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144B1 -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 Google Patents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144B1
KR102366144B1 KR1020200013055A KR20200013055A KR102366144B1 KR 102366144 B1 KR102366144 B1 KR 102366144B1 KR 1020200013055 A KR1020200013055 A KR 1020200013055A KR 20200013055 A KR20200013055 A KR 20200013055A KR 102366144 B1 KR102366144 B1 KR 10236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
playlist
work
work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330A (ko
Inventor
고혜영
이기한
양혜주
유하정
장수미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술작품 감상에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미술 분야에서의 감상 목적의 스트리밍 플랫폼을 제공하여 해당 분야의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 및 작품 감상/공유 서비스로 개개인 사용자의 미술작품에 대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AI Based Inductive Streaming Platform for User Immersion using Artwork Big Data}
본 발명은 미술작품 감상에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의 예술작품 감상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 예술행사 관람률 변화추이에 따르면 미술전시회의 관람 추이는 2014년 10.6%에서 2018년 15.3%로 관람자수가 약 1.5배 증가했다. 또한 언제 어디서 어떠한 단말기로도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온라인에서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플랫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영화감상 온라인 플랫폼인 Netflix는 기존 유료방송의 가입자를 추월하였고, 전체 음악 시장 중 스트리밍 서비스의 비중 추이에 따르면 음악 감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2011년 9%에서 2016년 51%로 증가한 반면, 미술작품을 목적으로 하는 감상 플랫폼에 대한 연구와 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종래, 공개특허 제2008-0052858호에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전시장에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예술 작품 전시장에 대한 정보는 전시장 내부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전시작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나 단순히 위치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전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어, 사용자들은 위치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전시장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전시장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기 부족하며, 미술작품 감상을 위한 개인화 및 작품 감상/공유 서비스와 개개인 사용자의 미술작품에 대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 및 작품 감상/공유 서비스로 개개인 사용자의 미술작품에 대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는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을 통한 히스토리를 플랫폼 DB로부터 개인화 DB로 수집하는 개인화 서비스부(110), 상기 개인화 서비스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심있는 작가 정보 및 미술작품 관련 전시정보를 추출하여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 및 상기 플레이리스트 생성부를 통해 생성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미술작품을 스트리밍과 동시에 스토리텔링을 포함한 미술작품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타 사용자간 감상평을 공유하는 작품 감상부(1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개인화 서비스부(110)는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이 가능하도록 미술작품 관련 DB를 구축하는 플랫폼 DB와,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을 통한 히스토리를 상기 플랫폼 DB를 통해 수집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른 미술작품 리스트와 관련 작가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는 관심정보 제공모듈(11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개인화 서비스부(110)는 사용자 검증을 통하여 배지를 부여하고, 타사용자와 관련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미술작품을 작가, 시대, 또는 기법 및 재료의 주제로 분류하여 빅데이터로 개인화 DB를 구현하는 배지 부여모듈(11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는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생성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와 작가, 시대, 기법 및 재료의 객관적 주제와 느낌, 상황, 장르의 주관적 주제별로 상기 개인화 DB에서 분류하고 특정 스토리나 주제로 구성된 미술작품을 연계하여 플레이리스트의 미술작품을 분류하는 분류모듈(12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는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생성시, 개인화 서비스부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미술작품의 작가, 시대, 기법 및 재료의 객관적 주제와 느낌, 상황, 장르의 주관적 주제를 상기 개인화 DB에서 분류한 데이터 외에 플랫폼 DB에서 추천하여 새로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모듈(12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는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를 생성시, 객관적 카테고리 또는 주관적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의 구성을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받아 플레이리스트를 카테고리별로 공유하는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12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작품 감상부(130)는 미술작품의 타 사용자간 감상평을 공유시 작가별 작품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대, 기법, 재료, 작품명, 작가명, 또는 제작연도를 포함하는 객관적인 정보를 입력받는 객관정보 입력모듈(131), 상기 미술작품의 기법과 양식, 조형요소와 원리를 포함하는 세부 특징을 분석하여 작품에 숨어있는 의미와 작가의 의도를 감상평으로 서술하는 주관적 정보를 입력받는 주관정보 입력모듈(132) 및 상기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사용자별로 상기 미술작품의 가치 판단의 기준과 개인 감상평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모듈(13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작품 감상부(130)는 미술작품의 작가 설명에 따른 상기 스토리텔링의 대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표 키워드별로 기설정된 배경음악을 매칭시켜 미술작품 스트리밍 시 해당 배경음악과 텍스트 음성출력을 제공하는 스토리별 음성출력 제공모듈(134)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술 분야에서의 감상 목적의 스트리밍 플랫폼을 제공하여 해당 분야의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 및 작품 감상/공유 서비스로 개개인 사용자의 미술작품에 대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정보구조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화면설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플레이리스트 제작 틀 대표 UI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서비스부(110),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 작품 감상부(1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서비스부(110)는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을 통한 히스토리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개인화 서비스부(110)는 관심정보 제공모듈(111), 배지 부여모듈(112)를 포함한다.
관심정보 제공모듈(111)은 플랫폼 DB로부터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을 통한 히스토리를 수집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른 미술작품 리스트와 관련 작가의 전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플랫폼 DB는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DB로서,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이 가능하도록 미술작품 관련 DB를 구축한 구성이다. 배지 부여모듈(112)는 작가를 타사용자로 설정하고, 해당 작가와 관련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와 사용자 검증을 통한 배지를 부여하고, 배지를 부여받은 사용자의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미술작품을 미술작품 빅데이터로 구현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미술작품 빅데이터 구현은 앞서 기술한 플랫폼 DB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앞서 부여받은 배지에 따라 사용자별로 개인화 DB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지 부여모듈(112)은 회원가입 후 자신의 신분을 검증하는 서비스로 인증을 통해 각 개인을 인증한다. 이러한 인증을 통해 미술작가, 도슨트(작품설명 안내자), 또는 미술전공자는 미술 전문가 배지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인증을 거친 모든 사용자가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는 가운데, 배지 보유 사용자의 플레이리스트를 통해 단순 취미가 아닌 검증된 플레이리스트를 형성하며 관람객은 미술작품 스토리텔링의 신뢰도를 얻는다. 인증방법으로는 회원가입 후, 배지신청을 요청하면 '도슨트증', '미술전공 학생증' 또는 '활동하고 있는 기관명'과 같은 정보란 기입 및 제출을 하고, 플랫폼 관리를 수행하는 개인화 서비스부(110)의 배지 부여모듈(112)을 통해 검증 후 배지를 수여한다.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는 개인화 서비스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심있는 작가 정보 및 미술작품 관련 전시정보를 추출하여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는 분류모듈(121), 추천모듈(122),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123)을 포함한다.
분류모듈(121)은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생성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와 작가, 시대, 기법 및 재료의 객관적 주제와 느낌, 상황, 장르의 주관적 주제별로 앞서 기술한 개인화 DB에서 분류하고 특정 스토리나 주제로 구성된 미술작품을 연계하여 플레이리스트의 미술작품을 분류하는 구성이다. 추천모듈(122)은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생성시, 개인화 서비스부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미술작품의 작가, 시대, 기법 및 재료의 객관적 주제와 느낌, 상황, 장르의 주관적 주제를 개인화 DB 외 플랫폼 DB에서 추천하여 새로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추천모듈(122)은 객관적 주제와 주관적 주제를 추천하여 새로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각 주제별 작가를 개인화 DB에서 분류한 데이터 외에 플랫폼 DB를 통해 새로 추천하여 새로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123)은 관람자, 도슨트, 작가 모두 직접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여 업로드함으로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무명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직접 업로드 하고, 자신의 작품으로 구성된, 또는 자신의 작품이 포함된 플레이리스트를 직접 구성하여 업로드함으로써 전시 개최 기회의 한계를 본 플랫폼을 통해 극복하여 자신의 전시장 개최가 가능하다. 또한 작가가 직접 자신의 의도를 스토리에 담음으로써 기존 전시회의 '작가→도슨트→관람객'의 작품 내용 및 의도 전달 방식을 '작가→관람객'으로 줄여 1:1 감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슨트(미술작품 설명자 또는 안내자, docent)는 자신이 직접 미술작품을 구성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 및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스토리텔링 능력의 인지도를 쌓을 수 있다. 관람자는 자신이 직접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고 공유하는 기회를 얻음으로써 관람자에서 벗어나 전시 기획자의 경험을 얻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123)은 주관적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를 추가 구성할 수 있고, 주관적인 카테고리는 3가지 주제(느낌별, 상황별, 장르별)로 구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주관적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는 개인화 DB에서 텍스트 또는 태그 정보를 3가지 주제로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1차로 자동구성하고, 사용자 외부입력을 통해 앞서 기설정된 데이터에서 주관적 카테고리를 구성하면서 텍스트 또는 태그정보를 새롭게 입력하여 플레이리스트를 2차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1) 느낌별: 달달한, 행복한, 몽환적인, 감성적인, 파워풀한, 우울한, 슬픈, 쓸쓸한, 등
(2) 상황별: 사랑할 때, 이별했을 때, 업무로 지친 하루, 휴식이 필요할 때, 의욕 충전이 필요할 때, 여유를 즐길 때, 등
(3) 장르별: 가족, 공포, 교육, 드라마, 로맨스, 모험, 미스터리, 반전, 판타지, 패러디, 종교, 전쟁, 역사, 등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메인 홈페이지는 작가별, 시대별, 또는 기법 및 재료별 주제로 구분된 객관적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와 느낌별, 상황별, 또는 장르별 주제로 구분된 주관적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플랫폼의 관람자 층은 미술작품 감상에 욕구가 높지만 미술 세계의 진입장벽이 높아 쉽게 진입하지 못한 미술작품 감상 초보자이다. 현재 미술 세계에 접근하기 위한 매체는 진지하고 어려운 전문 서적과 개인의 감상평 위주의 에세이 뿐이며 진입의 난이도가 쉽고 가벼운 매체가 부족한 현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토리의 난이도를 초등학교 5학년 수준으로 설정하고, 느낌별, 상황별, 또는 장르별 주제로 구분된 주관적 카테고리를 추가하여 미술 세계 진입이 쉬운 플랫폼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관람자는 미술작품이 지닌 이야기에 공감함으로써 위로를 받고 재미를 느낄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123)은 작성자별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를 추가 구성할 수 있고, 작성자별 카테고리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주제로 구분될 수 있다.
(1) 작가가 전해주는 이야기: 작가의 의도를 직접 전달하며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어떻게 풀어내었는지 전달함으로써 감상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2) 도슨트가 전해주는 이야기: 다양한 미술작품을 구성하여 하나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공유하며 감상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
(3) 관람자가 전해주는 이야기: 감상의 폭을 확장하며 작가의 의도를 벗어난 개인의 감상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작품 감상부(130)는 플레이리스트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미술작품을 스트리밍과 동시에 스토리텔링을 포함한 미술작품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타 사용자간 감상평을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품 감상부(130)는 객관정보 입력모듈(131), 주관정보 입력모듈(132), 커뮤니티모듈(133), 스토리별 음성출력 제공모듈(134)을 포함한다.
객관정보 입력모듈(131)은 미술작품의 타 사용자간 감상평을 공유시 작가별 작품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대, 기법, 재료, 작품명, 작가명, 또는 제작연도를 포함하는 객관적인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구성이다.
주관정보 입력모듈(132)은 미술작품의 기법과 양식, 조형요소와 원리를 포함하는 세부 특징을 분석하여 작품에 숨어있는 의미와 작가의 의도를 감상평으로 서술하는 주관적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관정보 입력모듈은 사용자에게 이 미술작품의 어떤 부분에 흥미를 느끼는지 입력할 수 있는 제1 입력, 작품에 사용된 도형과 선, 색은 어떠하며 어떤 느낌을 주는지 입력할 수 있는 제2 입력, 작품 속 작가의 의도 또는 작품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입력할 수 있는 제3 입력, 해당 미술작품의 구입을 희망하는지 등의 입력창을 팝업형태로 띄워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툴을 제공할 수 있다.
커뮤니티모듈(133)은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사용자별로 미술작품의 가치 판단의 기준과 개인 감상평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개인 감상평을 공유하여 학교나 미술관에서 행하는 해설 중심 감상법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하여, 작품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기존 감상방식과 달리 타 사용자의 감상평을 실시간 대화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감상 작품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다양한 시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활동은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스토리별 음성출력 제공모듈(134)은 미술작품의 작가 설명에 따른 스토리텔링의 대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대표 키워드별로 기설정된 배경음악을 매칭시켜 미술작품 스트리밍 시 해당 배경음악과 텍스트 음성출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몰입도 높은 미술작품 감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미술작품 스트리밍 플랫폼을 기획하여 전시 감상의 몰입 충족 요소를 고려했을 때, 해당 서비스의 키워드는 개인화 서비스,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라이브 감상평 총 세 가지로 정리된다. 현재 전시회에서 관람자에게 최적의 몰입감 제공을 위한 방법론을 현존 기술과 융합하여 온라인 플랫폼에 접목함으로써, 사용자가 감상 몰입에 있어 전시회 직접 방문 이상의 만족도를 얻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맞춤 작가와 미술작품을 제공함으로써 미술작품 활동을 홍보하고 싶은 부사용자인 작가 및 도슨트의 욕구를 충족시키어 해당 서비스의 사업성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기능과 개용을 다음의 표 1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능

내용

개인화
서비스

사용자에게 맞춤 미술작품 재생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

+) 좋아하는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저장 기능
+) 관심 있는 작가 및 미술작품 관련 전시 정보 제공

작품 재생
목록 제작

자신이 원하는 미술작품으로 직접 작품 재생 목록을 구성하여 공유할 수 있는 기능

작품 감상

재생 목록의 미술작품들을 스트리밍으로 감상하는 기능

+) 스토리를 포함한 미술작품 구성과 설명
+) 라이브 감상평을 통해 관람객 간의 소통창 제공
+) 클래식 음악 제공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개발 앱의 주요기능은 재생 목록 형태의 미술작품 감상과 개인화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설계한다. 앱은 작가를 타사용자로 설정하여 그와 관련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와 작가, 시대, 또는 기법 및 재료 등의 주제를 다룬 작품 재생 목록을 디폴트로 제공한다.
주어진 작품 재생 목록을 스트리밍하며 사용자는 특정 스토리로 구성된 미술작품들을 전시회의 동선과 같이 하나의 흐름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미술작품 고유의 이야기를 담은 깊이 있는 설명, 타사용자와 함께 감상하는 라이브 감상평 기능, 잔잔한 클래식 배경 음악을 제공하여 몰입감을 더한다.
미술작품 감상 도중 마음에 드는 작품, 타사용자, 플레이리스트를 구독 및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저장한 미술작품들로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작품 목록을 만들고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앱의 주 콘텐츠인 작품 목록 제작에 직접 참여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몰입감을 더한다.
사용자의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여 취향에 맞는 새로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구독한 타사용자 및 저장한 미술작품과 관련된 전시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몰입감과 만족감을 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정보구조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술작품 감상 플랫폼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기반으로 정보구조 설계를 보여준다. 홈 화면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작품 재생 목록으로 구성된다. 각 재생 목록은 작품 스트리밍 페이지에서 감상한다. 함께 감상하기 페이지는 미술작품과 감상평으로 구성되어 관람객 간의 소통에 집중하며 마이 페이지는 사용자 개인의 활동 내용과 취향으로 구성한다. 해당 페이지의 구성은 도 4의 화면 설계에서 보여진다. 도 5는 플레이리스트 제작 틀 대표 UI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5에서, 좌측은 플레이리스트 제작 첫 화면_작품 선택, 가운데는 작품 선택, 우측은 플레이리스트 제작 마지막 화면_내용 기입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의 차별화 전략은 미술작품 감상을 즐기는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맞는 미술작품과 전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관람자 자신이 직접 재생 목록을 구성함으로써 전시 기획자가 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타사용자와 감상평을 나누며 미술작품에 대한 감상 관점을 넓힌다. 사용자가 앱의 핵심 사용자, 즉 전시의 주인공이 될 수 있게 함으로써 미술작품 감상에 대한 깊은 몰입감과 만족감을 얻어 지속해서 앱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즉, 빅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로 사용자 취향에 맞는 미술작품과 전시정보를 제공하고 AI기반 인터랙티브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읽어주는 서비스,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미술관람 스트리밍 미술작품 스토리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차별화 전략으로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앱을 구현한다.
예술작품 감상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지속해서 증가한다. 예술 감상의 형태는 온라인 플랫폼으로도 확장되고 있는데 이는 주로 영화와 음악 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한편, 미술 분야의 경우 오프라인의 형태인 전시회 관람 추이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반면 미술작품 감상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극히 드물며 인지도가 낮다.
이러한 온라인 미술작품 감상의 낮은 수요에 맞서 미술작품 감상에서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을 기획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전시회에서의 감상 몰입 요건을 온라인 플랫폼에 적용한다. 스토리를 지닌 전시 동선을 작품 재생 목록으로 대체하면서 사용자는 전시 관람 및 기획을 경험한다. 또한, 라이브 감상평 기능으로 미술작품 이해의 관점을 확장하고 감상 후의 반응을 표출함으로써 개인화된 인터랙티브 온라인 전시를 경험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깊은 몰입감을 주는 미술작품 감상을 목표로 하는 스트리밍 플랫폼에 대한 기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미술작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 추천 시스템 기능을 제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맞춤 미술작품 스트리밍 플랫폼 앱을 제공하여 미술작품 감상에 있어 최적의 몰입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오프라인 전시회의 몰입 유도 방법과 개인화 및 스트리밍 기술을 융합하여 온라인 미술작품 감상 플랫폼을 기획하여 작품의 몰입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신 매체의 등작으로 매우 혁신적인 아이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은 개인 맞춤형 전시 기획, 스토리텔링 기반의 전시 동선, 관람객 간의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미술관을 구현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전시 기획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이 융합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관람객들에게 전시 관람 몰입을 위한 최적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서비스를 사용할 때 필요한 니즈를 충족시켜 주어야한다. AI를 통해 개인 맞춤 서비스와 결합된 전시는 관객에게 맞춤화된 전시환경을 제공하며, 선호도를 파악해 보다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나 작품들을 볼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세분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스토리텔링 기반의 전시 동선으로는 관람객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스토리를 부여함으로써 궁금증을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관람객에게 몰입감과 현장감을 높여 관람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개최된 '베르나르 뷔페 전', 전시 동선에 작가의 시점을 부여하여 기획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이에, 디지털 전시 관람에서도 스토리를 지니는 작품 구성이 감상의 몰입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관람객 간의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미술관으로, 예전과 다르게 관람객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전시회들을 다양하게 시도하는 미술관이 늘어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미술관들은 관람객들과의 연결고리를 끊임없이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관람객 경험을 중요시하며, 관람객들의 자유로운 선택을 추구하고 존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전 지식과 다른 관람객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정리하면, 작품 재생 목록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전시 동선과 라이브 감상평을 통한 인터랙티브 온라인 전시를 구현하고, 특히,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는 작품 재생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몰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 개인화 서비스부
111 : 관심정보 제공모듈
112 : 배지 부여모듈
120 : 플레이리스트 생성부
121 : 분류모듈
122 : 추천모듈
123 :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
130 : 작품 감상부
131 : 객관정보 입력모듈
132 : 주관정보 입력모듈
133 : 커뮤니티모듈
134 : 스토리별 음성출력 제공모듈

Claims (8)

  1.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을 통한 히스토리를 플랫폼 DB로부터 개인화 DB로 수집하는 개인화 서비스부(110),
    상기 개인화 서비스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관심있는 작가 정보 및 미술작품 관련 전시정보를 추출하여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생성부(120) 및
    상기 플레이리스트 생성부를 통해 생성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미술작품을 스트리밍과 동시에 스토리텔링을 포함한 미술작품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타 사용자간 감상평을 공유하는 작품 감상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화 서비스부는 미술작가 또는 도슨트 또는 미술전문가로 사용자 검증을 통해 배지를 부여 인증하는 배지 부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리스트 생성부는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를 생성시, 객관적 카테고리 또는 주관적 카테고리에 따른 플레이리스트의 구성을 상기 배지 부여모듈을 통해 검증된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받아 플레이리스트를 카테고리별로 공유하는 플레이리스트 업로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리스트 생성부는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생성시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와 작가, 시대, 기법 및 재료의 객관적 주제와 느낌, 상황, 장르의 주관적 주제별로 상기 개인화 DB에서 분류하고 특정 스토리나 주제로 구성된 미술작품을 연계하여 플레이리스트의 미술작품을 분류하는 분류모듈(121) 및 미술작품 플레이리스트 생성시, 개인화 서비스부의 사용자 취향에 따른 미술작품의 작가, 시대, 기법 및 재료의 객관적 주제와 느낌, 상황, 장르의 주관적 주제를 상기 개인화 DB에서 분류한 데이터 외에 플랫폼 DB에서 추천하여 새로운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모듈(122)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리스트 생성부는 배지별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증된 배지 보유 사용자가 개인화 서비스부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텍스트 또는 태그 정보를 느낌별, 상황별, 장르별 주제로 기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1차로 자동구성하고, 사용자 외부입력을 통해 기설정된 데이터에서 주관적 카테고리를 구성하면서 텍스트 또는 태그정보를 신규로 입력하여 다수의 미술작품을 구성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공유하는 도슨트 플레이리스트를 2차로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서비스부(110)는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이 가능하도록 미술작품 관련 DB를 구축하는 플랫폼 DB와,
    사용자별 작가 구독 및 미술작품 검색을 통한 히스토리를 상기 플랫폼 DB를 통해 수집하여 사용자 취향에 따른 미술작품 리스트와 관련 작가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는 관심정보 제공모듈(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감상부(130)는 미술작품의 타 사용자간 감상평을 공유시 작가별 작품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대, 기법, 재료, 작품명, 작가명, 또는 제작연도를 포함하는 객관적인 정보를 입력받는 객관정보 입력모듈(131),
    상기 미술작품의 기법과 양식, 조형요소와 원리를 포함하는 세부 특징을 분석하여 작품에 숨어있는 의미와 작가의 의도를 감상평으로 서술하는 주관적 정보를 입력받는 주관정보 입력모듈(132) 및
    상기 객관적인 정보와 주관적인 정보를 토대로 다수의 사용자별로 상기 미술작품의 가치 판단의 기준과 개인 감상평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모듈(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감상부(130)는 미술작품의 작가 설명에 따른 상기 스토리텔링의 대표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대표 키워드별로 기설정된 배경음악을 매칭시켜 미술작품 스트리밍 시 해당 배경음악과 텍스트 음성출력을 제공하는 스토리별 음성출력 제공모듈(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KR1020200013055A 2020-02-04 2020-02-04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KR10236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55A KR102366144B1 (ko) 2020-02-04 2020-02-04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055A KR102366144B1 (ko) 2020-02-04 2020-02-04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30A KR20210099330A (ko) 2021-08-12
KR102366144B1 true KR102366144B1 (ko) 2022-02-22

Family

ID=7731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055A KR102366144B1 (ko) 2020-02-04 2020-02-04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0498B (zh) * 2023-04-13 2023-10-03 毕加展览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数字化展览交互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831A (ko) * 2010-01-15 2011-07-21 조수호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30123033A (ko) * 2012-05-02 2013-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3032A (ko) * 2012-05-02 2013-1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92536B1 (ko) * 2016-12-08 2018-08-28 이도경 미술품 진품인증 거래방법
KR101931807B1 (ko) * 2017-02-01 2018-12-21 김선영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KR102075833B1 (ko) * 2018-03-15 2020-02-11 주식회사 노다멘 미술 작품 추천 큐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30A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ks et al. Podcasts and productivity: A qualitative uses and gratifications study
Pitts On the edge of their seats: Comparing first impressions and regular attendance in arts audiences
Tussey The procrastination economy: The big business of downtime
López-Sintas et al. Home-based digital leisure: Doing the same leisure activities, but digital
Ulusoy et al. Subculture as learning context: Subcultural music consumption as language, channel and journey
Hennig Podcast literacy: Educational, accessible, and diverse podcasts for library users
Kim The growing up Asian American tag: an Asian American networked counterpublic on YouTube
Miles No greater foe? Rethinking emotion and humour,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 members and stand-up comedians (5: 1)
Becker We like the boyfriend! The changing nature of political comedy, COVID-19, and interview conversations with Governor Andrew Cuomo
Zamora-Medina Politainment as dance: visual storytelling on TikTok among Spanish political parties
KR102366144B1 (ko)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Naderer et al. Advertising Literacy: How Can Children and Adolescents Deal with Persuasive Messages in a Complex Media Environment?
Tirumala Bollywood movies and cultural identity construction among second generation Indian Americans
Wright The sound of identity: audios and hashtags as nexuses of practice on TikTok
Abubakar Audience participation and BBC’s digital quest in Nigeria
Zoike Streaming Opera: Compromise Solution or Future-Oriented Reception Form?
Milano Democratization or vulgarization of cultural capital? The role of social networks in theater’s audience behavior
Head Just click play: A content analysis of YouTubers
Parikh Political Fandom in the Age of Social Media
Magoncia OMG! Reaction Videos on YouTube: Meanings to Fandom and to K-Pop Community
Zelenkauskaite Between interactivity and gatekeeping: Audience participation via mobile texting and facebook in italian radiovision rtl 102.5
Abbasli’s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AZERBAIJAN
Katarzynski The Fans Have Spoken: Understanding Survivor Fandom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Faccioli et al. THE FUTURE AS A MEDIA FACT. ADOLESCENTS, TRANSMEDIA NARRATIVES AND VISIONS OF THE FUTURE.
Brown Over-the-Top (OTT) Networks' Influence on Shared Cultural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