 완충기의 피스톤의 상단부가 내측 케이스 내주에 감합되고, 에어 스프링의 고무 튜브를 내측 케이스의 하방 영역에 배치한 튜브 상방 장착 부재로서의 캐니스터에 장착한 에어 서스펜션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5-296277호 공보(특히 도 1)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는, 볼 베어링이 레이디얼 베어링이고, 캐니스터가 볼 베어링의 내측 케이스와 별체의 구조였기 때문에, 스러스트 하중을 충분히 받아내기 어렵고, 에어 스프링의 조립 부품수가 많아 조립 작업이 번잡한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에어 스프링의 조립 부품수를 삭감하여 조립 작업을 간략화하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은, 에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보디측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이고, 상기 하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부 영역에 상기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가 장착되어 있는 튜브 상방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이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 영역에 에어 스프링 측에 일부 절삭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상기 고무 튜브의 에어실과 연통하여 상기 오목부 내에 축 중심측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에어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은,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보디측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원활한 상대적인 회동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래와 같은 특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의 저부 영역에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를 장착하는 튜브 상방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가 고무 튜브의 종래와 같은 튜브 상방 장착 부재를 겸하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튜브 상방 장착 부재를 단독으로 하부 케이스의 저부 영역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러스트 베어링에 대한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의 조립을 간략화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와 같은 하부 케이스 부재가 고무 튜브의 튜브 상방 장착 부재와 별도의 부재인 경우와 비교하면, 하부 케이스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스러스트 하중을 받는 베어링 피스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있어서의 마찰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대적인 회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베어링 피스가, 합성 수지제의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이고,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에 마련한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가, 하부 케이스에 마련한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와 체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회동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부 케이스와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발생해도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의 구성 재료를 슬라이딩성보다도 내구성을 중시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상부 케이스가, 이 상부 케이스의 상면 영역에 있어서 에어 스프링측에 일부 절삭한 요부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가,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의 에어실과 연통하여 요부내에서 축 중심측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에어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에어 스프링에 있어서 상단측인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측이 고정측이 되어, 에어 노즐에 접속하는 흡배기용 에어 튜브의 배정된 위치가 안정되기 때문에, 에어 노즐을 통해 에어 스프링의 에어실의 기압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에어 노즐이 베어링 회동 방향에서 요부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대 자세를 기준 상대 자세로 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의 어느 하나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의 다른 하나와 당접하여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회동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가 상부 케이스에 대해 회동했을 때에 기준 상대 자세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복귀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에어 노즐을 베어링 회동 방향에 있어서 요부의 중심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면,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에 더하여, 에어 노즐이 베어링 회동 방향에서 요부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대 자세를 기준 상대 자세로 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했을 때, 상부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가, 하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와 당접하고, 소정 각도가,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에어 노즐과 요부의 측벽이 당접할 때의 상대 자세까지의 각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에어 노즐이 요부의 측벽과 당접하기 전에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가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와 당접하여 상대적인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에어 노즐이 상부 케이스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3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부호 4-4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부호 5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에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보디측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이고, 하부 케이스가, 이 하부 케이스의 저부 영역에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를 장착하는 튜브 상방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에 사용되는 에어 스프링의 조립 부품수를 삭감하여 조립 작업을 간략화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떤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에어 스프링 내를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삽입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고,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에어 스프링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개재하여 타이어측으로부터 부하되는 스러스트 하중을 받는 베어링 피스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고, 베어링 피스를 구비하지 않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직접 슬라이딩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베어링 피스를 구비하는 경우, 이 베어링 피스는,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미끄럼 베어링 피스여도 좋고, 볼 등의 전동체를 전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롤링 베어링 피스여도 좋다.
상부 케이스는, 차량 보디측 장착부와 당접하고 있으면 되고, 에어 서스펜션은,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가, 차량 보디측 장착부에 감합되어 있는 타입이어도 좋고, 상부 케이스에 감합되어 있는 타입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의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3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부호 4-4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부호 5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110)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120)와, 베어링 피스로서의 합성 수지제의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상부 케이스(110)는, 차량 보디측 장착부로서의 차량측의 장착 부재와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스(110)는, 서스펜션의 상하 방향(Y)에 있어서 원환상의 상부 케이스 하면(111a)을 형성하여 차량측에 장착되는 원환상의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와, 이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의 지름 방향(X)의 내주 에지에서 수하된 내주측 원통부(112)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0)는,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의 축심(AX)을 중심으로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축심(AX)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상부 케이스(110)에 중첩되는 원환상의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와,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를 하부 케이스(120)의 저부 영역(BA)에 장착하는 튜브 상방 장착부(123)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하부 케이스 외측 체결 클로(121b)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 외측 체결 클로(121b)가,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의 지름 방향 외측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클로(111b)와 원주 방향(R)으로 회동 자유롭게 체결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하부 케이스 외측 체결 클로(121b)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리지(121c)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리지(121c)가,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의 상부 케이스 하면(111a)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홈(111c)과 약간의 틈을 두고 맞물리도록 체결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리지(121c)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는,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홈(121d)이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홈(121d)이,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의 상부 케이스 하면(111a)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리지(111d)와 약간의 틈을 두고 맞물리도록 체결된다.
이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에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지름 방향 내주측에는, 하부 케이스 내측 환상 체결 리지(121f)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 내측 환상 체결 리지(121f)가, 상부 케이스(110)의 내주측 원통부(112)의 하단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 내측 환상 체결 리지(112a)와 지름 방향(X)으로 약간의 틈을 두면서 상하 방향(Y)으로 오버랩되어 맞물리도록 체결된다.
이에 의해, 지름 방향 내측에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개재하여 타이어측으로부터 부하되는 스러스트 하중 및 레이디얼 하중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는,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의 상부 케이스 하면(111a)과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하부 케이스 상면(121a) 사이의 환상 공간 및 내주측 원통부(112)의 외주면(112b)과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내주면(121e) 사이의 환상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는, 원환상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131)와, 원통 형상의 레이디얼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132)와, 레이디얼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132)의 하방에서 원주 방향(R)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131)는,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111)의 상부 케이스 하면(111a)과 슬라이딩 자유롭게 접촉하는 베어링 상면(131a)과, 하부 케이스(120)의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하부 케이스 상면(121a)과 접촉하는 베어링 하면(131b)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레이디얼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132)는, 상부 케이스(110)의 내주측 원통부(112)의 외주면(112b)과 슬라이딩 자유롭게 접촉하는 베어링 내주면(132a)과, 하부 케이스(120)의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121)의 내주면(121e)과 접촉하는 베어링 외주면(132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33)는, 하부 케이스(120)에 있어서 원주 방향(R)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26)와 체결되어,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의 하부 케이스(120)에 대한 회동을 규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가 하부 케이스(12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33) 및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26)를 마련했지만, 이들을 마련하지 않고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가 하부 케이스(120)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0)가, 에어 서스펜션의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를 하부 케이스(120)의 저부 영역(BA)에 장착하는 튜브 상방 장착부(123)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케이스(120)가 고무 튜브(RT)의 종래와 같은 튜브 상방 장착 부재를 겸한다.
또한, 종래와 같은 튜브 상방 장착 부재를 단독으로 하부 케이스(120)의 저부 영역(BA)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종래와 같은 하부 케이스 부재가 고무 튜브(RT)의 튜브 상방 장착 부재와 별도의 부재인 경우와 비교하면, 하부 케이스(120)의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에 마련한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33)가, 하부 케이스(120)에 마련한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26)와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력이 작용했을 때에 상부 케이스(110)와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발생해도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하부 케이스(120)의 구성 재료를 슬라이딩성보다도 강도나 내구성을 중시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가, 이 상부 케이스(110)의 상면 영역(UA)에 있어서 에어 스프링(AS)측에 일부 절삭한 요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20)가, 환상의 상부 케이스(110)의 내측에 있어서 하방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 돌출 중심부(122)를 구비하고, 상방 돌출 중심부(122)가,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의 에어실(AC)과 연통하는 에어 노즐(122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 노즐(122a)은, 요부(113) 내에서 축 중심측에서 방사 방향인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에어 스프링(AS)에 있어서 상단측인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측이 고정측이 되어, 에어 노즐(122a)에 접속하는 흡배기용 에어 튜브(AT)의 배정된 위치가 안정된다.
한편, 하부 케이스(120)에 있어서의 에어 노즐(122a)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에어 튜브 가이드부(125)가 형성되고, 에어 튜브 가이드부(125)가 흡배기용 에어 튜브(AT)와 체결되어 흡배기용 에어 튜브(AT)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 노즐(122a)이 베어링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R)에서 요부(113)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의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상대 자세를 기준 상대 자세로 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 중의 하나인 상부 케이스(110)가, 탄성부(114A, 114B)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114A, 114B)는,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 중의 다른 하나인 하부 케이스(120)와 당접하여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회동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부(114A, 114B)는,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114A, 114B)의 선단이, 하부 케이스 외측 체결 클로(121b)의 근방에 형성된 체결 돌기(121g, 121h)와 각각 체결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도 3의 원주 방향(R)인 시계 방향으로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에 따라, 탄성부(114A)가 바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과 같이 휘어서 탄성 변형한다.
한편,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도 3의 원주 방향(R)인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에 따라, 탄성부(114B)가 바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과 같이 휘어서 탄성 변형한다.
이에 의해,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회동했을 때에 기준 상대 자세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복귀력이 작용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15A, 115B)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24A, 124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가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했을 때,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15A, 115B)가,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24A, 124B)와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에어 노즐(122a)과 요부(113)의 측벽(113a)이 당접할 때의 상대 자세까지의 각도보다 작게 설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도 3의 원주 방향(R)인 시계 방향으로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하면,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24A)가,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15A)와 당접한다.
한편,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도 3의 원주 방향(R)인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동하면,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24B)가,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15B)와 당접한다.
이에 의해, 에어 노즐(122a)이 요부(113)의 측벽(113a)과 당접하기 전에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15A, 115B)가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24A, 124B)와 당접하여 상대적인 회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인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으로서의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은, 하부 케이스(120)가, 하부 케이스(120)의 저부 영역(BA)에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를 장착하는 튜브 상방 장착부(123)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120)가 종래의 튜브 상방 장착 부재를 겸하는 만큼의 부품수를 삭감하고,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에 대한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의 조립을 간략화하여, 종래와 같은 하부 케이스 부재가 고무 튜브(RT)의 튜브 상방 장착 부재와 별도의 부재인 경우에 비교하여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피스가, 합성 수지제의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이고,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130)에 마련한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33)가, 하부 케이스(120)에 마련한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126)와 체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120)의 구성 재료를 슬라이딩성보다도 내구성을 중시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가, 이 상부 케이스(110)의 상면 영역(UA)에 있어서 에어 스프링(AS)측에 일부 절삭한 요부(113)를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120)가, 에어 스프링(AS)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RT)의 에어실(AC)과 연통하여 요부(113) 내에서 축 중심측에서 방사 방향인 지름 방향 외측에 돌출되는 에어 노즐(122a)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에어 노즐(122a)을 통해 에어 스프링(AS)의 에어실(AC)의 기압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노즐(122a)이 베어링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R)에서 요부(113)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의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상대 자세를 기준 상대 자세로 하여,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 중의 하나인 상부 케이스(110)가,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 중의 다른 하나인 하부 케이스(120)와 당접하여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회동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부(114A, 114B)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에어 노즐(122a)을 원주 방향(R)에 있어서 요부(113)의 중심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가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했을 때, 상부 케이스(110)의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15A, 115B)가, 하부 케이스(120)의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124A, 124B)와 당접하고, 소정 각도가,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에어 노즐(122a)과 요부(113)의 측벽(113a)이 당접할 때의 상대 자세까지의 각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에어 노즐(122a)이 상부 케이스(110)와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막대하다.
100: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110: 상부 케이스
111: 상부 케이스 베이스부
111a: 상부 케이스 하면
111b: 상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클로
111c: 상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홈
111d: 상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리지
112: 내주측 원통부
112a: 상부 케이스 내측 환상 체결 리지
112b: 외주면
113: 요부
113a: 측벽
114A, 114B: 탄성부
115A, 115B: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
120: 하부 케이스
121: 하부 케이스 베이스부
121a: 하부 케이스 상면
121b: 하부 케이스 외측 체결 클로
121c: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 리지
121d: 하부 케이스 외측 환상 체결홈
121e: 내주면
121f: 하부 케이스 내측 환상 체결 리지
122: 상방 돌출 중심부
122a: 에어 노즐
123: 튜브 상방 장착부
124A, 124B: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
125: 에어 튜브 가이드부
126: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
130: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베어링 피스)
131: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
131a: 베어링 상면
131b: 베어링 하면
132: 레이디얼 미끄럼 베어링 피스부
132a: 베어링 내주면
132b: 베어링 외주면
133: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
AC: 에어실
AS: 에어 스프링
AT: 흡배기용 에어 튜브
AX: 차량용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의 축심
BA: 하부 케이스의 저부 영역
R: 원주 방향
RT: 고무 튜브
UA: 상부 케이스의 상면 영역
X: 지름 방향
Y: 서스펜션의 상하 방향

Claims (6)

  1. 에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을 구비한 차량의 보디측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중첩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이고,
    상기 하부 케이스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부 영역에 상기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무 튜브가 장착되어 있는 튜브 상방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 영역에 에어 스프링 측에 일부 절삭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에어 스프링을 구성하는 상기 고무 튜브의 에어실과 연통하여 상기 오목부 내에 축 중심측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에어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스러스트 하중을 받는 베어링 피스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환상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피스가, 합성 수지제의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이고, 상기 환상 미끄럼 베어링 피스에 마련한 베어링 피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마련한 하부 케이스측 회동 방지 체결부와 체결되어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이 베어링 회동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대 자세를 기준 상대 자세로 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의 다른 하나와 당접하여 상기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회동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이 베어링 회동 방향에서 오목부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대 자세를 기준 상대 자세로 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상기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했을 때,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측 회동 각도 규제부와 당접하고,
    상기 소정 각도가, 상기 기준 상대 자세로부터 상기 에어 노즐과 상기 오목부의 측벽이 당접할 때의 상기 상대 자세까지의 각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KR1020177011577A 2014-12-12 2015-11-27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KR102366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1964 2014-12-12
JP2014251964A JP6466708B2 (ja) 2014-12-12 2014-12-12 車両用スラスト軸受
PCT/JP2015/083359 WO2016093081A1 (ja) 2014-12-12 2015-11-27 車両用スラスト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86A KR20170093786A (ko) 2017-08-16
KR102366839B1 true KR102366839B1 (ko) 2022-02-24

Family

ID=5610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577A KR102366839B1 (ko) 2014-12-12 2015-11-27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31643B1 (ko)
JP (1) JP6466708B2 (ko)
KR (1) KR102366839B1 (ko)
CN (1) CN107000526B (ko)
WO (1) WO2016093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7300B4 (de) * 2016-09-12 2018-1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lager
WO2018074254A1 (ja) * 2016-10-18 2018-04-2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6908A (ja) 2013-02-15 2014-08-28 Oiles Ind Co Ltd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2014206206A (ja) * 2013-04-11 2014-10-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011U (ko) * 1985-09-19 1987-03-30
JP2593088Y2 (ja) * 1993-09-30 1999-03-3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スラスト軸受
US5678810A (en) * 1995-10-30 1997-10-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neumatic suspension system
CN1258046C (zh) * 2001-06-14 2006-05-31 奥依列斯工业株式会社 合成树脂制推力轴承
DE102005044210A1 (de) * 2005-09-15 2007-03-22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System, bestehend aus einer Luftfeder und einem Träger für die Luftfeder
US8292306B1 (en) * 2010-06-30 2012-10-23 Arnott, Inc. Mount and bearing for shock absor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6908A (ja) 2013-02-15 2014-08-28 Oiles Ind Co Ltd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JP2014206206A (ja) * 2013-04-11 2014-10-3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2971A (ja) 2016-06-23
KR20170093786A (ko) 2017-08-16
WO2016093081A1 (ja) 2016-06-16
EP3231643B1 (en) 2020-09-16
EP3231643A4 (en) 2018-08-15
EP3231643A1 (en) 2017-10-18
CN107000526A (zh) 2017-08-01
CN107000526B (zh) 2019-07-23
JP6466708B2 (ja)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145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US9829062B2 (en) Bump stopper cap
US9110494B2 (en) Pedal device for vehicles
US20180372152A1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CN106687703B (zh) 推力滑动轴承
US20080088070A1 (en) Cylinder apparatus
US9322435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device and suspension strut equipped with such a thrust bearing
KR102366839B1 (ko)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CN105422721A (zh) 车辆用悬架装置
WO2018016500A1 (ja) 滑り軸受
US20180106292A1 (en) Sliding bearing
US10173488B2 (en) Air spring hanging piston bearing
US10532622B2 (en) Suspension device
US20170146056A1 (en) Thrust sliding bearing
US20190308479A1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unit
KR102136479B1 (ko) 차량용 스러스트 베어링
US20060272911A1 (en) Jounce bumper, rate cup, and strut mount bottom plate
CN103765035A (zh) 悬挂装置
US10300893B2 (en) Brake boosting device
JP3218278U (ja) ラバーシート、及び、緩衝器
CN110203031B (zh) 横向稳定杆的安装结构和具有其的车辆
JP2005248972A (ja) 懸架装置
JP2016125561A (ja) 車両用スラスト軸受
JP2010007692A (ja) バウンドストッパ付きダストカバー
JP6943424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