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185A -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185A
KR20150030185A KR20140131371A KR20140131371A KR20150030185A KR 20150030185 A KR20150030185 A KR 20150030185A KR 20140131371 A KR20140131371 A KR 20140131371A KR 20140131371 A KR20140131371 A KR 20140131371A KR 20150030185 A KR20150030185 A KR 2015003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present
user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섭
김은지
Original Assignee
투브플러스 주식회사
김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브플러스 주식회사, 김은지 filed Critical 투브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13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185A/ko
Publication of KR2015003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제공되는 컨텐트와 연관된 컨텐트 메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혜택 정보나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NT DATA}
본 발명은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트를 보급하는 기술의 다방면에 걸친 발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부분의 대규모 멀티미디어 공간(예를 들면, 극장, 영화관, 공연장 등)의 사업자는, 혜택 제공, 연계 업장 광고 등을 위하여, 보관이 번거롭고 아주 구식인 종이 할인권, 사용자의 매 극장에서의 번거로운 수동 설치를 요하는 극장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번거로운 촬상 행위 등을 요하는 QR 코드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종래의 판촉 수단에 기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자(들)는 자동 컨텐트 인식(Automated Content Recognition) 기술 등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지능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한 배경 기술이 되는 자동 컨텐트 인식 기술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잠깐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자동 컨텐트 인식 기술에 관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컨텐트 인식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트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질의 엔진에 입력하고, 미리 수집되어 있는 레퍼런스 컨텐트로부터의 디지털 핑거프린트를 상기 질의 엔진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질의 엔진이 인식된 디지털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물론, 다른 공지 기술에 따라, 디지털 핑거프린트가 아닌 초음파 데이터나 기타 초음파 마커에 기초하여 컨텐트가 자동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자동 컨텐트 인식에 관한 종래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8878호 등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자동 컨텐트 인식 기술만으로는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는 자동 컨텐트 인식 기술과 본 발명 특유의 여러 가지 기술적 사상을 결합하여 대규모 멀티미디어 공간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 정보 제공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위를 최소화시키는 정보 제공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제공되는 컨텐트와 연관된 컨텐트 메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혜택 정보나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 컨텐트 인식(Automated Content Recognition) 기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위를 최소화시키는 정보 제공 기술이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자동 컨텐트 인식 기술에 관한 개요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명세서에서, 컨텐트란,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컨텐트는,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미도시됨), 정보 제공 시스템(200),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컨텐트 관리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미도시됨)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컨텐트 관리 장치(400)에 의하여 또는 그것이 개입되어 송출되는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혜택 정보, 광고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특히, 스마트 패드), 이동 전화기(특히,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는 컨텐트 관리 장치(400)에 의하여 또는 그것이 개입되어 송출되는 컨텐트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컨텐트의 음 데이터)나 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정보(예를 들면, 컨텐트 식별 정보)나 해당 메타 데이터/정보(예를 들면, 컨텐트의 초음파 데이터나 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트 식별 정보)를 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을 위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마이크 모듈(미도시됨) 및 통신 모듈(미도시됨)과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소정의 컨텐트 메타 데이터(예를 들면, 초음파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기동되거나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공지의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기술에 의하여 그것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정보를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는 공지의 GPS 모듈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관리 장치(400)는, 필요에 따라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컨텐트 데이터 송출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텐트 관리 장치(400)는, 예를 들면, 극장 내에서 디지털 영사기 등을 통하여 상영되거나 재생되는 영화 컨텐트, 공연장 내에서 제공되는 음악 컨텐트, 광고 컨텐트 등의 데이터의 송출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텐트는, 많은 경우, 그 음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도달할 수 있다.
컨텐트 데이터의 종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일반 컨텐트
시각적인 요소(예를 들면, 영상), 청각적인 요소(예를 들면, 음성, 음향 등), 자막(예를 들면, 상업적이거나 그러하지 않은 자막; 소정의 사용자 안내를 포함할 수 있음) 등을 포함하는 영화 컨텐트, 음악 컨텐트, 광고 컨텐트 등이 이에 속할 수 있다.
(2) 자동 컨텐트 인식을 위한 컨텐트
일반 컨텐트 역시 그 디지털 핑거프린트에 기하여 자동 컨텐트 인식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컨텐트에 관한 식별 정보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초음파 데이터, 컨텐트의 일부분에 대한 표지로서의 초음파 마커, QR 코드 등과 같은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트가 여기서 말하는 자동 컨텐트 인식을 위한 컨텐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트는 영화 컨텐트, 음악 컨텐트, 광고 컨텐트 등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3) 기타 보조 컨텐트
그 자체로서 영화 컨텐트, 음악 컨텐트, 광고 컨텐트 등을 구성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일반 컨텐트의 데이터가 송출되는 동안에 또는 그 전후에 데이터가 송출되는 보조 컨텐트가 더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컨텐트는, 전형적으로는, 디지털 영사기 등과는 별개인 초음파 발생 장치(미도시됨)에 의하여 제공되는, 초음파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 관리 장치(400)는 사전에 설정된 바에 따라 위와 같은 컨텐트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 설정은, 예를 들면,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던 영화 컨텐트의 상영 종료의 즈음에 컨텐트 데이터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광고 컨텐트의 재생과 동시에 송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 정보 수집부(215), 컨텐트 인식부(220), 정보 제공부(225),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 정보 수집부(215), 컨텐트 인식부(220), 정보 제공부(225),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나 컨텐트 관리 장치(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컨텐트의 메타 정보(즉, 전술한 바와 같은 컨텐트 메타 데이터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이러한 컨텐트 메타 데이터에 따라 결정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타 정보를 정보 제공부(225)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 정보는 가장 직접적으로 정보 제공부(225)에 의한 정보 제공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 메타 정보는 사용자가 경험한 컨텐트의 식별 정보, 장르, 제작자, 배포자(이상, 주로 컨텐트가 영화 컨텐트, 음악 컨텐트 등과 같은 비광고 컨텐트인 경우), 광고주, 광고주의 구체적인 업장, 광고 내용, 할인 혜택, 기타 혜택(이상, 주로 컨텐트가 광고 컨텐트인 경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수신한 컨텐트 데이터(전형적으로는, 음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 받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위와 같은 컨텐트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정보 제공부(225)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정보 역시 직접적으로 정보 제공부(225)에 의한 정보 제공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215)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컨텐트 메타 정보 외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5)가 수집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예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연관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극장 사업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 등의 혜택 이용 수단에 관한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역시 정보 제공부(225)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인식부(220)는,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가 컨텐트 메타 데이터나 컨텐트 데이터인 경우에, 해당 컨텐트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트 인식부(220)는 공지의 자동 컨텐트 인식용 엔진(미도시됨)을 포함하거나 공지의 자동 컨텐트 인식용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컨텐트 인식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225)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컨텐트 관리 장치(400)에 의하여 또는 그것이 개입되어 송출되는 컨텐트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혜택 정보, 광고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의 로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검색
정보 제공부(225)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맥락상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단서로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혜택 정보, 광고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 제공부(225)는, 예를 들면, 검색 단서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정보 수집부(215)에 의하여 수집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혜택 정보, 광고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당장 이용할 수 있는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장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225)는, 예를 들면, 검색 단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컨텐트에 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가 당장 경험한 컨텐트와 연관성을 갖는 혜택 정보, 광고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유리한 것일 수 있다.
(2) 제공
정보 제공부(225)는 검색된 혜택 정보, 광고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의 형식에는 사실상 제한이 없다. 제공되는 컨텐트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링크,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혜택 정보, 광고 정보 등과 정보 수집부(215)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30)가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30)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 정보 수집부(215), 컨텐트 인식부(220), 정보 제공부(225) 및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 정보 수집부(215), 컨텐트 인식부(220), 정보 제공부(225),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210), 정보 수집부(215), 컨텐트 인식부(220), 정보 제공부(225),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컨텐트 메타 정보 처리부
215: 정보 수집부
220: 컨텐트 인식부
225: 정보 제공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통신부
250: 제어부

Claims (1)

  1.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 수집부, 메타 정보 처리부 및 정보 제공부를 포함함 - ,
    상기 정보 수집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제공되는 컨텐트와 연관된 컨텐트 메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메타 정보 처리부가, 상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혜택 정보나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부가, 검색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메타 정보는 영화 컨텐트, 음악 컨텐트 및 광고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컨텐트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컨텐트 메타 정보는 영화 컨텐트, 음악 컨텐트 및 광고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디지털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자동 컨텐트 인식에 따라 결정된 것인된 것인 방법.
KR20140131371A 2014-09-30 2014-09-30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30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1371A KR20150030185A (ko) 2014-09-30 2014-09-30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1371A KR20150030185A (ko) 2014-09-30 2014-09-30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328A Division KR101472430B1 (ko) 2013-09-11 2013-09-11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185A true KR20150030185A (ko) 2015-03-19

Family

ID=5302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1371A KR20150030185A (ko) 2014-09-30 2014-09-30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1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51A1 (ko) * 2018-05-21 2019-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KR20190132909A (ko) * 2018-05-21 2019-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US11184670B2 (en) 2018-12-18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90837B2 (en) 2018-06-25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51A1 (ko) * 2018-05-21 2019-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KR20190132909A (ko) * 2018-05-21 2019-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인식 정보 획득
CN112154671A (zh) * 2018-05-21 2020-12-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内容识别信息获取
CN112154671B (zh) * 2018-05-21 2022-11-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内容识别信息获取
US11575962B2 (en) 2018-05-21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therefor
US11190837B2 (en) 2018-06-25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184670B2 (en) 2018-12-18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0304B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
US11514112B2 (en) Scene aware searching
JP5651231B2 (ja) コンテンツを決定し検索するためのメディアフィンガープリント
US11929823B2 (en) Vehicle-based media system with audio ad and visual content synchronization feature
JP5918206B2 (ja) イベント発生に基づく広告露出方法、それを遂行する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WO2014137942A1 (en) Surfacing information about items mentioned or presented in a film in association with viewing the film
CN104065979A (zh) 一种动态显示和视频内容相关联信息方法及系统
US200901934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users in media reproducing system
US20130013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ocument link service and linkable advertisement
CN102169489A (zh) 信息处理装置、关键字注册方法和程序
KR20150030185A (ko)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92500A (ko) 사용자 관심 정보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04681A (ko) 미디어 정보 제공 서버,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미디어 정보를 검색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01796B1 (ko) 동영상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8745650B1 (en) Content segment selection based on time-shifted content viewing
US8768999B2 (en) System and method of acquiring contents
KR101862340B1 (ko) 이벤트 발생에 기초한 광고 노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00118896A (ko) 콘텐츠 내 객체 정보 및 객체 기반의 응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6082716B2 (ja) 放送照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72430B1 (ko) 컨텐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50049B1 (ko) 디지털 사이니지용 동영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서버
US9084011B2 (en) Method for advertising based on audio/video content and method for creating an audio/video playback application
KR102297362B1 (ko)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44547B1 (ko) 사용자에 의한 컨텐트 이용에 기초하여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088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