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033A -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033A
KR20130123033A KR1020120046125A KR20120046125A KR20130123033A KR 20130123033 A KR20130123033 A KR 20130123033A KR 1020120046125 A KR1020120046125 A KR 1020120046125A KR 20120046125 A KR20120046125 A KR 20120046125A KR 20130123033 A KR20130123033 A KR 2013012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artwork
art
link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창
백은수
서종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3033A/ko
Publication of KR2013012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 단말장치 및 그의 방법,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하고,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함께 재생하는 단말장치, 및 음악과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검색하여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NK SERVICE OF MUSIC AND ART}
본 발명은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연계되는 미술작품을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연계되는 음악을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 단말장치 및 그의 방법,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술작품의 갤러리는 미술작품 전시실과 같은 오프라인 공간에서 전시되고 미술작품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 미술작품이 전시된 장소로 직접 방문하여 제공되는 미술작품과 작가의 설명을 통해 미술작품 감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오프라인 공간의 미술작품 갤러리는 물리적, 시간적 한계로 인하여 미술작품을 감상하기를 원하는 모든 이용자에게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부 큐레이터에 의해 제작된 오프라인 상의 전시회들은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수요자의 니즈(needs)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수요자의 미술작품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미술작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시대에 따라 또는 화풍에 따라 미술작품을 분류하여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미술작품을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오프라인 상의 전시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고,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7179호(2005년 2월 22일), 발명의 명칭 : 파일리스트를 이용하여 음악파일 및 그림파일을 동시에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및 그의 재생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연계되는 미술작품을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연계되는 음악을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 단말장치 및 그의 방법,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하고,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함께 재생하는 단말장치, 및 음악과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검색하여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음악/미술작품 분류부,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연계 관계 생성부, 음악과 상기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연계 관계 생성부로터 생성된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의 연계 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연계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 요청 신호와 함께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의 연계 관계에 따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 및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추출된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음악 정보는 제목, 가사, 가수, 음율, 주제, 장르 또는 앨범 발표 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미술작품 정보는 작품명, 소재, 재료, 화가, 장르, 주제, 화풍 또는 예술 사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음악/미술작품 분류부는, 음악 정보 또는 미술작품 정보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한다.
연계 관계 생성부는 분류된 그룹이 동일한 경우 음악과 미술작품 사이의 연계 관계를 '유사'로 나타내고,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의 특성이 보완 관계인 경우 상기 연계 관계를 '보완'으로 나타내고,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의 특성이 상반되는 관계인 경우 연계 관계를 '상반'으로 나타내어 그룹 특성에 따라 다수의 연계 관계를 생성한다.
또한, 관리 서버는 다수의 연계 관계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선택된 연계 관계를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로 설정하는 연계 관계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작 신호를 입력받고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하는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 및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음악 재생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미술작품 디스플레이와 함께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거나,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도록 플러그인(Plug-in)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설치된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는 (a) 단계, 단말장치에서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연계되는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b) 단계, 단말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신호가 선택되면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의 식별정보가 추출되어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c) 단계,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고,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d) 단계, 및 추출된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b) 단계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종료시까지, 선택 화면은 최초 1회만 디스플레이된다.
(d) 단계는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는 (d-1) 단계, 관리 서버에서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d-2) 단계, 단말장치에서 선택 화면의 연계 관계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d-3) 단계, 및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연계 관계를 기준으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d-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 서버에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상기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a) 단계, 관리 서버에서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b) 단계, 관리 서버에서 음악,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의 연계 관계 및 미술작품,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음악과의 연계 관계를 각각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c) 단계, 및 관리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a) 단계는 제목, 가사, 가수, 음율, 주제, 장르 또는 앨범 발표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정보, 및 작품명, 소재, 재료, 화가, 장르, 주제, 화풍 또는 예술 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술작품 정보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한다.
(b) 단계는 분류된 그룹이 동일한 경우,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 특성이 보완 관계인 경우, 및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 특성이 상반되는 관계인 경우의 연계 관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다수의 연계 관계를 생성한다.
(d) 단계는 관리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받는 (d-1) 단계, 관리 서버에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전송하는 (d-2) 단계, 관리 서버에서 선택 화면의 연계 관계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받는 (d-3) 단계, 및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연계 관계를 기준으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d-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어플리케이션 실행 신호와 및 선택된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단말장치에서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단말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이 선택되면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단말장치에서 연계 미술작품을 전송받아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연계 음악을 전송받아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청취시 연관이 있는 미술작품을 함께 감상하도록 연계 미술작품을 제공하거나 또는 미술작품 감상시 연관이 있는 음악을 함께 청취할 수 있도록 연계 음악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갤러리를 방문한 것과 같이 시각과 청각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생되는 음악의 제목, 주제, 음율 등 음악 정보에 부합하는 미술작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미술작품의 화풍, 주제 등의 미술 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을 함께 청취할 수 있으므로 연계 음악 또는 연계 미술작품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 없이도 연계 음악 또는 연계 미술작품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리 서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 단말장치 및 그의 방법, 그에 대한 기록매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관리 서버(100), 단말장치(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 서버(100)는 등록된 다수의 음악과 미술작품에 대하여 각각의 정보와 연계 관계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단말장치(200)로부터 연계 음악 또는 연계 미술작품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관련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추출하여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음악과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된다.
관리 서버(100)로 새로운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거나 삭제되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단말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단말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한다.
관리 서버(100)는 단말장치(200)와 일대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다수의 단말장치들과 동시에 병렬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0)는 음악과 미술작품을 연계하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신호 생성, 정보 분류/추출, 정보 제공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로, 하나의 서버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서버에 관련된 정보가 분산되어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단말장치(20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하고,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함께 재생한다.
따라서, 단말장치(20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망(300)은 관리 서버(100)와 단말장치(200) 각각에 데이터 접속 채널을 제공하고, 데이터 전송 채널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망(300)은 3G, 4G, LTE 등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등 근거리 통신망, PSTN 등 유선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100) 및 단말장치(200)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및 도 3의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리 서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음악/미술작품 분류부(110), 연계 관계 생성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140), 및 통신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00)는 연계 관계 설정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악/미술작품 분류부(110)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한다.
음악 정보는 제목, 가사, 가수, 음율, 주제, 장르 또는 앨범 발표 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미술작품 정보는 작품명, 소재, 재료, 화가, 장르, 주제, 화풍 또는 예술 사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된다.
여기서, 음악 정보 또는 미술작품 정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기재하였으나, 음악 정보 또는 미술작품 정보는 이러한 한정된 정보들 이외에도 음악 또는 미술작품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다른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음악/미술작품 분류부(110)는 음악 정보 또는 미술작품 정보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그룹은 '기쁨', '슬픔' 두 개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고,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음절의 의미 속성이 '기쁨'과 가까운지 '슬픔'과 가까운지 판단하여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그룹을 분류하는 기준, 예를 들어, 음절의 의미 속성 기준, 음악의 빠르기 기준 등은 그룹 특성과 함께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고, 단어의 의미를 해석하여 분류하는 기존의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연계 관계 생성부(120)는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한다.
연계 관계는 하나 이상으로 나타낼 수 있고, 다수의 연계 관계가 생성된 경우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이 되는 연계 관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관계 생성부(120)는 분류된 그룹이 동일한 경우 음악과 미술작품 사이의 연계 관계를 '유사'로 나타내고,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의 특성이 보완 관계인 경우 상기 연계 관계를 '보완'으로 나타내고,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의 특성이 상반되는 관계인 경우 연계 관계를 '상반'으로 나타내어 그룹 특성에 따라 다수의 연계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음악과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연계 관계 생성부(120)로터 생성된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의 연계 관계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음악은 음악 파일로 저장되고, 음악의 식별정보는 음악의 제목 또는 가수명이 저장될 수 있고, 미술작품의 연계 관계는 '유사'-'A 미술작품, C 미술작품, D 미술작품', '상반'-'B 미술작품, F 미술작품', '보완'-'E 미술작품' 등과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음악, 음악의 식별정보, 연계 관계 및 연계 미술작품이 매칭되어 저장되며, 하나의 음악에 대하여 다수의 연계 관계 및 연계 미술작품이 매칭될 수 있고, 하나의 미술작품에 대하여 다수의 연계 관계 및 연계 음악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음악, 미술작품 각각에 대하여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140)는 연계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 요청 신호와 함께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한다.
즉,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140)는 단말장치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악 또는 미술적품을 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또한,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140)는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의 연계 관계에 따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여 단말장치로 제공한다.
통신부(150)는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추출된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접속 채널에 해당된다.
관리 서버(100)는 연계 관계 설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계 관계 설정부(160)는 다수의 연계 관계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단말장치에서 선택된 연계 관계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연계 관계 설정부(160)는 동일한 그룹에 포함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으로 추출하도록 다수의 연계 관계 중 '유사'를 디폴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0)는 입력부(220),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24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입력부(22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작 신호를 입력받고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24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한다.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24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거나,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도록 플러그인(Plug-in)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음악 재생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미술작품 디스플레이와 함께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200)의 입력부(220)를 통해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디스플레이할 미술작품이 선택되어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입력된다.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플러그인 인터페이스 모듈이 구동되어, 미술작품 디스플레이와 함께 연계 음악을 청취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240)를 통해 연계 음악 청취가 선택되면, 관리 서버로 연계 음악을 요청하고,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연계 음악을 미술작품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안 청취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
연계 음악 추출 과정은 도 2의 관리 서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부분에서 상술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410), 특정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선택하여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 하고(S420),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30).
단말장치에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이 선택되면,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 식별정보가 전송되고(S440), 관리 서버에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고(S450),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을 추출한다(S460).
관리 서버는 추출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을 단말장치로 전송하고(S470), 단말장치는 이를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한다.
일반적으로, 단말장치에서는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만 실행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연계 미술작품 요청 선택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연계 미술작품이 요청되면 현재 재생 중인 음악의 식별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는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로 해당 음악을 확인하고, 해당 음악에 연계되는 미술작품을 추출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단말장치는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연계 미술작품을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며, 음악 재생이 종료되면, 연계 미술작품 디스플레이도 종료한다.
단말장치에서 다른 음악이 선택되면, 선택된 다른 음악의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S450 내지 S480 과정을 반복한다.
연계 미술작품을 요청할 것인지 선택하는 연계 미술작품 요청 선택 화면 디스플레이는(S430) 최초 음악 재생시 한 번만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되는 음악이 변경될 때마다 반복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관리 서버에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을 추출하는 과정(S460)은 다수의 연계 관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장치로 연계 관례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전송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는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고,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단말장치에서 선택 화면의 연계 관계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전송된 연계 관계를 기준으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악, 미술작품을 등록받고(S510), 등록된 음악, 미술작품을 그룹으로 분류하고(S520), 등록된 음악, 미술작품을 분류된 그룹 특성에 따라 연계 관계를 생성하고(S530), 이를 각각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40).
이때, 분류된 그룹이 동일한 경우,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 특성이 보완 관계인 경우, 및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 특성이 상반되는 관계인 경우의 연계 관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다수의 연계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에서 연계 음악, 연계 미술작품 전송이 요청되면(S550),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계 미술작품, 연계 음악을 전송한다(S560).
관리 서버에서 등록된 음악, 미술작품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S520)은 제목, 가사, 가수, 음율, 주제, 장르 또는 앨범 발표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정보, 및 작품명, 소재, 재료, 화가, 장르, 주제, 화풍 또는 예술 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술작품 정보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이러한 그룹 분류는 기존의 다양한 데이터 마이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계 관계가 생성된 경우,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을 추출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에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에서 선택 화면의 연계 관계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받은 후 선택된 연계 관계를 기준으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말장치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어플리케이션 실행 신호와 및 선택된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S610, S620).
다음으로, 단말장치에서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S630), 디스플레이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이 선택되면(S640)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한다(S650).
마지막으로, 단말장치에서 연계 미술작품을 전송받아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연계 음악을 전송받아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한다(S660).
단말장치에 설치된 음악 어플리케이션에는 플러그인 인터페이스 모듈이 연결되어 연계 미술작품 요청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장치에 설치된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에는 플러그인 인터페이스 모듈이 연결되어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과정, 음악,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의 연계 관계 및 미술작품,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음악과의 연계 관계를 각각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 및 외부로부터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어플리케이션 실행 신호와 및 선택된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과정, 디스플레이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이 선택되면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과정, 연계 미술작품을 전송받아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연계 음악을 전송받아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um)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시 현재 재생되는 음악에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미술작춤에 연계되는 음악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청취시 연관이 있는 미술작품을 함께 감상하도록 연계 미술작품을 제공하거나 또는 미술작품 감상시 연관이 있는 음악을 함께 청취할 수 있도록 연계 음악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의 갤러리를 방문한 것과 같이 시각과 청각의 만족감을 줄 수 있고, 재생되는 음악의 제목, 주제, 음율 등 음악 정보에 부합하는 미술작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되는 미술작품의 화풍, 주제 등의 미술 정보에 부합하는 음악을 함께 청취할 수 있으므로 연계 음악 또는 연계 미술작품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 없이도 연계 음악 또는 연계 미술작품의 특성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실행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 단말장치 및 그의 방법, 그에 대한 기록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1000: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관리 서버 200: 단말장치
300: 통신망
110: 음악/미술작품 분류부 120: 연계 관계 생성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
150: 통신부 160: 연계 관계 설정부
220: 입력부 240: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
260: 제어부

Claims (16)

  1.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하고, 상기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함께 재생하는 단말장치; 및
    음악과 상기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상기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상기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을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상기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상기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여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상기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상기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음악/미술작품 분류부;
    상기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연계 관계 생성부;
    음악과 상기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 상기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및 상기 연계 관계 생성부로터 생성된 상기 음악과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과 음악의 연계 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연계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 요청 신호와 함께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의 연계 관계에 따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연계 음악/미술작품 추출부; 및
    상기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추출된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정보는 제목, 가사, 가수, 음율, 주제, 장르 또는 앨범 발표 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미술작품 정보는 작품명, 소재, 재료, 화가, 장르, 주제, 화풍 또는 예술 사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미술작품 분류부는, 상기 음악 정보 또는 미술작품 정보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관계 생성부는, 상기 분류된 그룹이 동일한 경우 음악과 미술작품 사이의 연계 관계를 '유사'로 나타내고, 상기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의 특성이 보완 관계인 경우 상기 연계 관계를 '보완'으로 나타내고, 상기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의 특성이 상반되는 관계인 경우 상기 연계 관계를 '상반'으로 나타내어 상기 그룹 특성에 따라 다수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계 관계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선택된 연계 관계를 상기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로 설정하는 연계 관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7.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재생 요청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디스플레이 요청된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하는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 및
    상기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수신된 미술작품을 상기 음악 재생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악을 상기 미술작품 디스플레이와 함께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음악/미술작품 요청부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거나, 상기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도록 플러그인(Plug-in)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a) 단말장치에 설치된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는 단계;
    (b) 상기 단말장치에서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연계되는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c)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신호가 선택되면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의 식별정보가 추출되어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추출된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상기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면 상기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종료시까지, 상기 선택 화면은 최초 1회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음악의 식별정보 또는 미술작품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확인하는 단계;
    (d-2)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확인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선택 화면의 연계 관계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4)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연계 관계를 기준으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2. (a) 관리 서버에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이 등록되면 상기 음악과 관련된 음악 정보 및 상기 미술작품과 관련된 미술작품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을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분류된 그룹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음악 또는 미술작품에 각각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서버에서 음악, 음악의 식별정보, 미술작품과의 연계 관계 및 상기 미술작품, 미술작품의 식별정보, 음악과의 연계 관계를 각각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제목, 가사, 가수, 음율, 주제, 장르 또는 앨범 발표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정보, 및 작품명, 소재, 재료, 화가, 장르, 주제, 화풍 또는 예술 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술작품 정보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각 음절의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기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류된 그룹이 동일한 경우, 상기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 특성이 보완 관계인 경우, 및 상기 분류된 그룹이 상이하고 그룹 특성이 상반되는 관계인 경우의 연계 관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다수의 연계 관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관리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음악 또는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 수신을 요청받는 단계;
    (d-2) 상기 관리 서버에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는 기준인 연계 관계 리스트를 포함하는 선택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선택 화면의 연계 관계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d-4)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연계 관계를 기준으로 연계되는 미술작품 또는 음악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 서버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16. 단말장치에서 음악 어플리케이션 또는 미술작품 어플리케이션 실행 신호와 및 선택된 음악 재생 또는 미술작품 디스플레이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음악 또는 디스플레이 미술작품과 연계되는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연계 미술작품 또는 연계 음악 요청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음악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미술작품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연계 미술작품을 전송받아 상기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상기 연계 음악을 전송받아 상기 미술작품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에서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46125A 2012-05-02 2012-05-02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3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125A KR20130123033A (ko) 2012-05-02 2012-05-02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125A KR20130123033A (ko) 2012-05-02 2012-05-02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033A true KR20130123033A (ko) 2013-11-12

Family

ID=4985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125A KR20130123033A (ko) 2012-05-02 2012-05-02 음악과 미술작품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3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30A (ko) * 2020-02-04 2021-08-1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30A (ko) * 2020-02-04 2021-08-1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068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graphical video clip representations associated with video clips correlated to electronic audio files
US11455465B2 (en) Boo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CN101960753B (zh) 注释视频区间
CN102483742B (zh) 用于管理因特网媒体内容的系统和方法
US20150172787A1 (en) Customized movie trailers
US20070244903A1 (en) Collectively managing media bookmarks
CN105230035A (zh) 用于选择的时移多媒体内容的社交媒体的处理
US11157542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ssociating media content having different modalities
CN104572846A (zh) 一种热词推荐方法、装置和系统
CN104065979A (zh) 一种动态显示和视频内容相关联信息方法及系统
CN103686344A (zh) 增强视频系统及方法
US20130238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on and Networking of at Least Artists, Performers, Entertainers, Musicians, and Venues
KR101705595B1 (ko) 데이터 구조화를 통한 직관적인 동영상콘텐츠 재생산 방법 및 그 장치
CN101075233B (zh) 多媒体内容收集部件、系统及其方法
KR20130050868A (ko) 텔레비전 광고 제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텔레비전 광고 제품 정보의 기록 매체
WO2003075184A1 (en) Methods for constructing multimedia database and providing multimedia-search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JP4222712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第2利用者装置、およびサービス提供装置
KR20130054535A (ko) 콘텐츠 리스트를 추천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CN103180838A (zh) 在屏幕上显示附加信息的方法
KR20090099439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CN114845149B (zh) 视频片段的剪辑方法、视频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181732B1 (ko) 동영상 핑거프린트 정보에 기반한 동영상 마크업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733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rging Media Content
KR20110043568A (ko)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 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KR20150030185A (ko)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